KR960002352Y1 -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52Y1
KR960002352Y1 KR2019900019594U KR900019594U KR960002352Y1 KR 960002352 Y1 KR960002352 Y1 KR 960002352Y1 KR 2019900019594 U KR2019900019594 U KR 2019900019594U KR 900019594 U KR900019594 U KR 900019594U KR 960002352 Y1 KR960002352 Y1 KR 960002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laser diode
scr
transistor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225U (ko
Inventor
이남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9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352Y1/ko
Publication of KR920013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각단의 입출력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리거발생회로 TR : 트랜지스터
SCR : 다이리스터 D1-D5: 다이오드
R1-R4: 저항 C : 콘덴서
본 고안은 짧은 시간내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거나 살균하기 위해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판단하거나 살균장치를 구성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정확하고 안정된 접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짧은 시간내에 물체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원의 반복 주파수가 크면서 출력 에너지가 큰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므로 회로 설계시 많은 어려운 점이 발생하게 된다 .
따라서 본 고안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된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트리거회로와 충전회로 및 방전회로로서 이루어진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트리거 발생회로(1)로부터 출력되는 200nsec 폭의 펄스는 저항(R1)(R2)과 다이오드(D1)를 경유하여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 인가되어 있고 트랜지스터(TR) 에미터측은 다이오드(D2-D4)와 콘덴서(C)가 병렬 접속되며 또한 다이리스터(SCR) 애노드단에 다이오드(D2-D4)의 트랜지스터(TR) 베이스단이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가 오프될때 콘덴서(C)에 충전된 에너지가 다이오드(D2-D4)와 다이리스터(SCR)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전원(VS)이 공급되면 저항(R3)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TR) 배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으로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를 통해 콘덴서(C)에 충전된다.
이때 충분한 에너지가 충전된 상태에서 레어저 다이오드(LD)를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발생회로(1)로 부터 제2도의 (a)도와 같은 200nsec 폭을 갖는 트리거펄스가 출력되면 저항(R1)(R2)과 다이오드(D1)에 의해 안정된후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 인가되어 상기 다이리스터(SCR)는 턴온 됨으로서 트랜지스터(TR) 베이스 전위를 "0"V로 낮추어 오프 상태로 만듬에 따라 콘덴서(C)에 충전된 에너지가 200nsec 동안 (b)도와 같이 순간적으로 방전되고 이의 방전 전압은 다이오드(D2-D4)를 통해 다이리스터(SCR) 애노드단에서 캐소드단을 경유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에 제3도의 (c)도와 같은 전류가 공급되어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점등시키게 된다.
따라서 트리거 발생회로(1)에서 200nsec 트리거펄스가 출력될 때마다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다이오드(D5)는 레이저 다이오드(LD)가 2V이상 역전압에서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다이리스터(SCR)는 수 200nsec의 빠른 스위칭 시간과 큰 전류 용량(200nsec 펄스폭에서 40[A] 이상전류)을 가져야한다.
또한 다이오드(D2-D4)는 콘덴서(C)에 충전된 전압이 방전될때 순간 저항값을 최소화 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다이리스터(SCR) 및 트랜지스터(TR)와 다이오드(D1-D5), 콘덴서(C) 그리고 저항(R1)(R4)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를 제공하여 점등되는 시간을 200nsec로 되어 태양광의 레이저 대역중 약한 부분을 사용하고 실제 신호의 구분을 명확히 함으로서 안정되고 정확하게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트리거발생회로(1)의 출력신호는 저항(R1)(R2)과 다이오드(D1)를 통해 다이리스터(SCR)의 게이트단에 인가하되 전원(VS)은 저항(R4)을 거쳐 트랜지스터(TR) 콜렉터와, 그리고 저항(R3)을 통해 다이리스터(SCR) 애노드단 및 트랜지스터(TR) 베이스단에 각각 인가하는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TR) 에미터측은 콘덴서(C)를 접속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2-D4)를 거쳐 다이리스터(SCR) 애노드 연결하고 캐소드단은 레이저 다이오드(LD)와 다이오드(D5)를 접속하여서된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KR2019900019594U 1990-12-12 1990-12-12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KR960002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594U KR960002352Y1 (ko) 1990-12-12 1990-12-12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594U KR960002352Y1 (ko) 1990-12-12 1990-12-12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225U KR920013225U (ko) 1992-07-27
KR960002352Y1 true KR960002352Y1 (ko) 1996-03-20

Family

ID=1930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594U KR960002352Y1 (ko) 1990-12-12 1990-12-12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3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225U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9586A (en) Solid-state relay and regulator
US3944854A (en) Light-emitting diode connected to a coil
US4400812A (en) Laser drive circuits
CA2127647A1 (en) Bias circuit for avalanche photodiode
KR960002352Y1 (ko)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회로
KR870005496A (ko) 전원회로
JPH051652B2 (ko)
JPS6118231A (ja) 発光素子駆動回路
NO154740C (no) Entakts gjennomstroemningsomretter til aa frembringe galvanisk adskilte utgangslikespenninger.
KR930006692Y1 (ko) 쇼트키 다이오드를 이용한 스위칭 시간 단축회로
JPH0669136B2 (ja) 過電流保護機能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JPS62250719A (ja) 半導体リレ−回路
KR950000204Y1 (ko) 레이저의 효율적인 방사파우어 증가회로
US4918340A (en) GTO thyristor control circuit
SU1188873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силовым транзисторным ключом
SU1039020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JPS6454926A (en) Bipolar logic circuit
SU905992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539943A2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инвертор
SU1750049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силовым транзистором
RU2035841C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ки
KR910004076Y1 (ko)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SU1721818A1 (ru) Силовой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KR900002619A (ko) 레벨쉬프트된 출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회로
SU1485394A1 (ru) Тиристорный клю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