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076Y1 -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076Y1
KR910004076Y1 KR2019880009804U KR880009804U KR910004076Y1 KR 910004076 Y1 KR910004076 Y1 KR 910004076Y1 KR 2019880009804 U KR2019880009804 U KR 2019880009804U KR 880009804 U KR880009804 U KR 880009804U KR 910004076 Y1 KR910004076 Y1 KR 910004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t
pulse
power supply
output terminal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9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739U (ko
Inventor
강장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서주인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9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076Y1/ko
Publication of KR900001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8Mean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Q : FET Q : 트랜지스터
D : 다이오드 T : 펄스트랜스
R, R1,R2: 저항
본 고안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와 같이 전압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의 FET구동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펄스트랜스를 사용하는 FET 구동회로에서 FET 턴 - 오프타임을 줄여 줌으로써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시킬수 있는 전원공급 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SMPS와 같은 전원공급장치에서 스위칭 주파수의 증가는 파워트랜스의 효율상승을 가져와 파워트랜스의 사이즈 축소가 가능하게 되고 출력콘덴서를 소형화 시킬수 있게 되기 때문에 스위칭 주파수의 고주파수화를 통하여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게된다.
이에따라 필스폭변조 IC(PWM IC)와 펄스트랜스를 이용하는 SMPS 입력회로에는 예리한 파형의 고속 스위칭을 얻을 수 있는 FET 소자를 통하여 파워트랜스를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로의 일예가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설명한다. 펄스폭 변조 IC에서 발생된 펄스가 펄스트랜스(T)의 입력단자(a, b)에 입력되면 이 펄스는 펄스트랜스(T)의 출련단자(c, d)에 나타나게 된다. 가령 출력단자(c)에 하이레벨이 나타나고 출력단자(d)에 로우레벨이 나타나게 되면 전류 제한저항(R)을 통한 출력단자(c)의 하이레벨 전압성분이 FET(Q)의 게이트측에 인가되므로 이때 FET(Q)가 턴 온된다.
따라서 FET(Q)의 소오스축 출력단에는 V+나타자 파워트랜스(도시생략)에 V+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다음에 펄스트랜스(T)의 출력단자(c)에 로우레벨이 나타나고 출력단자(d)에 하이레벨이 나타나게 되면, FET(Q)는 역 바이어스 상태로 되어 턴 오프되고 FET(Q)의 게이트축 잔류전하는 더미(Dummy)저항(Ro)과 전류제한저항(R)을 통하여 서서히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에서 R2는 출력저항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회로에서는 FET(Q)의 턴 오프시 그의 게이트 측 잔류전하가 신속하게 빠져나가주지 않기 때문에 다음 펄스에서 FET(Q)의 스위칭 턴 온 시간이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예리한 소오스 출력파형 특성을 얻을 수 없게된다.
이는 곧 FET의 스위칭 속도에 제한이 가해지게 되므로 스위칭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FET 구동시의 스위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FET 구동회로에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게이트축 잔류전하 바이패스 회로와 다이오드를 이용한 스피드업 회로를 만들어 줌으로써 FET 턴 온 및 턴 오프동작 신속화에 따른 고속 스위칭이 얻어지는 FET 구동회로에 특징으로 두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펄스트랜스(T)의 출력단자(c)의 펄스출력이 잔류제한저항(R)과 스피드업 다이오드(D)를 직렬로 통하여 FET(Q)의 게이트측으로 인가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출력단자(c)의 펄스출력을 저항(R1)을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측에도 인가되게 연결한다.
상기 PNP 트랜지스터(Q1)에 에미터측은 FET(Q)의 게이트측에 연결하고 펄스트랜스(T)의 출련단자(d)에는 상기 PNP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과 FET(Q)의 소오스 출력 저항(R2)을 연결한다.
이와같이 구정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펄스폭 변조 IC(도시생략)에서의 펄스가 펄스트랜스(T)의 입력단자(a, b)에 공급되면 이 펄스는 상기 펄스트랜스(T)의 출력단자(c, d)에 나타나게 된다.
가령, 펄스 트랜스(T)의 출력단자(c)가 하이레벨이면 이 하이레벨전압 성분은 잔류제한저항(R)과 스피드업 다이오드(D)를 거쳐 FET(Q)의 게이트측에 인가되므로 상기 FET(Q)는 신속히 턴 온된다. 이 때 FET(Q)의 게이트측 전위는 출력단자(c)의 전위보다 낮기 때문에 PNP 트랜지스터(Q1)는 역바이어스 상태가 된다.
따라서 V-전압이 FET(Q)의 소오스 출력단에 나타나게 되어 파워 트랜스(도시생략)에 V-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이후 상기 출력단자(c)가 로우레벨로 되면 그 순간 FET(Q)의 게이트측 전위는 출력단자(c)의 전위보다 높으므로 PNP 트랜지스터(Q1)가 순 바이어스 되어 턴온되며 이에따라 FET(Q)게이트축 잔류 전하는 PNP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콜렉터를 통하여 신속히 그라운드 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출력단자(C)의 다음 하이레벨 펄스에서 상기 FET(Q)가 턴온될때 게이트측 잔류전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FET(Q)의 스위칭 손실이 없는 고속 스위칭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범용 펄스폭 변조 IC와 펄스트랜스와 FET를 이용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입력회로에 FET 스피드업용 다이오드와 FET 게이트측 잔류전하 바이패스용 트랜지스터를 더 추가하는 것으로 전원공급장치의 고 효율화 및 스위칭 파워 손실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입력회로에 펄스트랜스(T)와 FET(Q)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펄스트랜스(T)의 출력단자(c)의 펄스출력이 저항(R)과 다이오드(D)를 통하여는 FET(Q의 게이트측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저항(R1)을 통하여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게 연결하고, 상기 펄스트랜스(T)의 출력단자(d)에 콜렉터측이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측은 FET(Q)의 게이트측에 연결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KR2019880009804U 1988-06-24 1988-06-24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KR910004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804U KR910004076Y1 (ko) 1988-06-24 1988-06-24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9804U KR910004076Y1 (ko) 1988-06-24 1988-06-24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739U KR900001739U (ko) 1990-01-19
KR910004076Y1 true KR910004076Y1 (ko) 1991-06-13

Family

ID=1927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9804U KR910004076Y1 (ko) 1988-06-24 1988-06-24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0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739U (ko)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279B2 (en) Driving circuit for an emitter-switching configuration
US5635867A (en) High performance drive structure for MOSFET power switches
US4672245A (en) High frequency diverse semiconductor switch
US4010387A (en) Power transistor switching apparatus
US7053678B2 (en) Driving circuit for a control terminal of a bipolar transistor in an emitter-switching configur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reducing the VCESAT dynamic phenomenon
EP0621995A1 (en) A 0-100 % duty cycle, transformer isolated fet driver
KR950701469A (ko) 모오스(mos) 전께효과 트랜지스터의 구동회로(drive circuitry for a mos field effect tranststor)
GB2149249A (en) Semiconductor drive circuit
US4246501A (en) Gated back-clamped transistor switching circuit
US5914619A (en) Trigger circuit for a power fet having a source-side load
EP0184673A2 (en) Optical transmitter with driving circuit
KR910004076Y1 (ko) 전원공급장치에서의 fet 구동회로
US4698519A (en) Monolithically integratable high-efficiency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transistors
AU6091180A (en) Series switch-mode converter
CN216437532U (zh) 一种驱动电路及其照明设备
SU1188873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силовым транзисторным ключом
KR890004480B1 (ko) 발광소자 구동회로
KR940005059Y1 (ko) 인버터 베이스 드라이브 회로
SU1654944A1 (ru) Однотакт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KR970000876B1 (ko) 인버터회로에서의 고속게이트 구동회로
EP0569114A2 (en) Switch circuit
KR920000252Y1 (ko) 모터 구동용 파워 트랜지스터의 보호 회로
SU1706033A1 (ru) Транзисторный ключ
JP2522386B2 (ja) トランジスタのベ―ス駆動回路
SU1322455A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клю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