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984B1 -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984B1
KR960001984B1 KR1019930007689A KR930007689A KR960001984B1 KR 960001984 B1 KR960001984 B1 KR 960001984B1 KR 1019930007689 A KR1019930007689 A KR 1019930007689A KR 930007689 A KR930007689 A KR 930007689A KR 960001984 B1 KR960001984 B1 KR 960001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temperature
memory alloy
shape memor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84B1/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온도변화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이 변형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댐퍼본체 2 : 냉기유입공
3 : 댐퍼 11 : 형상기억합금
12, 13 : 걸림편 14 : 열선
15 : 센서 16, 22 : 스위치
17 : 마이콤 18 : 온도감지튜브
18 : 벨로우즈 20 : 연결튜브
21 : 프레온가스
본 발명은 증발기에서 차거워진 냉기가 고내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고내온도조절용 댐퍼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내의 온도에 따라 댐퍼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기통로와 고내사이에는 증발기에 의해 차거워진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유입공에는 고내의 온도에 따라 개폐되는 댐퍼가 설치되어 있어 고내에 설치된 센서가 고내의 높은 온도를 감지하면 댐퍼가 개방되므로 차거운 냉기가 냉기유입공을 통해 고내로 유입되며, 이와는 반대로 고내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면 댐퍼가 냉기유입공을 폐쇄시켜 차거운 냉기가 고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고내를 항상 일정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고내의 온도변화에 따라 냉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댐퍼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동작되어진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본체(1)에 형성된 냉기유입공(2)의 일측으로 상기 냉기유입공을 개폐시키는 댐퍼(3)가 축(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댐퍼(3)의 배면에는 화부가 걸림편(5)에 고정된 판스프링(6)이 탄력접속되어 있어 댐퍼(3)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댐퍼(3)를 항상 냉기유입공(2)측으로 밀어 냉기유입공을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댐퍼(3)의 하부에는 댐퍼본체(1)에 고정된 모터(7)에 의해 좌우왕복운동을 하는 가이드핀(8)이 접속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댐퍼(3)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댐퍼본체(1)에 형성된 보스(9)에는 댐퍼(3)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스토퍼(10)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가 고내의 낮은 온도, 즉 적정수준의 온도를 감지하면 마이콤(도시는 생략함)으로부터 명령된 신호에 의해 모터(7)가 구동되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댐퍼(3)는 판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댐퍼본체(1)에 밀착되므로 냉기유입공(2)이 폐쇄되어 냉기가 고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잦은 냉장고도어의 개폐에 따라 고내의 온도가 상승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미이콤을 통해 모터(7)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모터(7)에 의해 좌우운동을 하는 가이드핀(8)이 댐퍼(3)측으로 이동하여 댐퍼를 제2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6)을 변형시키면서 개방되는 댐퍼(3)의 개방각은 스토퍼(10)에 의해 제어되므로 증발기에서 차거워진 냉기가 상기 냉기유입공(2)을 통해 고내로 유입, 고내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고내의 온도가 적정수준이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모터(7)의 구동이 중단되므로 댐퍼(3)가 판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냉기유입공(2)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냉기유입공(2)을 개폐시키는 댐퍼(3)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핀(8)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7)가 반드시 필요하게 됨은 물론 댐퍼(3)의 열림각을 제어하는 스토퍼(10)가 필요하게 되었으므로 그 구성부품이 많아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고, 또한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될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부품을 간소화시키므로 설치면적 및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댐퍼본체에 형성된 냉기유입공의 일측으로 댐퍼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된것에 있어서, 댐퍼본체와 댐퍼사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일정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형상기억합금과,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외주연에 감싸여지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형상기억합금을 가열시키는 히터와, 고내의 온도에 따라 열선의 공급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이며 제5도는 온도변화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이 변형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댐퍼본체(1)에 냉기유입공(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댐퍼본체의 일측으로는 냉기유입공(2)을 개폐시키는 댐퍼(3)가 축(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댐퍼(3)의 배면에는 일측이 댐퍼(3)에, 그리고 다른 일측이 댐퍼본체(1)에 고정되게 형상기억합금(1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11)의 양단을 댐퍼본체(1)와 댐퍼(3)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댐퍼본체(1)와 댐퍼(3)에 각각 걸림편(12), (13)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 사이에 형상기억합금(11)의 양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형상기억합금(11)의 양단을 별도의 스크류등으로 댐퍼본체(1)와 댐퍼(3)에 고정시킬 수도 있지만, 이는 부품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형상기억합금(11)의 외주연에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형상기억합금을 가열시키는 열선(14)이 코일형상으로 감싸여져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선(14)은 고내의 온도에 따라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댐퍼본체(1)와 댐퍼(3)에 고정되는 형상기억합금(11)은 고내의 적정온도에서는 댐퍼(3)를 댐퍼본체(1)측으로 밀어 냉기유입공(2)을 폐쇄시키도록 형상을 제5도의 (a)와 같이 기억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와는 반대로 제어부에 의해 열선(14)이 가열된 경우에는 댐퍼본체(1)의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형상을 제5도의 (b)와 같이 기억시켜 냉기유입공(2)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4도와 같이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15)를 고내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에는 센서의 신호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열선(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16)를 제어하는 마이콤(17)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어부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6도에서와 같이 고내에 위치되게 온도감지튜브(18)가 설치되어 있고 댐퍼본체(1)에는 벨로우즈(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튜브(18)와 벨로우즈(19)는 이들이 서로 통하여지도록 연결튜브(20)로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고내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되는 프레온가스(21)가 충진되어 있으며 벨로우즈(19)의 배면에는 열선(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2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내의 온도가 적정수준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인 센서(15)가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마이콤(17)에 알리게 되므로 마이콤(17)이 센서(15)의 신호를 판단하여 스위치(16)를 오프시키게 되므로 열선(14)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에따라 댐퍼본체(1)와 댐퍼(3) 사이에 양단이 고정된 형상기억합금(11)은 제5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온시의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댐퍼(3)를 댐퍼본체(1)측으로 밀어 냉기유입공(2)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식품의 보관 및 인출에 따라 냉장고도어를 반복개폐시키면 고내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센서(15)가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마이콤(17)에 고냉온도상을 고내온도상을을 알리게 되므로 마이콤이 센서의 신호를 판단, 스위치(16)을 온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형상기억합금(11)에 코일형상으로 감긴 열선(14)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형상기억합금을 가열시키게 되므로 형상기억합금(11)은 제5도의 (b)와 같이 고온의 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댐퍼본체(1)에 설치된 댐퍼(3)가 제4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축(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냉기유입공(2)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차거운 냉기가 냉기유입공(2)을 통해 고내로 유입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제6도에서는 센서(15) 및 마이콤(17)을 사용하던 일 실시예와는 달리 고내가 적정수준일 경우에는 고내에 설치된 온도감지튜브(18)내의 프레온가스(21)가 수축을 하게 되므로 댐퍼본체(1)에 설치된 벨로우즈(19)가 수축을 하면서 스위치(22)를 오프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형상기억합금(11)에 감싸여지게 설치된 열선(1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같이 댐퍼(3)가 냉기유입공(2)을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고내의 온도가 상승되면 온도감지튜브(18)내의 프레온가스(21)가 팽창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온가스의 팽창으로 연결튜브(20)로 연결된 밸로우즈(19)도 팽창된다.
이와 같이, 프레온가스에 의해 벨로우즈(19)가 팽창되면 상기 벨로우즈와 접속되게 설치된 스위치(22)의 접점을 상호 연결시키게 되므로 열선(14)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에따라 형상기억합금(11)은 고온시 기억형상으로 변형되므로 형상기억합금과 일단이 고정된 댐퍼(3)가 냉기유입공(2)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11)의 변형에 따라 댐퍼(3)가 별도의 구동원 없이도 냉기유입공(2)을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성부품이 간소화되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부품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고내의 유효용량을 크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5)

  1. 댐퍼본체(1)와 댐퍼(3)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일을키는 형상기억합금(11)과, 상기 형상기억합금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형상기억합금을 가열시키는 열선(14)과, 고내의 온도에 따라 열선(14)의 공급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냉장실의 온도변화에 따라 댐퍼가 냉기 유입공의 개폐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절용 댐퍼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11)에 고내의 적정온도에서는 댐퍼(3)를 댐퍼본체(1)측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형상을 기억시키고 열선(14)에 의해 가열된 경우에는 댐퍼본체의 외측으로 변형되도록 형상을 기억시켜 형상기억합금(11)의 변형에 따라 댐퍼(3)가 냉기유입공(2)을 개폐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댐퍼본체(1)의 하부와 댐퍼(3)의 배면에 각각 걸림편(12), (13)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에 형상기억합금(10)을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고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15)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열선(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16)를 제어하는 마이콤(1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고내에 위치되는 온도감지튜브(18)와, 상기 온도감지튜브와 연결튜브(20)로 연결되는 벨로우즈(19)와, 상기 온도감지튜브 및 벨로우즈에 충진되는 프레온가스(21)와, 상기 벨로우즈와 접속되게 설치되어 프레온가스에 의해 벨로우즈가 수축, 팽창됨에 따라 열선(1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2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KR1019930007689A 1993-05-04 1993-05-04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KR96000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689A KR960001984B1 (ko) 1993-05-04 1993-05-04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7689A KR960001984B1 (ko) 1993-05-04 1993-05-04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984B1 true KR960001984B1 (ko) 1996-02-08

Family

ID=1935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689A KR960001984B1 (ko) 1993-05-04 1993-05-04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98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901B1 (ko) 차량의 공기조화기 및 냉장고의 냉각장치
US6032480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opening/closing cool air discharge ports
US6014865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flow of air between an evaporator and a cooling compartment
US6910340B2 (en) Airflow control device
US9429351B2 (en) Demand air door heater for refrigerator
KR20200045798A (ko)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JPH0765840B2 (ja) 冷蔵庫用ダンパーフラップ駆動装置並びに該駆動装置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5083439A (en) Control device having a shape memory wire, refrigerator system utilizing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144813A (en) Control device having a shape memory wire, refrigerator system utilizing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960001984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조절용 댐퍼 개폐장치
US6250092B1 (en) Actu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s in a multiple compartment device
KR100333615B1 (ko) 냉장고용 댐퍼장치
JPH11125486A (ja) 冷却貯蔵庫
KR0124599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조절용 댐퍼 자동 개폐장치
JPH046247B2 (ko)
KR0113728Y1 (ko) 냉장고용 온도조절장치
KR0159626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제어장치
KR970000102B1 (ko) 냉장고의 온도 조절방법 및 장치
KR100563354B1 (ko) 서랍방의 팬쿨링제어방법및 이를 구현하는 김치냉장고
KR100374558B1 (ko) 냉장고의 고내온도 조정장치
KR960015669B1 (ko) 콤프레셔의 열을 이용한 김치실
KR0148634B1 (ko) 댐퍼장치가 설치된 냉장고
KR970002283Y1 (ko) 냉장고 병포켓 냉기덕트
KR0115584Y1 (ko) 냉장실 온도조절용 개폐장치
KR100208085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