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563Y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563Y1
KR960001563Y1 KR2019950030337U KR19950030337U KR960001563Y1 KR 960001563 Y1 KR960001563 Y1 KR 960001563Y1 KR 2019950030337 U KR2019950030337 U KR 2019950030337U KR 19950030337 U KR19950030337 U KR 19950030337U KR 960001563 Y1 KR960001563 Y1 KR 960001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w
elastic member
fitting
termi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03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히라카와
Original Assignee
죠오난 덴끼 세이끼 가부시끼 가이샤
히라카와 호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20156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7032Y2/ja
Application filed by 죠오난 덴끼 세이끼 가부시끼 가이샤, 히라카와 호토리 filed Critical 죠오난 덴끼 세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9500303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 자 대
제 1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도는 본 고안의 단자대의 횡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단자대 유니트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단자대 유니트의 측면도
제 4 도의 (a),(b) 및 (c)는 전선의 각종 끝단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단자대 유니트에 커버를 씌운 상태의 정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단자대의 횡단면도
제 8 도는 종래의 단자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자대 2 : 단자대본체
3 : 단자판 4 : 이동단자
5 : 너트 6 : 보울트
7 : 스프링 8 : 스프링
10,10a : 단자대 11 : 조합용 레일
12 : 누름브라켓트 20a,20b : 단자대유니트
30 : 단자대본체 31 : 간막이벽
31a : 절결부 32 : 기초부
33 : 끼워맞춤홈 34 : 일정길이의 홈
35 : 커버 40 : 단자판
41 : 나사구멍 50 : 꺼워붙임나사
51 : 피안내부재 51a,51b : 측면부
51c : 시이트부 51d : 각이진 부
52 : 머리부 53 : 나사부
60 : 안내홈 61a,6lb : 측벽
62 : 출입구멍 62a : 위테두리
63 : 개구부 70,70a : 턴성부재
71 : 다리부 71a : 밀어올리는 부
71b : 탄성걸림부 72 : 연결부
72a : 위치결정돌기 73,73a : 압축스프링
A : 전선 Al: 선 끝단
A2: 둥근형상의 단자 A3: 포오크형상의 단자
80 : 명판(名板)
본 고안은, 전선의 선 끝단 또는 단자의 끼워붙임부를 가지는 단자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단자대로서는, 예를 들면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즉 단자대(1)에는, 단자대본체(2)에 고정된 단자판(3)과 이동단자(4)와의 사이에 단자를 끼워두는 간격이 설정되고, 이동단자(4)는 거의 "ㄷ"자 형상으로서 그의 윗면의 뒷쪽에 너트(5)가 고정되며, 단자대본체(2) 및 단자판(3)에 끼워져 통하는 보울트(6)가 스프링(7)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힘이 가해 지도록 하는 한편, 이동단자(4)가 스프링(8)에 의해 상기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울트(6)가 너트(5)에 나사맞춤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 8 도의 왼쪽 절반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7)(8)의 탄성력에 의하여 단자판(3)과 이동단자(4)와의 사이에 큰 간격이 형성되고, 보울트(6)를 밀어 넣어서 너트(5)에 나사 맞춤시키어, 스프링(7),(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체결하면 단자판(3)과 이동단자(4)가 눌러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선의 선끝단 또는 단자를 끼워붙임하는 것이다.
이 단자대(1)는, 전선의 접속시에, 보울트(6)의 앞끝단이 이동단자(4)에서 완전히 떨어져 유지되고, 그 때단자판(3)과 이동단자(4)와의 사이에 큰 열린 공간이 형성되므로, 둥근 형상의 단자이라도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고안하여 작업성을 개선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자대(1)에서는, 작업성은 뛰어나게 개선되어 보이지만, 이동단자(4)를 특별하게 형성하여 스프링(8)으로써 힘을 가하고, 또한 보울트(6)를 탄성력있게 유지하는 스프링(7)은 눌림 접속력을 받지 않도록 원추형상의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등,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그로 인하여, 고가의 단자대로 될 뿐만아니라, 소형이고 경량화하기 어려운 단자대로 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울트(6)는 스프링(7)에 의하여 돌출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도록 되어 있어, 그에 의하여 보울트(6)가 풀어지면 그 풀어짐이 조장되는 경향이 있고, 단자판(3)과 이동단자(4)와의 간격이 더욱 넓어질 염려가 있으므로, 결국 전선의 선 끝단등이 충분하게 끼워붙임할 수가 없어 그결과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이고, 싼 가격으로 소형 경량화 할 수 가 있음과 동시에, 전선의 선 끝단등을 확실하게 끼워붙일 수 있는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요지로 하는 것은, 전선의 선 끝단 또는 단자의 끼워붙임부를 가지는 단자대에 있어서, 단자판을 단자대본체의 중간부보다 아래쪽에 고정하고, 이 단자판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이 나사구멍을 대향하여 위쪽으로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맞춤하는 끼워붙임나사를 배설하고, 이 끼워붙임나사를 위, 아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동시에 위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안내홈을 단자대 본체에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의 안쪽측벽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판보다 위의 단자대본체의 상부에 탄성부재를 배설하고, 이 탄성부재에, 상기 안내홈의 안쪽측벽에서 안내홈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여, 상기 나사구멍에서 빠지기 직전의 상기 끼워붙임나사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끼워붙임나사를 상기 단자판에 체결할 때 밀어 올림력이 발생하지 않고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 가능한 다리부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다리부에 의하여 상기 나사구멍에서 빠지 상기 끼워붙임나사를 밀어 올렸을 때에, 전선의 선 끝단 또는 단자를 끼워 통하게 하는 간격을 이 끼워 붙임나사의 앞끝단과 상기 단자판과의 사이에 형성 가능하도록 상기 끼워붙임부를 설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에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 또는 선 끝단을 끼워붙임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탄성부재의 다리부가 끼워붙임나사를 밀어 올려, 끼워붙임나사의 앞끝단과 단자판과의 사이에는 큰 삽입용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에 단자를 삽입하고, 탄성부재의 탄력에 대항하여 끼워붙임나사를 안내홈에 안내되도록 하면서 눌러 끼워 단자를 사이에 두고 끼워붙임나사를 단자판의 나사구멍에 나사 맞춤시키어 체결하면, 단자는 끼워붙임나사와 단자판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유지된다.
끼워붙임시에, 탄성부재의 다리부는 끼워붙임나사와 간섭하지 않도록 안내홈 내측의 측벽쪽으로 퇴피한다.
퇴피하고 있을 때 다리부는 끼워 붙임나사를 가로방향으로만 누르는 상태로 되어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부세력은 발생하지 않고, 끼워붙임나사가 느슨해지는 일이 없이 단자는 확실하게 끼워붙임된다.
끼워붙임한 상태에서, 끼워붙임나사를 풀면, 끼워붙임나사는 상승하여 끼워붙임나사가 단자판의 나사구멍에서 빠지는 위치로 되기 전에 탄성부재의 다리부가 안내홈내로 돌출하여 이 다리부가 끼워붙임나사를 상승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끼워붙임나사는 나사구멍에서 빼내어 지면 탄성부재의 다리부의 부세력에 의하여 상승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구속되어, 끼워붙임나사의 앞끝단과 단자관판의 사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간격이 형성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단자대(10)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같은 구조의 단자대유니트(20a),(20b)····를 조합용레일(11)위에 나란히 형성하고, 양 끝단을 누름브라켓트(12),(12)로 눌러서 끼워유지하여 조합시킨 것이다.
또한,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11)위에 배열된 단자대유니트(20a),(20b)‥ ‥의 전체에 걸쳐서 윗쪽 중앙에 명판(名板)(80)을 장착할 수가 있다.
단자대유니트(20a),(20b)···,는 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그 쿵의 1개를 설명하고, 다른 것은 같은 부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도는 단자대유니트(20a)의 횡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단자대 본체(30)는, 간막이벽(31)과, 이것을 지지하는 기초부(32)로서 이루어진다. 간막이벽(3l)은 기초부(32)와는 별개로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기초부(32)의 아래쪽부는 조합용레일(11)에 끼워맞춤하는 형상을 하고 있고, 기초부(32)의 중심부에는 단자판(40)이 녹여 붙혀져 고정되며, 단자판(40)의 양쪽 끝단부에는 나사구멍(41),(41)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41),(41)을 대항하여 위쪽에 끼워붙임나사(50),(50)가 배설되고, 끼워붙임나사(50),(50)를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60),(60)이 기초부(30)위쪽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0),(60)의 사이에는 끼워붙임나사(50)를 탄성적으로 걸어멈춤이 가능한 탄성부재(70)가 배설되어 있다.
단자판(40)과, 끼워붙임나사(50)와, 안내홈(60)과, 탄성부재(70)가 끼워붙임부를 구성하고 있다.
꺼워붙임나사(50)의 목부분에는 피안내부재(51)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피안내부재(51)는 거의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안내부재(51)는 시이트부(51c)와 시이트부(51c)의 양쪽에서 위쪽으로 각각 연장된 양쪽의 측면부(51a),(51b)는 형성되어 있다.
양쪽의 측면부(51a),(51b)는 각각 간격이 위쪽으로 넓어 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0)은 단자대본체(30)의 중심쪽의 측벽(61a)과 단자대본체(30)의 바깥쪽의 측벽(61b)를 가지고 있다. 측벽(61a),(61b)은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양쪽의 측면부(51a),(51b)의 앞끝단 및 시이트부(51c)의 양끝단에 접촉 또는 약간의 간격을 갖게끔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0)의 측벽(61a)에는 소정위치에 출입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0)은 위쪽 위치에 개구부(63)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63)는 끼워붙임나사(50)가 위쪽으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피안내부재(51)의 양쪽의 측면부(51a),(51b)의 앞끝단부가 그 둘레 테두리부에 맞닿음이 가능한 개구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60),(60)의 중심쪽의 측벽(61a),(61a)의 사이에는 탄성부재(70)가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70)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70)는, 연결부(72)에서 나누어진 2개의 다리부(71)의 사이에 압축스프링(73)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 및 연결부(72)에는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 및 연결부(72)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는, 아래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71)의 앞끝단부의 사이에는 압축스프링(73)이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는, 압축스프링(73)에 의하여 측벽(61a)의 출입구멍(62)에서 안내홈(60)의 안쪽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힘을 가하게 되이 있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앞끝단부에는 밀어올리는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밀어올리는부(71a)는 끼워붙임나사(50)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제 6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부(71a)에 의하여 밀어올려지는부위는,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의 시이트부(51c)에서 양쪽의 측면부(51a),(51b)로 세워 올린 각이진 부(51d)이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부(71a)는 압축스프링(73)의 가하는 힘으로, 나사구멍(41)에서 빠지기 직전에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각이진 부(51d)를 위쪽으로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붙임나사(50)가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으로 체결되었을 때,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부(71a)의 근처는 안쪽의 측벽(61a)쪽에서 밀어올리는 힘이 발생하지 않고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가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기초부에는 탄성걸림부(71b)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71)의 탄성걸림부(71b)는 끼워붙임나사(50)를 위쪽위치로 걸어멈춤하기 위한 것이다.
다리부(71)의 탄성걸림부(71b)는 압축스프링(73)의 가하는 힘으로, 안내홈(60)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끼워붙임나사(50)의 각이진 부(51d)를 걸어 멈춤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쪽위치에 걸어멈춤된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와 단자판(40)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70)의 연결부(72)는 측벽(61a),(61b)을 따라서 연장한 다리부(71),(7l)의 위쪽끝단부를 연결한다. 연결부(72)의 위쪽은 기초부(32)의 위쪽 중앙의 끼워맞춤홈(33)에 끼워져 넣어지게 되어 있다.
제 6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70)의 연결부(72)의 아래쪽에는 위치 결정돌기(72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72)의 위치결정돌기(72a)는 측벽(61a)의 출입구멍(62)의 위테두리(62)에 닿아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72)의 위치결정돌기(72a)는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가 벌려지는 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초부(32)의 양쪽 아래에는 일정 깊이의 홈(34),(34)이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32)의 일정깊이의 홈(34)은, 끼워붙임상태로 있는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에 간섭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10)에 접속하는 전선(A)의 끝단으로는, 제 4 도의 (a)에 나타낸 선 끝단(Al),(b)에 나타낸 둥근형상의 단자(A2),(c)에 나타낸 포오크형상의 단자(A3)등이 마련되어 있다.
간막이벽(31)의 양쪽에는 절결부(31a),(31a)가 각각 형성되고,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커버(35)를 끼워붙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선(A)을 접속하기 전에, 제 1 도의 오른쪽 절반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붙임나사(50)는, 피안내부재(51)를 개재하여 탄성부재(70)의 탄성걸림부(71b)에 아래쪽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걸어멈춤되어 있다.
또한 끼워붙임나사(50)는, 안내홈(60)의 개구부(63)에 의하여 위쪽으로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끼워붙임나사(50)는, 안내홈(60)의 측벽(61a),(6lb)에 의하여 피안내부재(51)를 개재하여 이동하는 일이 없고, 제 1 도에서 위쪽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의 앞끝단과 단자판(40)과의 사이에는 큰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간격의 안쪽으로 전선(A)의 선 끝단(Al), 둥근형상의 단자(A2), 포오크형상의 단자(A3)등이 삽입된다. 둥근형상의 단자(A2)는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가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에서 빠지지않는 한 장착할 수 가 없기 때문에, 간격이 있는 것에 특별한 의미가 있다.
둥근형상의 단자(A2)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둥근형상의 단자(A2)를 그의 중심구멍이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끼워붙임나사(50)의 머리부(52)에 공구를 사용하여, 탄성부재(70)의 압축스프링(73)의 가하는 힘에 대항하여, 다리부(71)의 탄성걸림부(71b)를 밀어 넣는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는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각이진 부(51d)에 밀려서 안내홈(60)의 측벽(6la)으로 들어간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 부(71a)는 피안내부재(51)의 각이진 부(5ld)를 누른다.
압축스프링(73)의 가하는 힘은, 피안내부재(51)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피안내부재(51)의 측면부(51a)의 반대쪽 측면부(51b) 및 시이트부(51c)의 끝단부를 안내홈(60)의 측벽(6lb)으로 눌러 접촉하도록 한다.
피안내부재(51)는 그 양쪽의 측면부(51a),(51b)를 안내홈(60)으로 유지하여 안내된다. 그에 따라 끼워붙임나사(50)는 나사부(53)의 앞끝단의 혼들리는 일이 없이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압축스프링(73)의 가하는 힘에 대항하여, 끼워붙임나사(50)를 밀어 넣는다. 끼워 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의 앞끝단은 단자(A2)의 중심구멍에 끼워져 통하여,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에 닿아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도,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 부(71a)는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를 누르고 있으므로, 끼워붙임나사(50)는 흔들리는 일이 없이 안정된다. 끼워붙임나사(50)를 공구로서 회전시켜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가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에 완전히 나사맞춤한다. 더욱 끼워붙임나사(50)를 회전시키면, 둥근형상의단자(A2)는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시이트부(51c)와 단자판(40)과의 사이에 끼워붙임된다.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는, 제 6 도의 왼쪽절반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양쪽의 측면부(51a)를 수평방향으로 누르고 있다.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 양쪽의 측면부(51a)를 위쪽으로 누르지 않는다. 즉 끼워붙임나사(50)는 풀어지는 일이 없다.
선 끝단(Al), 포오크형상의 단자(A3)인 경우는, 반드시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와 단자판(40)과의 사이에 큰 간격을 형성할 필요는 없으나, 크게 개구시키는 것에 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
전선(A)의 끝단을 떼어낼 경우에는, 체결하고 있던 끼워붙임나사(50)을 푼다. 끼워붙임나사(50)를 풀면,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는 안내홈(60)에 안내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고, 피안내부재(51)의 한쪽측면부(51a)는,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에 눌려진다. 피안내부재(51)의 다른쪽 측면부(51b)는 안내홈(60)의 측벽(61b)에 눌려 접촉하면서 이동한다. 더욱 끼워붙임나사(50)를 풀면 끼워붙임나사(50)는 위쪽으로 이동하고,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축면부(51a)는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에 눌려지면서 이동한다.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측면부(51b)는 안내홈(60)의 측벽(61b)에 접촉하여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끼워붙임나사(50)는 흔들리는 일이 없이 이동한다.
더욱 끼워붙임나사(50)를 풀면,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각이진 부(51d)는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 부(71a)에 눌려서, 제 6 도의 오른쪽 절반으로 나타낸 상태로 된다. 더욱더 끼워붙임나사(50)를 풀면,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의 앞끝단은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에서 빠지며,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밀어올리는 부(71a)는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1)의 각이진 부(51d)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끼워붙임나사(50)는 상승한다.
끼워붙임나사(50)의 피안내부재(5l)의 각이진부(51d)는,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탄성걸림부(71b)에 의하여 위쪽 위치에서 걸어멈춤된다.
단자판(40)과 끼워붙임나사(50)의 나사부(53)의 앞끝단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둥근형상의 단자를 빼낼 수가 있다.
즉, 끼워붙임나사(50)는, 그 나사부(53)의 앞끝단의 단자판(40)의 나사구멍(41)에서 빠지면, 제 1 도의 오른쪽 절반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위치가 결정된다.
제1실시예에 관한 단자대(10)에 의하면, 탄성부재(70)의 압축스프링(73)이 교환가능하기 때문에, 탄성부재(70)의 가하는 힘을 적절한 겻것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70)를 다리부(7l)와 압축스프링(73)으로 별개로 한 것이므로, 다리부(71)를 탄성력이 작고 유연성이 있는 것으로 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제 7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관한 단자대(10a)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대(10a)의 구성과 상기 제1실시예에 관한 단자대(10)의 구성과의 다른점은 탄성부재(70)의 압축스프링(73)에 있다. 즉 단자대(10a)의 탄성부재(70a)의 압축스프링(73a)은, 안내홈(60)의 측벽(61a),(61a)사이에 장착되어 있고, 탄성부재(70a)의 압축스프링(73a)은,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축스프링(73a)의 끝단부는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의 앞끝단부를 바깥쪽으로 밀어 내기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관한 단자대(10a)에 의하면, 탄성부재(70a)의 압축스프링(73a)을 한층 더 간단하게 안내홈(60)에 장착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는, 유니트구조의 단자대로서 구현한 것을 나타낸 것이지만, 요컨대 전선 끝단의 끼워붙임부를 가지는 것에 적용할 수 가 있으며, 일체로된 구조의 단자대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은 더 말할나위 없다.
또한, 끼워붙임나사(50)에 피안내부재(51)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지만, 피안내부재(51)를 형성하지 않고, 직접 끼워붙임나사(50)가 안내홈(60)으로 안내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부재(70)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다리부(71)에 탄성력을 갖게 하여서, 일체의 구조로 하여도 좋은 것은 더 말할나위 없다.
또, 탄성부재(70)을 합성수지의 절연재료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 끼워붙임나사(50)는 도전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절연되고, 절연하는 방법이 좋지않은 사용조건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밀어올리는 부와 탄성걸림부와는 별개의 부위로 하여도 좋고, 실질적으로 같은 부위로 하여도 좋다.
본 고안에 관한 단자대에 의하면, 전선의 선 끝단이 삽입가능한 간격을 가지는 끼워붙임부를 간단한 구조로하고, 단자대를 값싸고 또한 소형 경량화하여 제공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전선의 선 끝단등을 끼워붙임부에 있어서 확실하게 끼워붙일 수 있는 동시에 전선의 선 끝단등을 신속하게 끼워붙임부에서 빼낼 수가 있다.

Claims (1)

  1. 전선의 선 끝단 또는 단자의 끼워붙임부를 가지는 단자대에 있어서, 단자판(40)을 단자대본체(30)의 중간부보다 아래쪽에 고정하고, 이 단자판(40)에 나사구멍(41)을 형성하고, 이 나사구멍(41)을 대향하여 위쪽으로 상기 나사구멍(41)에 나사맞춤하는 끼워붙임나사(50)를 배설하고, 이 끼워붙임나사(50)를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동시에 위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안내홈(60)을 단자대본체(30)에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60)의 안쪽 측벽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판(40)보다 위의 단자대본체(30)의 상부에 탄성부재(70)를 배설하고, 이 탄성부재(70)에, 상기 안내홈(60)의 안쪽측벽에서 안내홈(60)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돌출하여, 상기 나사구멍(4l)에서 빠지기 직전의 상기 끼워 붙임나사(50)를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끼워붙임나사(50)를 상기 단자판(40)에 체결 할때 밀어 올림력이 발생하지 않고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퇴피 가능한 다리부(71)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재(70)의 다리부(71)에 의하여 상기 나사구멍(41)에서 빠진 상기 끼워붙임나사(50)를 밀어 올렸을 때에, 전선의 선 끝단 또는 단자를 끼워 통하게 하는 간격을 끼워 붙임나사(50)의 앞 끝단과 상기 단자판(40)과의 사이에 형성 가능하도록 상기 끼워붙임부를 설정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2019950030337U 1986-12-27 1995-10-26 단자대 KR960001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0337U KR960001563Y1 (ko) 1986-12-27 1995-10-26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201565U JPH037032Y2 (ko) 1986-12-27 1986-12-27
JP86-201565 1986-12-27
KR870014387A KR880008474A (ko) 1986-12-27 1987-12-17 단자대
KR2019950030337U KR960001563Y1 (ko) 1986-12-27 1995-10-26 단자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14387A Division KR880008474A (ko) 1986-12-27 1987-12-17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563Y1 true KR960001563Y1 (ko) 1996-02-21

Family

ID=2732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0337U KR960001563Y1 (ko) 1986-12-27 1995-10-26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5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4381A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KR960001563Y1 (ko) 단자대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US4542953A (en) Wire connection terminal stage for electric apparatus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5934948A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equipment
JPH037032Y2 (ko)
KR920000309Y1 (ko) 스위치 장치
KR200489755Y1 (ko) 터미날 블록을 위한 스토퍼
KR200154834Y1 (ko) 회로기판 및 케이스의 고정받침장치
KR930005054Y1 (ko) Tv의 파워스위치 노브 고정장치
JPH0338905Y2 (ko)
JPH10178698A (ja) スピーカーの入力端子の接続構造
KR200339707Y1 (ko) 텔레비젼의메인인쇄회로기판고정장치
KR890005146Y1 (ko) 스위치
KR970000834Y1 (ko) 퓨우즈 홀더
KR200209709Y1 (ko) 휴즈홀더 고정대
KR900010681Y1 (ko) 접지판에 텐숀부가 일체화된 버턴 장치
JPH09199191A (ja) 端子台
KR200157539Y1 (ko) 텔레비젼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KR100344882B1 (ko) 전기기기의단자장치
KR900003451Y1 (ko) 카세트 테이프 데크도어의 테이프 지지 스프링장치
KR900009582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다이오드홀더에 형성된 브리더저항 취부구조
KR960008936Y1 (ko) 텔레비젼의 샤시프레임-단자판 체결구조
JPS63181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