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547B1 -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 Google Patents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547B1
KR960001547B1 KR1019880016033A KR880016033A KR960001547B1 KR 960001547 B1 KR960001547 B1 KR 960001547B1 KR 1019880016033 A KR1019880016033 A KR 1019880016033A KR 880016033 A KR880016033 A KR 880016033A KR 960001547 B1 KR960001547 B1 KR 96000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carrier
audio
output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861A (ko
Inventor
한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547B1/ko
Publication of KR90000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1/00Demodulation of amplitude-modulated oscillations
    • H03D1/22Homodyne or synchrodyne circuits
    • H03D1/2209Decoders for simultaneous demodulation and decoding of signals composed of a sum-signal and a suppressed carrier, amplitude modulated by a difference signal, e.g. stereocod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1Details of arrangement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frequency demodulat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제1도는 종래의 스테레오 FM 변조방식의 오디오 검파회로.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4 : 앰프 10 : 비데오 검출부
S1―S3 : SAW 필터 20 : 제2고조파 발생부
B1―B4 : 대역필터 30 : AM 검파부
M1, M2 : 믹서 40 : 스위칭부
O1, O2 : 국부발진기 D1 : AM 검출부
X0 : 매트릭스 회로 10 : 파이로트 신호 판별부
본 발명은 멀티 시스템 칼라 텔레비젼에 있어서, 스테레오를 포함하는 FM 변조방식의 오디오 자동 검파 및 AM 변조방식의 오디오 검파를 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테레오 FM 방식의 오디오 검파회로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튜너에서 수신된 중간 주파수(IF)에 2개의 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가진 음성신호가 앰프(A1)를 통하여 증폭되면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S2)에서 서브 캐리어(SC1), (SC2)를 가진 신호인가를 판별하여 음성중간 주파수 검출부(5)에서 각각의 서브 캐리어(SC1), (SC2)를 검파하고, 그중 서브 캐리어(SC1)는 대역필터(B4)를 통하여 FM 검출부(D3)에서 FM 신호를 검파한 후 매트릭스 회로(X0)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서브 캐리어(SC2)는 대역필터(B1)를 통한 후 일측은 FM 검출부(D2)에서 FM신호를 검파하여 매트릭스 회로(X0)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는 한편 타측은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에 인가되어 파일로트 신호를 검출하여 모노, 스테레오, 듀얼(DUAL)을 판별한 후 매트릭스 회로(X0)의 절환동작을 제어해 줌으로써 자동적으로 적절한 오디오 신호가 출력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방식은 특정의 서브 캐리어를 갖는 FM 변조방식의 오디오 신호만을 검파하게 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갖는 PAL 방식에서는 각 방식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즉 방송방식에 따른 한가지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가진 FM 신호만을 FM 검파하게 되어 있으므로 PAL 방식과 같이 다양한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갖는 방송 방식에서는 타방식의 오디오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예를들면 PAL―B/G 스테레오 방식에서는 5.5MHz를 주방송, 5.74MHz를 방송으로 하고, PAL―D/K 방식에서는 6.5MHz의 서브 캐리어를 갖고 있으며, PAL―I 방식에서는 6.0MHz를 서브 캐리어로 갖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SECAM―L 방송방식에서의 오디오 신호는 독특한 AM 변조방식을 갖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방송방식(PAL―B/G, PAL―D/K, PAL―I, SECAM―L)에 따라 각기 다른 변조방식(PAL→FM, SECAM-L→AM)과 상기와 같이 각기 다른 서브 캐리어를 갖고 있으므로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스테레오FM 변조방식의 오디오 신호 검파회로에 의해서는 한가지 방식의 스테레오 방송이외의 타방송 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수신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멀티시스템 칼라 텔레비젼에서 방송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변조방식 및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시키도록 한 것으로써 방송방식에 관계없이 적절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브 캐리어 주파수가 다른 방송 방식에서는 제2고조파를 발생시켜 스테레오 FM 변조방식의 서브 캐리어로 검출시킴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검파되게 하고 AM 변조방식의 방송 방식에서는 AM 검파부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가 검파된 후 파일로트 신호에 따라 방송오디오 신호 상태가 절환되거나 변조방식에 따라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어 적절한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써 먼저 중간 주파수(IF)를 통해 파일로트 신호를 포함한 스테레오 FM 방송(주방송 5.5MHz, 부방송 5.74MHz)이 수신되어 앰프(A1)에 입력될 경우 SAW필터(S2)에서 주파수분할 방식으로 영상 중간주파수를 검출한 후 앰프(A3)에서 증폭시켜 5.5MHz의 주방송은 대역필터(B4)를 거쳐 FM 검출부(D3)에서 검출되는 FM 음성신호 를 매트릭스 회로(X0)에 인가되도록 연결구성하고, 피이로트 신호를 포함한 5.74MHz의 부방송은 대역필터(B1)를 거치면서 5.74MHz의 부방송을 FM 검출부(D2)에서 FM 음성신호를 검출하도록 하여 매트릭스회로(X0)에 인가시키는 한편 파일로트 신호는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를 거쳐 모노, 스테레오, 듀얼 상태를 판별한 후 판별된 상태 신호가 매트릭스 회로(X0)를 구동시켜 매트릭스 회로(X0)에서 오디오 신호가 선택되어 출력되게 구성한다.
또한 중간주파수(IF)를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를 가진 음성신호가 수신되어 앰프(A1)에 입력될 경우 SAW 필터(S1)를 거쳐 앰프(A2)을 통하면서 비데오 검출부(10)에서 비데오 신호를 검출하여 비데오 영상신호를 출력되게 하고 대역필터(B2)에는 비데오 신호 검파시 출력되는 음성신호만을 인가시켜 제2고조파 발생부(20)로 출력되도록 하여 국부 발진기(O1), (O2), 믹서(M1), (M2), 대역필터(B3)로 구성된 제2고조파 발진부(20)를 통해 변조된 서브 캐리어(즉 스테레오 FM 방송시의 5.5MHz 주방송과 동일한 서브 캐리어)가 대역필터(B4)를 지나면서 FM 검출부(D3)에서 FM 음성신호를 검출한 후 매트릭스 회로 (X0)에 인가시켜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도록 연결 구성한다.
그리고 중간 주파수(IF)를 통해 SECAM-L방식과 같은 독특한 AM 변조방식의 오디오 신호가 앰프(A1)에 입력될 경우 SAW 필터(S3), 앰프(A4), AM 검출부(D1)로 구성된 AM 검파부(30)를 통하여 시스템 절환 전압에 의한 스위칭부(40)의 스위치 절환상태에 따라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도록 연결구성한 것이다.
이때 PAL 방송방식(FM 변조방식)에서는 시스템 절환 전압으로 스위칭되어지는 스위칭부(40)에서 매트릭스 회로(X0)가 선택되게 하고 SECAM-L 방송방식(AM 변조방식)에서는 AM 검파부(30)쪽으로 절환되게 구성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파일로트 신호를 포함안 스테레오 FM 변조방식의 오디오 신호 출력회로에서 주파수가 상이한 서브 캐리어를 가진 FM 변조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제2고조파 발생부(20)를 통하여 한가지 방송방식의 서브 캐리어 주파수로 변환시킴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하고 AM 변조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AM 검파부(30)를 통하여 출력되게 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일로트 신호를 포함한 스테레오 FM 방송(주방송 5.5MHz, 부방송 5.75MHz)수신시 앰프(A1)를 거쳐 SAW 필터(S2)에서 주파수 분할방식으로 음성중간 주파수를 검출한 후 앰프(A3)에서 증폭시키고 앰프(A3)에서 증폭된 음성중간 주파수 신호는 주, 부방송 대역 선택용 대역필터(B1), (B4)를 통하여 파일로트 신호가 포함된 부방송(5.75MHz)와 주방송(5.5MHz)이 검출되어진다.
대역필터(B4)를 통하여 검출된 주방송 신호는 FM 검출부(D3)를 통하여 FM 검출된 후 매트릭스 회로 (X0)에 오디오 신호를 인가시키며 대역필터(B1)를 통하여 검출된 부방송 신호는 FM 검출부(D2)에서 FM 검출된 후 매트릭스 회로(X0)에 오디오 신호를 인가시키는 한편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에 인가되어 파일로트 신호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에서는 모노, 스테레오, 듀얼(DUAL) 상태를 판별한 후 매트릭스 회로 (X0)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매트릭스 회로(X0)에서 모노, 스테레오, 듀얼상태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즉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의 판별신호에 따라 FM 검출부(D2), (D3)의 FM 검출 오디오 신호가 매트릭스 회로(X0)를 선택되어 출력되는 것이다.
이때 FM 변조방식에서는 시스템 절환 전압을 스위칭부(40)에 인가시켜 스위칭부(40)에서 매트릭스 회로(X0)를 선택하게 하되 이때의 시스템 절환 전압은 방송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르게 인가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이 파일로트 신호를 포함한 스테레오 FM 변조방식 방송 수신시에는 5.5MHz의 주방송과 5.75MHz의 부방송을 대역필터 (B4), (B1)에서 선택한 후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의 출력으로 제어되는 매트릭스(X0)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는 다른 서브 캐리어 갖게되는 FM 변조방식의 음성신호가 인가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서브 캐리어가 6.0MHz 또는 6.5MHz의 음성중간 주파수인 경우에는 SWA필터(S1)에 인가되어 각각의 주파수가 검출된 후 앰프(A2)에서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는 비데오 검출부(I0)에 인가되어 비데오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며 이같은 영상합성파 신호가 출력될때 검출되는 음성신호를 대역필터(B2)에 인가시킨다.
이같이 대역필터(B2)에서 출력되는 음성중간 주파수 신호(6.0MHz 또는 6.5MHz)는 믹서(M1)에 인가되어 국부 발진기(O1)에서 발진된 0.5MHz의 주파수와 믹서됨으로써 믹서(M1)의 출력측으로는 각기0.5MHz의 차이를 갖고 스펙트럼 신호가 발생되어진다.
즉 대역필터(B2)를 통과한 6.0MHz의 음성중간 주파수 신호는 믹서(M1)에서 0.5MHz의 국부 발진기(O1) 출력과 믹서시킴으로써 5.5MHz, 6.0MHz, 6.5MHz의 스펙트럼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대역필터(B2)를 통과한 6.5MHz의 중간주파수 신호는 믹서(M1)에서 0.5MHz의 국부 발진기(O1) 출력과 믹서시킴으로써 6.0MHz, 6.5MHz, 7.0MHz의 스펙트럼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믹서(M1)의 출력측으로는 상기와 같은 스펙트럼 신호가 출력되게 되므로 대역필터(B3)에서는 상기 스펙트럼 신호의 공통 주파수(6.0MHz)를 출력시키게 하면 대역필터(B3)의 출력측으로는 6.0MHz의 서브 캐리어 신호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즉 6.0MHz 및 6.5MHz의 서브 캐리어가 인가될때 믹서(M1)를 통하여는 두신호의 스펙트럼 신호중 일치되는 주파수인 6.0MHz의 서브 캐리어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같이 대역필터(B3)에서 출력되는 6.0MHz의 서브 캐리어는 믹서(M2)에 인가시켜 국부 발진기(O2)의 0.5MHz 주파수와 믹싱시킴으로써 믹서(M2)의 출력측으로는 5.5MHz, 6.0MHz, 6.5MHz의 스펙트럼 신호가 출력되어진다.
즉 믹서(M2)에서도 상기 믹서(M1)의 동작과 같이 국부 발진기(O2)의 0.5MHz의 발진 주파수에 의하여 6.0MHz의 서브 캐리어를 받아 5.5MHz, 6.0MHz, 6.5MHz의 스펙트럼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같이 출력되는 서브 캐리어 신호는 대역필터(B4)를 통하여 5.5MHz의 주방송 서브 캐리어 신호만 선택되어진다.
즉 스테레오 FM 방송 수신시 대역필터(B4)에서 5.5MHz의 주방송을 선택하게 되므로 서브 캐리어가 상이한 FM 변조방식에서도 믹서(M2)의 출력측으로부터 출력되는 5.5MHz의 방송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스테레오 FM 변조방식에서도 믹서(M2)의 출력측으로부터 출력되는 5.5MHz의 방송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스테레오 FM 방송시와 같이 5.5MHz의 방송신호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역필터(B4)의 방송신호 출력은 FM 검출부(D3)에서 FM 검출되어 매트릭스 회로 (X0)로 오디오 신호를 인가시키게 된다.
이때 SAW필터(S2)와 앰프(A3)에서는 노이즈만이 남게되므로 파일로트 신호 판별부(I0)에서는 이를 모노신호로 인식하여 매트릭스 회로(X0)를 모노쪽으로 절환시킴으로써 FM 검출부(D3)의 오디오 신호를 모노 상태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FM 변조방식(PAL)의 동작시에는 방송방식에 따라 다르게 인가되는 시스템 절환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부(40)를 매트릭스 회로(X0)와 연결시킴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게 한다.
한편 SECAM-L 방송방식을 선택하여 AM 변조방식의 음성신호가 앰프(A1)를 통하여 입력되게 되면 SAW 필터(S3)에서 이를 검출하고 앰프(A4)에서 증폭시킨 후 AM 검출부(D1)에 인가시킴으로써 AM 신호를 검출하여 스위칭부(40)를 통하여 출력되게 한다.
이때 스위칭부(40)은 AM 변조방식(SECAM-L)에서 시스템 절환 전압으로 AM 검출부(D1)를 선택하여 AM 방송신호가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어진다.
즉 AM 변조방식의 음성신호가 인가되면 이는 SAW 필터 (S3)에서 이를 검출되게 되고 검출된 신호는 앰프(A4)에서 증폭된 후 AM 검출부(D1)를 통하여 AM 신호를 검파시켜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 시스템 방식의 칼라 텔레비젼에서 방송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르게 인가되는 음성신호 변조방식 및 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로 출력되게 한 것으로써 방송의 상이함에 관계없이 적절한 오디오 신호를 자동으로 출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스테레오 FM 방식의 서브 캐리어를 주파수 변환시킨 후 파일로트 신호 선택에 의한 오디오 신호로 출력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서브 캐리어 신호 입력시 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일정 주파수와 믹서시켜 제2고조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제2고조파 성분중 원하는 서브 캐리어 신호만 출력되게하는 주파수 변환수단과, AM 변조신호 입력시 이를 검출하고 증폭시켜 오디오 신호를 검파하는 AM 검파부(30)와, 상기 주파수 변환수단과 AM 검파부(30)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시스템 절환 전압에 의하여 선택하는 스위칭부(40)로 구성된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수단은 서로 다른 서브 캐리어 신호를 대역필터(B2)로 검출하고 믹서(M1), (M2)에서 국부 발진기(O1), (O2)의 발진주파수와 믹서시켜 제2고조파를 발생시킨 후 대역필터(B3),(B4)를 통하여 스테레오 FM 방식의 서브 캐리어와 같은 주파수의 서브 캐리어만 출력시키도록 구성한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AM 검파부(30)는 AM 변조신호를 SAW 필터(S3)로 검출하고 앰프(A4)로 증폭시킨 후 AM 검출부(D1)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되게 구성한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KR1019880016033A 1988-11-30 1988-11-30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KR96000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033A KR960001547B1 (ko) 1988-11-30 1988-11-30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6033A KR960001547B1 (ko) 1988-11-30 1988-11-30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61A KR900008861A (ko) 1990-06-04
KR960001547B1 true KR960001547B1 (ko) 1996-02-01

Family

ID=1927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033A KR960001547B1 (ko) 1988-11-30 1988-11-30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5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861A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68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processing
KR960001547B1 (ko)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EP0437965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television signals
KR920004944Y1 (ko) A2/NiCam공용의 음성 다중 복조회로
KR950004165Y1 (ko) 멀티 시스템의 사운드 처리회로
JPH0628417B2 (ja) 多方式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200156560Y1 (ko)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JPH1056601A (ja) 音声多重信号処理装置
KR0119488Y1 (ko) 음성다중 수신장치
KR0118996Y1 (ko) 다방송 방식용 튜너회로
JPS6133747Y2 (ko)
JP4141040B2 (ja) Am/fm受信機
KR200171053Y1 (ko) 오디오 변조주파수 가변설정장치
KR960006757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음성신호 출력장치
GB2122458A (en) Stereophonic television receivers
JPH055702Y2 (ko)
HU207628B (en) Voice signal recognition unit
KR970001892Y1 (ko) 음성중간주파 검출회로
KR970004923Y1 (ko) 컬러텔레비전의 pal방식 음성신호처리회로
KR920000359B1 (ko) D2-mac디코더 전원 온/오프 회로
JP2848645B2 (ja) 音声多重信号切換装置
KR200145943Y1 (ko) Pal 방송방식의 음성복조회로
KR0141122B1 (ko) 영상과 음성신호의 분리복조용 장치
JP3298208B2 (ja) 音声信号検波方法および回路
JP3222748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