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560Y1 -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560Y1
KR200156560Y1 KR2019970013613U KR19970013613U KR200156560Y1 KR 200156560 Y1 KR200156560 Y1 KR 200156560Y1 KR 2019970013613 U KR2019970013613 U KR 2019970013613U KR 19970013613 U KR19970013613 U KR 19970013613U KR 200156560 Y1 KR200156560 Y1 KR 200156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unit
inpu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357U (ko
Inventor
박성갑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3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56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3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3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46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 H04B1/1692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using companding of the stereo difference signal, e.g. FM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 국어 방송 중 임의의 방송을 선택적으로 수신 받게 하여 장치의 용적이 최소화되도록 한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는 2개 국어 방송시 모국어와 외국어가 각각 변조되어 송신되는 정음성 영역과 부음성 영역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가 정음성 수신부와 부음성 수신부로 각각 분리되어 있어, 여타 회로가 부득이 첨가되어야 하였음으로 제품의 코스트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적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부음성 수신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10)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 영역 이동을 위한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입력 동조를 제어하는 입력 동조부(130)와, 입력 동조부(130)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부(1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본 고안은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 국어 방송 중 임의의 방송을 선택적으로 수신 받게 하여 장치의 용적이 최소화되도록 한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성 다중 방송은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에 두 가지의 소리를 동시에 보내는 방송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외화와 같은 프로그램 더빙된 대사와 원어를 동시에 보내는데 주로 사용된다.
즉, 음성 신호를 두 개의 캐리어 영역(A(5.5MHz),B(6.6MHz))으로 분할하여 FM 변조후 송신함으로써 스테레오 방송 및 2개 국어 방송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스테레오 방송시에는 영역(A,B)에 좌,우 오디오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2개 국어 방송시에는 예로소 영역(A)에 정음성을 변조하고, 영역(B)에 부음성을 변조하여 송신함으로써 스테레오 방송 및 2개 국어 방송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성 다중 기능을 갖는 수신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성 다중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부(11)와, 튜너부(11)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2)와, 음성 처리부(12)의 음성 신호를 실제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음성 출력부(13)와, 각부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제어부(14)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신 장치으로 사용자가 음성 다중 처리된 프로그램을 청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고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선정한 후 음성 다중 처리된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음성 처리부(12)는 제어부(14)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튜너부(11)로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정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13)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모국어와 외국어로 음성 다중 처리된 프로그램 시청도중 음성 다중된 다른 소리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모국어가 출력되도록 선택한 상태로 청취하다가 사용자가 외국어로 음성다중된 언어를 선택하면 음성 처리부(12)는 제어부(14)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튜너부(11)로 수신되는 프로그램의 음성신호중 외국어 음성인 부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출력부(13)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는 2개 국어 방송시 모국어와 외국어가 각각 변조되어 송신되는 정음성 영역과 부음성 영역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가 정음성 수신부와 부음성 수신부로 각각 분리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회로를 부가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품의 코스트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적이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는 각종 휴대 수신장치 특히, 휴대용 카세트에 음성 다중 수신 기능을 부여하기 어려운 2차적인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개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단일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 국어 방송 중 임의의 방송을 선택적으로 수신 받도록 하여 장치의 용적과 무게가 최소화되도록 한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부음성 수신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 영역 이동을 위한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입력 동조를 제어하는 입력 동조부와, 상기 입력 동조부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블록 구성도.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신호 분리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40 : 튜너부 12 : 음성 처리부
13 : 음성 출력부 14,120 : 제어부
110 : 사용자 입력부 130 : 입력 동조부
141 : 고주파 증폭기 142 : 혼합기
143 : 국부 발진기 150 : 중간 주파 증폭 및 검파부
151 : 중간 주파 증폭기 152 : 제한 증폭기
153 : FM 검파기 160 : 신호 분리부
161 : 저역 필터 162 : 대역 필터
163 : 보조신호 선택기 164 : 주파수 체배기
165 : 부채널 신호 검파기 166 : 화차 회로
167a,167b : 제 1,제 2 디엠퍼시스 170 : 음성 출력부
171a,171b : 저주파 증폭기 172a,172b : 스피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다중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키를 조작하여 정음성 또는 부음성의 수신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110)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 영역을 이동시켜 정음성 또는 부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와,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 신호를 출력하여 입력 동조를 제어하는 입력 동조부(130)와, 상기 입력 동조부(130)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정음성 또는 부음성 중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고주파 증폭한 후 중간 주파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부(140)와, 상기 튜너부(140)의 중간 주파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이득을 높이고 FM파를 검파하여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중간 주파 증폭 및 검파부(150)와, 상기 중간 주파 증폭 및 검파부(150)로부터 입력되는 저주파 신호에서 좌,우측음을 분리해 내는 신호 분리부(160)와, 상기 신호 분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실제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음성 출력부(170)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튜너부(140)는 고주파 증폭을 함으로써 선택도와 감도 및 신호대잡음(SN)비를 향상시키는 고주파 증폭기(141)와, 수신주파에 수신기 자체내에서 발생시킨 고주파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를 출력하는 혼합기(142)와, 상기 혼합기(142)에서 주파수를 변환할 때 필요로 하는 무변조파(주파수와 진폭이 일정한 고주파)를 발생하는 국부 발진기(143)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중간 주파 증폭 및 검파부(150)는 상기 혼합기(142)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를 증폭하는 중간 주파 증폭기(151)와, 중간 주파 출력의 진폭을 일정하게 하여 진폭잡음을 제거하는 제한 증폭기(152)와, FM파를 검파하여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FM 검파기(153)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신호 분리부(16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이하의 주파수만 통과시켜 주채널 신호인 L+R신호만을 선택하는 저역 필터(161)와, 일정 대역까지의 주파수만 통과시켜 L-R의 차신호로서 진폭변조한 다음 반송파를 제거한 상하측파의 부채널신호(L-R의 DSBSC신호)만을 선택하는 대역 필터(162)와, 중간 증폭된 복합신호에서 보조신호(Pilot신호)를 선택하는 보조신호 선택기(163)와, 선택한 다음 주파수 체배 증폭하거나 발진을 하여 검파시에 필요로 하는 반송파를 만들어내는 주파수 체배기(164)와, AM검파하여 L-R차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채널 신호 검파기(165)와, 화신호(L+R)와 차신호(L-R)를 동위상과 역위상으로 합하여 R과 L을 분리하는 화차 회로(166)와, 분리된 신호를 송신측의 프리엠퍼시스 회로에서 고음역을 강조시킨 만큼 감쇠시켜 정확한 주파수 특성이 발생되게 하는 제 1 및 제 2 디엠퍼시스 회로(167a,167b)로 구성되어져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음성 출력부(170)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저주파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음량을 크게 하는 제 1 및 제 2 저주파 증폭기(171a,171b)와, 증폭된 저주파 신호에 의하여 울려 실제 음향을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스피커(172a,172b)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치의 전원을 온(ON)하고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선정한 후 필요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10)의 키를 조작하여 정음성(모국어) 또는 부음성(외국어)의 수신을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 영역을 이동시켜 정음성 또는 부음성을 수신하기 위하여 에러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20)로부터 에러 신호를 입력받은 입력 동조부(130)는 입력된 에러 신호를 필터링하여 입력 동조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에 상응하는 직류전압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튜너부(140)는 입력 동조부(130)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정음성 또는 부음성 중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고주파 증폭한 후 중간 주파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입력 동조부(130)의 제어를 받아 입력 동조 회로(도면 미도시)의 바리콘값이 변화되어 입력 동조가 제어되므로 수신 영역이 이동되어 정음성 또는 부음성이 선택적으로 수신되게 된다.
그러면, 튜너부(140)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고주파 증폭함으로써 선택도와 감도 및 SN비를 향상시키고, 국부 발진기(143)는 혼합기(142)에서 주파수를 변환할 때 필요로 하는 무변조파(주파수와 진폭이 일정한 고주파)를 발생하게 되며, 혼합기(142)는 수신주파에 국부 발진기(143)에서 발생된 무변조파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 음성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중간 주파 증폭 및 검파부(150)는 튜너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중간 주파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이득을 높이고 FM파를 검파하여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중간 주파 증폭기(151)가 상기 혼합기(142)에서 출력되는 중간 주파 음성 신호를 증폭하게 되고, 제한 증폭기(152)는 증폭된 중간 주파 음성 신호의 진폭을 일정하게 하여 진폭잡음을 제거하게 되며, FM 검파기(153)는 진폭잡음이 제거된 FM파를 검파하여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신호 분리부(160)는 상기 FM 검파기(153)로부터 입력되는 저주파 신호에서 좌우측(L,R)음을 분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역 필터(161)에서는 일정 이하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므로 주채널 신호인 L+R신호만이 선택되어 회차 회로(166)에 공급되고, 대역 필터(162)에서는 일정 대역까지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므로 L-R의 차신호로서 진폭변조한 다음 반송파를 제거해버린 상하측파의 부채널신호(L-R의 DSBSC신호)만이 부채널 신호 검파기(165)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보조신호 선택기(163)가 중간 증폭된 복합신호에서 보조신호(Pilot신호)를 선택한 다음 주파수 체배기(164)가 주파수 체배 증폭하거나 발진을 하여 부채널 신호 검파기(165)에서 검파시에 필요로 하는 반송파를 만들어 공급하면 부채널 신호 검파기(165)에서 AM검파하여 L-R차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화차 회로(166)에서 화신호(L+R)와 차신호(L-R)를 동위상과 역위상으로 합하여 R과 L을 분리하면 제 1 및 제 2 디엠퍼시스 회로(167a,167b)에서는 분리된 신호를 송신측의 프리엠퍼시스 회로에서 고음역을 강조시킨 만큼 감쇠시켜 올바른 주파수 특성이 발생되게 한다.
다음으로, 음성 출력부(170)내의 제 1 및 제 2 저주파 증폭기(171a,171b)는 입력되는 미약한 저주파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음량을 크게 하게 되고, 증폭된 저주파 신호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스피커(172a,172b)가 울려 실제 음향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모국어와 외국어로 음성 다중 처리된 프로그램 시청도중 필요에 따라 키를 조작하여 모국어(정음성) 또는 외국어(부음성)의 수신을 선택하면, 수신 장치의 수신 영역이 이동되어 정음성 신호와 부음성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성 신호가 선택적으로 수신되어 실제 음향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일의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2개 국어 방송 중 임의의 방송을 선택적으로 수신 받게 함으로써, 제품의 코스트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용적이 감소되어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는 각종 휴대 수신장치 특히, 휴대용 카세트에 음성 다중 수신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부음성 수신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수신 영역 이동을 위한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에러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입력 동조를 제어하는 입력 동조부와,
    상기 입력 동조부의 제어를 받아 안테나를 통해 사용자가 의도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KR2019970013613U 1997-06-09 1997-06-09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KR200156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613U KR200156560Y1 (ko) 1997-06-09 1997-06-09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613U KR200156560Y1 (ko) 1997-06-09 1997-06-09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357U KR19990000357U (ko) 1999-01-15
KR200156560Y1 true KR200156560Y1 (ko) 1999-09-01

Family

ID=1950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613U KR200156560Y1 (ko) 1997-06-09 1997-06-09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5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357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6560Y1 (ko) 음성 다중 방송 수신 장치
NL192284C (nl) Televisieontvanger van het voor demodulatie van een stereo-omroepsignaal geschikt type.
KR850000841B1 (ko) Am 스테레오 수신기
KR100242343B1 (ko) 음성 다중 수신기기의 음량 조절회로
KR930011600B1 (ko) 영상기기에서 무신호 입력시 전원 오프방법
KR960000143B1 (ko) 라디오신호수신기능을 구비한 위성방송수신장치
JP3298208B2 (ja) 音声信号検波方法および回路
KR20000013598U (ko) 스테레오/모노 모드에 따른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정장치
RU211232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вукового сопровождения телевизионных программ
KR19980018127U (ko) 오디오 무선 스피커 장치
KR960001547B1 (ko) 멀티 시스템의 오디오 검파회로
KR960006757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음성신호 출력장치
KR0119488Y1 (ko) 음성다중 수신장치
KR0137526B1 (ko) 텔레비전의 수직화면폭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verticality screen width of television)
JPS62629B2 (ko)
KR100222666B1 (ko) 음성다중 tv의 음성다중 인식 오동작 방지회로
KR910003729B1 (ko) 유선 tv 컨버터에서 음성스테레오와 볼륨제어시스템
KR890001536Y1 (ko) 음성다중 tv방송신호 파일롯트 신호 검출장치
KR20000011165U (ko) 모노 음성신호를 스테레오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외장형 회로 박스
JPH06104784A (ja) 受信装置
KR19980023723U (ko) 텔레비전의 음성방식에 따른 음성다중절환장치
KR19980041420A (ko) 음성다중 텔레비전 수상기의 듀얼모드시 음량 제어방법
JPS5989029A (ja) 自動選局機能付受信機
JPS59229941A (ja) Fmステレオ復調装置
JPH05207400A (ja) 車載用テレビジョン受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