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87Y1 -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87Y1
KR960001387Y1 KR2019940005944U KR19940005944U KR960001387Y1 KR 960001387 Y1 KR960001387 Y1 KR 960001387Y1 KR 2019940005944 U KR2019940005944 U KR 2019940005944U KR 19940005944 U KR19940005944 U KR 19940005944U KR 960001387 Y1 KR960001387 Y1 KR 960001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attached
backres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156U (ko
Inventor
전주희
Original Assignee
전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문영 filed Critical 전문영
Priority to KR2019940005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387Y1/ko
Publication of KR950027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실시된 운전좌석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장치의 전체 분리 사시도.
제 3a 도는 제 2 도의 A-A' 선 요부 확대 단면도.
제 3b 도는 제 2 도의 B-B' 선 요부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제 3b 도의 C-C' 선 요부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작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멍
1 : 운전좌석 6 : 가이드레일
7 : 축마감부재 10 : 일자형부동번호대
11 : 좌석위치번호 20 : 이동번호대
21 : 등받이위치 번호 23 : 좌석번호식별공
25 : 고정축부 30 : 회전대
31 : 회전편 32 : 등받이번호식별공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좌석이 운전하기 편한 상태로 조절하기 편리하도록 고안된 자동차 운전좌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좌석은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운전자 본인이 가장 편한 상태로 위치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운전좌석을 본인이 가장 편한 위치로 조절한 다음 운전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전좌석의 위치조절에 있어 종전에는 한번에 조절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여러번 걸처서 조절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초래되었다.
특히, 필요에 따라 여러사람이 운전하게 되는 회사업무용 차량일 경우 운전자가 바뀔때마다 매번 운전석 위치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여러번에 걸쳐 조절해야 하는 운전좌석 위치 조절에 있어 번잡, 불편이 더욱 가중되었고, 시간낭비가 초래되었을 뿐만아니라 매번 조절할대마다 운전자 본인에게 가장 편한 위치로 정확히 조절하기가 그다지 쉽지 않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지장과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운전자 본인이 운전좌석을 가장 편한 위치로 조절하는데 있어 보다 정확한 위치로 조절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신속,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위치조절을 위한 운전좌석의 전후진 이동시 좌석이동번호에 맞추어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등받이 회전위치번호에 맞추어 등받이가 제껴지도록 하므로서 운전자 본인에게 적합한 운전좌석의 위치조절을 1회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좌석은(1)은 좌석(la)저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동대(2)가 차바닥(3)의 돌출부(3a)에 볼트(4)과 고정편(5)에 의해 고정되는 가이드레일(6)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므로서 전체가 위치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등받이(1b)은 축마감부재(7)에 의해 양축단이 봉쇄된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좌석(1a) 후부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면(10a)에 길이 방향으로 좌석위치번호(11)이 식자되어 있는 일자형부동번호대(10)가 가이드레일(6)측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부동번호대(10)의 양단에 부착편(12)이 구비되도록 하여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또는 나사에 의해 부착 고정되도록 할수도 있는 한편 차종류 마다 운전좌석(1)의 전후 이둥구조가 다를수도 있기 때문에 거기에 적합한 부착수단을 강구하여 부착되도록 할 수도있다.
한편, 원주형부(20b)주면에 등받이위치번호(21)이 식자되어 있는 이동번호대(20)의 선측에는 내측에 부착편(22)을 가진 수평판부(2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판부(20a)의 선측에는 좌석번호식별공(23)이 뚫려 있으며 후측 내면에는 고정볼트(24)이 체결되고 축마감부재(7)이 삽입되는 고정축부(25)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번호식별공(32)이 뚫린 회전편(31)을 구비한 회전대(30)은 고정축부(25)이 끼워지는 축공(33)을 구비하고 있으며 후미에 부착편(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대(30)은 고정축부(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편(34)이 등받이(1b) 후면에 부착되는 한편 이동번호대(20)은 고정축부(25)에 축마감부재(7)이 삽입되도록 조립된 후 고정볼트(24)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부착편(22)이 좌석(la) 측면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설치완료되면 이동번호대(20)의 수평판부(20a)밑으로 일자형부동번호대(10)의 상면(10a)이 밀접되는 상태가 되어 좌석번호식별공(23)로 좌석위치번호(11)이 보이게 되는 한편 원주형부(20b)주면에 위치하게 되는 회전편(31)의 등받이번호식별공(32)로는 등받이위치번호(21)이 보이도록 조립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로 2b은 조립시에 고정볼트(24)이 드라이버와 함께 통과되어 체결,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볼트통과공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동번호대(20)이 부착편(22)과 고정축부(25) 및 고정볼트(24)에 의해 좌석(1a) 측부와 축마감부재(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좌석(1) 전체가 가이드레일(6)을 따라 안내되어 전후로 이동되면 이동번호대(20)도 같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반면에 일자형부동번호대(10)은 차바닥(3)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레일(6)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고 그 자리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좌석레버(미도시)의 조작후 운전좌석(1)을 전후 이동시켜 조절하게 하면, 이동번호대(20)의 수평판부(20a)이 일자형부동번호대(10)의 상면(10a)을 슬립 이동되어 조절된 위치의 좌석위치번호대(11)이 좌석번호식별공(23)로 나타나게 되고, 아울러서 등받이(1b) 위치 각도조절을 위해 등받이(1b)을 회전시키게 되면 등받이(1b)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대(30)이 고정축부(25)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회전편(31)이 원주형부(20b)주면을 따라 회전되므로서 각도조절이 완료되면 조절된 위치의 등받이위치번호(21)이 등받이번호식별공(32)로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운전하기 가장 편한 위치의 좌석위치번호(11)과 등받이위치번호(21)이 제 1 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6번과 5번이라면 해당승용차에 대한 본인(운전자)의 운전좌석(1)의 위치번호가 상기한 6번과 5번이라는 것을 기억해 두게 된다.
따라서 타인 운전후 본인이 운전하려고 할때 상기한 번호위치에 운전좌석(1)이 놓여져 있지 않을 경우 운전자는 좌석번호식별공(23)과 등받이번호식별공(32)로 6번과 5번이라는 좌석위치번호(11)과 등받이위치번호(21)이 나타나도록 좌석(1a)과 등받이(1b) 위치를 조절한 다음 운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기억해둔 운전자의 좌석 및 등받이위치번호(11),(21)에 따라 운전좌석(1)의 위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본인이 운전하기 편리한 정확한 위치로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 간편한 운전석위치 조절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가이드레일(6)을 따라 좌석(a)저부에 부착된 이동대(2)이 전후 이동되고 축마감부재(7)이 일측에 돌출된 등받이(1b)이 회전되는 운전좌석(1)에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6) 일측에 부착되는 일자형부동번호대(10)상면의 좌석위치번호(11)이 부착편(22)과 고정축부(25) 및 고정볼트(24)에 의해 좌석(1a)일측과 축마감부재(7)에 부착되는 이동번호대(20)의 수평판부(20a)에 천공되어 있는 좌석번호식별공(23)로 식별되도록 하는 한편, 이동번호대(20)의 원주형부(20b) 주면에 표시된 둥받이위치번호(21)이 부착편(34)에 의해 등받이(1b)에 부착되고 축공(33)에 삽입되는 고정축부(2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대(30)의 회전편(31)에 천공된 등받이번호식별공(32)로 식별되어 운전좌석(1)의 조절위치가 파악되도록 구성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전좌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6)의 일측에 부착되는 일자형 부동번호대(10)이 부착편(12)에 의해 부착되도록한 자동차 운전좌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KR2019940005944U 1994-03-22 1994-03-22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KR960001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944U KR960001387Y1 (ko) 1994-03-22 1994-03-22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944U KR960001387Y1 (ko) 1994-03-22 1994-03-22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56U KR950027156U (ko) 1995-10-18
KR960001387Y1 true KR960001387Y1 (ko) 1996-02-15

Family

ID=1937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944U KR960001387Y1 (ko) 1994-03-22 1994-03-22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3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56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7149A (en) Resettable mirror assembly
CA2076954A1 (en) Bath seat
JP2004520125A (ja) 自動車ドア用のアームレストサブアセンブリ
US2077337A (en) Seat construction
RU93004791A (ru) Сиденье с улучшенной поясничной опорой
KR960001387Y1 (ko) 자동차 운전석의 조절위치 식별장치
US10513212B1 (en) Leg support for vehicle seat
CA2245284A1 (en) Chair with tilt limiter
KR20070055792A (ko) 책상에 수납 가능한 의자
US5380057A (en) Vehicle sun visor
US4681346A (en) Automatically fastening seatbelt assembly
US5261698A (en) Shoulder belt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 seat belt assembly
US4640543A (en) Vehicle rear seat sun visor
JPS62103245A (ja) 乗員自動拘束装置
JPH0248243Y2 (ko)
KR19990034578A (ko) 높낮이 조절형 아암레스트
WO2020108851A1 (en) Vehicle seat support assembly
KR19990001460U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각도 가변장치
DE69023085D1 (de) Neigungsverstellvorrichtung mit doppelter Sperrung für Kraftfahrzeugsitze.
CN218651052U (zh) 一种可多角度旋转调节的扶手
JPH0513235Y2 (ko)
KR0122576Y1 (ko) 길이 조절식 자동차 틸트 레버
KR0133909Y1 (ko) 트럭의 손잡이 겸용 아암 레스트
KR200150555Y1 (ko) 헤드레스트 좌우이동 및 선회장치
FR2578207B2 (fr) Perfectionnements aux sieges de vehicule a dossier reglable en inclinai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