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144B1 -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144B1
KR960001144B1 KR1019880001265A KR880001265A KR960001144B1 KR 960001144 B1 KR960001144 B1 KR 960001144B1 KR 1019880001265 A KR1019880001265 A KR 1019880001265A KR 880001265 A KR880001265 A KR 880001265A KR 960001144 B1 KR960001144 B1 KR 96000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solid object
solid
impregnat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833A (ko
Inventor
도시우끼 고이데
이꾸시 간노오
도모야 쓰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소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소,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소
Publication of KR88001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용기부만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절연도체의 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그 장치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장치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절연피막의 인가 전압과 tanδ와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8도는 절연코일의 일부 파단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도체 4 : 박막층
5 : 고형 입자체 6 : 용기
7 : 유압 피스톤 9 : 공기 배출장치
10 : 대차 11 : 신장성부재
12 : 배관 14 : 밸브
15 : 진공펌프 16 : 건조로
본 발명은 절연코일 또는 절단플라이어의 손잡이부와 같이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의 개량이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어떠한 제품 또는 부품에도 적용가능하며, 도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절연도체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연피막을 형성하지 않은 도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도체 표면에 절연도료를 도포하거나 또는 미리 절연막을 통형상(또는 포대형상)으로 형성하여 도체에 씌우거나 또는 절연 테이프(또는 시이트)를 도체상에 감아 도체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여러가지의 방법들이 연급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방법들은 그 제품 또는 부품의 사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 채용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방법들중에 최후의 방법인 절연피막을 형성하기 위해 도체의 둘레에 절연테이프(또는 절연 시이트)를 감아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연 테이프의 권회에 의하여 절연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77-49455호에 나타낸 바와같이 소정의 절연 테이프를 일부 겹치게 하면서 도체상에 권회하고, 그후 진공중에서 수지 함침(미리 테이프에 수지를 도포해 두고 도체상에 권회한다)시키고, 그 상태에서 외부표면으로부터 플레이트를 거쳐 외력을 가하면서 수지를 경화(또는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에 가열경화)시키도록 하고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도 극히 일반적인 용도의 것인 경우에는 특히 문제가 되는 일은 없으나 이것이 진동이나 충격이 심한 것으로 채용되거나 또는 전기적으로 과대전압 또는 충격전압이 걸리기 쉬운 것으로 채용되었을 경우에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약체가 될 염려가 있다.
즉, 플레이트를 거쳐 외부로부터 평면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화된 절연피박은 외면적으로 외부표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체 자체에는 어느정도의 휘어짐 또는 왜곡이 있고, 플레이트의 압압에 대하여 절연피막에는 강약 압압부분이 발생하여 도체와 절연피막간의 밀착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지 않으며, 압압력이 약한 부분으로부터 발생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밀착성의 점에 있어서 도체 모서리부 또는 만곡 형성부가 가장 나쁘며 이들 압압력이 약한 부분에는 기포가 형성되기 쉬워전기적인 성능도 저하되어 진다는 것이다.
이 점을 개량하기 위하여 최근 다음과 같은 피막형성 방법이 출현되고 있다.
즉, 도체상에 절연박막(테이프)을 권회·수지 함침하고, 이들 외부표면전체에 액적 시일을 가한것을 예를 들면 절연유를 넣은 밀봉용기 속에 담그고, 절연유의 압력 및 온도를 올려 가압가열 경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도체의 왜곡이나 모서리부 도 만곡부의 유무에 관계없이 표면 전체의 균일하게 절연피막을 압압하여, 압압력에 강약이 없이 밀착성의 점에 관해서는 상기한 것에 비교하여 크게 개선되어 금번의 면밀한 실험결과,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즉, 이 피막형성방법은 오일중에서 행해지므로서 도체와 피막간, 또는 피막의 층내에 잔재하고 있는 공기는 그대로 압축된 상태에서 그 부분에 남고, 결국 절연박막자체가 가지는 전기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또 여러해 운전중 또는 사용중에는 이 압축공기의 잔존에 의하여 박리가 발생하기 쉽고, 기계적으로 약체가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것을 감안한 것으로, 비록 도체(도형물체)에 휘어짐이나 왜곡, 도 만곡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도체와 피막간 또는 피막의 층내에 공기가 잔존하는 일이 없고, 도체의 휘어짐 또는 왜곡이나 만곡되어 잇는 부분에 관계없이 모든 부분이 균일하게 압압되고, 피막의 두께가 균일하고, 도 밀착성이 좋은 종류의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 수지를 경화함에 있어서, 절연 박막의 외부표면측에 다수의 고형 입자체를 치밀하게 배설하고, 그리고 이 고형 입자체를 거쳐 절연피막을 고형물 대표면에 압압하고, 이 상태에서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즉 이 방법이면, 고형물체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피막은 그 주위에 배치되어 잇는 다수의 고형입자체에 의하여 그 전체가 균일하게 압압되고, 또 절연박막과 고형물체의 사이및 절연박막의 층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는, 고형입자체간의 간극으로부터 층외로 압출되고, 이 압출된 상태에서 함침수가 경화되므로, 고형물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절연피막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도 잔존 공기가 없는 밀폐성이 좋은 절연피막이 되는 것이다.
이하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는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순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의 경우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등에서 전기기기의 전기적 연결에 흔히 사용되는 절연연결도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먼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체(2)에 수지를 도포한 절연 테이프(3)를 일부 겹치게 하면서 권회하고, 도체(2)의 표면에 소정의 박막층(4)를 형성한다.
이 경우 만약 수지 도포가 없는 테이프이면 테이프 권회 후 그 박막층에 수지 함침이 행해진다.
또한, 이 수지 함침은 진공중에 행해지는 일이 많다.
다음에, 이 함침된 수지가 미경화의 상태에서 박막층(4)의 압압형성이 이루어지게 되나 그 압압성형은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형 압자체(5)중에서 행해진다.
즉 용기(6)에 수납되어 있는(제4도) 모레나 철구(iron ball)등의 고형입자체(5)중에서 이 절연 연결도체(1)를 매설하고, 그리고 이 고형 입자체를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 들면 유압피스톤(7)등의 압압수단에 의하여 압압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중 용기(6)의 우측 아래측에 설치되어 잇는 부호 8은 공기배출장치이고, 9는 이 공기배출장치(8)로부터 고형입자체(5)가 용기외로 입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필터이다.
이와 같이 절연연결도체(1)를 매설하고 있는 고형입자체가 압압수단(7)에 의하여 압압된다는 것은 이 절연연결도체의 박막층(4)에 고형입자체(5)를 거쳐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것 또한 입자체이므로 미소간극을 두고 표면 전체에 구석구석가지 그 외력은 가해지고, 즉, 고형물체(여기서는 도체(2)의 휘어짐 또는 왜곡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압압력이 가해진다는 것이다.
또 그와 동시에 그 압압하고 있는 것이 입자체이므로, 그인접 입자간의 간극을 통하여 박막층(4)에 내재하고 있는 공기는 압출되고, 그 압출된 공기도 압압수단의 이동에 의한 용기 용적의 축소 때문에 발생한다.
공기압은, 공기배출장치(8)로부터 외부로 압출된다.
그리고 절연연결도체의 박막층(4)은 그 표면전체(모서리부 및 편탄부도 포함)가 균일하게 소정의 압력으로 압압되고, 내재 공기는 충분히 외측으로 압출되므로, 박막층(4)과 도체(2)와의 접합면 또 막막층내는 충분히 밀착된 상태가 되고, 또 박막층(4) 자체의 두께도 균일한 것이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소정시간 건조 경화시키면 이상적인 절연피막을 가지는 절연 연결도체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고형 입자체를 거쳐 절연박막을 압압함에 있어서, 하나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실용에 즈음해서는 수지의 종류나 공기 배출방법, 또 압압의 방법등도 고려하면 이밖에도 여러가지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제1도에 또하나의 실시예를 들었다.
이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한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강력한 밀착성이 얻어지고, 절연코일등에 채용했을 경우에는 전기적 특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다.
먼저 그 주변장치의 설명을 하고, 그 다음에 그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대차(10)에 설치된 용기(6)가 있고, 이 용기중에는 내열성의 고형입자체(5) 및 미리 수지가 함침된 절연코일(1a)이 수용되어 있다.
특히 이용기는 그 일부의 벽면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용기(6)의 상측부에 내열성의 신장성부재(11),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벽이 설치되어 있다.
또 용기(6)의 측벽에는 용기 내부를 진공으로 하기 위한 배관(12)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배관은 가요성관(13) 및 밸브(14)를 거쳐 외부의 감압수단, 즉 진공펌프(15)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용기(6)는 대차(10)와 함께 건조로(15)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로(16)내에 17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건조로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이다.
장치의 주된 것은 이상과 같으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용기(6)의 상부측에 설치된 신장성 부재(11)는 진공펌프에 의하여 용기내가 진공으로 되었을때, 그 부재자체가 파괴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것은 물론이나, 소요진공도일때에 충분히 고형입자체(5)를 압압하도록 변형가능한 것일것, 즉 이 경우 고형입자체를 압압하는 수단으로서 용기내(6)를 진공으로 하고, 신장부재의 변형에 의하여 이 고형입자체를 압압하는 것이므로(제2도 참조), 신장부재(11)가 형성했을때 고형입자체에 물리적으로 접촉 압압하는 구성이 아니면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한 고형입자체(5)는 용기(6)내에 가득히 넣은 쪽이 신장부재(11)의 변형량이 작아도 되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 장치를 사용하여 절연코일의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절연코일(1a)이 용기(6)내에 배치된 상태이나, 그 전공정으로부터 도면없이 차례로 설명하면, 먼저 도체를 권회형성한 코일에, 예를 들면 에폭시계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여 반경화상으로 한 테이프 예를 들면 유리이면부착 마이카테이프를 권회하여 절연코일(1a)을 제작한다.
다음에 이 절연코일(1a)을 용기(6)중에 넣게되나 이 경우 절연코일이 고형입자체(5)로부터 노출하지 않도록 충분히 매립시켜 넣어진다.
또한 이 경우 신장부재(11)가 용기덮개의 역할도 하고 있으므로, 용기내에 절연코일 삽입후 이 신장부재(11)를 용기의 내외를 차단하도록 충분히 시일을 하여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용기별로 대차에 의하여 건조로(16)내에 넣어진다.
또한 이 경우 만일 절연코일(1a)이 작은 것, 즉 작업자가 손으로 간단히 운반할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용기(6)를 건조로(16)내에 배치해 두고, 건조로내에서 절연코일(1a)의 수납이 행해져도 좋다.
다음에 진공펌프(15)를 작동시켜 용기(6)내를 감압하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신장부재(11)가 변형하여 즉 신장부재의 외측에 대기압(P)이 작용하여 공형입1자체는 이 신장부재에 의하여 압압력을 받아 절연코일의 절연 테이프의 층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 표면이 균일하게 압압되어 그 두께 및 밀착성은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건조로내에서 건조되어 절연코일이 완성된다.
특히 이와같이 하여, 행해지는 피막 형성 방법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고형입자체에 의한 절연 피막의 압압, 건조이므로 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함은 물론, 압압수단이 용기내 진공에 의한 용기 변형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고형입자의 압압과 동시에 절연코일내에 내재하고 있는 잔류공기가 강제적으로 피막밖으로 인출되어, 즉 기포가 감소하고, 따라서 상기한 것보다 더욱 밀착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6도는 또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역시 용기 내부를 감압(진공배기)하여 압압력을 얻도록 한 것이며, 특히 서로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하면 밀폐용기(6a)가 있고, 그리고 그 내부는 신장부재에 의하여 상하로 2개의 공간(R1,R2)이 간막이 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공간(R2)에 고형입자체(5)와 절연코일(1a)이 수납되고, 진공펌프(15)에 의하여 감압이 행해진다.
한편 상측공간(R1)에는 진공펌프 또는 가압펌프(15a)가 결합되고, 이 가압펌프(15a)와 하측공간내에 진공펌프(15)와의 양자 협동동작에 의하여 고형입자체(5)를 더욱 강력하게 압압할 수가 있다.
특히 이 실시예의 경우 진공배기를 강력하게 행하고, 또 압압력을 너무 강력하게 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하측공간의 감압을 행하고, 상측공간에도 진공펌프를 결합하여 감압하도록 하여, 그차로 압압력을 얻도록 하면, 진공배기의 정도와 압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다.
이상 2,3의 실시예를 들었으나 이 밖에도 압압 수단으로서 수지 건조시의 열을 이용하여 열팽창체의 팽창력을 이용하거나, 고형입자체의 자중을 이요하거나, 또는 그것들을 조합하도록 해도 좋고, 나아가서는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밀폐용기중에 무리하게 많은 고형입자를 압입하는등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가 있다.
고형입자와 같이 10∼800μ의 입자 직경을 가진 것이 가장 적합하고, 주물용 모래가 가장 비용이 적게들며 또한 실용적이다.
그밖에 금속구 또는 유리구슬등의 다른 입자로 이루어졌을때 인접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있는 것이며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 가능하다.
또 이상의 설명에서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고, 절연피막 및 고형물체의 양자일체로 사용하는 부품의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예를 들면 성형기구를 사용한 절연판 또는 절연 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wave shape)을 이룬 절연판을 제조하는 경우, 파형의 면을 가지는 고형물체의 그 파형면에, 수지를 함침시킨 절연박막을 포함시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형입자체중에서 압압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최종적으로는 고형물체와 절연박막은 분리되는 것이므로, 고형물체와 절연박막의 사이에 이형제를 미리 설치해 두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절연 성형품은 상기한 바와같이 그 충내에는 기포가 없는 치밀한 층이 되고, 또 고형물체의 표면 형상에 따른 균일한 두께의 층을 얻을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절연피막과 종래읠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절연피막을 효과의 것에서 비교하여 본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절연코일을 기계적인 효과의 점에서 살펴본다.
즉 그 박리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고, 여기게 표시할 수 없으나, 절연코일에 있어서 그 절연층내에 기포가 적고, 또 절연피막의 두께가 전면 균일하다는 것은 기계적으로(물론 전기적으로도)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잘알려져 있는 바이다.
제7도는 이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절연코일을 기포의 유무가 크게 영향을 받는 전기적 트성의 면에서 시험해본 결과이고, 인가전압과 tanδ(%)와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절연 코일로서는 차량용 직류전동기에 사용되는 고정자 보조코일(제8도 참조)이고, 타원형의 전 길이가 320mm, 전폭이 100mm, 사각형 단면은 60×32mm, 전격전압이 400V의 것이다.
제7도에서 점선의 곡선(X)은 종래의 피막형성법으로 제작된 것, 즉 간략하게 말하면, 피막의 외측에 플레이트를 통해 압압형성한 것으로, 이것은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인가 전압이 2.5KV를 초과하면 급격하게 tanδ는 상승경향에 있고, 또 쇄선(Y)는 절연유중에서 유압을 갓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인가 전압에 대하여 그다지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높은 tanδ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실선의 곡선(Z)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낮은 것은 물론 인가전압을 높게 했을 경우에도 그다지 tanδ은 증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은 절연피막의 두께의 균일성의 정도를 살핀 측정 결과(측정 부위는 제8도 참조)이고, 이 경우에는 특히 절연코일을 단면으로 했을때의 모서리 부분의 두께(t3)(평균치)와, 평탄측부의 두께(t1,t2)(평균치)를 살핀 것이다.
이 결과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평탄부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도 본 발명의 것도 큰 차이는 없으나 모서리부에 있어서는 플레이트를 통한 압압에 비하여 크게 개선되어 있고, 또 유중 압압의 것과는 동등한 균일 두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1
또 표 2는 절연파괴 전압의 시험결과이고, 각각 4조율에 관하여 행한 결과이다.
측정방법은 제8도의 중공부, 즉 내측벽에 알루미늄 박막 전극을 대고 이 전극과 단자(1b)간에 전압을 가하여 행한 것이다.
일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피막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약 10%의 고전압에 견딜수있음이 명백하다.
[표 2]
Figure kpo00002
이상 여러가지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연피막 형성 방법에 의하면, 절연박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함에 있어서, 절연박막의 외표면측에 다수의고형 입자체를 치밀하게 배설하고, 이 고형 입자체를 거쳐 절연박막을 고형 물체 표면에 압압하고, 그 상태에서 함침수를 경화시키게 했기 때문에, 절연박막은 고형 물체의 모서리부가 왜곡 또 만곡부에 관계없이 주위의 고형 입자체를 거쳐 균일하게 압압되고, 또 절연 박막과 고형물체의 사이 및 절연박막의 층내에 존재하고 있는 공기는 고형입자체간의 간극을 통하여 층외로 추방되고, 따라서 전체가 균이한 두께를 가지고, 또 잔존 공기가 없는 밀착성이 좋은 절연피막을 얻을수가 있다.

Claims (10)

  1. 고형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반고형물체측으로부터 고형물체측에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도록 한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하므로, 상기 절연피막의 외표면측에 다수의 고형입자체를 조밀하게 배설시키고, 그 고형입자체를 거쳐 상기 절연피막을 고형물체 표면에 압압하고, 그 상태에서는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입자체의 입자직경이 10μ∼800μ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3. 고형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도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절연박막을 외측으로부터 고형물체측에 소정압으로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하므로, 상기 절연피막이 씌워져 있는 고형물체를 고형입자체증에 매설시킴과 동시에, 그 고형 입자체의 외부로부터 압압력을 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4. 고형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반고형 물체측으로부터 고형물체측으로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질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할때에 상기 절연피막이 덮혀있는 고형물체를 고형입자체와 함께 가변용적의 밀폐 용기중에 수납하고, 이어서 상기 밀폐 용기의 용적을, 상기 고형입자 사이에 소정의 압압력이 발생할때까지 감소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5. 고형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반고형물체측으로부터 고형물체측에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할때에, 상기 절연피막이 덮여있는 고형물체를 고형 입자체군과 함께 소정 용적의 밀폐 용기중에 수납하고, 이어서 상기 밀폐 용기내에다시 고형입자체군을 압입하여 고형입자체군 사이에 소정의 압압력을 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6. 고형물체의 표면에 그 고형물체의 적어도 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반고형물체측으로부터 고형물체측으로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염피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절연피막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할때에, 상기 절연피막이 덮여 있는 고형물체를, 고형입자체군을 수납하고 있는 밀폐 용기중에 그 고형물체가 고형입자체군중에 매설하도록 수납하고, 이어서 상기 밀폐 용기내를 감압함과 동시에 상기 고형입자체에 고형물체를 포함한 고형입자체군의 체적이 감소하도록 외력을 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7. 고형물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 열경화성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반고형물체측으로부터 고형물체측으로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할때에, 상기 절연피막이 덮혀 있는 고형물체를 고형입자체군을 수납하고, 또 적어도 그 일부가 변형 가능한 밀폐 용기중에 그 고형물체가 상기 고형입자체군중에 매설되도록 수납하고, 이어서 상기 밀폐용기를 감압하여 밀폐용기의 일부를 변형시킴과 동시에 이 용기의 변형력을 상기 고형입자체군을 거쳐 상기 절연피막에 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지를 가열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8. 소정 형상면을 가지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 피막을 고형물체측에 압압하면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켜 고형물체의 표면을 가이드로 하여 그 표면 형상에 절연피막을 형성하고, 함침수지의 경화 후 절연피막을 고형물체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한 절연 성형품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을 압압하면서 그 함침수지를 경화할때에, 상기 절연피막 및 상기 고형물체를 함침시켜서 고형입자체군에 매설시킴과 동시에 그 고형입자체의 외부로부터 압압력을 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함침수지를 경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9. 고형물체가 적어도 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그 고형물체측에 압압하면서 건조경화시키는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이 실시된 고형물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그 용기내부에 수납되고, 또 상기 고형물체를 매설하고 있는 고형입자체와, 그 고형입자체의 압압력을 가하는 압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압압수단의 압압력을 상기 고형입자체를 거쳐 상기 절연피막에 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장치.
  10. 고형물체가 적어도 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또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절연피막을 그 고형물체측에 압압하면서 건조경화시키는 절연피막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피막이 실시된 고형물체를 수용하고, 기내외의 압력차에 의하여 용적이 변화하는 밀폐용기와, 그 밀페용기내에 거의 가득하게 수납되고 또 상기 고형물체를 매설하고 있는 고형입자체와, 상기 밀폐용기내에 감압하고, 또, 용기의 용적을 축소시키는 감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용적의 축소력을 상기 고형입자체를 거쳐 상기 절연박막을 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장치.
KR1019880001265A 1987-03-06 1988-02-10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01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50058A JPS63217611A (ja) 1987-03-06 1987-03-06 固形物体の表面に絶縁被膜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62-50058 1987-03-06
JP87-50058 1987-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33A KR880011833A (ko) 1988-10-31
KR960001144B1 true KR960001144B1 (ko) 1996-01-19

Family

ID=1284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265A KR960001144B1 (ko) 1987-03-06 1988-02-10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3217611A (ko)
KR (1) KR960001144B1 (ko)
AU (1) AU605238B2 (ko)
CA (1) CA132173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6948B2 (ja) * 1990-05-30 1999-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固形物体の表面に絶縁被膜を形成する方法
CN113400649B (zh) * 2021-06-30 2023-07-04 山东威高骨科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3d打印peek材料零件热变形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50A (ja) * 1974-06-21 1976-01-06 Hitachi Ltd Denkizetsuensenrinno seizohoho
JPS5193323A (en) * 1975-02-14 1976-08-16 Denkikikisenrinno seizosoch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17611A (ja) 1988-09-09
KR880011833A (ko) 1988-10-31
CA1321736C (en) 1993-08-31
JPH0478163B2 (ko) 1992-12-10
AU1129488A (en) 1988-09-08
AU605238B2 (en) 199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202A (en) Insulated coil and coiled fram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46177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trip wound coil to reinforce edge layer insulation
US6856229B2 (en) Electronic chip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454053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former windings embedded in casting resin
US6531082B1 (en) Method for impregnating conductor bars for the stator winding of an electrical machine
KR960001144B1 (ko)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US4137515A (en) Synthetic resin packed coil assembly
US3050787A (en) Method for making armature conductor bar
US2922734A (en) Fabrication of electrical windings
US4496926A (en) Molded coil structure
CA3127311A1 (en) Method for producing a helical body by way of compression of the helix
KR960015428B1 (ko) 고형물체의 표면에 절연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SU1742870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катушек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JPS6176048A (ja) 固定子コイルの絶縁方法
JPH07123342B2 (ja) モ−ルド電機の製造方法
JP2735434B2 (ja) 電気機器線輪
KR100808609B1 (ko) 고신뢰성의 계기용 변압기
JPS605206B2 (ja) 電気機器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57711A (ja) 浮上式鉄道の推進用樹脂成形コイル
JPS58263Y2 (ja) 樹脂モ−ルドコイル
JP2001102249A (ja) 乾式モールドコンデンサ
JPH0412509A (ja) 樹脂モールドコイル
JPS60216525A (ja) 絶縁線輪の製造方法
JPH06254972A (ja) 微小空間を埋めた物品の製造方法
JPH0660125U (ja) 誘導電気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