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87B1 -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87B1
KR960001087B1 KR1019920026823A KR920026823A KR960001087B1 KR 960001087 B1 KR960001087 B1 KR 960001087B1 KR 1019920026823 A KR1019920026823 A KR 1019920026823A KR 920026823 A KR920026823 A KR 920026823A KR 960001087 B1 KR960001087 B1 KR 960001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message
processing module
local
glo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620A (ko
Inventor
정교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87B1/ko
Publication of KR94001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 사서함 시스템 메세지 교환장치
제1도는 종래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메세지 교환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블럭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에 대한 상세 블럭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교환장치의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통메모리(Common Memory)
2 : 보전 및 진단모듈(Maintenance and Diagnosis Module)
3 : 데이타처리모듈(Data Processing Module)
4 : 포트처리모듈(Port Processing Module)
10 : 중앙시스템 5a~5n : 확장시스템
21 : 메세지 진단모듈(Message Diagnosis Module)
22 : 중앙 처리모듈(Basic Processing Module)
23 : 중앙 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BPM C-Bus Common Memory)
24a~24n :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Gloval C-Bus Common Memory)
25a~25n :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Local C-Bus Common Memory)
26a~26n :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Local Data Processing Module)
27a~27n : 로칼 포트 처리모듈(Local Port Processing Module)
본 발명은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산처리에 적당하도록 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사서함이라는 것은 음성사서함 가입자와 통화를 원하는 사람이 가입자의 부재중으로 인하여 통화하지 못하였을 경우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기록하여두고 가입자가 원하는 시간에 이를 재생시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제1도는 종래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방식에 관한 블럭 구성도로서, 시스템 전체의 유지보수를 위한 보전 및 진단모듈(2 : Maintenance and Diagnosis Module)과, 음성데이타 처리를 위한 데이타 처리모듈(3 : Data Processing Module)과, 공중전화망을 통한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포트처리모듈(4 : Port Processing Module)등이 ′c′버스라는 메세지 교환을 위한 제어버스에 의해 공통 메모리(1 : Common Memory)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의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메세지 교환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상기 각각의 모듈은 제2도의 타이밍도에 나타낸 시간동안 ′c′버스를 사용하여 메세지를 주고 받는데, 전체 데이타 전송주기는 32msec이다. 포트처리모듈(4)은 제2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8msec동안 보전 및 진단모듈(2)과 데이타처리모듈 (3)에 전달할 메세지를 공통메모리(1)에 기록하고, 보전 및 진단모듈(2)과 데이타처리모듈(3)에 의해 공통메모리(1)에 기록되어 있는 메세지를 공통메모리(1)로 부터 읽어 들임으로써 메세지를 주고 받는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보전 및 진단모듈(2)은 제2도의 (b)와 같이 16msec동안 데이타처리모듈(3) 및 포트처리모듈(4)에 전달할 메세지를 공통메모리(1)에 기록하고, 데이타처리모듈(3) 및 포트처리모둘(4)에 의해 공통메모리(1)에 기록되어 있는 메세지를 공통메모리(1)로 부터 읽어 들임으로써 메세지를 주고 받는다. 또한, 데이타처리모듈(3)은 제2도의 (c)와 같이 8msec동안 보전 및 진단모듈(2)과 포트처리모듈(4)에 전달할 메세지를 공통메모리(1)에 기록하고, 보전 및 진단모듈(2)과 포트처리모듈(4)에 의해 공통메모리(1)에 기록되어 있는 메세지를 공통메모리(1)로 부터 읽어 들임으로써 메세지를 주고 받는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이 대형화 되면 복수개의 시스템이 연동되어야 하고, 각 시스템의 프로세싱 모듈간에 메세지가 빈번하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상술한 종래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는 단순한 버스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시스템이 대형화 되는 경우 메세지의 처리가 힘들며, 만약 메세지가 유실되었을 경우 어떤 경로에서 유실되었는가를 디버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개의 시스템을 연동하는 분산처리 시스템에서 메세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메세지 유실시의 디버깅을 할 수 있도록 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는, 글로벌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모듈(22)에 입출력되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와 ; 공중전화망을 통해 가입자측에 접속되어 가입자에 대하여 메세지를 입출력 하는 다수의 로칼 포트처리모듈(27a~27n)과 ; 로칼버스를 통해 상기 로칼 포트처리모듈(27a~27n)에 입출력되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다수의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와 ; 상기 글로벌 버스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에 접속되어 글로벌 버스를 통해 입출력되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다수의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와 ; 상기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 (25a~25n)를 경유하여 메세지를 주고받고, 상기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를 경유하여 메세지를 주고받는 다수의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4a~26n)과 ; 상기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와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사이의 글로벌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로칼 포트처리모듈(27a~27n),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 및 중앙처리모듈(22)사이의 메세지 이동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메세지 유실 여부를 체크하는 메세지진단모듈(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에 관한 블럭 구성도로서, 전체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크게 하나의 중앙 시스템(10)과 다수개의 확장 시스템(5a~5n)이 시스템 간의 메세지 경로인 글로벌 버스(′G′버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는 제4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중앙 시스템(10)에만 있으며 전체시스템의 유지, 보수, 서어비스 통계처리 기능을 하는 중앙처리모듈(22 : Basic Processing Module)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서어비스 요구를 받아들이고 음성 서어비스를 하는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 : (Local Port Processing Module)과, 상기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으로 부터 넘어온 메세지를 해석하여 해당 서어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 : Local Data Processing Module)과, 각 모듈사이의 메세지 이동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메세지 유실 여부를 체크하는데에 사용되는 메세지 진단 모듈(21)과, 상기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과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사이의 메세지 전달을 위한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 : Local C-Bus Common Memory)와,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과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사이의 메세지 전달을 위한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 : Gloval C-Bus Common Memory)와, 중앙처리모듈(22)과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사이의 메세지 전달을 위한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 : BPM C-Bus Common Memory)와, 메세지를 전달하는 글로벌 버스(′G′ BUS) 및 로칼 버스(′L′ BUS)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24a~24n, 25a~25n, 26a~26n 및 27a~27n은 각 확장시스템(5a~5n)의 구성요소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의 연결상태를 보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처리모듈(22)은 글로벌 버스를 통하여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에 연결되고,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은 글로벌 버스를 통하여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에 연결되고, 로칼 버스를 통하여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 (25a~25n)에 연결된다. 메세지 진단 모듈(21)은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 (23),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 (25a~25n)를 모두 모니터링 함으로써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 로칼데이타 처리모듈 (26a~26n) 및 중앙처리모듈(22) 사이의 메세지 이동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메세지 유실여부를 체크한다.
가입자에 대한 음성사서함 서어비스는 각 확장시스템(5a~5n)별로 수행하는데, 각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이 가입자로 부터의 서어비스 요청을 받아들여 해당 서어비스 요청 정보를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를 경유하여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측에 전달하면,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이 가입자로 부터 인가되는 음성을 저장하였다가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을 경유하여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을 통해 가입자측에 출력함으로써 음성사서함 서어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각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은 상호간에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를 통해 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중앙처리모듈(22)과 각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은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와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를 경유하여 메세지를 주고 받는다.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 시스템 내에서의 메세지 교환에 관한 것이므로, 내부적인 메세지 교환에 대해서 중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의 동작을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세지 교환장치는 제5도의 (a)구간 즉 32msec마다 메세지 전달 동작을 수행한다. 제5도의 (f)구간동안 중앙처리모듈(22)은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들에게 보낼 메세지를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에 기록하고,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들이 보내온 메세지를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로 부터 읽어낸다. 또한,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은 이 (f)구간동안 중앙처리모듈 (22) 및 다른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에게 보낼 메세지를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에 기록하고, 중앙처리모듈(22) 및 다른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로 부터 보내온 메세지를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로 부터 읽어내고, 자신의 로칼 버스에 연결된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에게 보낼 메세지를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에 기록하고,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이 보내온 메세지를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으로 부터 읽어낸다.
한편, 제5도의 (c)구간동안에는 (f)구간에서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들이 각각 자신의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에 기록 해놓은 메세지들이 다른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의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및 중앙처리모듈(22)의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으로 이동하는데, 이때에는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간의 메세지 이동이 일어남과 동시에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로 부터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으로의 메세지 이동이 일어난다. 또한 이 (c)구간동안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으로 부터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 및 그 역방향의 메세지 이동이 일어난다. 그리고, 제5도의 (d)구간 동안에는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으로 부터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로의 메세지 이동이 일어난다.
즉, (f)구간동안 중앙처리모듈(22)이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에 기록한 메세지와,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들이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와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에 기록한 메세지들이 제5도의 (b)구간동안 서로 이동함으로서 원하는 모듈로의 메세지 전달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5도의 (e)구간동안에는 메세지 진단 모듈(21)이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 및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들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로칼 포트 처리모듈(27a~27n),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 및 중앙처리모듈(22) 사이의 메세지 이동상황을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메세지 유실 여부를 체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각 모듈(로칼 데이타 처리모듈, 로칼 포트 처리모듈, 메세지 진단 모듈, 중앙처리모듈)들을 글로벌 버스와 로칼 버스로서 연결하고 각 버스들의 사용시간을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인 메세지 전달을 하므로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실시간 서어비스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 장치에 있어서, 글로벌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모듈(22)에 입출력되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와 ; 공중전화망을 통해 가입자측에 접속되어 가입자에 대하여 메세지를 입출력 하는 다수의 로칼 포트처리모듈(27a~27n)과 ; 로칼버스를 통해 상기 로칼 포트처리모듈 (27 a ~27n)에 입출력되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다수의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 (25a~25n)와 ; 상기 글로벌 버스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에 접속되어 글로벌 버스를 통해 입출력되는 메세지를 전달하는 다수의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 (24a~24n)와 ; 상기 로칼 C-버스 공통메모리(25a~25n)를 경유하여 메세지를 주고받고, 상기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를 경유하여 메세지를 주고받는 다수의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과 ; 상기 중앙처리모듈 C-버스 공통메모리(23)와 글로벌 C-버스 공통메모리(24a~24n) 사이의 글로벌 버스에 접속되어 상기 로칼 포트처리모듈(27a~27n), 로칼 데이타 처리모듈(26a~26n) 및 중앙처리모듈(22) 사이의 메세지 이동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메세지 유실 여부를 체크하는 메세지진단모듈(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KR1019920026823A 1992-12-30 1992-12-30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KR960001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823A KR960001087B1 (ko) 1992-12-30 1992-12-30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823A KR960001087B1 (ko) 1992-12-30 1992-12-30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20A KR940017620A (ko) 1994-07-27
KR960001087B1 true KR960001087B1 (ko) 1996-01-18

Family

ID=1934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823A KR960001087B1 (ko) 1992-12-30 1992-12-30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20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9047A (en) Digitized voice message storage system
US4154988A (en) Method and means for accessing program memory of a common control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4943996A (en) Shared access to voice and information
US4805209A (en) Coordinated transfer of voice and information through a digital switch
US4442502A (en) Digital information switching system
US4955054A (en)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digital voice response
US5268903A (en) Multichannel telephonic switching network with different signaling formats and cross connect/PBX treatment selectable for each channel
US4683564A (en) Matrix switch system
US4306303A (en) Switching of digital signals
US6539087B1 (en) Audio conferencing system
EP0118510A1 (en) Data conference system
CH651713A5 (de) Nachrichtenspeicheranlage, die an ein fernsprechvermittlungsamt zur speicherung von nachrichten anschaltbar ist.
JPS61503068A (ja) 時分割交換方式の制御装置と方法
US4127742A (en) Time division telecommunication system
US3991406A (en) Program controlled data processing system
US4546475A (en) Parity checking arrangement
CA1289650C (fr) Systeme de commutation temporelle
KR960001087B1 (ko) 음성 사서함 시스템의 메세지 교환장치
GB1582583A (en) Digital switching arrangements for stored programme control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4499336A (en) Common channel interoffice signaling system
US4640992A (en) Speech response interface circuit
EP0561490A2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deband communications through a time division switching system
JPH0697769B2 (ja) 分配機構
CA1211188A (en) Test data insertion arrangement for a conference circuit
US4466094A (en) Data capture arrangement for a conferenc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