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043B1 -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043B1
KR960001043B1 KR1019880011182A KR880011182A KR960001043B1 KR 960001043 B1 KR960001043 B1 KR 960001043B1 KR 1019880011182 A KR1019880011182 A KR 1019880011182A KR 880011182 A KR880011182 A KR 880011182A KR 960001043 B1 KR960001043 B1 KR 960001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service system
data service
message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131A (ko
Inventor
강성봉
Original Assignee
삼성반도체통신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반도체통신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반도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1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043B1/ko
Publication of KR9000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등록해제 서비스 모듈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기 2 : 스위칭 회로
3 : 비음성 가입자 11 : 제1중앙처리장치
12 : 스위칭 회로 21 : 제2중앙처리장치
23 : 램 24 : 롬
2S1-2Sn : 입출력 장치
본 발명은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주컴퓨터의 자동등록 해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음성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되어 사용할수 있는 장치에는 데이타 터미널 가입자(Data Terminal Equipment), 주컴퓨터(host computer), 모뎀(MODEM), 프린터(printer),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등이 있다. 상기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은 교환기 내부에 실장되어 비음성 가입자를 제어하며, 통신로 형성은 교환기의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A가입자가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주컴퓨터로 등록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발생한 경우,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은 입력 등록 요구메세지를 분석하여 적법할시, 교환기의 제어부로 해당 메세지를 전송하므로서 스위칭 회로를 통해 주컴퓨터와 통신로를 형성한다. 이후 사용 종료시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통신로 절단을 요구하면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은 교환기 제어부로 통신로 절단요구신호를 발생하며, 교환기 제어부는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여 A가입자와 주컴퓨터간의 통신로를 절단한다. 이때 또 다른 가입자인 B가입자가 주컴퓨터와 통신을 요구하면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은 주컴퓨터가 다른 가입자와 통신상태가 아닐 경우 통신로를 형성할수 있도록 동작한다. 이때 A가입자가 주컴퓨터로 등록 해제를 하지 않고 통신로 절단만 요구하였을 경우 B가입자는 A가입자가 등록한 곳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주컴퓨터를 사용한 가입자가 실수로 등록해제를 하지 않고 통신로 절단을 요구하였을 때에는 단순히 통신로만 절단되어서 다른 가입자가 동일한 입출력장치에 의한 서비스를 받을 경우, 이미 등록된 상태의 컴퓨터를 사용하므로써 가입자들에 대한 비밀보장에 중대한 문제를 발생시켰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컴퓨터 이용시 시스템 이상 상태 또는 사용자가 등록해제 요구없이 통신로 절단을 요구할 경우에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서 자동적으로 등록해제 메세지를 송신하여 시스템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블럭도로서, 도시하지 않은 음성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1)내에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2)을 실장하고, 상기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2)에 비음성 가입자(3)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환기(1)는 교환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1중앙처리장치(11)와, 상기 제1중앙처리장치(11)의 제어하에 음성통신로 및 데이타 통신로를 형성하는 스위칭 회로(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성이외의 교환기(1)의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2)는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2중앙처리장치(21)와, 데이타 서비스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22)과,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램(23)과, 상기 제1 및 제2중앙처리장치(11,12)간의 메세지를 완충하는 버퍼(24)와, 각종 비음성 가입자(3)와 연결되는 입출력장치(2S1-2Sn)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자동등록 해제 흐름도로서, 가입자의 통신로 절단요구인가 검사하며, 절단요구일시 교환기측으로 절단요구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 의해 교환기에서 통신로를 절단하고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으로 등록 해제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 의해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서 해당 가입자로 등록 해제 메세지를 전송하고 리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가입자가 전원차단 상태인가 검사하며, 전원차단 상태일시 교환기측으로 절단요구 메세지를 송신하고 제2과정으로 진행하며, 전원 정상일시 리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비음성 가입자(3)중 3STn을 주컴퓨터, 3ST1을 A가입자, 3ST2를 B가입자라고 가정한다. 이때 A가입자(3ST1)가 주컴퓨터(3STn)에 등록하기 위하여 등록 요구 메세지를 송신하면 입출력장치(2S1)를 통해 제2중앙처리장치(21)로 인가된다. 이때 제2중앙처리장치(21)는 입력 메시지를 분석하여 주컴퓨터(3STn)로의 등록 요구임을 인지하고, 버퍼(24)를 통해 제1중앙처리장치(11)로 A가입자(3ST1)와 주컴퓨터(3STn)의 통신로 형성을 요구한다. 그러면 제1중앙처리장치(11)는 스위칭 회로(12)를 제어하여 A가입자(3ST1)와 주컴퓨터(3STn)사이의 통신로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24)는 제1및 제2중앙처리장치(11,21)간의 메시지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피포(FIFO : First In First Out)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주컴퓨터(3STn)는 범용 컴퓨터로서 VAX,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입출력장치(2S1-2Sn)는 A, B 2개의 입출력포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 A포트는 제2중앙처리장치(21)에 연결되고, B포트는 스위칭 회로(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통신로 형성 및 등록이 완료되면 A가입자(3ST1)의 데이타는 입출력장치(2S1)를 통해 스위칭 회로(12)로 인가되고, 스위칭 회로(12)를 출력한 데이타는 입출력장치(2Sn)를 통해 주컴퓨터(3STn)로 인가되며, 반대로 주컴퓨터(3STn)의 데이타가 A가입자(3ST1)로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통신로가 형성되어 데이타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가)단계에서 제2중앙처리장치(21)는 데이타 내용을 분석하여 가입자의 절단요구인가 검사한다. 상기 (가)가입단계에서 절단요구일시 (나)단계에서 제2중앙처리장치(21)는 버퍼(24)를 통해 제1중앙처리장치(11)로 절단요구 메세지를 보낸다. 상기 절단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1중앙처리장치(11)는 A가입자(3ST1) 및 주컴퓨터(3STn)에 각각 알맞는 메시지를 접속장치(24)로 송신하는데, (다)단계에서는 A가입자(3ST1)측으로 통신로 절단을 확인할수 있는 메세지를 보내며, (라)단계에서는 주컴퓨터(3STn)측으로 등록해제 메세지를 보낸다. 이후 (마)단계에서 제2중앙처리장치(21)는 버퍼(24) 메세지를 수신하여 해당 입출력빛(2S1, 2Sn)로 송신하여 통신로 절단시에도 주컴퓨터(3STn)의 등록을 자동 해제시키도록 하고 리턴한다. 이때 상기 (가) 단계에서 가입자 절단요구가 아닐시 (바)단계에서 제2중앙처리장치(21)는 가입자의 전원이 차단상태인가 검사하는데, 전원 차단일 경우는 상기 (나)단계로 진행하고, 전원이 정상일시는 리턴한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 터미널 가입자가 주컴퓨터를 사용할 때, 가입자에 전원차단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하거나, 가입자의 실수로 등록해제를 하지 않고 절단요구를 행하여 통신로가 끊어졌을때,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서 주컴퓨터로 등록해제 메세지를 보냄으로써 가입자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교환기내에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이 실장되며, 주컴퓨터를 포함한 각 비음성 가입자를 접속하여 데이타 전송을 제어하는 상기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의 주컴퓨터 자동등록 해제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의 통신로 절단요구인가 검사하며, 절단요구일시 교환기측 절단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 의해 교환기에서 통신로를 절단하고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으로 등록 해제 메세지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 의해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서 해당 가입자로 등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고 리턴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가입자가 전원차단 상태인가 검사하며, 전원차단 상태일시 교환기측으로 절단요구 메세지를 송신하고 제2과정으로 진행하며, 전원 정상일시 리턴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컴퓨터의 자동등록 해제방법.
KR1019880011182A 1988-08-31 1988-08-31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KR960001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182A KR960001043B1 (ko) 1988-08-31 1988-08-31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182A KR960001043B1 (ko) 1988-08-31 1988-08-31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31A KR900004131A (ko) 1990-03-27
KR960001043B1 true KR960001043B1 (ko) 1996-01-17

Family

ID=1927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182A KR960001043B1 (ko) 1988-08-31 1988-08-31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0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131A (ko) 199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355A (ko) 호출 전달기능 제공방법 및 장치
KR900013762A (ko) 팩시밀리 영상 신호 전송방법
KR960001043B1 (ko) 데이타 서비스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의 등록 해제방법
KR900006972B1 (ko) 루프통신시스템
KR100194754B1 (ko) 서로 다른 규격의 공통선 신호망을 수용하는 스마트 신호중계기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950004811A (ko) 네트워크 간 접속장치
KR100210763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KR960004718B1 (ko) 비동기식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텔레비젼 방송호 제어방법
KR100285332B1 (ko) 이더넷이중화정합장치
KR100214131B1 (ko) 교환기에 있어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930000585B1 (ko) N7신호 방식과 r2신호 방식의 연동시 악의호추적 메세지 전송방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KR100273819B1 (ko) 안내대를갖춘전전자교환기의호정보처리방법
KR100225528B1 (ko) 단축 메시지 발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KR94001755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신가입자 번호의 중계 제어방법
JP3067159B2 (ja) パケット交換装置の信号方向制御方法及び装置
KR970078301A (ko) 교환기에 있어서 패킷서비스를 위한 호처리장치 및 방법
JP2874503B2 (ja) ユーザー・ユーザー情報のシステム内同報方式
KR100297288B1 (ko) 교환시스템의국선군기능제어방법
KR96001087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KR940017605A (ko) 전전자 교환기의 종합정보 통신망 사용자부의 미예측/미정의/불합리 신호 정보 메세지 처리 방법
JP2659624B2 (ja) パケット交換通信方式
JPS6121650A (ja) 自動交換機のデ−タ端末接続制御方式
KR100322027B1 (ko) 운용자 명령어에 의한 베어러 채널 감사방법
KR980007351A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연결 해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