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975Y1 -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 Google Patents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975Y1
KR960000975Y1 KR2019940003266U KR19940003266U KR960000975Y1 KR 960000975 Y1 KR960000975 Y1 KR 960000975Y1 KR 2019940003266 U KR2019940003266 U KR 2019940003266U KR 19940003266 U KR19940003266 U KR 19940003266U KR 960000975 Y1 KR960000975 Y1 KR 960000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fragrance
leaves
petals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3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682U (ko
Inventor
박성만
Original Assignee
박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만 filed Critical 박성만
Priority to KR2019940003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975Y1/ko
Publication of KR950013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2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other articles having storage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부분 절개부분분해 사시도 또는 본 고안 후통의 일부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또는 필기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또는 필기부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통 2 : 앞통
3 : 필기부재 4 : 스프링
5 : 돌기 6 : 안내홈
7 : 걸림홈 8 : 꽃나무
9, 10 : 접착부 11 : 낙옆과 꽃잎
12 : 누출공 13 : 걸림돌기
14 : 마개 15 : 조절공
16 : 클립 17 : 걸림홈
18 : 조절뚜껑 19 : 필심
20 : 필심통 21 : 받침부
25 : 선단캡 26 : 향료
본 고안은 장기간 사무를 보는 도중 꽃나무와 낙엽 그리고 향료를 내입한 투명재질의 필기구를 통해 놀이를 할수 있음으로서 사무도중 쌓인 스트레스나 지루함을 간단히 해소하여 기분전환을 할수 있음으로서 사무능률을 보다 향상시킬수 있고, 조절뚜껑을 회전시킴으로서 향긋한 향기가 자연적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사람은 물론 그 주위까지 향기를 확산시켜 상쾌한 분위기를 조성시켜 줄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 사무실 또는 학교 등지에서 장기간 필기를 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지루함과 긴장이 누적되어 일의 능률이 저하되는 때가 종종 있음으로서 종래에 사용중이던 필기구를 이용하여 제자리를 뜨지않고 상기와 같은 사무, 또는 공부도중 쌓인 지루함, 긴장, 스트레스등을 다소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할수 있었던 것은 무의식중에 볼펜의 누름부를 누르고 해지시켜 그 볼펜심을 연속 출몰시키거나 혹은 손안에서 필기구 동체를 수차례 빙빙 돌려 보는것 등이 고작이었으며, 이로써 충분한 기분전환이 안됨은 물론이다.
또한 볼펜에 향기를 부여한 종래의 구조에 관하여는 국내실용신안 공고 제 963 호에 개시한 바와같은 볼펜의 뚜껑상에 향료통을 장착하여 향기를 발산하도록 한 구조의 것이 있으나, 이것은 볼펜의 사용시 뚜껑을 볼펜몸체와 분리되게 벗긴다음 그 뚜껑을 볼펜 몸체의 뒤끝쪽에 끼워 사용하며 볼사용시에는 다시 뚜껑을 볼펜 앞쪽에 끼워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되풀이 해야 하는 취급상의 불편과 아울러 부주의로 뚜껑을 분실하는 경우도 있게된다.
또다른 것은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609 호에 개시한 바와같은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수장된 향수를 분사시키는 장치를 겸비한 볼펜이 안출된바 있지만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손상되기 쉬우며 취급의 주의를 요하며 정량방출이 여의치 못해 향료의 낭비가 심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필기부재(3)가 삽입된 압통(2)의 뒤쪽에 형성된 돌기(5)가 후통(1)의 안내홈(6) 앞쪽에서 스프링(4)에 대항하여 안내홈(6)뒤끝으로 안내되어 이 안내홈(6)에 오른쪽으로 연접된 걸림홈(7)에 걸려지도록 하고 필기부재(3)의 뒷쪽부분을 끼우게되는 관체로 된 꽃나무(8)의 접착부(9)가 투명재질의 후통(1)내의 접착부(10)에 삽입접착설치되면서 이 후통(1)의 내에 낙엽과 꽃잎(11) 그리고 향료(26)을 넣게 되고, 이 후통(1)의 윗쪽트인곳을 막아주며 향료의 향내를 발산하는 누출공(12)을 형성한 마개(14)와 이 마개(14)을 바깥쉬움 하면서 마개(14)에 형성한 다수의 누출공(12)의 열림정도를 임의로 결정하는 조절공(15)을 형성한 뚜껑(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됨에 따라 사무 또는 공부를 하는 도중 기분전환으로 꽃이핀 아름다운 꽃나무(8)와 향료에 떠있는 낙엽과 꽃잎, 가라앉은 낙엽과 꽃잎(11)을 봄으로서 그로 인한 안정, 평온함을 얻을 수 있고, 지루할때에는 필기구를 뒤집었다 바로 세우면 떨어져 있던 단풍이 진 낙엽과 꽃잎(11)이 꽃나무(8)뒷쪽으로 올라갔다 내려오게 되면 꽃나무(8)에서 낙엽과 꽃잎(11)이 중력에서 떨어지는 낙엽과 꽃잎(11)의 속도보다 향료(26)의 부력에 의해 낙엽과 꽃잎(11)이 천천히 그리고 아름답게 떨어지면서 계절이 바뀌는 계절의 변화를 재미있게 보고 느낄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방울이 꽃나무(8) 사이에 붙어 있다가 순간적으로 방울방울 떠오르는 재미를 볼수 있음은 물론 낙옆과 꽃잎(11)이 꽃나무(8)사이에 끼여 있다가 필기도중 한잎, 한잎씩 떨어지는 재미도 볼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조절공(15)를 형성한 조절뚜껑(18)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조절공(15)이 마개(14)의 다수의 누출공(12)간의 열림에 의해 향기가 발향되어 사용하는 사람의 기분은 물론 그 주위까지 향기를 확산시켜 상쾌한 분위기를 조성시켜 줄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부분절개부분 분해사시도, 또는 후통의 일부단면도이며,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또는 필기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바, 즉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필기구는 앞통(2)내에 스프링(4)과 볼펜용필기부재(3)가 삽입설치되면서, 이 앞통(2)의 뒷쪽끝의 대칭부분에 형성된 탄성체로 된 양돌기(5)를 투명재질의 후통(1)의 앞쪽부분(1a)내로 강제적으로 밀어 넣으면 이 돌기(5)가 후통(1) 양쪽의 안내홈(6)에 끼워지고, 이 안내홈(6)의 뒷쪽끝에는 오른쪽으로 연결된 걸림홈(7)이 형성되어, 앞통(2)을 스프링(4)에 대항해서 안내홈(6)뒤끝까지 올라오게 하여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앞통(2)의 돌기(5)가 걸림홈(7)에 걸려지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후통(1)의 뒷쪽 트인곳으로 관체로된 꽃나무(8)를 삽입하면서 필기부재(3)를 꽃나무(8)내로 넣고, 이 꽃나무(8)접착부(9)와 후통(1)의 접착부(10)를 접착제로 접착시키게 되면 후통(1)의 뒤쪽부분(1b)내에는 향료(26)를 담아두는 향료함(A)이 형성되면서 이 향료함(A) 즉, 후통(1)의 뒷쪽부분(1b)내에 단풍이 물든 낙엽과 꽃잎(11)을 넣고 향료(26)를 가득채운 다음 이 후통(1) 뒷쪽부분(1b)의 윗쪽트인곳에 후통(1)에서 발향되는 향료(26)의 향기를 자연적으로 발산시키는 다수의 누출공(12)과 걸림돌기(13)를 형성한 마개(14)를 나사결합으로 닫아 막고, 이 마개(14)를 빈틈없이 바깥씌움하면서 그 걸림돌기(13)에 조절뚜껑(18)의 걸림홈(17)을 끼워 넣으므로서 조절뚜껑(18)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방향으로는 자유로이 이동할수 있기 때문에 조절뚜껑(18)의 조절공(15)이 회전하면서 상기 마개(14)의 다수의 누출공(12)에서 발향되는 향기를 차단, 또는 발산되게 하면서 다수의 누출공(12)의 열림정도를 임의로 결정할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향료(26)를 싫어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엷은 색깔을 가진물(26)과 같은 액체의 내용물을 가득 담아서 물의 부력과 물의 유동에 의해 꽃나무(8)에서 천천히 떨어지는 낙옆과 꽃잎(11)을 재미있게 볼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향료(26)에 떠있는 낙옆과 꽃잎(11) 가라앉은 낙엽과 꽃잎(11)의 치수가 정해져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마개(14)의 누출공(12)과 조절뚜껑(18)의 조절공(15)이 반대하는 위치에서 필기구를 뒤집었다 바로 세우면 앞쪽에 가라앉아 있던 낙엽과 꽃잎(11)이 꽃나무(8) 뒷쪽으로 올라갔다 내려오게 되면 아름다운 꽃나무(8)에서 낙엽과 꽃잎(11)이 중력속에서 보다 향료(26)의 부력에 의해서 천천히 떨어지는 계절의 변화와 시간이 흐르는 시간의 변화의 과정을 재미있게 보고 느낄수 있게 됨으로서 지루함을 없애고 조절뚜껑(18)을 돌려서 그 조절공(15)과 마개(14)의 다수의 누출공(12)간의 열림정도를 임의로 결정하면 이곳을 통해서 발행되는 향기의 양을 조절하여 그 주위까지 향기를 확산시켜 상쾌한 분위기를 조성시켜 줄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절뚜껑(18)을 회전시키기 보다는 조절뚜껑(18)에 형성된 클립(16)을 회전시키게 되면 부드럽게 회전된다.
또한 볼펜용 필기부재(3)를 수납시킬때에는 앞통(2)을 왼쪽으로 회전시키게되면 후통(1)의 앞쪽부분(1a)내면의 걸림홈(7)에 걸려있던 앞통(2)의 돌기(5)가 후통(1) 앞쪽부분(1a)의 안내홈(6)뒤끝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프링(4)의 탄발력에 의해 앞통(2)의 돌기(5)가 후통(1)의 안내홈(6)앞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4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필기부재(3)가 수납된다.
한편 볼펜용 필기부재(3)를 돌출시킬때에는 앞통(2)을 스프링(4)에 대항해서 후통(1)의 앞쪽부분(1a)내면의 안내홈(6) 뒤끝쪽으로 이동하게 하여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앞통(2)의 돌기(5)가 상기 안내홈(6)뒷끝쪽에 연접된 걸림홈(7)에 걸려지면서 제 3 도에 보는바와 같이 필기부재(3)가 돌출되어 필기를 할수 있게된다.
미설명부호 27은 스폰지이다.
제 4 도는 본고안의 제 2 실시예를 구성한 단면도, 또는 필기부재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볼펜용 필기부재 대신 싸인펜용 필기부재를 사용하도록 된 예이다.
여기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의 작동과 원리로 이루어진다.
제 5 도는 본고안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인 것으로 이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볼펜용 필기부재 대신 샤아프 펜슬용 필기부재를 쓰도록 된 예로서 여기서는 녹크조작으로 필심(19)을 돌출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후통(1)의 앞쪽부분(1a)내에 필심통(20)과 맞닿는 받침부(21)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척(22)과 스프링(4) 척링(23) 큐손부(24a)를 갖는 슬라이브(24) 및 척(22)에 연결된 필심통(20)으로 이루어진 필기부재(3)를 갖는 선단캡(25)을 앞통(2)의 앞끝부위에 나사결합 시키므로서 필기부재(3)가 선단캡(25)이 돌출된 상태로 앞통(2)내로 장착시켜지게 되면서 이 앞통(2)의 돌기(5)를 후통(1) 앞쪽부분(1a)내로 강제적으로 밀어넣어 안내홈(6)에 끼워넣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낙엽과 꽃잎(8) 그리고 꽃나무(11)와 향료(26)를 내장한 후통(1)의 뒤끝쪽(즉 조절뚜껑(18))을 녹크하게 되면 후통(1)앞쪽부분(1a)내의 받침부(21)에 맞닿아져 있던 필심통(20)이 스프링(4)의 탄력에 대항하거나 또는 이 스프링(4)의 단발령에 의해 앞쪽, 또는 뒷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공지의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척(22)의 개폐에 따라 필심(19)이 선단캡(25)으로 부터 조금씩 내보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고안은 사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는도중 지루할때에는 필기구를 뒤집어서 낙엽과 꽃잎(11)을 꽃나무(18)뒷쪽으로 모은 상태에서 필기구를 바로 세우면서 좌, 우로 약간 흔들면 향료(26)의 부력에 의해서 꽃나무(8)뒤쪽에서 꽃나무(8)아래로 낙엽과 꽃잎(11)이 중력속에서 보다 천천히 아름답게 떨어지는 과정을 재미있게 볼수 있음으로서 지루함을 없애고 또한 꽃나무(8)에서 풍기는 시간의 아름다움과 안락함과 안정성을 얻어 분위기를 새롭게 하여 사무능률을 보다 향상시킬수 있고 또 조절뚜껑(18)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조절공(15)의 마개(1)의 다수의 누출공(12)간의 열림정도에 의해 발향량을 조절됨과 더불어 향기가 발향되어 사용하는 사람의 기분은 물론 그 주위까지 향기를 확산시켜 상쾌한 분위기를 조정시켜 줄수 있음으로서 각종 복잡한 사무를 보는 현대인들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지루함을 해소시켜 일의 능률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후통(1)내의 접착부(10)에 관체로된 꽃나무(8)의 접착부(9)가 접착 고정되고, 낙엽과 꽃잎(11)을 넣고 향료(26)로 가득 채워진 이 후통(1)의 뒷쪽부분(1b)트인곳에 누출공(12)을 형성한 마개(14)를 닫고 이 마개(14)에 조절공(15)을 형성한 조절뚜껑(18)이 바깥씌움되고, 필기부재(3)가 삽입된 앞통(2)의 돌기(5)가 후통(1)의 앞쪽부분(1a)내면의 안내홈(6)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나무와 향료를 내장한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후통(1)내의 접착부(10)에 꽃나무(8)의 접착부(9)가 접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나무와 향료를 내장한 필기구.
KR2019940003266U 1993-11-15 1994-02-23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KR960000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3266U KR960000975Y1 (ko) 1993-11-15 1994-02-23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0023856 1993-11-15
KR93-23856 1993-11-15
KR2019940003266U KR960000975Y1 (ko) 1993-11-15 1994-02-23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82U KR950013682U (ko) 1995-06-15
KR960000975Y1 true KR960000975Y1 (ko) 1996-02-03

Family

ID=7073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3266U KR960000975Y1 (ko) 1993-11-15 1994-02-23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9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682U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4245A (en) Single-use applicator
US6588435B1 (en) Cosmetics apparatus
US7896256B2 (en) Disposable pierced earring fragrance chamber
JP4761920B2 (ja) 揮散装置
KR960000975Y1 (ko)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US6152634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sanitary moistener
US4625741A (en) Nail polisher
US5299736A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a ceramic container and an absorbent pad
US5938359A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sanitary moistener
US20040071493A1 (en) Nail polish remover pen
KR960000970Y1 (ko) 향료통을 가진 볼펜
KR101459561B1 (ko) 향기를 발산시키는 힐링펜
KR200380265Y1 (ko) 방향제필통
KR200240697Y1 (ko) 향수 휴대용 필기구
KR200384201Y1 (ko) 향기나는 볼펜
JP3165960U (ja) 携帯用芳香放出容器
KR200171292Y1 (ko) 필통
KR880003328Y1 (ko) 향료통을 가진 볼펜
KR900008597Y1 (ko) 휴대용 복합 방향용구
KR870003688Y1 (ko) 방향제(芳香劑)를 내장하는 필기구
JP3100599U (ja) 液体芳香・消臭剤の揮散装置
JP2019210048A (ja) 芳香発散装置および芳香発散装置の容器
US1141753A (en) Ink-well.
KR940000803Y1 (ko) 필기구용 향료통
US3924646A (en) Cuticle knife with storage means for hand lo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