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879Y1 -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879Y1
KR960000879Y1 KR2019930003837U KR930003837U KR960000879Y1 KR 960000879 Y1 KR960000879 Y1 KR 960000879Y1 KR 2019930003837 U KR2019930003837 U KR 2019930003837U KR 930003837 U KR930003837 U KR 930003837U KR 960000879 Y1 KR960000879 Y1 KR 960000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eight
inner body
departure prevention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883U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향상공업 주식회사
이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향상공업 주식회사, 이장우 filed Critical 향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3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879Y1/ko
Publication of KR940022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8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3 도 a, b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문 이탈 방지구 2 : 조절장공
3 : 외부몸체 4 : 내부몸체
5 : 조절편 6 : 경사면
본 고안은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나사로 호차 바퀴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는 외부몸체와 내부몸체 사이에 단순히 삽입 설치되도록 하여 조절나사를 조여 내부몸체를 좌로 이동시킴으로서 호차바퀴의 돌출높이를 높게 조절되게 할 경우에도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가 조절되지 않아 창틀의 레일에서 창문 이탈 방지구가 들뜨게 되고 레일지지홈이 레일을 잡아주는 역활을 하지 못하게 되어 창문 이탈 방지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호차의 내부몸체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조절편을 돌설하고 창문 이탈 방지구에 조절편과 대응하는 조절장공을 천공하여 조절나사를 조여 내부몸체를 좌로 이동시킴으로서 호차바퀴의 돌출높이(H)를 높여주게 되면 조절장공에 조절편이 삽입되면서 경사면이 창문 이탈 방지구를 하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창문 이탈 방지구의 돌출높이(S)가 높아지게 되어 창틀의 레일에서 창문 이탈 방지구가 빠질 염려가 없는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차의 외부몸체(3)와 내부몸체(4) 사이에 창문 이탈 방지구가(1)가 삽입설치 되는 것에 있어서, 내부몸체(4)의 하부에 경사면(6)이 형성된 조절편(5)을 돌설하고 창문 이탈 방지구(1)에 조절편(5)과 대응하는 조절장공(2)을 천공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호차는 외부몸체(3)의 일측에서 내부몸체(4)에 나착된 조절나사(10)를 조이거나 풀러주는데 따라 내부몸체(4)가 좌,우로 이동되며 호차 바퀴축(9)이 안내공(7)에 안내됨으로서 호차바퀴(8)의 돌출높이(H)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호차바퀴(8)의 돌출높이(H)를 높여주기 위하여 조절나사(10)를 조여 내부몸체(4)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내부몸체(4)의 하부에 돌설된 조절편(5)이 조절장공(2)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경사면(6)이 창문 이탈방지구(1)를 하향으로 밀어주게 되어 창문 이탈 방지구(1)의 돌출높이(S)가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호차바퀴(8)의 돌출높이(H)가 높아지는 것과 동시에 창문 이탈 방지구(1)의 돌출높이(S)가 조절되어 창틀의 레일에서 창문 이탈 방지구(1)가 빠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호차바퀴(8)의 돌출높이(H)를 낮춰주기 위하여 조절나사(10)를 풀러 내부몸체(4)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조절장공(2)에서 조절편(5)이 빠지게 되며 이때 창문 이탈 방지구(1)는 호차에 설치되어 창문을 창틀에 끼울때 상향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돌출높이(S)가 호차바퀴(8)의 돌출높이(H)를 조절하는데 따라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내부몸체(4)의 하부에 경사면(6)이 형성된 조절편(5)을 돌설하고 창문 이탈 방지구(1)에 조절장공(2)를 천공하여 조절나사(10)를 조절하여 내부몸체(4)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호차바퀴(8)의 돌출높이(H)를 조절하는데 따라 창문 이탈 방지구(1)의 돌출높이(S)가 조절되게 하여 창문 이탈 방지구(1)가 창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호차의 외부몸체(3)와 내부몸체(4) 사이에 창문 이탈 방지구(1)가 삽입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내부몸체(4)의 하부에 경사면(6)이 형성된 조절편(5)을 돌설하고 창문 이탈 방지구(1)에 조절편(5)과 대응하는 조절장공(2)을 천공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2019930003837U 1993-03-16 1993-03-16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00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837U KR960000879Y1 (ko) 1993-03-16 1993-03-16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837U KR960000879Y1 (ko) 1993-03-16 1993-03-16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883U KR940022883U (ko) 1994-10-20
KR960000879Y1 true KR960000879Y1 (ko) 1996-02-02

Family

ID=1935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837U KR960000879Y1 (ko) 1993-03-16 1993-03-16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8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883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591267B1 (fr) Ferrure de verrouillage avec pene reglable pour un ouvrant coulissant de fenetre, porte ou analogue
KR960000879Y1 (ko) 호차용 창문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EP1223276A3 (de) Bandanordnung für Türen, Fenster und dergleichen
EP1155891A3 (de) Einrichtung zum Spannen einer Seitenplane eines Fahrzeugaufbaus
KR940004825Y1 (ko) 방충망 샤시 이탈방지용 호차
EP1312743A3 (de) Sperr- und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n Hebe- und Schiebeflügel; Treibstangenbeschla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Hebe- und Schiebetür bzw. -fenst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KR960003675Y1 (ko) 호차용 창틀이탈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00876Y1 (ko) 호차용 창틀 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04194Y1 (ko) 호차용 창틀이탈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00884Y1 (ko) 호차용 창틀이탈 방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960003676Y1 (ko) 호차용 창틀이탈 방지구의 결합장치
KR960000878Y1 (ko) 호차용 창문이탈방지구의 결합장치
KR940002558Y1 (ko) 호차용 창틀 이탈방지장치
DE50103841D1 (de) Selbst sperrende Verriegelungseinrichtung mit Einstellmöglichkeit
JPH072939Y2 (ja) 建具用振れ止め器具
US2643905A (en) Automobile door safety lock
KR950003876Y1 (ko) 창틀에 밀착 설치되는 창문용 호차
HUT71447A (en) Turning and tilting mechanism for dors, windows and the like and dors, windows and the like equipped such mechanism
JPH0682362U (ja) 引戸の減速装置
JP3285562B2 (ja) 網 戸
GR3034637T3 (en) Bolt device for mounting on the edge of the semi-fixed wing of double doors
EP1120538A3 (de) Einbruchhemmende Rollpanzerführungsschiene
KR200223137Y1 (ko) 창문용 로울러
ATE263301T1 (de)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fenstereinsatzes
KR200269331Y1 (ko) 창문용 호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