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59Y1 -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59Y1
KR960000459Y1 KR2019900021506U KR900021506U KR960000459Y1 KR 960000459 Y1 KR960000459 Y1 KR 960000459Y1 KR 2019900021506 U KR2019900021506 U KR 2019900021506U KR 900021506 U KR900021506 U KR 900021506U KR 960000459 Y1 KR960000459 Y1 KR 960000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display
display tube
dim
control circuit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061U (ko
Inventor
배경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59Y1/ko
Publication of KR9200130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0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 single character by selection from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by composing the character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e.g. segments using a combination of such display devices for composing words, rows or the like, in a frame with fixed character posi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17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the light emitting display elements may be activated at will or are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릭의 휘도조절회로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의 회로구성도.
제 2 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VFD타입의 클럭을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광표시관구동용 IC 20 : 형광표시관
30 : 휘도조절회로 Q1,Q2 : 트랜지스터
ZD1, ZD2 : 제너다이오드 D1~D5 : 다이오드
C1~C6 : 콘덴서 R1~R9 : 저항
IGN : 형광표시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
B : 배터리 전압
DIM : 조명을 1/8로 감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
LIGHT CONT :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VFD(Vacuum Fiuorescent Display : 형광표시관)타입의 클럭을 갖추고 있는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용 클럭의 디스플레이소자로서는 I.C.D(Liquid Crystal Display : 액정표시관)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LCD는 진동, 내구성 및 온도등과 같은 조정에 대한 적응력이 약하다. 이 때문에, 근래에는 진동, 내구성 및 온도등과 같은 조건에 대한 적응력이 강한 형광표시관을 디스플레이소자로서 사용하고 있다.
자동차의 내부패널에 장착되는 각종 전기장치(미터셋트, 컬러, S/W류등)는 레지스터(패널휘도조절기)에 의해 그 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LCD타입의 클럭에는 벌브(bulb)가 내장되어 있어 밸브의 휘도를 조절함으로써(클럭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형광표시관에는 별도의 발광소지가 설치되어 있지않고 단지 플레이트 자체가 발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휘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가 없었다.
이하, 제 2 도를 참조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광표시관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도를 참조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형광표시관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있는 형광표시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구성도로서, 제 2 도에서 참조부호 10은 형광표시관을 구동시키기 위한 형과표시관구동용 IC이고, 20은 세그먼트가 구비된 형광표시판이며 IGN은 상기 형광표시관(20)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이고, B는 상기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전압이며, DIM은 도시되지 않은 레지스터회로롤부터 야간에 조명을 1/8로 감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이고, GND는 접지단자이다. 그리고, X-TAL 은 클럭의 시간을 적산하기 위해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수정발진기이고, S1~S3는 각각 상기 형광표시관(20)에 표시도는 시(H), 분(M) 및 초(S)를 맞추어 주기 위한 푸시버튼스위치이며, 다이리스터(TNR)와 콘덴서(C)는 역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이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형광표시관 타입의 클럭은 주위조도에 관계없이 감광율이 일률적이기 때문에, 주위조도에 따라 휘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없게 된다. 예컨대, 주위조도가 너무 어두운 경우에는 클럭이 너무 밝아 운전자의 시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계의 발광휘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형광표시관의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튜티비를 조절하여 세그먼트의 발광휘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차량용 코버의 휘도조절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 조절회로는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의 형광표시관(20), 상기 형광표시관(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IGN), 야간에 조명을 1/8를 감광시키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딤단자(DIM), 클럭의 시간을 적산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수정발진기(X-tal)및 각각 상기 형광표시관(20)에 표시되는 시(H), 분(M), 초(S)를 맞추어 주기 위한 푸시버튼 스위치(S1-S3)로 구성된 클럭에 있어서, 가변저항에 의해 듀티비가 설정되는 발진회로에서 출력되는 튜티비가 결정된 발생신호에 따라 딤단자(DIM)로 부터 출력되는 딤신호를 분압하여 출력하는 휘도조절회로(30)와, 상기 휘도조절회로(30)로부터 듀티비가 결정된 딤신호에 따라 형광표시관(20)의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세그먼트 발광휘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형광표시관구동용 IC(20)의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세그먼트 발광휘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에 인가되는 딤신호를 분압저항(R3)(R5)에 의해 분압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와 역구동되고 에미터단자가 다이오드(D3) 저항(R6)을 통해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 전단에 구비된 휘도조절회로를 설치해서 주위 조도에 따라 형광표시관의 플레이트전압을 제어하여 발광휘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클럭에 휘도조절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제 2 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참조부호를 붙이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도의 회로가 제 2 도의 회로와 다른 점은 담단자(DIM)와 저항(R5)간에 휘도조절회로(30)가 더 설치된 점이다. 통상적인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와 형광표시관(2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시계에 있어서, 형광표시판의 플레이트전압을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기 위한 발진신호가 입력되는 단자(LIGNT CONT)와, 이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가 저항(R2)을 통해 베이스에 인가되고 콜렉터에는 저항(R3)을 통해 상기 딤단자(DIM)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저항(R4) 및 콘덴서(C6)를 통해 접지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3) 및 저항(R6)을 통해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의 브라이트조절단자(d)에 접속되는 휘도조절회로(30)를 통해 딤단자(DIM)의 신호를 분압함으로서 주위조도에 따라 형광표시관의 발광휘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딤단자(DIM)를 통해 인가되는 고정된 감광률 1/8 딤신호가 형광표시관구동용 IC(10)에 인가되고, 휘도를 조절하기 위해 듀티비를 가변할 수 있는 발진회로의 발진신호가 라이트콘트롤단자(LIGHT CONT)를 통해 인가될 경우 트랜지스터(Q1)가 도통되어 저항(R3)(R5)에 의해 분압되고 그 분압된 전압을 형광표시관구동용IC(10)에서 판단한 후 상기 형광표시관구동용IC(10)의 출력신호에 의해 형광표시관(20)의 플레이트전압이 제어된다. 즉, 본원고안은 트랜지스터(Q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형광표시관구동용IC(10)를 통해 형광표시관(20)의 플레이트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세그먼트의 발광휘도를 발진회로의 듀티비에 따라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형광표시관 구동용 IC의 전단에 휘도조절회로를 설치하여 딤신호를 분압함으로써 주위조도에 따라 형광표시관의 발광휘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어 야간에 주위의 조도에 비해 지나치게 밝은 형광표시관을 가변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딤(DIM)신호에 의해 형광표시관의 플레이트전압을 제어하여 세그먼트의 발광휘도가 조절되는 형광표시관에 있어서, 가변저항에 의해 듀티비가 설정되는 발진회로에서 출력되는 듀티비가 결정된 발진신호에 따라 딤단자(DIM)로 부터 출력되는 딤신호를 분압하여 출력하는 휘도조절회로(30)와, 상기 휘도조절회로(30)로 부터 듀티비가 결정된 딤신호에 따라 형광표시관(20)의 플레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세그먼트 발광휘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형광표시관구동용IC(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휘도조절회로(30)는 발진회로에서 출력되는 발진신호에 의해 바이어스 되어 형광표시관구동용IC(10)에 인가되는 딤신호를 분압저항(R3)(R5)에 의해 분압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와 역구동되고 에미터단자가 다이오드(D3) 저항(R6)을 통해 형광표시관구동용IC(10)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Q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장치.
KR2019900021506U 1990-12-28 1990-12-28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KR960000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506U KR960000459Y1 (ko) 1990-12-28 1990-12-28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506U KR960000459Y1 (ko) 1990-12-28 1990-12-28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61U KR920013061U (ko) 1992-07-25
KR960000459Y1 true KR960000459Y1 (ko) 1996-01-10

Family

ID=1930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506U KR960000459Y1 (ko) 1990-12-28 1990-12-28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061U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6010A (en)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in an illuminating indicating device
US723576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illuminating means
JPS59763B2 (ja) 自動車用電子メ−タ
KR960000459Y1 (ko) 자동차용 클럭의 휘도조절회로
JP3344588B2 (ja) 表示装置
JP3074874B2 (ja) 表示パネルの調光装置
US4556877A (en) Digital display device having a controlling apparatus responsive to low temperatures
JP3235732B2 (ja) 表示装置
JPS5818235Y2 (ja) 調光装置
JP2848512B2 (ja) 車両用メータ装置
JPH10189259A (ja) バックライト用調光装置
JPH019986Y2 (ko)
JPH0547893U (ja) 車載用蛍光表示時計
KR20000073033A (ko) 차량의 전장품 조명 자동 조절장치
KR100532047B1 (ko) 자동차 조명회로
KR920003492Y1 (ko) 카스테레오 라디오의 lcd 조명 조절 회로
KR920004450Y1 (ko) 카오디오의 자동조명 조절회로
JPH0132059Y2 (ko)
KR100488403B1 (ko) 차량용 백라이트 장치
KR101532650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20040065877A (ko) 차량용 백라이트 장치
KR0169641B1 (ko) 자동차의 블랙 페이스 미터 클러스터 조명 장치
JPH0631739B2 (ja) 調光装置
JPH0450188Y2 (ko)
KR930001829Y1 (ko) Lcd 자동 조광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