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96Y1 -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96Y1
KR960000396Y1 KR2019940001211U KR19940001211U KR960000396Y1 KR 960000396 Y1 KR960000396 Y1 KR 960000396Y1 KR 2019940001211 U KR2019940001211 U KR 2019940001211U KR 19940001211 U KR19940001211 U KR 19940001211U KR 960000396 Y1 KR960000396 Y1 KR 960000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per arm
hook
upper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125U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동양기공 주식회사
선충호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공 주식회사, 선충호, 김인규 filed Critical 동양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1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396Y1/ko
Publication of KR950023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어댑터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어댑터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선단부가 결합돌기축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 - A 선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어댑터가 와이퍼 블레이드 프레임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아암어댑터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사이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이 결합되어지는 것을 나타낸 개략적인 상태의 결합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아암 어댑터가 와이퍼 블레이드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퍼 아암 어댑터 내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이 끼워진 상태의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용 와이퍼 브러시 2 : 와이퍼 프레임
3 : 훅크형 와이퍼 아암 3a : 훅크선단
3b : 절곡부 4 : 어댑터
5 : 상부몸체 6 : 하부몸체
7 : 만곡부 8 : 상부면
9, 9a : 측벽 10 : 구멍
11,11a : 종돌기 12 : 반원돌기
12a : 선단부 13 : 절개부
14 : 결합홈 15 : 리벳 결합부
16 : 내벽 17, 17a : 측벽
17b : 결합 돌기축 18 : 상부판
18a : 돌기부 18b : 내측 만곡부
19 : 하부판 20 : 공간부
21 : 체결부 22 : 전면유리
23 : 리벳 24 : 걸림턱
25 : 전면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프레임 유니트의 와이퍼 블레이드 프레임과 와이퍼 아암을 체결시키는데 사용되는 훅크형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개의 와이퍼 브러시만으로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닦아주도록 와이퍼 블레이드가 좌,우 및 상,하 이동하도록 된 와이퍼 브러시의 와이퍼 프레임에서 훅크형 와이퍼 아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훅크형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등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기 위해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닦아주는 와이퍼 브러시는 1쌍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인 바, 이렇게 1쌍으로 된 와이퍼 브러시는 대개 각각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l개의 포물곡선을 그리면서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프레임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개체인 어댑터가 와이퍼 아암의 좌,우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가로방향의 힘만을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였다. 즉, 와이퍼 아암이 와이퍼 프레임에 설치된 어댑터에 대해 세로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전면유리를 1개의 와이퍼 블레이드만으로 닦아주도록 된 와이퍼 브러시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에 대해 많은 면적을 닦아주도록 하기 위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1개의 포물선만을 그리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지 않고, 대개 곡률이 작은 포물선을 먼저 그린다음 다시 큰 곡류의 포물선을 그리면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와이퍼 아암이 1번 작동할 때 이 와이퍼 아암 선단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는 곡률이 서로 다른 2개의 포물선을 그리면서 이동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곡률이 작은 포물선을 그리는 동작의 완료지점에서 곡률이 큰 포물선을 그리기 시작할 때 와이퍼 아암이 와이퍼 블레이드를 수직방향 성분의 힘, 즉, 세로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수직 상승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시키는 매개체인 어댑터에 끼워진 와이퍼 아암의 후크선단이 어댑터로 부터 쉽게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어댑터에 끼워진 와이퍼 아암의 후크선단을 붙잡아 주기 위한 걸림고리와 같은 걸림수단이 구비된 어댑터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러한 종래의 어댑터는 후크선단을 붙잡아 주기 위한 걸림수단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가 없어서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한 구조에 있어서는 와이퍼 아암의 후크를 어댑터에 쉽게 끼우고 빼내기가 어려워 교체해야 하는 경우 등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와이퍼 프레임에 결합되어지는 훅크형 와이퍼 아암이 큰 곡률 반경의 포물선을 그리기 위한 동작과정에서, 와이퍼 프레임을 자동차 전면유리의 아래쪽에서 윗쪽방향으로 올리기 위해, 상기 와이퍼 아암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여도 와이퍼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훅크형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어댑터는 훅크형 와이퍼 아암의 훅크 선단부가 결합되어지는 상부몸체와 이 상부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면서, 상기 상부몸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몸체로 이루어져 상,하부 몸체를 벌린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의 훅크선단을 끼운다음 하부몸체를 상부몸체에 결합시키면 상기 하부몸체가 상부몸체에 끼워진 훅크부분을 견고하게 물어 잡을 뿐만 아니라, 와이퍼 아암의 훅크부 선단을 눌러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와이퍼 프레임에 결합된 와이퍼 아암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어댑터로 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차량용 와이퍼 브러시(1)를 구성하는 와이퍼 프레임(2)과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을 체결시키는 어댑터(4)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4)는 예시도면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몸체(5)의 윗쪽에는 선단이 만곡부(7)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면(8)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면(8)의 양쪽으로는 측벽(9)(9a)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9)(9a)의 후단에는 구멍(10)과 종돌기(11)(1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측벽(9)(9a)의 앞쪽에는 반원돌기(12)가 구비되어 있고, 그 중앙 모서리부에 절개부(13)가 갖추어지는 한편, 상기 절개부(13)의 아래쪽으로는 상기 양측벽(9)(9a)의 가로방향을 따라 결합홈(1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리벳 결합부(1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6)는 밑바닥쪽의 내벽(16) 양단에 양측벽(17)(17a)이 구비되어 있는 한편, 상기 양측벽(17)(17a)의 후단에는 결합돌기(17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벽(17)(17a)의 선단에는 상부판(18)과 하부판(19)으로 구분 형성된 체결부(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8)의 겉 표면에는 돌기부(18a)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6)에 구비된 결합돌기축(17b)이 상부몸체(5)의 구멍(10)에 결합되어져, 상기 상부몸체(5)에 대해 하부몸체(6)가 축 선회하여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5)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부선단(3a)이 결합되어진 후, 상기 하부 결합부재(6)에 구비된 체결부(2l)가 상부몸체(5)의 리벳결합부(1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 3 도에서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어댑터(4)의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가 결합돌기축(17b)을 중심으로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5)의 리벳결합부(15) 저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진 반원형의 결합홈(14)에 와이퍼 브러시(1)의 와이퍼 프레임(2)에 결합되어진 리벳(23)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홈(14)의 윗쪽에 구비된 절개부(13)에 의하여 결합홈(14)의 선단이 리벳(23)과 결합되어지는 순간 그 선단의 양쪽이 늘어났다가 결합홈(l4)내에 리벳(23)이 결합 완료되어지면 다시 원래대로 결합홈(14)의 양 선단이 축소되어져 결국, 상부몸체(5)의 결합홈(14)내에 졀합되어진 상기 와이퍼 프레임(2)의 리벳(23)은 결합홈(14)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14)의 양단이 상기 리벳(23)을 아래쪽에서 감싼 형태이므로 리벳(23)이 상기 결함홈(14)내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와이퍼 프레임(2)의 리벳(23)에 본 고안의 상부몸체(5)가 결합되어지게 되면, 상기 상부몸체(5)의 양 측벽(9)(9b)의 사이에 구비되어진 상부 면(8)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 선단(3a)은 절곡부(3b)를 중심으로 상기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후단쪽을 향한 걸고리 형상으로 이루이져 있으므로 예시도면 제 5 도와 같이 상기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을 본 고안의 상부면(8)에 걸쳐놓고 상기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절곡부(3b)가 상부몸체(5)의 선단부를 이루는 만곡부(7)와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부 선단(3a)은 상부몸체(5)의 상부면(8)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부몸체(5)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이 걸쳐지게 되면 본 고안의 특징부라 할 수 있는 하부몸체(6)가 그 후단에 결합된 결합돌기축(17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부선단(3a)과 절곡부(3b)를 전방쪽에서 감싸주게 되면서, 상기 상부몸체(5)와 결합되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가 결합되어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도면 제 2 도의 상태에서 하부몸체(6)의 체결부(21)에 구비된 하부판(19)을 상부몸체(5) 방향으로 밀어올리면, 본 고안의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를 축 설치한 결합돌기(17b)를 중심축으로 하여 하부몸체(6)가 윗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한편, 하부몸체(6)가 상승되면서 상기 하부몸체(6)의 상부판(18)과 내측만곡부(18b)의 양 모서리를 이루는 걸림턱(24)이 상기 상부몸체(5)의 리벳결합부(15)의 양 모서리를 이루는 선단부(12a)와 맞닿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하부몸체(6)의 체결부(21)와 상기 상부몸체(5)의 리벳결합부(15)를 서로 압지하면, 내측만곡부(18b)에 상기 상부몸체(5)의 선단부(12a)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진다.
이때, 상부몸체(5)의 선단부(12a)에 내측만곡부(18b)가 탄력적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은, 상기 내측만곡부(18b)의 반대측을 이루는 체결부(21)의 형상이 앎은 판상으로 상부판(18)과 하부판(19)으로 구성되고, 상기하부판(19)의 선단은 상기 양 측벽(17)의 전면(25)과 띨어져 있는 상태에서 공간부(20)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체결부(21)가 상기 리벳결합부(15)의 선단부(12a)와 결합되어질 때, 상기 체결부(21)가 탄력적으로 전방으로 팽창되어져 상기 선단부(12a)가 내측 만곡부(18b)에 삽입되어진다. 한편, 내측 만곡부(18b)와 상기 선단부(12a)가 결합 완료되어지면 상기 체결부(21)는 다시 결합되기 전의 형상으로 수축되어 상기 리벳 결합부(15)와 체결부(21)는 서로 긴밀하게 한 상태가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부몸체(5)에 결합되어진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은 예시도면 제 5 도와 같이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부 선단(3a)과 절곡부(3b)를 상기 하부몸체(6)가 그 주변과 바깥쪽으로 감싸고 있어,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이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내에서 절곡하게 결합되어진 상태가 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는 종래의 문제점인 예시도면 제 6 도와 같은 와이퍼 브러시(1)의 와이퍼 프레임(2)과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이 그 작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분리되어지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몸체(5)의 양측벽(9)(9a)에 반원돌기(12)와 종돌기(11)가 구비되어 있어 본 고안을 와이퍼 프레임(2)의 내벽과 결합시 상기 와이퍼 프레임(2)의 내벽면이 본 고안의 반원돌기(12)와 종돌기(11)에서만 밀착되어지게 함으로써 와이퍼 프레임(2)과의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윈도우 브러쉬의 작동과정에서 어댑터(4)와 와이퍼 프레임(2)의 내벽이 서로 마찰되어짐으로 인한 와이퍼 프레임(2)의 내벽에 도포된 페인팅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도 아울러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로 되어 있어, 상기 상부 몸체(5)의 상부면(8)에 결합되어진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절곡부(3b)와 훅크부 선단(3a)을 상기 상부몸체(5)와 결합돌기축(17b)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진 하부몸체(6)가 긴밀하게 감싸줌으로써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내에 삽입되어진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이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어댑터(4)와 결합된 와이퍼 프레임(2)에서 훅크형 와이퍼아암(3)이 분리되지 않아 1개의 와이퍼로써 자동차의 전면유리(22)를 닦아주도록 된 자동차용 와이퍼 브러시(1)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와이퍼 프레임(2)과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을 체결시키는 와이퍼 아암 어댑터(4)에 있어서,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로 나뉘어 결합돌기(17b)에 의해 서로 축선회할 수 있게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몸체(5)의 선단에는 절개부(13)와 결합홈(14)이 형성된 리벳 결합부(15)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몸체(6)에는 그 선단에 상부판(18)과 하부판(19)으로 공간부(20)를 이루도록 배열 구성된 체결부(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5)에 대해 하부몸체(6)가 축선회하여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5)에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부 선단(3a)이 결합되어진 후, 상기 하부몸체(6)에 구비된 체결부(21)가 상부몸체(5)의 리벳결합부(15)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몸체(5)와 하부몸체(6)내에 결합되어진 훅크형 와이퍼 아암(3)의 훅크부 선단(3a)이 이탈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KR2019940001211U 1994-01-22 1994-01-22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KR960000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211U KR960000396Y1 (ko) 1994-01-22 1994-01-22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211U KR960000396Y1 (ko) 1994-01-22 1994-01-22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25U KR950023125U (ko) 1995-08-21
KR960000396Y1 true KR960000396Y1 (ko) 1996-01-08

Family

ID=1937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211U KR960000396Y1 (ko) 1994-01-22 1994-01-22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3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125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0210C (en) Universal coupler for a beam blade windshield wiper assembly
US5497528A (en) Windshield wiper with slip joint for pivoting of arm assemblies
US9009909B2 (en) Windshield wiper
KR100617017B1 (ko) 와이퍼 커넥터 캡
MXPA04009085A (es)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con hoja plana y brazo de limpiaparabrisas.
EP1874597B1 (fr) Support de montage d'un balai d'essuie-glace a l'extremite d'un bras d'entrainement realise en deux parties
EP1964735B1 (en) Wiper blade
KR100633643B1 (ko) 러버 교체가 가능한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의 엔드 클립
KR100868798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JPH10278745A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シールドワイパ
KR960000396Y1 (ko) 차량용 와이퍼 아암 어댑터
KR200438836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US20230311815A1 (en) Rear beam arm and blade assembly
US9616854B2 (en) Mounting assembly for wiper blade and wiper arm
KR20080094204A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KR10070566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3874025A (en) Hinge arrangement for articulated windshield wiper blades
KR1008136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4963614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388628Y1 (ko) 와이퍼 커넥터 캡
US20210245713A1 (en) Wiper Device
JPH0318294Y2 (ko)
JPS5914298Y2 (ja) 自動車用ワイパ−装置
WO2017119853A1 (en) A connecting device for the vehicle wipers
KR100398439B1 (ko) 차량용 와이퍼의 블레이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