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19B1 -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 Google Patents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19B1
KR960000319B1 KR1019930009996A KR930009996A KR960000319B1 KR 960000319 B1 KR960000319 B1 KR 960000319B1 KR 1019930009996 A KR1019930009996 A KR 1019930009996A KR 930009996 A KR930009996 A KR 930009996A KR 960000319 B1 KR960000319 B1 KR 96000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astening piece
fastening
shaft
pow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784A (ko
Inventor
임수택
Original Assignee
임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택 filed Critical 임수택
Priority to KR101993000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319B1/ko
Publication of KR95000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절체 개폐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핸들과 입출력단의 접촉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절체 개폐기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써, (a)는 상부 입출력단이 접촉된 상태, (b)는 하부 입출력단이 접촉된 상태의 우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트립레버와 레버축의 작동을 보인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절축과 제1,2체결편의 작동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은 비상 전원 절체 계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시 자체의 발전기로 전환하거나 다시 전류가 들어올 경우 이를 절환하기 위한 비상전원 절체 개폐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사용하여 오고있는 전원 절체 개폐기는 수동 또는 특정한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정전시 자체의 발전기 또는 다른 동력원으로 절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원 절체 개폐기는 그 구성에 있어서 복잡하여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고,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자체 발전기에 의한 전력의 공급의 두가지 중에 반드시 한부분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양측의 전원을 끊은 상태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일측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을 만지면 전원이 타측으로 절환되어 오동작의 오려가 있었다. 이는 수동에 의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물론이거니와 절환 핸들이 특정 센서 및 회로에 의하여 자동으로 절환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신뢰성 있는 비상 전원 절체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한전 또는 자체 발전기로 전류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원 절체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측의 전원을 모두 끊을 수 있고, 일측에 연결된 후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 절체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기접속되는 2개 이상의 상하부 입출력단을 구비한 전원 절체 개폐장치에 있어서 ;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33)과; 상기캠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 이동하는 조절 레버(41)와; 상기 레버와 핀 결합되어 같이 상하 이동하는 수평 조정간(42)과; 상기 수평 조정간(42)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의 일측에 체결홈부(43a)를, 타단에는 돌기부(43b)를 구비하고 전원 절체 개폐장치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간의 하향이동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체결편과; 상기 수평 조정간(42)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의 일측에 체결홈부(44a)를, 타단에는 돌기부(44b)를 구비하고 전원 절체개폐장치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간의 하향이동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체결편과; 상기 제1체결편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입력단의 축을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상부 레버(45)와; 상기 제2체결편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 입력단의 축을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하부레버(46)와; 상기 제1체결편 또는 제2체결편의 체결홈부와 각각 상면 또는 하면에서 체결되는 체결 로울러(52)를 구비하고, 전원 절체 개폐장치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일방향으로 탄성지지된 트립용 레버(55)와; 상기 제1체결편 및 제2체결편의 돌기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서로 다른각을 구비한 반원형 홈(64, 65)을 구비한 조절축(6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절축의 조절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입출력단의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트립용 레버의 작동으로 전기적 접속상태를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의 설명에 앞서,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는 통상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면, 자체 발전기와 같은 다른 전력 공급 수단으로 연결하는 장치이다. 연결부위가 도시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입출력단(11, 12)와 하부 입출력단(21, 22)에 한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자체 발전기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각각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한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중단되면 수동 또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및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자체 발전기의 입출력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절체 개폐 장치는 조작 핸들(31)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33)과, 상기 캠(33)과 연동하고, 상부 또는 하부 입출력단을 구동하여 접점을 형성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정 어셈블리(40)와, 상기 어셈블리가 상하부 입출력단과 접촉된 상태에서 이를 유지하고 접점의 변화시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의 고정상태를 해체하기 위한 트립부분(50)과 상기 입출력 단자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조정 어셈블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절 레버부(60)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 절체 개폐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핸들(31)은 전원 절체 개폐기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핸들의 조작으로 이와 연동되는 캠(33)이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핸들(31)이 지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그 하부에 핀 연결된 이동간(34)이 움직이고(제2도의 화살표방향 참조), 이는 캠연결부재(35)와 역시 핀 연결되어 있어서 캠연결부재(35)가 제2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3도의 캠(33)은 측벽(103)의 외측에 위치하는 캠연결부재(35)와 연동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캠과 연결된 조정 어셈블리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조정 어셈블리(40)는 상부 또는 하부 입출력단의 일측이 접촉한 상태로 이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캠(33)과 핀 연결된 연결 레버(41)와, 상기 연결 레버(41)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도록 구성된 조정간(42)과, 상기 조정간의 양측 단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측(101)을 회동시키기 위한 상부 레버(45)와 연결되는 제1체결편(43)과, 하부축(102)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하부 레버(46)와 연결되는 제2체결편(44)으로 구성된다.
캠(33)과 연결된 연결레버(41)는 캠과 연동가능하게 핀 결합되어 있어서 캠(33)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그리고 연결레버(41)와 결합되어 같이 상하 이동하는 조정간(42)은 그 일측의 단부에 제1체결편(43)과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고, 타측의 단부에는 제2체결편(44)과 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왼쪽에는 하부입출력 단자의 단속을 위한 제2체결편(44)와 연결되고, 오른쪽에는 상부 입출력단의 단속을 위한 제1체결편(43)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체결편(43)과 제2체결편(44)는 각각 그 중심부에서 전원 절체 개폐기의 측벽(103)에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각각 그 양단부에는 상하부 입출력단과 접촉되었을때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술할 체결 로울러(52)와 맞물리기 위한 체결홈부(43a,44a)와 양 체결편의 하나만 유동하도록 하나의 체결편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돌기부(43b,44b)를 각각 구비한다.
제1체결편(43)의 체결홈부(43a)는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2체결편(44)의 체결홈부(44a)는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의 체결홈부가 체결로울러(52)와 상하부에서 체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체결홈부(43a,44a)와 돌기부(43b,44b)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체결편(43)과 제2체결편(44)은 그 일측 단부, 즉 체결홈부(43a,44a)가 성형된 단부에는 상부 입력력축(101) 및 하부 입출력축(102)과 연동하기 위한 상부 레버(45) 및 하부 레버(46)와 각각 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레버(45)는 상부 입출력축(101)과 연동하는 상부 입출력축 캠(47)과 핀결합되고, 하부 레버(46)는 하부 입출력축(102)과 연동하는 하부 입출력축 캠(48)과 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의 조정 어셈블리의 작동으로 상하부 입출력단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때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이러한 상태를 해체하기 위한 트립부분(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트립부분은 그 중심부에서 전원 절체 개폐 장치의 측벽에 일정간격 회전가능하게 핀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또는 하부 입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때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립 레버(55)는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핀(P)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51)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트립 레버(55)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체결편(43) 또는 제2체결편(44)의 체결홈부(43a 또는 44a)와 서로 맞물리는 체결 로울러(52)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5도 및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는 그 자체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간을 직접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전원 절체 개폐기의 중심부의 작동축(53)과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작동축(53)의 가운데에 작동간(54)를 장착하고, 상기 작동간(54)이 전원 절체 개폐장치의 전면부의 버튼(57)에 의하여 작동되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립부분의 작동간의 자동작동은, 예를 들어 상부 입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때 정전이 되는 경우에 이를 수동으로 작동시켜도 무방하지만 정전의 상태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도시없음)와 이러한 센서에 의하여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해체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구적 구성에 관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상기 핸들의 조작으로 상부 또는 하부 입출력단이 선택적으로 하나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절 레버부(6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절 레버부(60)는 전면의 버튼(63)(제5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레버(61)와(제5도 참조), 상기 레버(61)의 상하 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조절축(62)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축(62)은 조절레버(61)의 상하이동에 따라 일정간격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그 중심부에는 반원형 홈(64,65)이 2개 성형되어 있는데 상기 반원형 홈(64,65)은 서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다르게 성형되어 있다. (제6도 참조) 이러한 상기 반원형 홈(64,65)은 상기의 제1체결편(43) 또는 제2체결편(44)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하나만 허용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 레버(61)는 전면의 버튼(63)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중심부의 레버축(69)와 연동하게 설치하고, 상기 레버축(69)에는 작동간(67)을 설치하여 버튼(63)을 눌러서 레버축(69)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하여 조절 레버(61)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조절 레버(61)은 본 발명 장치의 측벽에서 항상 일방향으로 스프링(66)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부 입출력단(10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한전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통한다고 하고 이러한 상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한전의 전력 이상부 입출력단(11,12)이 연결부재(1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제4도(a) 참조] 이때 조절 레버(61)는 하방향으로 스프링(66)에 의하여 당겨져 있다. 이러한 상태를 설명하면, 핸들(31)을 시계방향으로 당기에 되면 이와 같이 연동하는 이동간(34)에 의하여 캠연결부재(35)가 회전하게 되고, 캠연결부재(35)와 연결된 캠(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4도의(a)화살표 참조)
그리고 핸들(31)은 항상 제2도에서와 같이 접혀져 있고, 한번 당기고 나서 놓으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된다. 이러한 것은 핸들의 축(32)에 스프링을 삽입하는 등의 공지의 구성으로 가능하다.
캠(33)의 일단부에 핀 연결된 연결레버(41)이 하부로 이동하고, 이와 연결된 조정간(42)이 같이 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되는데, 이때 제1체결편(43)은 상기 조정간(42)의 일측(도면상의 오른쪽)에서 조정간(42)과 핀 연결되어 있어서 제1체결편(43)은 중심부에서 측벽(103)과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점(10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체결편(43)의 오른쪽 단부에 성형된 돌기부(43b)는 조절축(62)의 반원형 홈(64)을 통과하기 때문에 제1체결편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나, 제2체결편(44)의 돌기부(44b)는 조절축(62)의 다른 반원형홈(65)의 하단모서리(65a)에 걸려서 제2체결편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는 것이다. (제6도 제4도의 (a) 참조)
상기 제1체결편(4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왼쪽 단부의 하단에 성형된 체결홈부(43a)가 체결로울러(52)의 상면에서 로울러(52)와 맞물려서 밑으로 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는 상부 입출력단(11,12)이 연결부재(1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제1체결편(43)의 일측단부, 즉 체결홈부(43a)가 성형된 왼쪽 단부는 상부 레버(45)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상부 레버(45)는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 입출력단 캠(47)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부 입출력축(10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는 연결부재(13)은 상부 입출력단(11,1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상태가 된다. (제2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정전이 되어 한전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자체 발전기와 같은 다른 전원과 연결되는데 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환이 가능하다. 먼저 수동으로 절환되는 것을 설명하면, 버튼(57)을 누르면(제5도) 작동간(54)이 이동하면서 작동축(5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작동축(53)과 연동하도록 구성된 트립용 레버(5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립용 레버(55)는 스프링(51)에 의하여 항상 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상태로, 상단부의 체결 로울러(52)와 제1체결편(43)의 체결홈부(43a)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제4도의 (a)상태) 트립용 레버(5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체결 로울러(52)는 상기 체결홈부(43a)와의 걸림 상태가 해체되어 상부측(10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입출력단(11,12)에서 연결부재(13)가 이격되어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 이외에 상부 입출력단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상기 작동축(53)의 작동간(54)이 움직이도록 구성하면 자동으로 상부 입출력단(11,12)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단락된 상태에서는 한전 또는 자체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모두 차단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체 발전기와 같은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하부 입출력단(21,22)을 연결부재(2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을 시켜야 하는바, 이때에는 전면에 설치된 버튼(63)을 누르면 이와 연설된 작동간(67)이 연동하고, 작동간(67)에 연결된 레버축(69)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레버축(69)이 회전하면 이와 연설된 레버축 캠(6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조절 레버(61)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이와 연동하는 조절축(62)이 일정간격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는 조절축에 성형된 반원형 홈(65)이 제2조절편(44)의 돌기부(44b)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동작을 규제하지 않도록 그대로 통과하는 방향으로 조절축(62)이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31)을 시계방향으로 당기에 되면, 캠연결부재(35)가 회전하게 되고, 연설된 캠(33)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캠(33)의 회전으로 조절레버(41)는 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조절 레버(41)와 연결된 조정간(42) 역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정간(42)과 오른쪽의 일단에서 핀결합된 제2체결편(44)이 측벽(103)에 핀결합된 중심부를 지지점(104)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왼쪽단부 즉, 체결홈부(44a)가 형성된 단부는 밑으로 이동하게 되며, 결국 체결로울러(52)의 하면에서 상기 로울러(52)와 맞물리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편(44)의 왼쪽 단부에 핀결합된 하부레버(46)는 제4도(b)의 화살표 방향과 같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입출력축(102)과 연결된 하부 입출력축 캠(4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따라서 하부입출력축(10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부재(23)에 의하여 하부입출력단(21,2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하부 입출력단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체결편(43)의 동작을 보면, 캠(33)의 회전시 조절 레버(41) 및 이와 연설된 조정간(42)가 내려오게 되고, 그러면 조절레버(42)와 도면상의 왼쪽에서 핀결합된 제1체결편(4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려고 하나, 제1체결편(43)의 오른쪽 단부에 성형된 돌기부(43b)가 반원형 홈(64)의 상단 모서리(65b)에 걸쳐서 더이상 내려오지 못하기 때문에 제1체결편(4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고, 제2체결편(44)만이 회전하여 체결홈부(44a)가 체결 로울러(52)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핸들의 조작과정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입출력단에 공급되는 전류가 중지되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상부 입출력단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해체하고, 하부 입출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외부의 회로와 연결시켜 놓고, 이를 작동시키면 상부 입출력단의 정전시 자동으로 하부 입출력단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이와 같은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입출력단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중지될 경우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환이 가능한 비상 전원 절체 개폐장치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여 대량 생산에 유리하며, 더욱 신뢰성 있는 전원절체 개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양측의 전력의 공급을 모두 중단할 수 있으며, 일단 한측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의 오작동으로 전원이 중단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핸들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기접속되는 2개 이상의 상하부 입출력 단을 구비한 전원 절체 개폐장치에 있어서, 핸들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캠(33)과 ; 상기 캠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하 이동하는 조절레버(41)와 ; 상기 레버와 핀 결합되어 같이 상하 이동하는 수평 조정간(42)과 ; 상기 수평 조정간(42)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의 일측에 체결홈부(43a)를 타단에는 돌기부(43b)을 구비하고 전원 절체 개폐장치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간의 하향이동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체결편과 ; 상기 수평 조정간(42)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의 일측에 체결홈부(44a)를, 타단에는 돌기부(44b)를 구비하고 전원 절체 개폐장치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조정간의 하향이동에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체결편과 ; 상기 제1체결편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 입력단의 축을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상부 레버(45)와 ; 상기 제2체결편의 일측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 입력단의 축을 회동시키도록 연결된 하부레버(46)와 ; 상기 제1체결편 또는 제2체결편의 체결홈부가 각각 상면 또는 하면에서 체결되는 체결 로울러(52)를 구비하고, 전원 절체 개폐장치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일방향으로 탄성지지된 트립용 레버(55)와 ; 상 기제1체결편 및 제2체결편의 돌기부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서로 다른각을 구비한 반원형 홈(64,65)을 구비한 조절축(6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 상기 조절축의 조절에 따라 상부 또는 하부 입출력단의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트립용 레버의 작동으로 전기적 접속 상태를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 전원 절체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용 레버는 전원 절체 개폐 장치의 양측벽에 끼워진 축과 연결되고, 상기 축은 전면의 버튼과 연동하며 상기 버튼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절체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축(62)은 전원 절체 개폐 장치의 양측벽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진 축과 연결되고, 상기 축은 전면의 버튼과 연동하여, 상기 버튼에 의하여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전원 절체 개폐 장치.
KR1019930009996A 1993-06-03 1993-06-03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KR96000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996A KR960000319B1 (ko) 1993-06-03 1993-06-03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996A KR960000319B1 (ko) 1993-06-03 1993-06-03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784A KR950001784A (ko) 1995-01-03
KR960000319B1 true KR960000319B1 (ko) 1996-01-04

Family

ID=1935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996A KR960000319B1 (ko) 1993-06-03 1993-06-03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3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784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252A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US7342474B2 (en)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be remotely operated
US4021678A (en) Automatic transfer switch
EP1039499B1 (en)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US7061349B2 (en) Circuit breaker configured to be remotely operated
JPH0215529A (ja) スイッチ
US4791250A (en) Trip-free, three-link switch assembly
US10418198B2 (en) Transfer switches with dual mechanism control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960000319B1 (ko) 비상 전원 절체 개폐기
CN213401054U (zh) 旋转开关的操作装置及旋转开关
CN115148558A (zh) 一种开关的操作机构
CA2129177C (en) Linear motor driven transfer switch assembly
EP0437553A1 (en) AUTOMATIC COORDINATION DEVICE FOR CONTROLLING AND PROTECTING ELECTRICAL EQUIPMENT.
JP3033725U (ja) オーバーヘッド・プロジェクタ用安全連動装置
CN101562082B (zh) 断路器互锁系统及方法
EP1093144A2 (en) Auxiliary position switch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CN201282086Y (zh) 一种开关设备的自由脱扣机构
CN1227699C (zh) 可耦连的保护开关装置
US5043687A (en) Adjustable walking beam interlock mechanism
CN216671436U (zh) 一种开关装置操作系统的快速分闸装置
CN100565750C (zh) 电器用的锁扣机构
CN211578682U (zh) 断路器
CN216212988U (zh) 一种开关装置操作系统的指示机构
CN211788786U (zh) 双电源投切负荷开关的机械联锁装置
CN215680586U (zh) 一种开关操作机构的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