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54Y1 -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 Google Patents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54Y1
KR960000154Y1 KR2019930031697U KR930031697U KR960000154Y1 KR 960000154 Y1 KR960000154 Y1 KR 960000154Y1 KR 2019930031697 U KR2019930031697 U KR 2019930031697U KR 930031697 U KR930031697 U KR 930031697U KR 960000154 Y1 KR960000154 Y1 KR 960000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relays
reset butt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819U (ko
Inventor
차남규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154Y1/ko
Publication of KR950021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제 1 도는 종래의 차단기 트립(Trip) 시퀀스의 예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판별유닛의 내부 시퀀스도 및 외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P1, P2 : 전원 플러스 단자 N : 전원 마이너스 단자
NFB : 주전원 스위치(No Fuse Braker) RST : 리셋버튼
TCB : 회로전력차단장치(T-type Circuit Braker)
PL : 전원램프 BZ : 부저(Buzzer)
11 내지 13 : 제 1 내지 제 3 입력단
R1 내지 R3, RR1 내지 RR3 : 릴레이 LR1내지 LR3 : 발광램프
본 고안은 임의의 트립 신호(Trip Signal)가 2개 이상 발생하는 설비의 최초 고장 신호 검출에 사용되는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임의의 트립 신호가 발생할 수 있는 고압 관넬에서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여 설비 트립이 발생할 때는 상기 설비 트립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요인에 의한 신호는 물론 상기 신호와의 연동 작동으로 인하여 여러개의 트립 신호가 거의 동시적으로 발생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신호가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되기는 하지만 실제로 설비 트립의 근본적인 원인 규명에 있어서는 원인이 되는 원초적인 트립 요인만이 중요성을 갖는 것이므로 부대적으로 점등되는 타 요인에 의한 신호는 원인 규명에 불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원초적인 요인에 의한 신호만을 별도로 점등시켜 설비 트립의 원인을 추적할 수 있는 장비의 필요성이 있었다.
종래에는 설비 이상을 일으킨 최초의 원초적 요인에 해당하는 릴레이나 접점을 검출할 수 있는 장비는 없었고 제 1 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비의 각종 릴레이(RL1 내지 RL12) 또는 접점들이 논리 OR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RL13 내지 RL16)나 접점(SW1 내지 SW4)을 제 1 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OR 적으로 연결하여 회로전력차단장치(TCB)에 입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릴레이나 접점들중 어느 하나라도 단락되면 상기 회로전력차단장치(TCB)가 작동되어 설비에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릴레이(RL1 내지 RL16)나 점점(SW1 내지 SW4)들은 서로 연동되는 경우가 많아서 상기 릴레이(RL1 내지 RL16)나 접점(SW1 내지 SW4)에 대응하는 신호 램프가 거의 동시적으로 점등되므로 최초로 이상이 발생한 릴레이나 접점을 발견하기가 불가능하여 정비요원, 운전요원의 입회하에 원인 규명을 위하여 설비를 반복적으로 재가동시켜가면서 다시 설비가 트립되는 현상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야 하므로 설비 훼손이 크며, 원인 규명을 명확히 하지 못하여 별도의 정비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초적 원인이 되는 이상 개소만을 검출할 수 있는 휴대용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을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검출부, 동작부 및 판별부로 구성하되, 상기 검출부의 전원 플러스 단자에는 다수개의 입력단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상기 입력단에 대응하는 릴레이의 코일에 연결하며, 상기 동작부의 전원 플러스 단자에는 리셋버튼을 통하여 릴레이의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상기 릴레이에 대응하는 릴레이 중 해당 릴레이를 제외한 릴레이의 제 2 접점을 직렬로 연결하며, 상기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의 제 2 접점의 마지막 접점과 리셋버튼을 거친 전원 플러스 단자 사이에는 상기 릴레이 중 해당 릴레이의 제 1 접점을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 중 해당 릴레이의 제 1 접점의 전원 플러스 단자 반대측에는 해당 릴레이의 코일을 연결하며, 상기 판별부에는 리셋버튼을 거친 진원 플러스 단자에 릴레이의 제 1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부저로 연결되며, 리셋버튼을 거치지 않은 전원 플러스 단자에 상기 릴레이의 제 1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발광램프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 (a)는 본 고안의 판별유닛의 내부 시퀀스도이고, 제 2 도 (b)는 외형도이다. 전원 플러스 단자(P)는 주전원 스위치(NFB)를 통하여 전원램프(PL)를 점등시키면서 전원 마이너스 단자(N)로 연결된다. 상기 주전원 스위치(NFB)를 거친 전원 플러스 단자(P)는 검출부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 플러스 단자 (P)에는 다수개의 입력단(11, 12, 13 등)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상기 입력단(11, 12, 13 등)에 대응하는 릴레이(Rl, R2, R3 등)의 코일에 연결한다.
동작부의 전원 플러스 단자(P)는 리셋버튼(RSR)을 통하여 릴레이(R1, R2, R3 등)의 점점의 일측을 연결한다. 상기 릴레이(R1, R2, R3 등)의 접점의 타측은 상기 릴레이(Rl, R2, R3 등)에 대응하는 릴레이(RRl, RR2, RR3 등) 중 해당 릴레이를 제외한 릴레이의 제 2 접점을 직렬로 연결한다. 상기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RRl, RR2, RR3 등)의 제 2 접점의 마지막 접점과 리셋버튼(RST)을 가진 전원 플러스 단자(P) 사이에는 상기 릴레이(RR1, RR2, RR3 등) 중 해당 릴레이의 제 1 점점을 연결한다. 상기 릴레이(RR1, RR2, RR3 등)중 해당 릴레이의 제 1 접점의 전원 플러스 단자(P) 반대측에는 상기 릴레이(RR1, RR2, RR3 등) 중 해당 릴레이의 코일을 연결한다.
판별부에는 리셋버튼(RST)을 거친 전원 플러스 단자(P)에 릴레이(RRl, RR2, RR3 등)의 제 1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부저(BZ)로 연결한다. 리셋버튼(RST)을 거치지 않은 전원 플러스 단자(P)에 상기 릴레이(RR1, RR2, RR3 등)의 제 1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발광램프(LR1, LR2, LR3 등)에 연결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출부의 입력단(11, 12, 13 등)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설비의 릴레이나 접점 등을 연결시킨 후 주전원 스위치(NFB)를 단락시켜 본 고안의 판별유닛을 기동시킨 상태에서 설비를 가동시킨다. 이때 리셋버튼(RST)은 단락된 상태이고, 릴레이(R1, R2, R3 등)는 개방된 상태이며, 릴레이(RR1, RR2, RR3 등)의 제 1 접점은 개방된 상태이고, 제 2 접점은 단락된 상태이다.
그 후 가동중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 1 입력단(11)에 최초 신호가 입력되였다고 가정하면, 검출부의 릴레이(Rl)의 코일이 가동되어 동작부의 릴레이(Rl) 접점이 단락되면서 릴레이(RRl)가 단락된다. 이때 최초의 신호이므로 릴레이(Rl)를 제외한 릴레이(R2, R3 등)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릴레이(RRl)를 제외한 릴레이(RR2, RR3 등)의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은 최초의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릴레이(RRl)의 단락에 의하여 판별부의 부저(BZ)가 울리면서 발광램프(LRl)가 점등된다. 이때 리셋버튼(RST)을 거친 전원 플러스 단자(P)와 릴레이(RRl) 코일 플러스측 사이의 릴레이(RRl)의 제 1 접점의 단락에 의하여 상기 부저(BZ) 및 발광램프(LRl)는 자기 보지되어 켜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상태에서 만일 제 2 입력단(12)이 단락되어 릴레이(R2)가 단락되더라도 릴레이(RRl)의 제 1 접점은 단락되고 제 2 접점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릴레이(RR2)의 코일이 가동되지 못하여 발광램프(LR2)는 점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최초의 원인 신호만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다시 시험을 할 때는 리셋버튼(RST)을 눌러 개방시켜서 릴레이(RRl)의 코일을 가동 중지시켜 부저(BZ) 및 발광램프(RLl)를 껐다가 상기 리셋버튼(RST)을 단락시키면 된다. 이때 최초 원인 신호인 상기 제 1 입력단(11)을 제외한 입력단(12, 13 등)만 접속시킨 상태에서 리셋버튼(RST)으로 다시 시험하면 두번째 원인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다시 이 신호를 제거하고 나머지만 접속시킨 상태에서 재시험하면 세번째 원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모든 원인 트립 신호간의 시간적 연관관계를 완전하고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원초적 원인만을 순서대로 검출할 수 있고, 휴대용으로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원거리나 고소 등의 작업장에 적용 가능하면 별도의 설비정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재가동하면서 설비를 테스트하는 빈도를 감소시켜 설비 보호 효과가 있는 등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생산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임의의 트립 신호가 2개 이상 발생하는 설비의 최초 고장 신호 검출에 사용되는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에 있어서, 검출부, 동작부 및 판별부로 구성하되, 상기 검출부의 전원 플러스 단자(P)에는 다수개의 입력단(11, 12, 13 등)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상기 입력단(11, 12, 13 등)에 대응하는 릴레이(R1, R2, R3등)의 코일에 연결하며, 상기 동작부의 전원 플러스 단자(P)에는 리셋버튼(RST)을 통하여 릴레이(R1, R2, R3 등)의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상기 릴레이(R1. R2, R3 등)에 대응하는 릴레이(RR1, RR2, RR3 등) 중 해당 릴레이를 제외한 릴레이의 제 2 접점을 직렬로 연결하며, 상기 직렬로 연결된 릴레이(RR1, RR2, RR3 등)의 제 2 접점의 마지막 접점과 리셋버튼(RST)을 거친 전원 플러스 단자(P) 사이에는 상기 릴레이(RR1, RR2, RR3 등) 중 해당 릴레이의 제 1 접점을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RRl. RR2, RR3 등) 중 해당 릴레이의 제 1 접점의 전원 플러스 단자(P) 반대측에는 해당 릴레이의 코일을 연결하며, 상기 판별부에는 리셋버튼(RST)을 거친 전원 플러스 단자(P)에 릴레이(RR1, RR2, RR3 등)의 제 1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타측은 부저(BZ)로 연결되며, 리셋버튼(RST)을 거치지 않은 전원 플러스 단자(P)에 상기 릴레이(RR1, RR2, RR3 등)의 제 1 접점의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은 발광램프(LR1, LR2, LR3 등)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 고장 신호 판별 유닛.
KR2019930031697U 1993-12-31 1993-12-31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KR960000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97U KR960000154Y1 (ko) 1993-12-31 1993-12-31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697U KR960000154Y1 (ko) 1993-12-31 1993-12-31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19U KR950021819U (ko) 1995-07-28
KR960000154Y1 true KR960000154Y1 (ko) 1996-01-04

Family

ID=1937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697U KR960000154Y1 (ko) 1993-12-31 1993-12-31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1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19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8907A (en) Desensitized ground fault interrupter
CA2555458C (en) Self testing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gfci) with end of life (eol) detection that rejects false eol information
CA2470988A1 (en) Self testing digital fault interrupter
US4447806A (en) Test circuit for electrical continuity of a load circuit
US4077056A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KR960000154Y1 (ko) 우선 고장 신호 판별유닛
US20080088992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 device
JPH1014082A (ja) 遮断器の操作回路
US5008655A (en) Visual alarm device interconnectable to existing monitoring circuitry
US2442771A (en) Testing device for electric tools and appliances
JPS573121A (en) Detection system for voltage lowering of memory protecting battery
US4496941A (en) Switch protection device
JPS5834373A (ja) リミツトスイツチの試験装置
JPH06290356A (ja) 誘導灯用信号装置および防災システム
KR100408875B1 (ko) 시퀀스 제어회로 개발장비의 단락사고 방지용 전원공급장치
JPH0361869A (ja) 回路断線判別方法
EP0054407B1 (en) Load current protection circuit
SU1332442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исправности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SU16442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контрол исправности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RU20095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контроля исправности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SU1018064A1 (ru) Выходной узел тестера дл контрол логических схем
JPS6323855Y2 (ko)
SU1628103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контрол исправности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JPH0227519Y2 (ko)
JPH05752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