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24B1 -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24B1
KR960000124B1 KR1019870003473A KR870003473A KR960000124B1 KR 960000124 B1 KR960000124 B1 KR 960000124B1 KR 1019870003473 A KR1019870003473 A KR 1019870003473A KR 870003473 A KR870003473 A KR 870003473A KR 960000124 B1 KR960000124 B1 KR 96000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assette
carriage
movabl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525A (ko
Inventor
와따루 노나까
에이이찌 히라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2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 G11B15/683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the cassettes being transferred to a fixed recorder or player using a moving carriage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의 상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2도의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3도의 장치에 포함된 수직 가이드 레일의 상단 단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확대, 분해된 투시도.
제5도는 수직 가이드 레일의 상단 단부, 및 장치의 고정된 상단 가이드 레일상에서 똑같이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확대, 절단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절단 상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선Ⅶ-Ⅶ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선Ⅷ-Ⅷ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9도는 제1도 내지 3도의 장치에 하단 고정된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수직 가이드 레일의 하단 단부를 장착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확대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절단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ⅩⅠ-ⅩⅠ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12도는 제1도 내지 3도에서 수직 가이드 레일의 상세 및 그위의 캐리지를 이동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상세를 도시하는 분해 투시도.
제13도는 제5도의 선ⅩⅢ-ⅩⅢ을 따라 취해진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전기적 제어 및 구동 신호가 큰 수평 거리에 걸쳐 카셋트 이송 장치의 운동중에 전송되는 신장되고, 유연한 전기적 접속 부재내 슬랙을 권취(take up)하기 위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장치에 제공된 메카니즘의 투시도.
제15a 및 15b도는 두개의 다른 극단 위치에서 제14도의 메카니즘을 서술하면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메카니즘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참조가 될 개략도.
제16도는 수직 가이드 레일의 후미의 수직 운동을 허용하는 동안 전기적 제어 신호가 캐리지에 공급되는 신장된 유연성 전기적 접속 부재에서 슬랙을 권취하기 위한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장치가 제공된 메카니즘의 절단 투시도.
제17a 및 17b도는 두개의 다른 극단 위치에서 제16도의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그리고 이러한 메카니즘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참조가 될 개략적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카셋트 저장 빈
3 : 비데오 테이프 카셋트 5, 12 : 가이드 레일 수단
6 : 캐리지 13 : 슬라이더 메카니즘
16, 60 : 플랜지 26 : 베어링
42, 65 : 가이드 롤러 48, 79 : 풀리
68 : 가이드 홈 73 : 샤프트
83 : 타이밍 벨트 87 : 벨트 클램프
126, 128 : 셧터판 127 : 감지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 즉, 다수의 재생 및 기록 기기 또는 VTR, 제각기 각종 카셋트 저장 빈(bin)내에 저장된 비데오 테이프 카셋트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를 예를 들어 방송국에 이용되어, 각종 비데오 테이프 카셋트가 자동적으로 연장시간에 대한 연속 비데오 재생 및 기록을 하도록 다수의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내에 선택적으로 순차 적재될 수 있다. 공지된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에 있어서, 각종 카셋트 저장 빈은, 스택 장치의 한 단부에서 배치된 다수의 VTR과, 저장 빈 및 VTR 사이에 선택적으로 카셋트를 수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카셋트 수송 기기에 따라, 상기 빈의 수택 장치내에 수직 및 수평적으로 배열된다. 직교 방향, 예를들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비교적 큰 스택 장치의 크기를 생각할 경우, 카셋트 수송 기기는 캐리지가 기록되는 선택된 한 저장 빈 VTR로부터 카셋트를 수납하고, 상기 VTR로 카셋트를 방출하기에 적합한 캐리지와, 한 직교방향, 예를들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동 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직 이동에 설치되는 캐리지를 가진 스택 장치의 높이만큼 큰 길이를 가질 경우, 상기 카셋트 수송기기는 다른 직교 방향, 즉 수평적으로 스택 장치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서 후자의 길이를 따라 연장한 고정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데, 슬라이더는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부착된다. 고정된 가이드 레일을 따른 슬라이더와,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을 따른 캐리지를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는 각종 카셋트 저장 빈 및 VTR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스택 장치가 차지하는 비교적 큰 공간 때문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상에 하부고정 가이드 레일을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이동 가능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 견고하게 접속될 시에 슬라이더가 상기 하부 고정가이드 레일에 관해 정지(jam)시킬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고정 가이드 레일을 정확히 평행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며, 어떤 경우에서는 불가능하다.
더우기, 종래 기술에 따른 전술된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에 있어서, 원거리를 통해 전기 제어신호 등을, 예를들어 상기 하부 고정 가이드 레일이 다수의 VTR이나 각종 카셋트 저장 빈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기록시키기 위해 비교적 큰 수직 및 수평 거리를 통해 이동될 시에 캐리지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런 목적으로, 유연하게 코일된 코드가 자동적으로 연장되어, 코일 코드 연장부에 따른 고정 종착지로부터나 콘센트로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수축되게 하기 위하여, 전기적 제어나 구동 신호를 이동가능한 캐리지 등으로 전송하기 위해 유연하게 코일된 전기적 코드를 사용하도록 제안되어 왔다. 선택적으로, 전기적 접속부재로서 유연한 플랫 탄성 케이블을 이용하여, 캐리지의 이동시에 인접한 구조물내의 케이블의 얽힘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부재로서의 리프 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플랫 케이블의 고유 탄성을 높이도록 고안되어 왔다. 전기 접속 부재의 다른 가능 장치에 따라, 적어도 케이블 길이부에 대해 케이블을 곧게 하지만, 캐리지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해 대략 180°까지 유연하게 회전하여 구부려질수 있는 탄성적인 관내에 삽입된 케이블 사용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 접속 부재의 스내깅 (snagging)을 제어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상기 기법은 모두 결함을 갖고 있다. 유연하게 코일된 전기 코드가 이용될 시에, 연장된 코드의 최대 길이는 그의 최소 또는 수축된 길이의 약 3배이다. 따라서, 완전히 수축되었을 시조차도, 유연한 코일 코드는 바라는 바 보다 더 넓은 공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유연한 플랫 탄성 케이블의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탄성도를 높이도록 케이블을 따라 설치된 리프 스프링 등과 함께 이용될시에, 또는 케이블이 탄성관내에 삽입될 시에, 불필요하게 큰 공간은 특히 캐리지의 이동이 크고, 케이블내의 급속한 구부림이 방지될 시에 상기와 같은 장치에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한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자동 교환기는 다수의 VTR, 제1 및 2직교 방향으로 배열되고, 카셋트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각각의 각종 카셋트 저장 빈 및, 카세트의 급속하고 부드러운 이동을 방해하거나 정지시킴없이 저장 빈과 VTR 사이의 원거리를 통해 선택적으로 수송하기 위한 카셋트 수송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기 제어 또는 구동 신호를 카셋트 수송 기기의 이동 가능한 소자로 전송하기 위한 소형히고 신뢰성 있는 장치를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에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견지에 따르면,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는 VTR과 같은 다수의 재생 및 기록 수단, 제1 및 2직교 방향, 예를들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고, 카셋트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각각의 각종 카셋트 저장 빈과, 상기 저장 빈 및 VTR 사이에 선택적으로 카셋트를 수송하기 위한 카셋트 수송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카셋트 수송 수단은 제1방향으로 연장한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 제1방향으로 상기 수단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상에 설치된 슬라이더 수단, 상기 슬라이더 수단을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구동 수단, 제2방향으로 연장한 이동가능 가이드 레일 수단,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 수단과 함께 이동하여 제1 및 2직교 방향을 포함한 평면내의 슬라이더 수단에 대해 선회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단을 슬라이더 수단에 선회 접속하는 접속수단, 제2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단상에 설치되어, 캐리지 수단이 레지스터되는 선택된 한 저장 빈이나 VTR로부터 카셋트를 수납하고, 그 내로 카셋트를 방출하기에 적합한 캐리지 수단과, 슬라이더 구동수단 및 캐리지 구동 수단을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캐리지 수단이 선택적인 한 저장 빈 및 VTR로 레지스터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캐리지를 구동시키기 위한 캐리지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는 다수의 VTR, 제1 및 2직교 방향으로 배열되어, 카셋트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각각의 각종 카셋트 저장 빈과, 상기 저장 빈 및 VTR 사이에 선택적으로 카셋트를 수송하기 위해 제1 및 2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카셋트 수송 수단을 포함한다.
전기적 제어의 고정 소스 또는 구동 신호로부터 카셋트 이송 수단으로 연장하면서 제1방향에서 후미의 운동을 허용하는 길이가 되는 신장된 유연성 전기적 접속 수단과, 전기적 접속 부재가 후미에서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연장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 둘레이 제1이동 가능 롤러 수단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제1이동 가능 롤러 수단을 장착하는 수단과, 제2롤러 수단의 축과 수직이면서 상기 제1방향과 양호하게 평행한 경로에서 상호적인 운동을 위해 장착된 제2이동 가능 롤러 수단과, 한 단부에서 카셋트 이송 수단에 접속되고 또 다른 단부에서 고정 앵커에 접속되면서 제1방향에서 카셋트 이송 수단의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경로에서 제2이동가능 롤러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유연성 기계적 접속의 단부들을 중개하는 제2이동가능 롤러 수단 주변에서 연장하는 제1신장된 유연성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 부재의 만곡부의 느즈러짐을 막기 위해 상기 경로에서 제2롤러 수단의 운동에 응답하여 제1방향에서 제1롤러 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이동가능 롤러 수단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2신장된 유연성 기계적 접속의 조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다수의 VTR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그 안에 카셋트를 저장하도록 각기 적응된 다수의 카셋트 저장 빈, 및 저장 빈과 VTR간에서 선택적으로 카셋트를 이송하기 위한 카세트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이송 수단은 수직으로 이격 분리된 수평으로 연장하는 상단 및 하단 고정 유도 레일과, 상단 및 하단 고정 유도 레일을 따라 각기 이동가능한 상단 및 하단 슬라이더 부재와, 고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단 및 하단 슬라이더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구동 수단과, 상단 및 하단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는 이동가능 가이드 레일 수단과, 후미를 따라 수직 운동을 위해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단에 장착되면서 카셋트를 수용하며 그리고 캐리지 수단이 등록되는 저장 빈 또는 VTR 중의 선택된 하나내로 카셋트를 방출하도록 적응되어진 캐리지 수단과, 상단 슬라이더 부재로부터 전기적 제어 신호를 후미에 공급하기 위한 캐리지 수단으로 연장하고,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캐리지 수단의 운동을 도모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신장된 유연성 전기적 접속 부재와, 후미의 만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연장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 아래의 이동가능한 롤러 수단, 및 이동 가능한 롤러 수단의 무게가 전기적 접속 부재내 슬랙을 권취하도록 작용하도록 중량의 영향하에 이동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운동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롤러 수단을 유도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대응 부품들이 여러 도면의 동작한 참조 번호로 다루어지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발명의 도식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다음 설명으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제1도 내지 3도의 상세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관련된 방향, 즉, 수평으로 연속하여 배열된 수직 스택에서 그안에 배열되어 비데오 테이프 카셋트(3)를 저장하도록 적응된 다수의 카셋트 저장 빈(2)을 갖는 직립한 사각형 하우징(1)을 구비하는 것이 도시된다. 더욱이 제2 및 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저장 빈(2)의 스택은 전면 및 후면뱅크 사이에서의 통로를 규정하도록 이격 분리된 전면 및 후면 뱅크(2A 및 2B)에 배열된다. VTR(4)과 같은, 다수의 기록 및 재생장치는 하우징(1)의 한 측면에서 다른것 상위의 하나가 수직으로 스택되며, 저장 빈(2)의 뱅크(2A 및 2B) 사이의 통로와 면하는 각 VTR(4)의 측면에서 카셋트를 수용 가능하게 되도록 소위 말하는 측면-로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가능 가이드 레일(5)은 저장 빈(2)의 전면 및 후면 뱅크(2A 및 2B) 사이의 통로에서 수직으로 연장하며, 이후 세부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1도에서 화살표 a 및 a' 방향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다. 카셋트 공급기 및 캐리지(6)는 이후 세부적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1도에서 화살표 b 및 b'로 표시된 방향에서 후미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5)에 장착된다.
상기 일반적으로 기술한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의 동작에 있어서, 선택된 카셋트(3)는 각각의 카셋트 저장 빈(2)으로부터 카셋트 공급기 또는 캐리지(6)에 의해 이동되어, 캐리지(6)가 VTR(4)의 선택된 하나의 측-로딩부 또는 개구와 레지스터되도록 수평적으로는 화살표 방향으로, 수직적으로는 화살표 b나 b'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때 이송된 카셋트(3)은 그러한 선택된 카셋트내의 테이프상의 신호를 재생하거나 기록하기 위하여 캐리지(6)로부터 선택된 VTR(4)내로 이송된다. 소망의 기록 또는 재생 동작이 선택된 VTR(4)내에서 실행된 후, 사용된 카셋트(3)는 카셋트 공급기나 캐리지(6)에 의해 이동되며, 그때 캐리지(6)는 저장 빈(2)으로 캐리지(6)를 복귀되어질 사용된 카셋트(3)내로 레지스터시키기 위해 수평적으로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수직적으로는 화살표 b 또는 b'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때, 복귀된 카셋트(3)는 캐리지가 레지스터되는 것과 함께, 캐리지(6)로부터 카셋트 저장 빈(2)으로 이송된다.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5a)에 대한 지지구조(10)는 하우징(1)의 실제적으로 수평인 상부(11)을 포함하며 그 하부에는 실제적으로 수평인 상부 가이드 레일(12)과, 화살표 a와 a'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 가이드 레일(12)상에 설치된 상부 슬라이더 메카니즘(13)의 적절하게 고착되어 있다.
특히, 제2도에 도시되는 수평 상부 가이드 레일(12)은 저장 빈(2)의 전면과 후면 뱅크(2A)와 (2B)사이의 통로상에 위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2)은 실제적으로 중앙 웨브(16)가 접속되어 있는 수평 웨브(12c)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마주하는 C형 부분(12a) 및 (12b)로 구성된다.
슬라이더 메카니즘(13)은 판(14)의 전면 및 후면부를 따라 상부로 방향 설정된 플랜지(17a) 및 (17b)를 갖는 수평판(14)을 포함한다.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롤러(15)는 각각의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해 플랜지(17a)와 (17b) 사이의 가운데의 판(14)의 반대측부상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12)의 플랜지(16)의 반대 측 표면과 밀폐 회전 맞물림되도록 위치된다. 두개의 내부 가이드 롤러(18a)와 두개의 외부 가이드 롤러(18b)는 플랜지(17a)의 후면을 향해 마주하는 측면과 플랜지(17b)의 전면을 향해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각 수평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플랜지(17a) 상의 롤러(18a)와 (18b)는 가이드 레일(12)의 부분(12a)에 의해 한정된 전방향 개방 수평 가이드 홈(19a)내로 연장하며, 반면, 플랜지(17b)상에 설치된 롤러(18a)와 (18b)는 유사하게, 가이드 레일(12)의 부분(12b)에 의해 한정된 후방향 개방 수평 가이드 홈(19b)내로 연장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롤러(18a)의 축은 가이드 롤러(18a)가 각각의 가이드 홈(19a) 및 (19b)의 하향으로 마주하는 상부 표면과 회전 접촉하도록 외부 롤러(18b)의 축보다 약간 더 높이 위치되며, 가이드 롤러(18b0는 각 가이드 홈(19a)와 (19b)의 상향으로 마주하는 하부 표면과 회전 접촉한다. 상기 기술한 이유로 인하여, 슬라이더 메카니즘(13)은 화살표 a 및 a'로 표시된 수평 방향으로 수평 상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도록 롤러(15),(18a) 및 (18b)에 의해 부드럽게 안내된다.
전면 및 후면 지지판(20)과 (21)(제4도 및 7도)은 수평판(14)의 전후단부에 접속되어, 볼트(22)로 후자에 고정된다. 이후 상세하게 기술되어질 수직 구동 메카니즘(23)은 지지판(21)의 후표면에 고정되며, 지지판(21)을 통하여 연장하는 구동축(25)을 가지며, 전면 지지판(20)에 의해 이송된 베어링(26)(제7도) 내의 전방향 단부에서 지지되는 기어형 모터(24)를 포함한다.
볼 베어링 형태일 수도 있는 한쌍의 베어링(30) 및 (31)(제7도)은 가이드 레일(5)을 형성하는 박스형 구조의 전후면 벽(28) 및 (29)의 내측 표면에서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5a)에 고정된다. 구동축(25)은 베어링(30)과 (31)내에 삽입되어,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5a)가 구동축(25)에 축방향으로 매달리게 하며, 수평 상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후자와 함께 이동시키기 위하고, 구동축(25)의 축에 대하여 슬라이더 메카니즘(13)에 관련한 축 이동을 위해 슬라이더 메카니즘(13)상에 설치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W를 갖는 스페이스 또는 클리어런스(34)가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상단부(5a)와 지지판(20) 및 (21) 사이에 각각 제공된다.
슬라이더 메카니즘(13)으로부터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서스펜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의 상단부(5a)는 지지판(20) 및 (21)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14)과 비접속될 때 구동축(25)상에 최초로 설치된다. 그러한 순간에, 지지판(20)과 (21)은 한쌍의 좌우 접속 로드(32)에 의해 상호 고착될 수 있다. 그후, 접속 로드(32)중 하나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2)가 지지판(20) 및 (21)을 고착시키기 위해 수평판(14)에 설치될때까지, 슬라이더 메카니즘(13)으로부터 수직 가이드 레일(5)를 일시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플레이트(14)의 하부표면에 고착된 후크 브랙케트(33)와 맞물린다.
제1도 및 제3도에 언급하면, 수직 가이드 레일(5)의 하단부(5b)에 대한 지지 메카니즘은 일반적으로, 하우징(1)을 따라 연장하는 하부판(38), 카셋트 저장 빈(2)의 뱅크(2A)와 (2B) 사이의 통로 아래에 위치한 하부면(38)의 상부 표면에 고착된 수평 하부 가이드 레일(39)와, 화살표 a와 a'의 방향으로 하부 수평가이드 레일(39)을 따라 이동가능한 하부 슬라이더 메카니즘(40)을 포함한다. 특히 제9도와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 가이드 레일(39)은 가이드 레일(39)을 따라 연장하는 수직적, 상향 리브(43)를 한정하기 위하여 인버트된 T형 횡단면 형태이며, 측면적으로 안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떨어져 슬라이더 메카니즘(40)의 수평판(41)과 접촉하는 두쌍의 전면 및 후면 가이드 롤러(42) 사이에 인입되며, 각각의 수직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가이드 롤러(42)는 가이드 레일(39)을 따라 슬라이더 메카니즘을 안내하는데 적합하지만, 가이드 레일(39)에 관련한 슬라이더 메카니즘(40)의 수직적 이동을 허용한다.
제9도 내지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적으로 스페이스된 플랜지 부재(44)는 가이드 레일(5)의 전면벽(28)으로부터 가이드 레일(5)의 하단부(56)로 전방으로 위치된다. 슬라이더 메카니즘(40)의 수평판(41)은 플랜지 부재(44)간에서 배면쪽으로 연장되어 수직 선회핀(45)에 의해 상기 부재에 선회식으로 접촉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39)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슬라이더 메카니즘(40)은 수직 가이드 레일(5)에 대하여 핀(45)의 수직축 주위에서 자유롭게 변위되어 상부 가이드 레일(12)의 중심 웨브(16)의 면과 평행인 면에서 가이드 레일(39)중 상향 돌출된 플랜지(43)의 어떠한 이탈에도 적합된다. 더욱이, 슬라이더 메카니즘(40)는 하부 가이드 레일(39)에 대해 수직으로 자유롭게 변위되므로, 가이드 레일(5)은 상부단에서 지지된 구동축(25)의 수평축 주위에서 스윙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5)의 하부 단부(5b)는 제10도상의 화살표 C 및 C'로 표시된 방향으로 변위가능해진다.
제12 및 13도에서 특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57)은 VTR(4)의 스택에서 떨어져 대향하는 카셋트 피더 또는 카트릿지(6)의 측면에 고정되며, 가이드 롤러(58)의 상부 및 하단쌍은 각각의 수평축 부근에서 회전하도록 판(57)상에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5)의 인접측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59)내에 속박된다. 카트릿지(6)를 갖는 가이드 레일(5)을 제조 및 어셈블리하기에 편리하도록, 직사각형부를 가지며 나사(134a)(제13도)에 의해 지지벽(134)에서 함께 고정되어진 두 부에서 형성되어 사전 언급된 정면 및 배면벽(28 및 29)과 이들 사이에서 연장된 측벽(50 및 51)을 한정하도록 가이드 상자형 구조의 레일(5)이 도시되어 있다. 정면 및 배면측(28 및 29)의 측부는 측멱(50 및 51)을 지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벽(50)의 외면과 정면 및 배면(28 및 29)의 돌출 측부의 대향 또는 내향면에 의해 상술된 가이드 홈(59)을 한정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측벽(51)의 외면과 정면 및 배면(28 및 29)의 돌출 측부 각각의 대향 또는 내향면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5)의 반대측에 동일한 가이드 홈(66)이 제공된다.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는 수직 리브(135a, 135b, 135c 및 135d)는 배면벽(29)에서 후향으로 연재되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수직 리브(135e, 135f, 135g 및 135h)는 정면법(28)에서 전향으로 연장된다. 리브(135a 및 135b)와 리브 (135e 및 135f) 각각 사이에 가이드 홈(62)이 한정된다. 플랜지(60)는 장착판(57)의 전향 및 후향 엣지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가이드 롤러쌍(61a 및 61b)이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플랜지(60)의 내면에 각각 장착되어, 수평축에 대해 회전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61a 및 61b)는 제5도에서 특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62)내로 연장되며, 가이드 롤러의 축은 가이드 롤러(61b)의 측에 대해 측방향으로 옵셋된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61a)는 수직 가이드 레일(5)의 한측에서는 리브(135a)와, 가이드 레일(5)의 반대측에서는 리브(135e)와 롤링 접촉을 하고 있으며, 이 가이드 롤러(61b)는 리브(135b) 또는 리브(135f)와 롤링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장착판 (57) 및 이 위에 놓여진 카셋트 피더 또는 카트릿지(6)는 수직 가이드 레일(5)을 따라 평탄하게 이동하여 수직방향, 즉, 가이드 레일(5)의 세로축을 따른 방향으로만 가이드 레일(5)에 상관하여 변위된다.
제10 및 1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셋트 피더 또는 카트릿지(6)에서 멀리 떨어진 수직 가이드 레일(5)측에 균형추(64)가 장착된다. 균형추(64)상에 상부 및 하부, 정면 및 배면 가이드 롤러(65)가 수평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가이드 레일 (5)의 측벽(51) 및, 측벽(51)을 지나 돌출하는 정면 및 배면벽(28 및 29)의 엣지부에 의해 한정되며 가이드 롤러(65)와 롤링 접촉하는 수직 가이드 홈(66)내로 연장되도록 위치된다. 균형추(64)는 수직 가이드 레일(5)의 리브(135h 및 135d) 각각을 지나 연장하는 정면 및 배면 플랜지(64a 및 64b)를 갖는다. 가이드롤러(67a 및 67)(제10 및 13도)의 상부 및 하부쌍은 플랜지(64a 및 64b)로부터 리브(135g 및 135h)와 리브(135c 및 135d) 각각 간에 한정된 가이드 홈(68)내로 연장된다. 제10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67a)의 수평 회전축은 가이드 롤러(67b)의 수평 회전축에 비해 소거리만큼 축방향 옵셋되어 가이드 롤러(67a)는 가이드 홈(68)의 한 측의 리브, 예를들어 제10도의 리브(135h)와 롤링 접촉하는 반면에, 가이드 롤러(67b)는 가이드 홈(68) 각각의 반대측의 리드(135g)와 롤링 접촉을 한다. 따라서, 또한 수직 가이드 레일(5)을 따라 화살표 b 및 b'방향으로 평탄하게 이동하도록 균형추(64)가 장착된다.
수직 가이드 레일(5)을 따라 화살표 b와 b'의 방향으로 카셋트 피더 또는 카트릿지(6)가 제어식 수직이동을 하도록 수직 구동 메카니즘(23)가 제공된다. 특히 제4도 및 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동 메카니즘(23)가 제공된다. 특히 제4도 및 7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구동 메카니즘(23)을 상기 모터(24) 이외에도, 모터축(23)에 고정되고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상부단부(5a)에서 측벽(50 및 51)내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u자형의 절결부(52)에 위치된 톱니형 구동 풀리(47)를 포함한다. 특히 제1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베어링형일 수 있는 베어링(53)이 가이드 레일(5)의 하부단에서 가이드 레일(5)의 정면 및 배면벽(28 및 29)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동축(54)이 이러한 베어링(53)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톱니형구동 풀리(48)가 구동축(54)에 고정되어 가이드 레일(5)의 측벽(50 및 51)의 하부에 형성된 u자형 절결부(55)에 수용된다. 타이밍 벨트(49)가 풀리(47 및 48)둘레에 연장되며, 가이드 레일(5)의 홈(59 및 66) 중심에는 풀리(47 및 48)간의 벨트(49)의 행정이 정해진다. 가이드 홈(59)내에서의 타이밍 벨트(49)의 행정은 클램프(63)에 의해 카셋트 피더 또는 카트릿지(6)의 장착판(57)에 고정되며, 균형추(64)도 동일하게 가이드 홈(66)내에서의 타이밍 벨트(49)의 행정에 고정된다.
화살표 a 및 a'의 수평 방향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5)을 이동시키는 수평 구동 메카니즘(71)이 제공된다.
제5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구동장치(71)는 적층된 VTR(4)로부터 떨어져 있는 하부판의 측면에 인접한 하우징(1)의 하부판(38)과 상부판(11)에 고정된 베어링(72)에 하단부 및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수직축을 포함한다. 치형 구동 풀리(74)는 축(73)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하부판(38)(제3도)상에 장착된 구동 모터(75)의 구동축상에 고정된 치형 구동 풀리(77)둘레에 연장된 타이밍 벨트(78)에 의해 결합된다. 한쌍의 상하 치형 구동 풀리(79,80)는 축(73)의 상하부 부분에 장치된다. 상하 치형 구동 풀리(81,82)(제1도 및 2도)는 VTR(4)의 적층부 부근의 프레임 또는 하우징(1)의 측면에 인접한 수직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판(11,38)상에 장착된다. 상부 타이밍 벨트(83)는 구동풀리(79)와 구동 풀리(81) 둘레를 따라 진행하며, 구동 풀리(81) 및 하부 타이밍 벨트(84)는 구동 풀리(80)와 구동 풀리(82) 둘레를 따라 진행한다. 치형 구동풀리(79,80)는 상부 및 하부 구동 동기수단(86)을 구성하는 분리가능한 마찰결합부(85)에 의해 축(73)에 적당히 고정된다. 바꾸어 말하자면, 상부 및 하부 구동풀리(79,80)의 회전 부분은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목적을 위해 서로 조정될 수 있다.
제7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클램프(87)는 상부 타이밍 벨트(83)의 주행을 상부 슬라이더장치(13)의 판(14)에 대해 고정시키며, 벨트 클램프(88)는 마찬가지로 하부 타이밍 벨트(84)의 주행을 하부슬라이더 장치(40)에 대해 고정시킨다. 카셋트 공급기 또는 캐리지(6)의 선택된 수직 및 수평이동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수직 구동장치(23) 및 수평 구동장치(7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모터(75)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은 치형 풀리(74,77) 및 타이밍 벨트(78)를 통해 적당히 구동된다. 상부 및 하부 구동 풀리(79,80)는 각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레일(12,39)을 따라 화살표 a 또는 a'방향으로 슬라이더 장치(13,4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타이밍 벨트(83,84)가 구동되도록 축(73)과 함께 회전이 된다. 축(25,45)에서 상부 및 하부 슬라이더 장치(13,40)에 연결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5)은 마찬가지로 화살표 a 또는 a' 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살표 a 또는 a' 방향으로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이동 즉 캐리지(6)의 이동은 하부 수평 가이드 레일(39)을 따라 고정된 적당한 감지기(127)에 의해 수직 가이드 레일(5)의 하단부로 감에 따라 셧터판(126)(제11도)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한될 수 있다.
구동 모터(24)의 순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구동 풀리(47)는 타이밍 벨트(49)를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되어 클램프(63)에 의해 벨트(49)의 주행로에 고정된 카셋트 공급기 또는 캐리지(6)가 화살표 b 또는 b'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5)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되게 된다. 동시에, 대응 중량부(64)가 캐리지(6)의 이동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5)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며 무게의 균형을 유지한다. 가이드 레일(5)을 따라 카셋트 공급기 또는 캐리지(6)의 수직 이동은 립(135f,135g) 사이에 형성된 홈(130)내에서 안내레일(5)의 전면벽(28)에 고정된 다수의 감지기(129a 내지 129e)(제5도 및 10도)에 의해 장착판(57)상의 한 플랜지에 고정된 셧터판(128)의 검출에 제한이 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5)의 상부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부 감지기 (129a, 129b, 129c)(제5도)는 캐리지(6)가 수직 이동의 상부 한계점 부근에 가까워질 때 셧터판 (128)에 의해 연속적으로 만나게 된다. 예를들어, 감지기(129a)에 의한 셧터(128)의 검출은 캐리지의 상부이동이 시작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반면 감지기 (129c)에 의한 셧터판의 검출은 캐리지(6)의 허용가능한 진행의 상부 한계점에 있다는 신호를 보내어 카셋트의 상부 이동을 일으키게 한다. 중간 감지기(129b)는 캐리지(6)의 수직 이동에 대한 이른바 "원점" 즉 여러개의 빈(2)에 대한 캐리지(6)의 위치 관계가 정해지는 지점을 설정하기 위해 셧터판(128)을 검출한다. 하부 감지기(129d,129e)(제10도)는 캐리지(6)의 하부 이동의 감속이 시작되어야 하며, 캐리지의 하부이동이 정지되어야 하는 각 지점을 표시하기 위해 셧터판(128)과 상호작용을 한다.
의도한 바와 같이 상술된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가 수백개의 카셋트를 빈(2)에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때, 상기 장치는 약간 커지게 되며, 캐리지(6)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보다 원거리까지 이동하여야 한다. 그래서, 수평 하부 및 상부 가이드 레일(39,12) 및 하우징(1)의 각 상부 및 하부판(11,38)은 길어지며, 서로 정확하게 평행이 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축(25)에서 슬라이더 장치(13)로부터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추축 지지에 의해 레일(12)이 약간 경사져서 이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장치(13)가 기울어지게 되었을 때에도 가이드 레일(5)은 후자가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 카셋트 공급기 또는 캐리지(6)가 빈(2)과 적당히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화살표 a 또는 a'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구동 동기수단(86)을 구성하는 분리가능한 마찰 결합부(85)에 의해 가능한 바와 같이 축(73)에서 서로에 대해 상부 및 하부 구동풀리(79,80)를 회전 조정하여 가이드 레일(5)은 슬라이더 장치(13)에 대해 제10도에서 화살표 c 또는 c'의 방향으로 축(25)의 추축에 대해 약간의 거리로 선회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레일이 정확히 평행하지 않을 경우 캐리지(6)가 여러 빈에서 적당하게 정렬이 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5)을 적당히 각도 조정하거나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대형 장치에서 여러개의 빈(2)과 캐리지(6)를 적당히 일치하도록 하기 위한 조정은 축(25)에서 상부 슬라이더 장치(13)에 수직 가이드 레일(5)을 추축 상태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하부 슬라이더 장치(40)가 하부 가이드 레일(39)에 대해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다. 그래서, 상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수직으로부터 가이드 레일(5)을 경사지게 하는 것은 가이드 레일(5)의 길이 방향으로 응력을 가하거나 또는 가이드 레일(12)상에서 슬라이더 부재(13)의 끼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없다.
또, 모터(24)의 샤프트(25)가 슬라이더 메카니즘(13)으로부터 가이드 레일 (5)을 추축으로 매달기 위해 사용되므로, 가이드 레일(5)의 추축 매달음은 간단하게 된다. 즉, 추축핀은 상기 목적만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 가이드 레일(5)과, 슬라이더 메카니즘(13)의 지지판(20) 및 (21) 사이의 갭 및 공간(34)에 의해 카셋트 피터 또는 캐리지(6)의 지지판(57)으로부터 뻗어있는 수직 플랜지(60)는 캐리지(6)의 수직 이동의 상부 한계치에서 상기 공간(34)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도 내지 3도 및 7도 내지 14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는 신장된 유연한 전기 접속부재(92)에서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기 위해, 평면 유연한 전기 케이블의 형태의 메카니즘(90)을 제공하여 수직 구동 메카니즘(23)의 구동 모터 (24) 및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에 전기 제어 신호 또는 구동 신호를 제공하며, 또 상술한 타입의 장치에서 나타나는 큰 수평 운동을 수용하도록 비교적 길이가 길게된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한 전기 접속 부재(92)는 고정된 전원(93, 제1도 및 3도)으로부터 하우징(1)의 측판(94)을 따라 상부로 가이드되며, 여기서, 전원은 적층된 VTR(4)로부터 떨어져서 하부내에 배치된다. 제7도 및 1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가이드 셀프(96)는 빈(2)의 후방 뱅크(2B)위에서 측방으로 뻗어있다. 전원 (93)으로부터 상부로 측판(94)을 따라 이동한 후에, 유연한 전기 접속 부재(92)는 휘어져서 셀프(96)를 따라 연장되며, 접속부재(92)의 종단(92a)은 구동 모터(24)의 상부에 제공되는 베이스 또는 리셉터클(95)에 접속된 전원(93)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전기 접속 부재(92)의 길이는 수평 가이드레일(12)을 따르는 상부 슬라이더 메카니즘(13)과 함께 모터(24)의 요구되는 전 이동범위를 허용한다. 물론, 슬라이더 메카니즘(13)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수직 가이드 레일(5) 및 수직 가이드 레일(5)상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카셋트 피더(6)는 슬라이더 메카니즘(13) 및 모터(24)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하, 모두 편리하게 이동가능한 부재(91)로 칭한다.
제14,15a 및 15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96)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전기 접속 부재(92)는 상부에서 회전하여 제1이동 가능한 롤러(97)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가능한 롤러(97)는 셀프(96)와 함께 롤링 접촉되는 신장된 종단 플랜지(97a)를 가진다. 이동가능한 롤러(97)로부터 뻗어있는 전기 접속 부재(92)의 부분(92b)은 전기 접속 부재에서 바이트를 형성한다. 한쌍의 평행 가이드 봉(99)은 셀프(96)상에 배치되며, 하우징(1)의 상부판(11)에 부착된 브래킷(98)의 대향종단에 지지되어 있어서, 셀프(96)상의 제1이동가능한 롤러(97)의 수평 롤링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는 대향종단부에 가이드 봉(99)을 수신하는 원주형 홈(100a)을 가지므로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는 롤러의 축에 수직인 통로 및 특히, 셀프(96)상의 제1이동가능한 롤러(97)의 이동 통로에 평행하는 수평 통로에서 가이드 봉(99)을 따라 롤링시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와이어(101) 형태인 신장되어 유연한 제1기계적 접속은 종단(101a)에서 모터(24)상의 베이스(95)에 접속되어 상부 슬라이더 메카니즘(13)에 접속되며, 반면에, 와이어(101)의 다른 종단(101b)은 고정된 브래킷(98)중의 하나인 고정된 앵커에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101)는 적합하게 고착된 브래킷(102a)에서 회전할 수 있는 풀리(102) 주위에서 베이스(95)에 접속된 종단 (101a)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와이어(101)는 브래킷(98a)의 종단(101b)에 앵커되기 전에 중간에서 가이드홈(100b)내의 가동 롤러(100)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신장되어 유연한, 예로서 와이어(107)의 형태인 제2기계적 접속부는 제1이동가능한 롤러(97)와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07)의 종단(107a)은 요크(103)에 접속되어 있으며, 롤러(97)는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으며, 반면에 와이어(107)의 다른 종단(107a)은 롤러(100)가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요크(104)에 접속되어 있다. 또, 종단을 조정하기 위해, 와이어(107)는 가이드 풀리(105) 및 (106) 주위에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풀리는 적절하게 장착된 고정 브래킷(105a) 및 (106)에서 회전할 수 있다. 텐숀 스프링(108)은 와이어(107)내에 배치되며 바이어싱력을 가하기 위해 초기에 스트레스를 받아서, 제1 및 제2이동가능한 롤러(97) 및 (100)가 제15a 및 15b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이드 셀프(96) 및 가이드 샤프트(99)를 따라 이동되게 한다. 전기 접속 부재 또는 평면 케이블(92)의 바이트는 롤러(97)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겨져서 케이블(92)에서의 슬랙을 방지한다. 고정 롤러(102) 및 이동가능한 롤러(100) 주위의 상부 슬라이더 메카니즘(13)과 상기 메카니즘과 함께 동작할 수 있는 부품인 이동가능한 부재(91)로부터 종단(101b)에서 고정된 앵커로 연장되어 있는 와이어(101)에 의해 기계적 접속이 제공되므로, 이동가능한 부재(91)가 화살표 a 또는 a'의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할 때,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는 화살표 a' 또는 a의 방향인 대향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한다.
이동가능한 부재(91)가 수평 구동 메카니즘(71)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거리 X만큼 이동할 때, 즉, 제15a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15b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할 때, 이동가능한 부재(91)에 접속된 와이어(101)의 종단(101a)도 역시 X만큼 이동한다. 그러나, 와이어(101)가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주위에서 연장되어, 즉, 바이트가 와이어(101)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거리 1/2 X만큼만 이동한다. 제2이동가능한 롤러(100)의 상기 이동에 응답하여, 외이어(107)는 제1이동가능한 롤러(97)를 화살표 방향으로 1/2 X만큼 당긴다. 예로서, 제15a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5B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된다. 전기 접속 부재 또는 케이블(92)이 이동가능한 롤러(97)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어서, 내부에 바이트가 형성되므로, 롤러(97)의 거리 1/2 X만큼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이동은 동일 방향의 이동가능한 부재(91)의 이동 즉, 거리 X만큼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량과 동일하다. 더우기, 제1 및 제2이동가능한 롤러(97,100)가 동일한 거리를 거쳐 이동하기 때문에, 선(107)에서 롤러(97,100)간에 끼워넣어진 스프링(108)이 소정의 장력을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이동 부재(91)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스프링(108)의 효과로 전기적인 접속 부재 또는 케이블(92)에 소정의 장력 T가 유지되고, 접속 부재(92)에서의 느슨함을 피하게 된다. 이동 부재(91)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가 매우 크더라도, 부재(91)가 움직이는 거리의 1/2인 거리를 따라 롤러(97,100)가 이동되기 때문에, 케이블(92)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총공간 및 느슨함을 피하기 위한 메카니즘(90)이 최소화된다. 더구나, 접속부재 또는 케이블(92)에 항상 소정의 장력 T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동 부재(91)의 이동으로 후자의 응답은 즉각적이며 실제적이다.
고정된 소스(93)에서 단자로 뻗거나, 구동 모터(24)상에 블록(95)을 접속하는 유연한 전기 접속 부재 또는 케이블은 물론 모터(24)의 전기 구동 및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에도 적합하다. 그러나, 캐리지(6)가 가이드 레일(5)상에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예를들어, 유연한 플랫 케이블의 형태로 부가적인 유연한 전기 접속 부재(112)는 카트릿지(6)의 동작에 필요한 상기 전기 구동 및 제어 신호를 또한 전달하는데 필요하다. 특히,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플랫 케이블(112)은 구동모터(24)의 하부에서 단자 또는 접속 블록(112a)으로부터 뻗으며, 가이드 레일(5)의 후벽(29)으로부터 돌출하는 수직 립(135b,135c)간에 위치된 가이드 홈(113)에서 수직 하향으로 뻗는다. 접속 블록(112a)에서 멀리 떨어진 유연한 플랫 케이블(112)의 종단부는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상에 적합한 단자 또는 접속 블록 (114)에 맞물린다. 물론, 캐리지(6)의 충분한 유효이동 범위가 가이드 레일(5)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하는데 플랫 케이블(112)의 길이는 충분하다. 캐리지(6)가 가이드 레일(5)을 따라 비교적 크게 이동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비데오 카셋트 자동 교환기는 모터(24)에서 접속 블록(112a)으로부터 캐리지(6)에서 접속 블록(114)으로 전기 제어 또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동안 상기 이동을 조정하는데 필요한 유연하게 연장되는 케이블에서 느슨함을 피하기 위해 메카니즘(111)을 구비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카니즘(111)은 유연한 플랫 케이블(112)가 루프되는 아래에, 가이드 레일(5)에서 수직 홈(113)을 따라 뻗고 가이드되는 반대쪽 단부에서 플랜지(115a)를 갖는 롤러(115)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가이드 레일(5) 내 홈 (113)은 롤러(115)를 위해 제1가이드 수단(121)을 형성한다. 롤러(115)를 위한 제2가이드 수단 (122)은 장착되어 회전하는 롤러(115)를 갖고, 수직 가이드 로드(118)를 수용하여 활주하는 선형 베어링(117)을 포함하는 요크(116)로 구성된다. 가이드 로드 (118)의 상단은 후자의 상단 및 하단 거의 중간의 가이드 레일(5)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119)에 단단히 잠겨있다. 가이드 로드(118)의 하단은 가이드 레일(5)의 하단부에 고정된 브래킷(120)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후자에서 느슨함을 피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112)의 바이트에서 롤러(115)의 무게 W가 작용하는 동안, 롤러(115)는 가이드 레일(5)의 하반부를 따라 수직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 롤러(115)의 수직 이동 동안, 롤러(115)의 측면 위치는 가이드 레일(5)의 뒤에서 홈(113)에 롤러(115)의 물림에 의해 보호되는 반면, 롤러(115)의 앞쪽 및 배후 위치는 선형 베어링(117)에 가이드 로드(118)의 맞물림에 의해 보호된다.
제17a도 및 1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들어, 제17a도상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7a도상에 도시된 위치로 거리 y를 거쳐 화살표 b'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가 이동될 때, 유연한 케이블(112)에 맞물리는 이동 롤러(115)는 캐리지(6)의 변위의 1/2인 거리인 y/2를 거치는 것을 제외하고 화살표 b'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모든 상기 시간에서, 캐리지(6)가 큰 수직 이동을 견디더라도,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비교적 작은 거리를 이동하는 롤러(115)와 무게 W에 의한 장력하에서 유연한 케이블(112)이 유지된다. 수직 이동 동안 이동 롤러(115)가 수직 가이드 홈(113) 및 수직 가이드 샤프트(118)에 의해 근접하게 가이드되기 때문에, 장치의 다른 구조나 동작 부재로 인한 이동부재(115)의 방해를 피하게 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셋트 수납 용기의 뱅크(2A,2B)는 수직 가이드 레일(5)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먼저 제12도 및 13도에 관해 서술된 바와 같이, 수직 가이드 레일(5)은 알루미늄으로부터 각각 편리하게 성형되어, 나사(134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두부분으로 양호하게 형성된다. 감지기(129a 내지 129e)가 편리하게 위치되는 홈(130)을 규정하기 위한것과 마찬가지로,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 카운터 무게(64) 및 이동 롤러(115)를 수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가이드 홈(59,62,66,68,113)을 규정하는 것같이 사전에 확인된 다양한 립은 가이드 레일(5) 부분의 성형동안 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수직 가이드 레일(5)은 쉽게 형성되어, 수형으로 다수의 역할을 한다. 수직 가이드 레일(5)의 두 구조 때문에, 구동 풀리(47)와 구동 풀리(48)가 후자의 조립에 그다지 어려움없이 가이드 레일(5)의 구조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바꿔말해서, 수직 가이드 레일(5)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샤프트(25,54)의 축을 지나(제7도 및 11도) 거리(11,12)만큼 뻗을 수 있고, 그 결과, 가이드 레일(5)을 따라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의 수직 이동 범위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소정의 길이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더우기, 가이드 레일(5)이 알루미늄으로 성형되면, 경량의 구조가 이루어지며,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를 위한 가이드 롤러(58,61a,61b,65,67a,67b) 및 카운터 무게(64)가 우레탄, 다른 적합한 합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때, 실제적으로 소음이 없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카셋트 피더 또는 캐리지(6)가 큰 수평 및 수직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허락하며, 그러한 이동은 부드럽게 실행되어 수축을 피할 수 있다. 더구나, 그러한 큰 수평 및 수직 이동중에, 전기 제어 및 구동 신호를 고정 소스로부터 장치의 여러 이동 소자, 예로, 모터(24) 및 캐리지(6)에 전송하는 전기 접속 부재 또는 케이블은 장치의 다른 구조에서 느슨함 및 얽힘 등을 없애기 위하여 선정된 장력하에 유지되어 있다.
본 발명이 특히 비데오 카셋트 자동-교환기에 대한 그것의 응용을 설명했을지라도, 본 발명은 테이프, 디스크 또는 등등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카셋트 또는 카트릿지를 피딩 또는 저장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므로, 본 발명이 상기 정밀한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으면,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사람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 수정 및 변화가 실행될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재생 및 기록 수단, 제1 및 2직교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카셋트를 내장하도록 각각 적합되어 있는 다수의 카셋트 저장 빈 및 상기 저장 빈과 상기 재생 및 기록 수단사이에 카셋트를 선택적으로 수송하는 카셋트 수송 수단을 구비하며, 카셋트를 선택적으로 공급 및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셋트 수송 수단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 ; 상기 제1방향으로 후부를 따라 이동을 위해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에 장착된 슬라이더 수단 ; 상기 공정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수단을 구동시키는 슬라이더 구동 수단 ;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식 가이드 레일 수단 ;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후부로 이동을 위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직교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내의 상기 슬라이더 수단에 관한 선회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 수단에, 상기 이동식 가이드 레일 수단을 선회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수단 ; 상기 제2방향으로 후부를 따라 이동을 위해 상기 이동식 가이드 레일 수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지 수단이 적재되는 상기 저장 빈 또는 상기 재생 및 기록 수단중 선택된 하나로부터 카셋트를 수신하고 그로부터 카셋트를 방출시키도록 적합되어 있는 캐리지 수단 ; 및 상기 슬라이더 구동 수단과, 상기 캐리지 구동 수단의 결합 선택 동작에 의해서 상기 캐리지 수단이 저장 빈 및 재생 및 기록 수단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함께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가이드 레일 수단을 따라 상기 캐리지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KR1019870003473A 1986-04-12 1987-04-11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KR960000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84674A JPS62241168A (ja) 1986-04-12 1986-04-12 カセツト移送装置
JP61-84674 1986-04-12
JP84674 1986-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525A KR870010525A (ko) 1987-11-30
KR960000124B1 true KR960000124B1 (ko) 1996-01-03

Family

ID=1383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473A KR960000124B1 (ko) 1986-04-12 1987-04-11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37647A (ko)
EP (2) EP0480481B1 (ko)
JP (1) JPS62241168A (ko)
KR (1) KR960000124B1 (ko)
AT (2) ATE143166T1 (ko)
AU (1) AU598804B2 (ko)
CA (1) CA1287683C (ko)
DE (2) DE37868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25987B2 (en) * 1987-08-18 1992-07-23 Sony Corporation Automatic cassette changer
US4910619A (en) * 1987-09-16 1990-03-20 Sony Corporation Automatic changing system for cassette-type mediums
US5388946A (en) * 1988-01-20 1995-02-14 Grau Gmbh & Co.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mated archiving and retrieval of computer data storage cassettes
DE3837495C2 (de) * 1988-11-04 1994-06-01 Tetra Pak Gmbh Stapelbare Fließmittelpackung mit Öffnungseinrichtung
US5003417A (en) * 1988-12-16 1991-03-26 Datatape Incorporated Spring dampener assembly for a sprocket driven belt drive system
JPH05128675A (ja) * 1991-11-05 1993-05-25 Sony Corp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JP2960295B2 (ja) 1993-11-01 1999-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交換機構
US5544146B1 (en) * 1994-08-24 1998-03-03 Hewlett Packard Co Cartridge handling system
US5996741A (en) * 1998-01-26 1999-12-07 Hewlett-Packard Company Pin-in-track lift system
US6025972A (en) 1998-03-20 2000-02-15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lane translating cartridge handling system
US6643226B1 (en) 1998-10-27 2003-11-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il slot data cartridge exchange system for use with a data storage system
WO2000028537A1 (de) * 1998-11-11 2000-05-18 Nsm Jukebox Gmbh Wiedergabe- und/oder aufzeichnungsgerät für platten
US6813113B1 (en) 1999-02-25 2004-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cartridge import/export drawer having three-element, two-configuration slide
US6231291B1 (en) 1999-03-18 2001-05-15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data cartridges in a jukebox data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6258A (en) * 1955-06-14 1972-02-29 Jerome H Lemelson Computing apparatus
US3268097A (en) * 1963-12-10 1966-08-23 Euclid Crane And Hoist Company Stacker crane
US3536194A (en) * 1967-02-27 1970-10-27 Mosler Safe Co Document retrieval and handling system
US3690479A (en) * 1969-11-03 1972-09-12 Supreme Equip & Syst Automatic search and retrieval system
US3854604A (en) * 1972-11-08 1974-12-17 Ibm Article storage and retrieval
AU518495B2 (en) * 1976-07-16 1981-10-01 Consolidated Electronic Industries Pty. Ltd. Automatic tape cartridge selection, handling and replay apparatus
JPS5619551A (en) * 1979-07-27 1981-02-24 Motoda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reproducing unit of video
JPS5680848A (en) * 1979-12-04 1981-07-02 Motoda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video reproducer
FR2524432B1 (fr) * 1982-04-02 1987-04-30 Maatel Dispositif et procede pour le rangement et/ou la mise a disposition d'objets
JPH0828020B2 (ja) * 1984-02-28 1996-03-21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自動装填装置
US4654727B1 (en) * 1985-04-08 2000-01-25 Odetics Inc Videocassette handling and sequencing system
US4820109A (en) * 1986-04-11 1989-04-11 Ampex Corporation Bidirectional transfer mechanism
DE3790202T (ko) * 1986-04-11 1988-03-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2144A2 (en) 1987-10-21
KR870010525A (ko) 1987-11-30
EP0480481A3 (ko) 1995-01-18
US4837647A (en) 1989-06-06
EP0480481B1 (en) 1996-09-18
JPS62241168A (ja) 1987-10-21
AU598804B2 (en) 1990-07-05
DE3786821D1 (de) 1993-09-09
ATE143166T1 (de) 1996-10-15
CA1287683C (en) 1991-08-13
EP0480481A2 (en) 1992-04-15
EP0242144A3 (en) 1989-08-30
AU7100787A (en) 1987-10-15
DE3751913D1 (de) 1996-10-24
ATE92666T1 (de) 1993-08-15
EP0242144B1 (en) 1993-08-04
DE3751913T2 (de) 1997-02-20
DE3786821T2 (de) 199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124B1 (ko) 카셋트 공급 및 재생 장치
KR960009228B1 (ko) 정보기억정형품의 출입반송장치
US5450254A (en) Automatic cassette changer
CA1220550A (en) Magnetic tape recording device
EP0187024B1 (en) Tape-draw out mechanism
US4322761A (en) Tape guide in a helical scan cassette recorder
US43309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flexible belt-shaped recording medium
US6267313B1 (en) Wide tape cartridge
JP2571513Y2 (ja) ベルト駆動式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361041B2 (ja) ライブラリ装置用カートリッジ移送ロボットおよびライブラリ装置
JPS6350333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025959A (en) Recorder-reproducer system
US4263628A (en) Magnetic transducing tape transport system
US4985788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736351B2 (en) Tape guide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A1305554C (en) Video cassette auto-changer
JPH0731398Y2 (ja) 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ャー
US4537367A (en) High speed bidirectional magnetic tape transport with constant tension
JPH0782691B2 (ja) カセツト移送装置
JPH0749651Y2 (ja) 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H0743797Y2 (ja) 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ャー
JP2941710B2 (ja) 磁気記録/再生器のリールテーブル移動機構
EP0336503A1 (en) Magnetic-tape apparatus comprising a threading mechanism for the displacement of a magnetic tape and a belt so as to form tape buffers
JP2537063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SU1531145A1 (ru) Лентопрот жный механиз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