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13B1 -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 Google Patents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13B1
KR960000113B1 KR1019910001762A KR910001762A KR960000113B1 KR 960000113 B1 KR960000113 B1 KR 960000113B1 KR 1019910001762 A KR1019910001762 A KR 1019910001762A KR 910001762 A KR910001762 A KR 910001762A KR 960000113 B1 KR960000113 B1 KR 96000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link
face
plate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333A (ko
Inventor
타다오 사또
요시아끼 헤미
료우조오 마쭈모또
신 사사끼
나오유끼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닛뽕세끼유가가꾸 가부시기가이사
가다야마 유다까
야마가와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야마가와 노보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세끼유가가꾸 가부시기가이사, 가다야마 유다까, 야마가와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야마가와 노보루 filed Critical 닛뽕세끼유가가꾸 가부시기가이사
Priority to KR101991000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113B1/ko
Publication of KR92001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푸시풀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를 신장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오크리프트의 전체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의 실린더부분을 표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 링크기구를 단축한 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의 각도조정수단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의 편심축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 페이스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있는 모양을 표시한 측면도.
제9도(a) 및 (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푸시풀장치의 다른 예의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나사 32 : 마스트
33 : 승강체 34 : 프레임
35 : 지지부재 36 : 시이트 팰리트
38 : 하물 40 : 플래이튼
41 : 포오크 42 : 진퇴기구(링크기구)
44 : 베이스단부 46 : 선단부
47 : 페이스기구 48 : 페이스부재(페이스플레이트)
98 : 그립기구 206 : 걸림부재
333 : 편심축 334 : 축
337 : 추축 339 : 슬라이더
본 발명은, 시이트 팰리트 등에 얹어 놓은 하물을 플래튼 위에 적재운반하여 하물쌓기, 하물내리기를 행하는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쪽에 고정된 마스트에 승강체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승강체에는 하물적재용 플래튼이 장착되어 있다. 또, 승강체에는 예를들면 팬터그래프식 등의 신축기구가 장착되고, 또 이 신축기구의 선단부에는 하물의 쌓아올리기, 실어내리기를 행하기 위한 페이스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또, 페이스부재에는 시이트 팰리트를 클램프하기 위한 그립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하물은 시이트 팰리트 위에 얹어 놓게 된다. 그립기구에 의해 이 시이트 팰리트를 클램프하여 신축기구에 의해 단축해서 플래튼 위에 인양한다. 하물은 운반한 후, 신축기구를 신축시키므로서 하물을 밀어내어 플래튼에서부터 내린다.
종래의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는, 페이스부재의 위치는 플래튼 위의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어 있다. 또 페이스부재의 하물밀어내기면은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물의 종류, 형상, 중량 등에 따라서 밀어내기면의 각도나 그립기구의 위치를 최적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의거하여 이룩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짐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바로 작업성 및 원가절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한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오크리프트의 마스트에 승강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에 하물을 얹어 놓기 위한 플래튼을 가진 승강체와, 이 승강체에 지지되는 베이스단부 및 베이스단부에 대해서 진퇴하는 선단부를 가진 진퇴기구와, 이 진퇴기구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하물을 백업하는 페이스부재를 구비하는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재의 상기 플래튼에 대한 높이위치 및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정수단은, 상기 진퇴기구의 베이스단부의 제1의 위치를 회동지지하는 제1의 지지수단과, 상기 베이스단부의 제1의 위치로부터 이간된 제2의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의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해 제2의 위치를 변위시키므로서 상기 페이스부재를 제1의 위치를 중심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물의 종류에 따라서 페이스부재의 높이위치 및 경사각도를 조정한다. 이경우, 예를들면 페이스부재의 높이위치 및 경사각도는 신축기구의 베이스단부의 경사각도를 변경시키므로서 행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푸시풀장치를 적용한 포오크리프트의 전체구성의 개략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32)는 포오크리프트링크의 마스트를 표시하고 있다. 이 마스트(32)에는 걸림부재(206)을 개재해서 승강체(33)이 지지되어 있다. 승강체(33)은, 도시하지 않은 승강기구에 의해서, 마스트(32)에 대해서 승강작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승강체(33)은, 하부에 포오크(41)을 가진 지지부재(35)와, 이 지지부재(35)의 하부에 있는 포오크(41)에 고정되어, 시이트 팰리트(36)에 적재된 하물(38)을 시이트팰리트(36)과 함께 얹어 놓는 플래튼(40)을 가지고 있다. 또 지지부재(35)에는, 이 지지부재(35)에 대해서 실린더(208)(제3도)에 의해서 승강작동가능하게 프레임(34)가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34)에는 링크기구(42)의 선단부(46)(제1도 참조)에는 하물을 백업하기 위한 페이스기구(47)이 장착되어 있다.
이 페이스기구(47)은, 링크기구(42)의 선단부(46)에 지지된 페이스플레이트(페이스부재)(48)을 가지고 있다. 이 페이스플레이트(48)은, 링크기구(42)의 단축시에는 도면중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위치되고, 링크기구(42)의 신장시에는 도면중 가상선에 의해서 표시된 위치에 위치한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의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도는 링크기구를, 제3도는 실린더기구를, 각각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제4도는 페이스플레이트(48)을 베이스단부(44)의 쪽으로 후퇴시킨 상태를 표시한다.
이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승강체(33)은, 상부걸림기구(202) 및 하부걸림기구(204)에 의해 걸림부재(206)에 걸려 있게 되고, 걸림부재(206)은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승강기구에 의해 마스트(32)(제2도)에 대해서 승강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체(33)은, 하부에 포오크(41)을 가지고 걸림부재(206)에 걸려 있는 지지부재(35)와, 이 지지부재(35)의 포오크(41)에 고정된 플래튼(40)을 가지고 있다. 이 지지부재(35)에는, 이 지지부재(35)에 대해서 실린더(208)(제3도)에 의해서 승강작동가능하게 프레임(34)가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34)에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제1의 안내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의 안내홈에는 제1의 슬라이더(339)(제6,7도)가 안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슬라이더(339)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페이스부재(48)의 위치조정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링크기구(42)의 베이스단부(44)는, 프레임(34)의 하단부 근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의 축(334)와 제1의 슬라이더(339)(제6,7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의 축(337)을 가지고 있다. 제1의 축(334)에는 1쌍의 제1의 링크(58)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또, 제2의 축(337)에는 이에 편심하여, 제6,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333)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편심축(333)에는 1쌍의 제2의 링크(6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부재등에 의해서, 진퇴기구의 베이스단부의 제1의 위치를 회동지지하는 제1의 지지수단이 형성된다. 편심축(333) 및 이 편심축(333)에 링크(6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부재등에 의해서, 제2의 지지수단이 형성된다.
제2의 링크(60)의 중도부는 제3의 축(6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1의 링크(58)의 중도부는, 제2의 링크(60)과 교차하는 상태의 제3의 축(6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4의 링크(70)의 중도부는 제6의 축(72)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제3의 링크(66)의 중도부는, 제4의 링크(70)가 교차하는 상태의 제6의 축(7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3의 링크(66)의 타단부에는, 제7의 축(74)가 고정되고, 제4의 링크(70)의 타단부에는 제8의 축(76)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7과 제8의 축(74), (76)에 의해서 링크기구(42)의 선단부(46)이 구성되어 있다.
(82)는 도시하지 않는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이다. 이 도시하지 않는 실린더는, 도시하지 않는 링크의 일단부의 회동가능한 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링크의 타단부는 프레임(34)의 하단부의 제1의 축(334)에 고정되어 있다. 또, 피스톤로드(82)는, 제3의 축(62)에 고정된 제5의 링크(84)에 제9의 축(86)을 개재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피스톤로드(82)를 작동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링크기구(42)가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페이스플레이트(48)에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제2의 안내홈(8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의 안내홈(88)에는 제2의 슬라이더(92)가 안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의 슬라이더(92)에는 제8의 축(76)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제7의 축(74)는 페이스플레이트(48)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페이스플레이트(48)은 하물의 쌓아올리기, 실어내리기를 원활하게 행하기 위하여 소정각도θ만큼 수직면에 대해서 경사지고 있다. 이 각도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정가능하다.
제1,3,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페이스 기구(47)(제2도)의 페이스플레이트 (48)에는 시이트 팰리트(36)을 그립하기 위한 그립기구(9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그립기구(98)은, 페이스플레이트(48)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1의 그립플레이트(100)과, 페이스플레이트(48)에 장착된 실린더(210)과, 이 실린더(210)의 피스톤로드에 연결되는 제2의 그립플레이트(106)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실린더(210)을 작동시키므로서 제1과 제2의 그립플레이트(100), (106) 사이에 시이트 팰리트(36)을 클램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기구의 베이스단부(44) 즉 프레임(34)에는, 시이트 팰리트를 플래튼(40) 위에 누르기 위한 누름부재(22)가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208)을 작동시키므로서, 링크기구(42), 페이스플레이트(48), 누름부재(22), 및 그립기구(98)을, 플래튼 (40)을 고정한 지지부재(35)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 (208)을 작동시켜, 누름부재(22)를 플래튼(40)에 대해서 승강작동시키므로서, 시이트 팰리트의 일단부를 플래튼(40) 위로 누르거나, 개방하거나 할 수 있다.
시이트 팰리트에 얹어 놓은 하물을 운반하는 경우는, 먼저, 링크기구(42)를 신장하여, 이에 의해 페이스 플레이트(48)을 전진시킨다. 이어서, 시이트 팰리트의 일단부를 링크기구(98)의 그립플레이트(100), (106) 사이에 클램프하므로서 시이트 팰리트를 그립한다. 이 상태에서 페이스플레이트(48)을 후퇴시킨다.
이에 의해서, 하물은 시이트 팰리트와 함께 플래튼(40) 위에 인양된다. 이 상태에서 하물을 운반한다. 운반한 하물을 내리는 경우는 먼저, 실린더(208)을 작동시키므로서, 링크기구(42), 페이스플레이트(48), 누름부재(22) 및 링크기구(98)을 일체적으로 상승시켜, 이와 동시에 실린더(210)을 작동시키므로서, 시이트 팰리트의 그립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서, 링크기구(98)의 그립플레이트(100), (106) 사이에 위치하고 있던 시이트 팰리트의 일단부는, 누름부재(22)와 플래튼(40)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실린더(208)을 작동시켜, 링크기구(42), 페이스플레이트(48), 누름부재(22) 및 그립기구(98)을 일체적으로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서, 시이트 팰리트는 누름부재(22)에 의해서 플래튼(40) 위에 눌려진다. 이어서, 링크기구(42)를 신장하여 페이스플레이트(48)을 전진시켜서, 하물만을 밀어낸다. 이에 의해서, 시이트 팰리트가 회수된다.
제5도는, 제1,3,4도의 푸시풀장치의 평면도이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포오크(41a), (41b)의 각각에 대해서 하물탑재용 플래튼(40a),(40b)를 나사고정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서 고정한다. (16)은 나사고정한 나사 및 나사구멍을 표시한다. 프랠튼(40a), (40b)의 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구멍(16)에 병렬해서 별도의 위치에 나사고정용의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푸시풀장치에 있어서의 페이스기구의 하물밀어내기면의 각도조정기구(및 페이스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에 대해서, 제1도,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6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7도는 그 부분확대도이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ㄷ자형 단면의 채널구조를 가진 프레임(34)의 내부에 슬라이더(339)가 장착된다. 이 슬라이더(339)에는 제2의 링크부재(60)의 추축(337)이 장착된다. 링크부재(60)의 추축(337)에는 이것에 편심해서,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편심축(333)이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링크부재(60)의 단부의 구멍(340)에 이 편심축(333)을 삽입해서 고정단부(330a)에 맞죄는 보울트(338)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한편,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4)의 하단부 근처에는, 제1의 링크(58)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는 축(334)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편심축(333)을 회전시키면, 제1, 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링크부재(60)의 화살표시 B와 같이 이동한다. 즉, 프레임(34)에 끼워 맞춤하는 슬라이더(339)에 장착된 추축(337)의 위치는 고정된채, 편심축(333)이 회전하여 실선위치(333a)로부터 2점쇄선위치(333b)까지의 범위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편심축(333)을 회전시켜서 위쪽의 링크부재(60)의 축위치를 변경한다. 이때, 아래쪽의 링크부재(58)의 축(34)(제1도)의 위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60)의 지지위치는 축(34)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변위한다. 이에 의해서, 페이스부재(48) 및 링크기구(42)의 전체는 축(34)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변위한다. 따라서, 제1도 화살표시 C와 같이, 이 페이스부재(48)의 앞면의 하물밀어내기면의 각도θ가 변화한다. 즉, 편심축(333)이 실선위치(333a)(제7도)에서는 하물밀어내기면의 각도θ는 커지게 되고, 2점쇄선위치(333b)(제7도)에서는 각도θ는 작아진다. 또, 이에 따라서 페이스부재(48)는, 제1도 화살표시 D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하단부의 그립기구(98)의 높이가 변화한다. 즉, 편심축이 (333a)의 위치에서는 그립기구의 위치는 높아지고, 반대로 (333b)의 위치에서는 낮아진다.
제8도는, 제1도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 페이스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는 모양을 표시한 측면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편심축이 (333a)의 위치에서는 그립기구의 위치는 높아지고, 링크기구 및 페이스부재는 제8도의 (42a) 및 (48a)에 표시한 것같이 된다. 반대로 제7도에 있어서 편심축이 (333b)의 위치에서는 그립기구의 위치는 낮아지며, 링크기구 및 페이스부재는 제8도의 (42c) 및 (48c)의 표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된다. (42b) 및 (48b)의 편심축이 (333a)와 (333b)의 꼭 중간부근에 있는 경우이다.
상기한 제1의 실시예에는, 시이트리테이너기구 즉, 플래튼(40) 위에 팰리트 시이트를 남겨두고 하물만 밀어내기 위한 누름부재나 그 승강기구등을 가진 것이나, 시이트리테이너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라도 된다. 제9도(a), (b)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시이트리테이너를 구비하지 않는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 제2의 실시예는, 시이트리테이너를 구비하지 않는 점이외는 상기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페이스기구를 지지하는 신축 링크기구의 정착부에 편심축을 설치하고 이 편심축의 회전에 의해 링크기구의 장착각도위치를 조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링크기구 선단부에 형성한 페이스기구의 하물밀어내기면의 각도가 조정가능하게 되고, 페이스기구 하단부의 그립기구의 높이가 조정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물의 종류(딱딱한 것, 부드러운 것등)나 형상(상자형, 포대형상등) 또는 중량등에 따라서 최적의 하물밀어내기면의 각도 및 팰리트의 클램프위치를 선택조정할 수 있어, 원활한 하물 쌓아올리기, 하물 실어내리기 작업이 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는, 페이스부재의 높이위치 및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물의 종류, 형상, 중량등에 따라서 밀어내기면의 각도나 그립기구의 위치를 최적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하물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작업성 및 원가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포오크리프트의 마스트에 승강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에 하물을 얹어놓기 위한 플래튼을 가진 승강체와, 이 승강체에 지지되는 베이스단부 및 그 베이스단부에 대해서 진퇴하는 선단부를 가진 진퇴기구와, 이 진퇴기구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하물을 백업하는 페이스부재를 구비하는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부재의 상기 플래튼에 대한 높이위치 및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설치하고, 이 조정수단은, 상기 진퇴기구의 베이스단부의 제1의 위치를 회동지지하는 제1의 지지수단과, 상기 베이스단부의 제1의 위치로부터 이간된 제2의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변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의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제2의 지지수단에 의해 제2의 위치를 변위시키므로서 상기 페이스부재를 제1의 위치를 중심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KR1019910001762A 1991-02-01 1991-02-01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KR96000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762A KR960000113B1 (ko) 1991-02-01 1991-02-01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762A KR960000113B1 (ko) 1991-02-01 1991-02-01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333A KR920016333A (ko) 1992-09-24
KR960000113B1 true KR960000113B1 (ko) 1996-01-03

Family

ID=1931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762A KR960000113B1 (ko) 1991-02-01 1991-02-01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1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333A (ko) 199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9774A (en) Load clamping apparatus with an increased extent of vertical movement
US7967354B2 (en) Mixed size product handling end of arm tool
EP0085549A2 (en) Lift truck paper roll clamp having automatically adjustable roll positioner for engaging rolls of different diameters
JP2598551B2 (ja) 物体を基板から取り出すための運搬装置
US3640414A (en) Push-pull attachment for lift trucks
CA1037433A (en) Lever drive unit, particularly for lifting means
KR960000113B1 (ko)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GB2033338A (en) Load pushing apparatus for a lift truck
US4867434A (en) Apparatus for grasping ends of belt-like members
CN211197906U (zh) 一种砖垛夹具
JP2532693Y2 (ja) フォーク伸縮装置
JP2580927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プッシュプル装置
JPH03200700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プッシュプル装置
KR960000111B1 (ko) 포오크리프트의 푸시풀장치
KR100425520B1 (ko) 밀기-끌기 장치 및 밀기-끌기 장치를 갖춘 지게차와 이것을 이용한 하역방법
CN110790022A (zh) 一种砖垛夹具
JP3322999B2 (ja) プッシュプル装置
JP320824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プッシャ装置
KR102687821B1 (ko) 지게차의 h빔 이동용 고정지그
KR0132519B1 (ko) 자동차배터리 운반장치
KR950010840B1 (ko) 포오크리프트
JP2504289B2 (ja) 押出プレス用後面設備サブストレッチャのテ―ルストック
CN213594661U (zh) 覆膜机用的薄膜夹持装置
JP275405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ブッシュプル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プラテン装置
JPH01187199A (ja) 上下移動機構付プッシャ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