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035B1 -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 Google Patents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035B1
KR960000035B1 KR1019930010882A KR930010882A KR960000035B1 KR 960000035 B1 KR960000035 B1 KR 960000035B1 KR 1019930010882 A KR1019930010882 A KR 1019930010882A KR 930010882 A KR930010882 A KR 930010882A KR 960000035 B1 KR960000035 B1 KR 960000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hydroxy
yield
reaction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640A (ko
Inventor
안병준
송규용
Original Assignee
정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근 filed Critical 정원근
Priority to KR101993001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035B1/ko
Publication of KR95000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78Acetophen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본 발명은 플라본 화합물의 합성 중간체로 유용한 다음 일반식(Ⅰ)의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 일메탄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및 저급 알콕시중에서 선택되며, X 및 Y중의 하나는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이다.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에 따르면 일반식(Ⅰ)의 화합물, a) 일반식(Ⅱ)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유기염기 및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일반식(Ⅲ)의 벤조산 유도체와 탈수 축합시킴으로써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b)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염기 및 상전이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전이반응시켜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R1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및 저급 알콕시중에서 선택되며, X' 및 Y'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을 나타낸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X가 임으로 치환된 벤조일이고 Y가 수소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즉 일반식(Ⅰ-a)의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유도체는 일반적으로 2-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과 벤조일할라이드를 반응시켜 합성한다. 이러한 종전의 방법[Stout, G.H. and Stout, V.F. : The Structure and Synthesis of Xanthomicrol, Tetrahedron., 14, 296-330, (1962), Yuichi Kikuchi., Yukinori Miyaichi and Tsuyoshi Tomimori. : Total Synthesis of Flavonoligands, Scutellaprostins A, B, C, D and F, Yakugaku Zasshi., 118(8), 424-435(1991)]은 먼저 벤조산을 벤조일 할라이드로 전환시킨 후 2-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과 반응시키는 2단계 반응으로 반응이 복잡할 뿐 아니라, 벤질옥시기, 메톡시기등의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반응물의 경우에는 반응중에 생성되는 염산으로 인한 에테르분해등의 부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체적인 반응수율이 낮고, 합성에 필요한 총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보다 간편하게 부반응이 없이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광범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벤조산 유도체를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의 존재항서 페놀성 OH 그룹과 직접 축합시킴으로써 어떠한 부반응도 없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의 방법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중, 방법 a)에 따르면 하이드록시 그룹을 갖는 일반식(Ⅱ)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유기염기 및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유기 용매중에서, 카복실 그룹을 갖는 일반식(Ⅲ)의 벤조산 유도체와 축합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Ⅰ-a)의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의 존재하에서 카복실그룹과 페놀성 OH 그룹을 직접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을 1단계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응중에서 염산의 발생이 없어 그에 의한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반응시간이 단출축되고 반응수율이 증가하는 잇점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 a)에 따라,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 아세토페논을 DCC의 존재하에서 2,6-디벤질옥시벤조산과 반응시켜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을 제조하는 경우에 생성물의 수율은 73%인 반면에, 동일한 생성물을 상기 언급한 공지의 2단계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수율이 65%에 불과하다[참조 : Back, K.U. and Ahn, B.Z. : Synthesis of Geranyloxylavone Derivatives and their Antitumor Activity on L1210 and Sarcoma 180 cells, Yahhak Hoeji., 32(2), 125-128(1988)].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a)는 선행기술의 공지 방법에 비해 경제적인 진보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a)에서, 반응은 유기염기 및 DCC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반응에 적합한 유기염기는 아민화합물, 예를 들면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 또는 피리딘 또는 (디)알킬아미노피리딘, 예를 들면 4-디메틸아미노피리딘등이다. 이들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유기 염기는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이다. 또한 방법 a)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반응-불활성 유기용매는 반응에 역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어느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무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메틸렌 클로라이드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가 사용된다.
방법 a)에서의 일반식(Ⅱ)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화합물 1몰당, 디사이클로 헥실카보디이미드 1 내지 5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몰 및 유기염기 1 내지 2몰을 사용한다. 반응은 실온 내지 약간 상승된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한다. 반응시간은 2 내지 10시간이 바람직하며, 특히는 3 내지 6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반응혼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을 이용해서 분리 및 정제한다. 예를 들어, 반응이 완결된 후, 생성된 침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에 산성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염산수용액을 가하여 진탕한 후, 수층을 제거한다. 이 조작은 필요에 따라 수회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잔류하는 유기층을 묽은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감압농출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일반식(Ⅰ-a)의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수득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a)에서 수득되는 일반식(Ⅰ-a)의 생성물의 최종 수율은 일반적으로 7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방법 b)에 따르면, 일반식(Ⅰ-b)의 2-하이드록시디벤조일메탄 유도체는 상기 방법 a)에 따라 수득될 수 있는 일반식(Ⅰ-a)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로부터 제조된다.
즉, 본 발명의 방법 b)에 따르면 방법 a)에서 제조된 일반식(Ⅰ-a)의 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무수 조건하에 반응-불활성 비극성 유기용매중에서 상전이 촉매 및 염기, 바람직한 무기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목적하는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유도체로부터 2-하이드록시디벤조일메탄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베이커-벤카타라만 전위반응(Baker-Venkataraman Rearrangement)이 이용되어 왔다. 베이커-벤카타라만 전위반응은 촉매로써 수소화나트륨, 알콕사이드 이온등과 같은 강염기를 사용하며, 용매로써 알콜, 에테르등과 같은 극성 유기용매의 존재하에서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베이커-벤카타라만 반응은 반응을 저온에서 장시간 동안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더욱 중요하게는 강염기 촉매를 극성유기용매 중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메틸그룹과 같은 작용기의 분해가 일어나 수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반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선택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촉매로써 강염기 촉매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전이 촉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언급한 선행기술의 단점들은 나타내지 않으면서 목적하는 효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 b)를 구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방법 b)에 따라 상전이 촉매인 4급 암모늄 할로게나이드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수산화물의 분말 또는 수용액을 함유하는 비극성용매에 가하면 할라이드 이온이 하이드록사이드 이온과 교환되면서 비양자성 비극성용매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비극성 용매중에서 하이드록사이드 이온은 수소결합을 하는 양자성 용매에서 보다 그 염기도가 상승하며, 따라서 친핵성 공격력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활성이 증가된 비극성 유기층에 반응물을 가하면 반응속도는 빨라지며, 반면에 방법 b)에서는 수-부재하에서 반응을 수행하기 때문에 알콕시 그룹등의 가수분해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 b)에 따르면, 목적하는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단시간내에 부반응이 없이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의 방법[참조 : Back, K.U. and Ahn, B.S. : Synthesis of Geranyloxyflavone Derivatives and their Antitumor Activity on L1210 and Sarcoma 180 cells, Yahhak Hoeji., 32(2), 125-128(1988)]에 따라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을 강염기 촉매인 수소화나트륨의 존재하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매중에서 7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벤조일-2',6'-디벤질옥시벤조일메탄올 40% 정도의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의 방법 b)에 따라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을 상전이 촉매인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및 수산화 칼륨 분말을 함유하는 무수벤젠 용매중에서 반응시키면 3새간 이내에 70% 이상의 수율로 목적하는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벤조일-2',6'-디벤질옥시벤조일메탄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b)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전이 촉매는 4급 암모늄 할라이드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CH3(CH2)3)4NF],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CH3(CH2)3)4NCl],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CH3(CH2)3)4NBr],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다이드 [(CH3(CH2)3)4NI],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CH3N((CH2)7CH3)3CI]등이 사용될 수 있다. 촉매 효율면에서 특히 바람직한 상전이 촉매는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및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이다.
방법 b)의 반응에서 상전이 촉매는 일반적으로 촉매작용을 나타내기에 유효한 양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출발물질인 일반식(Ⅰ-a)의 화합물 몰당 0.1 내지 1몰의 비로 사용한다.
또한, 방법 b)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염기는 무기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수산화물등이며, 이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분말이나 수용액 형태로 사용되며, 특히 분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법 b)는 무수조건하에서 반응을 수행하므로 알콕시그룹등의 가수분해와 같은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방법 b)에서 사용될 수 있는 비극성 유기용매에는 헥산, 벤젠, 사염화탄소, 이황화탄소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수벤젠을 사용한다.
방법 b)의 반응을 수행하는 온도는 넓은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반응시간은 1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이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생성물은 통상적인 후처리 방법에 의해 분리하여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일반식(Ⅰ)의 화합물중에서 일부의 화합물은 신규한 화합물이고 나머지 화합물은 플라본 유도체의 제조에 중간체로 이용되는 공지의 화합물이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중에서 신규한 화합물은 방법 b)에 따라 제조되는 Y가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이고 X가 수소를 나타내는 화합물, 즉 일반식(Ⅰ-b)의 화합물이다. 이러한 일반식(Ⅰ-b)의 신규한 화합물도 공지되어 있는 일반식(Ⅰ-a)의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플라본 유도체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 화합물이다. 따라서, 다음 일반식(Ⅰ-b)의 화합물도 본 발명의 대상이다.
상기식에서, R1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및 저급 알콕시중에서 선택되며, Y'는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의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1가)의 제조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g(0.015몰) 및 벤조산 1.83g(0.015몰)을 무수디클로로메틸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3.3g(0.016몰)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22g(0.01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성된 침전을 제거하고, 여액을 0.5N 염산으로 2회 및 계속해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감압하에 농축시켜 융점 87℃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2g(수율 89%)을 수득한다.
[실시예 2]
2-벤조일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1나)의 제조
2-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2.5g(0.015몰) 및 벤조산 1.83g(0.015몰)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46 내지 48℃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38g(수율 84%)을 수득한다.
[실시예 3]
2-벤조일옥시-5-메톡시아세토페논(1다)의 제조
2-하이드록시-5-메톡시아세토페논 2.5g(0.015몰) 및 벤조산 1.83g(0.015몰)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53℃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47g(수율 86%)을 수득한다.
[실시예 4]
2-벤조일옥시-6-메톡시아세토페논(1라)의 제조
2-하이드록시-6-메톡시아세토페논 2.5g(0.015몰) 및 벤조산 1.83g(0.015몰)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54 내지 56℃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38g(수율 81%)을 수득한다.
[실시예 5]
2-벤조일옥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1마)의 제조
2-하이드록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 2.98g(0.015몰) 및 벤조산 1.83g(0.015몰)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88 내지 89.5℃의 무색 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6g(수율 79%)을 수득한다.
[실시예 6]
2-벤조일옥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1바)의 제조
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 2.98g(0.015몰) 및 벤조산 1.83g(0.015몰)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99℃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65g(수율 80%)을 수득한다.
[실시예 7]
2-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1사)의 제조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39g(0.015몰)및 벤조산 1.83g(0.015몰)을 실시예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96g(수율 79%)을 수득한다 : 융점 123℃
[실시예 8]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2가)의 제조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3.3g(0.016몰)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22g(0.01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성된 침전을 제거하고, 여액을 0.5N 염산으로 2회 및 계속해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2회 세척한후, 감압하에 농축시켜 융점 83℃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4.41g(수율 85%)을 수득한다.
[실시예 9]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2나)의 제조
2-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2.5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67℃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4.51g(수율 80%)을 수득한다.
[실시예 10]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5-메톡시아세토페논(2다)의 제조
2-하이드록시-5-메톡시아세토페논 2.5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70℃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4.56g(수율 81%)을 수득한다.
[실시예 11]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6-메톡시아세토페논(2라)의 제조
2-하이드록시-6-메톡시아세토페논 2.5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71℃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4.45g(수율 79%)을 수득한다.
[실시예 12]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2마)의 제조
2-하이드록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 2.98g(0.0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98.6℃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4.75g(수율 79%)을 수득한다.
[실시예 13]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2바)의 제조
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 2.98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93.8℃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4.80g(수율 78%)을 수득한다.
[실시예 14]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2사)의 제조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 3.38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3.42g(0.015몰)을 실시예 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23.1℃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09g(수율 78%)을 수득한다.
[실시예 15]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3가)의 제조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2.0g(0.015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무수 디클로로메탄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디이미드 3.3g(0.016몰)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22g(0.01몰)을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생생된 침전을 제거하고, 여액을 0.5N 염산으로 2회 및 계속해서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으로 2회 세척한 후, 감압하에 농축시켜 융점 128 내지 130℃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g(수율 73%)을 수득한다.
[실시예 16]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3나)의 제조
2-하이드록시-4-메톡시아세토페논 2.49g(0.015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03℃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20g(수율 72%)을 수득한다.
[실시예 17]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5-메톡시아세토페논(3다)의 제조
2-하이드록시-5-메톡시아세토페논 2.49g(0.015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16.6 내지 118.5℃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49g(수율 76%)을 수득한다.
[실시예 18]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메톡시아세토페논(3라)의 제조
2-하이드록시-6-메톡시아세토페논 2.49g(0.015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24 내지 126℃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35g(수율 73.5%)을 수득한다.
[실시예 19]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3마)의 제조
2-하이드록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 2.94g(0.015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22℃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37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20]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3바)의 제조
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 2.94g(0.015몰) 및 2-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20 내지 122℃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40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21]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사)의 제조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 3.39g(0.015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5.01g(0.015몰)을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반응시켜 융점 126℃의 무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 화합물 5.77g(수율 71%)을 수득한다.
[실시예 22]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아)의 제조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 3g(0.012몰) 및 2,6-디벤질옥시벤조산 4.01g(0.012몰)을 무수 디클로로메탄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2.89g(0.014몰)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97g(0.0081몰)을 가하고, 실시예 1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황색오일로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5.02g(수율 73%)을 수득한다.
[실시예 23]
2-하이드록시디벤조일메탄(4가)의 제조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1가) 2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에 냉염산 산성수용액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융점 119 내지 121℃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1.7g(수율 85%)을 수득한다.
[실시예 24]
2-하이드록시-4-메톡시디벤조일메탄(4나)의 제조
2-벤조일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1나) 2.15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01 내지 103℃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1.8g(수율 83%)을 수득한다.
[실시예 25]
2-하이드록시-5-메톡시디벤조일메탄(4다)의 제조
2-벤조일옥시-5-메톡시아세토페논(1다) 2.15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99℃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1.8g(수율 83%)을 수득한다.
[실시예 26]
2-하이드록시-6-메톡시디벤조일메탄(4라)의 제조
2-벤조일옥시-6-메톡시아세토페논(1라) 2.15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96 내지 98℃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1.5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27]
2-하이드록시-4,6-디메톡시디벤조일메탄(4마)의 제조
2-벤조일옥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1마) 2.42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28℃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0g(수율 83%)을 수득한다.
[실시예 28]
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디벤조일메탄(4바)의 제조
2-벤조일옥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1바) 2.42(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22℃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일반식1.9g(수율 78%)을 수득한다.
[실시예 29]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디벤조일메탄(4사)의 제조
2-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1사) 2.64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10℃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1.84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30]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디벤조일메탄(4사)의 제조
2-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1사) 2.64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1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29에서와 동일한 생성물인 표제화합물 1.71g(수율 65%)을 수득한다.
[실시예 31]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디벤조일메탄(4사)의 제조
2-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1사) 2.64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29에서와 동일한 생성물인 표제화합물 1.69g(수율 64%)을 수득한다.
[실시예 32]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디벤조일메탄(4사)의 제조
2-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1사) 2.64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다이드 0.29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29에서와 동일한 생성물인 표제화합물 1.69g(수율 64%)을 수득한다.
[실시예 33]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디벤조일메탄(4사)의 제조
2-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1사) 2.64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3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2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29에서와 동일한 생성물인 표제화합물 1.795g(수율 68%)을 수득한다.
[실시예 34]
2-하이드록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가)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2가) 2.7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에 냉 염산 산성수용액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융점 144 내지 146℃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1g(수율 77%)을 수득한다.
[실시예 35]
2-하이드록시-4-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나)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2나) 3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97 내지 99℃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2g(수율 73%)을 수득한다.
[실시예 36]
2-하이드록시-5-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다)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5-메톡시아세토페논(2다) 3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31℃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4g(수율 80%)을 수득한다.
[실시예 37]
2-하이드록시-6-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라)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6-메톡시아세토페논(2라) 3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23℃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1.9g(수율 63%)을 수득한다.
[실시예 38]
2-하이드록시-4,6-디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마)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2마) 3.2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13℃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4g(수율 75%)을 수득한다.
[실시예 39]
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바)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메톡시아세토페논(2바) 3.2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54 내지 156℃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5g(수율 78%)을 수득한다.
[실시예 40]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사)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디메톡시아세토페논(2사) 3.7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48 내지 150℃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9g(수율 78%)을 수득한다.
[실시예 41]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사)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2사) 3.7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0.21g (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40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2.55g(수율 69%)을 수득한다.
[실시예 42]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사)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2사) 3.7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0.26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40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2.48g(수율 67%)을 수득한다.
[실시예 43]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사)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2사) 3.7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다이 0.29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40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2.44g(수율 67%)을 수득한다.
[실시예 44]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2'-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5사)의 제조
2-(2-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2사) 3.7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32g (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34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40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2.7g(수율 67%)을 수득한다.
[실시예 45]
2-하이드록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가)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3가) 3.61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에 냉염산 산성수용액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융점 110 내지 112℃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56g(수율 71%)을 수득한다.
[실시예 46]
2-하이드록시-4-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나)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4-메톡시아세토페논(3나) 3.85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에 냉염산 산성수용액을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추출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융점 98℃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69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47]
2-하이드록시-5-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다)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5-메톡시아세토페논(3다) 3.85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05.3 내지 106.7℃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85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48]
2-하이드록시-6-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라)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메톡시아세토페논(3라) 3.85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07℃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70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49]
2-하이드록시-4,6-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마)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4,6-디메톡시아세토페논(3마) 4.09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11℃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03g(수율 74%)을 수득한다.
[실시예 50]
2-하이드록시-3,4-디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바)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3,4-디메톡시아세토페논(3바) 4.09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07℃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2.96g(수율 72.5%)을 수득한다.
[실시예 51]
2-하이드록시-3,4,6-트리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사)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3,4,6-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사) 4.34g(0.008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융점 128℃의 황색결정으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12g(수율 72%)을 수득한다.
[실시예 52]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아)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아) 5.02g(0.0087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황색오일로서 다음 구조식의 표제화합물 3.51g(수율 70%)을 수득한다.
[실시예 53]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아)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아) 5.02g(0.0087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 암모늄플루오라이드 0.21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52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3.36g(수율 67%)을 수득한다.
실시예 54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아)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아) 5.02g(0.0087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 암모늄브로마이드 0.26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52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3.21g(수율 64%)을 수득한다.
[실시예 55]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아)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아) 5.02g(0.0087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테트라부틸 암모늄요오다이드 0.29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52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3.16g(수율 63%)을 수득한다.
[실시예 56]
2,6-디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2',6'-디벤질옥시디벤조일메탄(6아)의 제조
2-(2,6-디벤질옥시벤조일옥시)-6-하이드록시-3,4,5-트리메톡시아세토페논(3아) 5.02g(0.0087몰)을 무수벤젠 20ml에 용해시킨 후, 생성된 용액에 트리옥틸 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32g(0.0008몰) 및 수산화칼륨 0.67g을 가하고, 실시예 46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처리하여 실시예 52에서의 생성물과 동일한 표제화합물 3.46g(수율 69%)을 수득한다.

Claims (13)

  1. a) 일반식(Ⅱ)의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유도체를 유기염기 및 디사이클로 헥실카보디이미드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유기용매 중에서 일반식(Ⅲ)의 벤조산 유도체와 탈수축합시켜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수득하거나, b)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염기 및 상전이 촉매의 존재하에 반응-불활성 유기용매중에서 전이반응시켜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
    상기식에서, R1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및 저급알콕시중에서 선택되며, X 및 Y중의 하나는 수소이고, 다른 하나는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이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방법 a)에서 유기염기로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및 (디)알킬아미노피리딘 중에서 선택된 아민화합물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방법 a)에서 반응-불활성 유기용매로 무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메틸렌클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방법 a)에서 화합물(Ⅱ) 1몰당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 1 내지 5몰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방법 b)에서 상전이 촉매로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 드[(CH3(CH2)3)4NF],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CH3(CH2)3)4NCl],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CH3(CH2)3)4NBr], 테트라부틸암모늄요오다이드[(CH3(CH2)3)4NI],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H3N((CH2)7CH3)3CI]중에서 선택된 4급 암모늄 할라이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전이 촉매로 테트라부틸암모늄플루오라이드 또는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방법 b)에서 일반식(Ⅰ-a)의 화합물 1몰당 상전이 촉매 0.1 내지 1몰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방법 b)의 반응을 무수 조건하에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방법 b)에서 염기로 무기염기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무기염기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1항에 있어서, 방법 b)에서 반응-불활성 유기용매로 비극성 유기용매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비극성 유기용매가 헥산, 벤젠 또는 사염화탄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다음 일반식(Ⅰ-b)의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상기식에서, R1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및 저급 알콕시중에서 선택되며, Y'는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을 나타낸다.
KR1019930010882A 1993-06-15 1993-06-15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KR960000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882A KR960000035B1 (ko) 1993-06-15 1993-06-15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882A KR960000035B1 (ko) 1993-06-15 1993-06-15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640A KR950000640A (ko) 1995-01-03
KR960000035B1 true KR960000035B1 (ko) 1996-01-03

Family

ID=1935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882A KR960000035B1 (ko) 1993-06-15 1993-06-15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9150A (zh) * 2020-12-01 2021-02-26 山东键兴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二苯甲酰甲烷的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9150A (zh) * 2020-12-01 2021-02-26 山东键兴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二苯甲酰甲烷的制备方法
CN112409150B (zh) * 2020-12-01 2021-06-18 山东键兴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二苯甲酰甲烷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640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9364A (en) Preparation of arylalkanoic acids
EP2202215A2 (en) Novel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E)-Stilbene derivativ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obtain resveratrol and piceatannol
EP0071006B1 (en) Tetrahydronaphthalene derivatives and their production
CN102459154A (zh) 用于制备羟胺类和药物的新方法
CA1110272A (en) 4-hydroxy phenylacetic acid
CH636073A5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bstituted cyclopropanecarboxylates
KR960000035B1 (ko) 2-벤조일옥시아세토페논 및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EP0273528A1 (en) Benzophenones and their preparation
US7674614B2 (en) Method of optically resolving racemic alcohols with a bicyclooxaoctane or a bicycooxaoctene resolving reagents
KR100634721B1 (ko) 4,4'-디할로겐-o-하이드록시디페닐 화합물의 제조방법
JP3663229B2 (ja) 4−ハロ−2′−ニトロブチロフエノン化合物の製造方法
CA1246609A (en) Process for producing 1-hydroxy ketones
US4486599A (en) Process for preparing the 2',4'-difluoro-4-hydroxy-(1,1'-diphenyl)-3-carboxylic acid
US4537999A (en) Process for a production of dinitrophenyl ethers
HU182693B (en) Process for producing 4-fluoro-3-phenoxy-thoulene
JP2960183B2 (ja) 新規なテルペ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4433172A (en) Production of dihydroxy arylophenones
US4365072A (en) Biphenyl aldehydes
KR920006783B1 (ko) 항혈액응고성 살서제인 4-하이드록시쿠마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821387A (en) Polyarenes from aryl ketones with application to synthesis of crisnatol mesylate
KR0129115B1 (ko) 3-브로모캠퍼의 제조방법
KR910003635B1 (ko) 2-(2-나프틸옥시)프로피온아닐리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E3237620C2 (ko)
GB2065118A (en) 2-(2',2'-dichloro-3',3',3'-trifluoropropyl)- and 2-(2',2',3'-trichloro-3',3'-difluoropropyl)-4-chlorocyclobutan-1-ones
GB2080799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iphenyl ether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