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002B1 -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 Google Patents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002B1
KR960000002B1 KR1019870000269A KR870000269A KR960000002B1 KR 960000002 B1 KR960000002 B1 KR 960000002B1 KR 1019870000269 A KR1019870000269 A KR 1019870000269A KR 870000269 A KR870000269 A KR 870000269A KR 960000002 B1 KR960000002 B1 KR 96000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ing
liquid
axial
ca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919A (ko
Inventor
칼레버그 자콥
Original Assignee
칼레버그 자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레버그 자콥 filed Critical 칼레버그 자콥
Publication of KR87000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 B04B1/0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inserted separa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33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feed accelerator inside the conveying screw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첨부도면은 기름으로 오염된 물의 정제 예를 실시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저대 2 : 고무패드
3 : 기저플레이트 4 : 나사
5 : 링 6 : 맨틀(mantle)
7 : O-링 8 : 버팀봉
8' : 조임너트 9 : 콜러(collar)
10 : 브래키트 11 : 베어링케이싱
12 : 하측베어링 13 : 상측베어링
14 : 유출구 15 : 분리기축
16 : 이젝트(ejector) 17 : 횡단벽(transersal wall)
18 : 보스 19 : 실린더
20 : 컵모양 간막이 21 : 내부케이싱
22, 23 : 케이싱부 24 : 나사볼트
25 : 호퍼(hopper) 26 : 개구
27 : 비중링(specific weight ring)
28, 29, 30 : 원주형 부재 31, 32, 33 : 개구
35, 36, 37, 38 : 원추형 부재(안내컵 또는 방향전환)
39, 40 : 개구 41-54 : 벽 플레이트
55, 56 : 개구 58 : 외부덮개
59 : 개구 60 : 유출구 부재
61 : 유입구 부재 62 : 파이프
63 : 스크린 64 : 유입구 파이프
65 : V-벨트 활차 66 : V-벨트
67 : 캐치링 68 : 임펠러 플레이트
본 발명은 기름으로 오염된 물과 같이 각각 상이한 비중을 갖는 두 액체에 의한 혼합액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비중을 갖는 두 액체에 의한 혼합액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기가 요청되고 있다. 이같은 혼합액의 대표적인 예가 기름으로 오염된 물인 것이다. 가령 선박 그리고 근해 시설에서 기름을 내포하는 물을 깨끗이 하기 위한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비중을 갖는 혼합액체가 원심력을 받게 하여 두 혼합된 액체 분리를 위해 비중의 차리를 상당히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상기 두 액체에 의한 혼합액을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심력을 사용하여 액체원환(liquid annulus)의 회전축을 가로지르는 한벽의 두 대향 측면상에서 액체원환을 형성 하도록 하며, 상기 액체 혼합물이 상기 횡단벽 상측면에서 액체 원환으로 공급되고, 상기 횡단벽의 맞은편 하측면에서 상기 액체 원환으로부터의 액체가 상기 액체원환의 맞은편 축방향 끝단에 있는 다른 반경의 개구를 통과한다. 기름으로 오염된 물의 경우, 기름은 상기 액체원환의 방사상 내측 표면상에서 수집될 것이며, ″높은″, 즉 방사상의 작은 축방향 단부 개구를 통해 흘러나갈 것이고, 정제된 물은 맞은편의 ″낮은″, 즉 방사상의 큰 축방향 단부 개구를 통해 흘러나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기름으로 오염된 물과 같이 상이한 비중을 갖는 두 혼합된 액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기가 제의되며, 이같은 분리기는 각각의 축단(axial end)에서 동축을 갖는 개구와 함께 회전 가능한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동축을 갖는 한 개구가 다른 개구보다 큰 반경을 가지며, 이같은 분리기가 상기 케이싱 내에 한 횡단벽이 있고, 가장 큰 개구 반경보다 큰 반경의 바깥둘레로 횡단벽이 상기 동축을 갖는 개구들 사이의 케이싱 내측벽을 따라 난 바깥둘레 축류(軸流)연결을 제한하는 한 횡단벽, 그리고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동축상의 개구가 놓인 상기 횡단벽의 측면에 난 혼합액체를 위한 축방향 유입구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분리기의 수용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축방향 유입구는 가장 큰 반경을 갖는 축방향 개구가 놓인 상기 횡단벽의 축방향 개구측면에 들어가며, 첫번째 간막이를 형성하는 동축의 확대부를 갖고, 상기 횡단벽은 상기 간막이의 벽을 형성하며 개구를 통하여 하나의 동축을 갖는다.
원추형 안내컵과 방향전환 커누스(conuses)가 상기 케이싱 내에 제공되며, 상기 원추형 수단이 작은 반경을 갖는 상기 동축 개구를 마주하는 측벽상에서 상기 횡단벽으로부터 동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를 향해 수축되며, 커누스(conus)의 높이로 올려지고 안내컵이 상기 횡단벽 가까이 개구들을 갖는다. 상기 유입구는 가장 안쪽 원추형 수단 내면으로 개방되며 바깥둘레 축류연결이 가장 바깥쪽 원추형수단 외면으로 나있다. 이같이 하여 원추형 수단의 유익한 효과가 사용된다.
원추형 안내컵과 방향전환 커누스(conuses)는 제 1간막이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원추형 수단이 상기 간막이의 축상 대칭벽으로부터 연장되며 횡단벽을 향해 가늘어지고 상호 올려진 정상 반경을 가지며, 상기 안내컵이 가장 작은 정상 반경을 갖고, 상기벽에 인접하여 개구를 갖는다.
만약 선분리 간막이의 상기 축상의 대칭벽이 상기 케이싱의 끝단 제 1 간막이 가까이를 통해 연장되고 축방향의 고정 유입구 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를 형성한다면 특히 유익한 실시가 달성된다. 그와 같은 실시예에서, 제 1 간막이는 상기 유입구 파이프를 향해 그리고 상기 제 1간막이내 원추형 안내 플레이트에 의해 둘러쌓인 개구인 컵모양의 공간을 갖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의 유입구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혼합액체는 상기 컵모양의 공간내 회전하는 나팔모양의 것을 비끼어지게 될 것이며, 상기 컵의 림을 가로질러 그리고 상기 제 1간막이를 통하여 흐르고, 이같은 혼합액체는 그속에 제공된 원추형 수단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방사상 벽이 상기 원추형 수단상에 제공되며, 상기 원추형 벽의 목적은 이들이 플레이트가 혼합액체를 그리고 분리된 액체를 회전시키고 전직경에서 유지되기 위해 완전한 원심분리 효과를 허용하도록 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취하도록 했다. 이같은 방사상 벽이 상기 분리기내 균형을 보장하도록 안정한 액체 원환을 유지할 것에 공헌할 것이다.
혼합액체가 유입되기전 케이싱이 회전하기 시작하는때 상기 케이싱내 비중이 큰 한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원환을 일으키기 위한 공급수단을 상기 분리기에 제공함이 매우 유익하다. 상기 공급 수단이 있는 분리기는 정제된 물이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기름이 상기 분리기의 정제된 물유출구를 통하여 바깥으로 새는 것을 막는 정제된 물로부터 수밀봉(水密封)을 수립하도록 정제된 물이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기때문에 공급수단이 있는 분리기는 물을 포함하는 기름의 경우에 특히 유익하다.
분리기가 사용되는때 예를 들어 상기 케이싱내 존재하는 분리된 기름의 어떠한 기름도 발견하기 위해, 작은 반경을 갖는 상기 동축상의 개구를 포함하는 횡단벽 측면으로 그 내부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싱내로 돌출하도록 밀봉스크린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스크린은 기름, 진흙 등등의 경우, 케이싱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정제된 물유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막기 시작하는 때 케이싱벽을 향해 내던져짐을 막도록 붙잡는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기의 적합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분리기는 물을 포함하는 기름의 정제를 위한 것이다. 기저대 (base)가 (1)로 표시되며, 기저대(1)상의 고무패드(2)는 기저플레이트(3)의 일측을 지지하고, 기저플레이트(3)가 기저대(1)위에 장착된다. 기저플레이트(3)는 나사(4)에 의해 기저대(1)에 고정된다. 기저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에는 용접에 의해 링(5)이 고정된다. 상기 링(5)내 맨틀(mantle) (6)에는 이들 사이에 O-링 (7)이 제공되며, 맨틀(6)은 버팀봉(8)에 의해 기저플레이트(3)에 부착되며, 각 버팀봉(하나만 도시됨)은 브래키트(10)에 접하는 콜러(collar) (9)를 갖는다. 베어링케이싱 (11)에 의해 상기 버팀봉은 콜러 (9)가 브래키트(10)에 압력을 가하도록 인장을 받게 되며, 따라서 맨틀(6)을 기저플레이트위 적소에 유지시킨다.
기저플레이트(3)는 중앙에 한 개구를 가지며, 개구에는 하측베어링 (12)과 상측베어링 (13)이 있는 베이링케이싱 (11)이 제공된다. 기저플레이트(3)에는 기름을 위한 유출구수단(14)이 더욱더 제공된다.
분리기축(15)이 상기 베어링케이싱 (11)내 두개의 베어링 (12)(13)내에 장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축에는 단붙이식으로 분리기축의 가장 두꺼운 부분과 연결된 베어링 통로 사이의 이젝터(ejector)(16)가 제공된다.
분리기축 가장 두꺼운 부분의 다른 한 끝단에는 도시된 것과 같이 횡단벽 (17)이 제공된다. 횡단벽은 상기 분리기의 상측 얇은 부분을 포위하는 중앙의 보스(boss) (18)를 갖는다. 보스(18)위에는 내부횡단벽 (20)을 갖는 원통형수단 실린더(19)가 장착되며, 따라서 실린더 (19)의 상축부가 컵모양 간막이 (20)를 형성한다.
횡단벽 (17)상에는 원추형의 내부케이싱 (21)이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 바깥측으로 외부케이싱부(22)가 제공되며, 따라서 횡단벽 (17)의 하측면에는 외부 하측 케이싱부(23)가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케이싱부(22)(23)는 분리기 케이싱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케이싱부(22)(23) 및 횡단벽(17)은 나사볼트(24)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원추형 내부케이싱(21)은 상측에서 거꾸로 된 유입구 호퍼(25)로 끝난다. 이같은 유입구호퍼(25)는 실린더(19)와 함께 단일편으로 만들어지거나, 상기 실린더 (19)에 연결된 분리된 부재인 것이 더욱 좋다.
상측 외부 케이싱부(22)는 (26)에서 가장 상측의 축방(축방향)개구를 가지며, 축방개구에는 소위 비중링(27)이라는 것이 있다. 여기서 소위 비중링(27)이라 하는 것을 플레이트 링이며, 이같은 링의 선택은 상측 외부케이싱 개구(26)의 유효단면을 변경시킨다. 즉 축방개구(26)의 단면은 한 비중링을 다른 개구를 갖는 다른 비중링으로 교체하므로써 바뀔 수 있다. 상기 비중링은 외부 케이싱부(22)의 상부에서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원추형 내부케이싱(21)내측으로는 반대방향의 원추형 부재(28,29,30)가 제공되며, 실린더(19)와 유입구호퍼(25) 사이의 원추형 전이부에는 개구(31)가 만들어진다. 상기 원추형 부재(28)(30)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추형 내부케이싱 (21)내 내부벽에 인접하여 개구(32)(33)가 만들어지며, 따라서 상기 원추형 부재가 원추형 안내컵으로 불리워진다. 원추형 부재(29)는 방향전환 커누스(conus)로 불리워진다. 도시된 단면도에는 단지 두개의 개구(32)(33)만이 각각 도시되어 있으나, 개구(31 )로 도시된 것과 같은 여러개의 개구가 있게 된다.
상기 하측 외부케이싱부(23)내에는 여러개의 원부형부재(35,36,37 그리고 38)를 포함하는 한 삽입구(34)가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벽(17)의 하측면 인접한 곳에는 원추형 부재(36, 38)내 개구(39,40)가 만들어지며, 따라서 상기 부재가 원추형 안내컵으로 칭하여질 것이고, 원추형 부재 (35)(37)는 방향전환 커누스(Conu ses)로 기재될 것이다. 이같은 명칭을 선택한 이유는 상기 분리기의 동작모드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밝혀 질 것이다.
모든 원추형 부재 (28,39,30 및 35,36,37,38)는 임펠러 플레이트들로서 원둘레로 간격을 두고 있는 다수의 벽 (41에서 52까지)들을 각각 지탱시킨다. 내부케이싱 (21)과 외부케이싱부(22) 사이에는 원둘레로 간격을 두고 있는 임펠러 플레이트 방사상(53, 54)벽이 제공되며, 케이싱부 주위에서의 방사상벽의 숫자는 변동적이나, 통상 네개의 방사상 벽이나 이들벽의 임펠러 플레이트가 균일하게 배치되어 사용된다. 분리기의 보다 큰 단면, 보다 많은 숫자의 방사상벽 또는 이들 벽의 임펠러 플레이트가 필요하기도 할 것이다.
횡단벽(17)은 그 중앙보스(18)에서, 그리고 내부케이싱 (21)과 외부케이싱 (22) 사이에서 각각 다수의 개구(55,56)를 가진다. 개구(56)는 내부케이싱 (21)내 형성된 예비의 분리 간막이와 하측 외부케이싱 (23)내 최종 분리 간막이 사이의 연결을 형성시키고, 개구(55)는 내부케이싱(21)과 방사상 벽(53,54)이 있는 상측 외부 케이싱부(22) 사이의 공간을 하측의 외부케이싱부(23) 최종분리 간막이와 상측 외부케이싱부(22)내 축방향 단부 개구(26) 사이의 원주위 축방향 흐름통로로 만든다. 하측 외부케이싱부(23)내 반대편 축방향 단부개구(59)는 상측 외부케이싱부(22)내 축방향 단부개구(26)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분리기의 동작에 중요한 이들 직경 사이의 차이는 비중링(27)을 바꾸므로써 조절될 수 있다.
고정맨틀(6)위에는 내부덮개(57)와, 외부덮개(58)가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의 덮개들은 관계한 조임너트(8')와 함께 버팀봉(8)에 의해 적소에 유지된다. 외부덮개(58)에는 정제된 물을 위한 유출구부재(60)가 제공되며, 외부덮개(58)의 상측면에는 정제된 물을 위한 유입구 부재(61)가 제공된다. 상기 유입구 부재는 상기 축방향 개구(26)내로 연장된 파이프(62)와 연결되며 정제된 물을 내부케이싱(21)과 외부케이싱(22)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또한 외부덮개(53)에는 기름을 함유하고 있는 물을 위한 유입구 파이프(64)가 있는 스크린(screen)(63)이 제공된다. 유입구 파이프(64)는 상기 거꾸로된 유입구호퍼(25)내로 그리고 컵모양의 간막이(20)내로 연장된다.
V-벨트 활차(滑車)(65)가 분리기축(15) 하측 끝단에 장착되며 이같은 하측 끝단은 기저플레이트(3)에 메달리게 된다. 축(15) 및 이와 연결부분들은 모터와 V-벨트 활차(65) 사이의 V-벨트(66)의 협조로 도시되지 않구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분리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분리기는 축(15)이 V-벨트 구동부분(65,66)의 도움으로 회전되는 때 시동되며, 정제된 물이 유입구 부재(61)와 파이프(62)를 통해 유입된다. 분리기는 외부케이싱부(22,23)의 내측에서 정제된 물원환의 모양으로 워터로크(water lock)를 만들 것이며, 이같은 워터로크의 채워짐은 축방향개구(26)의 림 비중링 (27)을 가로질러 물이 익류하는 때 완성된다. 상기 워터로크의 목적은 분리기내 어떤 가능한 기름 잔류물로 정제된 물을 위해 유출구부재(60)내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름으로 오염된 물은 유입구 파이프(64)를 통하여 상기 분리기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대개 저속의 겹판펌프, 기어펌프, 또는 나사펌프가 정제되어질 물을 위해 사용되며 물/기름 혼합물을 심하게 휘젖지 않도록 한다. 언급된 바와 고정 유입구 파이프(64)는 실린더 또는 컵(19)내로 하향 연장되며, 따라서 그속으로 흐르는 오염된 물이 실린더(19)와 함께 회전하고 일정한 액체암이 만들어지는때 유체의 형성 또는 유체형성의 시작조차 막도록 서서히 분리기내에 수용된다. 이같은 압력은 개구 또는 구멍(31)을 통하여 액체를 강제 유출시킨다.
액체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63)으로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입구 파이프(64) 둘레에 거꾸로 된 호퍼(25)내로 임펠러 플레이트(68)가 제공된다. 만약 실린더(19)의 컵모양 간막이(20)와 유입구호퍼(25)내 액체의 수위가 너무 높으면(가령 분리기의 오염된 물 유입 용량을 초과한때), 상기 임펠러 플레이트(68)에 도달한 액체가 회전되며 구멍(31)을 통해 유입구호퍼 아래로 그리그 바깥으로 강제될 것이다.
상기 개구(31)로부터 액체혼합물이 내부케이싱(21)내로 보내진다. 여기서 원추형 부재(28,29 및 30)는 기름과 물성분의 예비적 분리를 일으킨다. 플레이트(41,42 )에 의한 혼합물의 회전으로, 비중이 큰 액체가 바깥을 향해 흐르므로, 기름이 자연적으로 이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같은 액체는 함께 흐르도록 된 어떠한 기름도 원추형 부재(28)의 하부로 떠오르기 때문에 가이드 컵으로 작용하게 되는 부재(28)내의 개구 (32)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추가의 액체혼합은 부재(28)의 내측단부 림을 지나 아래로 흐르며, 부재 (29)를 향해 흐름방향 변경의 분리영향을 받도록 한다. 부재(29)를 따라 흐르는 개구(32)로부터 액체는 상기 부재의 안쪽 림에서 완전히 그 방향이 바뀔 것이며, 그와 같은 부재는 방향전환 커누스(conus)로 불릴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액체는 유사한 부재(28)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추형 부재(30)를 지나 하류로 흐르며, 최종적으로 횡단벽(17)내의 구멍(56)을 통과하고 하측케이싱부(23)내로 흘러들어간다. 상기 예비분리 간막이내에서 즉, 내부케이싱(21)내에서의 예비 분리는 본래 혼합물속의 기름입자들이 더욱 큰 기름 방울로 또는 실질적인 기름의 흐름으로 유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리단계에서 기름은 고체의 어떤 석출도 발생되지 않도록 무거운 물위에서 마주하는 원심작용에 의해 가능한 한 빨리 표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하측 케이싱부(23)에서, 무거운 물은 원심작용에 의해 외향으로 흐르며, 반면 기름은 유출구(59)를 향하여 내향하여 아래로 흐르게 된다. 상측을 향한 분기에서 원추형의 외측케이싱(23)은 물이 횡단벽(17)내 바깥측 구멍(55)을 통하여 개구(26)를 향해 상측으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하측케이싱부(23)에서, 도시된 원추형 부재(35,36, 37 및 38)는 기름이 항상 표면을 향해, 즉 방사상 내향으로 그리고 유출구(59)를 향해 아래로 흐르려 하기 때문에 상기 결과의 바람직한 기름분리에 도움이 된다. 물이 개구(26)를 향해 흐르려하는 이유는 ″초과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원심작용에 의해 개구(26)에서 링(27)의 내측 넘침 림과 개구(59)의 외측 림사이의 유효 높이인 반경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리기는 개구(59) 둘레의 림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체적의 액체를 수용해야 하며, 상기 유효높이 차이는 개구(59)와 링(27) 반경간의 차이이다.
분리기의 용량이 초과되면, 물은 기름과 함께 개구(59)를 넘쳐 흐를 것이다. 따라서, 개구(26)로부터의 순수한 물은 오염되지 않을 것이다.
분리는 안내컵(36)(38)과 방향전환 커누스(conuses)(35)(37)를 갖는 하측 케이싱부(23)에서 끝마쳐진다. 이들은 거의 축방향의 액체 흐름을 발생시키며 이때의 액체는 바깥을 향해 흐르는때 증가하는 원심력을 받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두 단계가 도시된다. (각 단계는 하나의 안내컵 (36 또는 38)과 하나의 방향전환 커누스(conus) (35 또는 37)이다). 더욱 큰 비교기에서는 공간에 알맞은 필요한 만큼의 많은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상하 교대로 액체흐름을 발생키며, 물 흐름이 유출구 개구(36)를 통과하도록 비끼어지는 때 작은 기름 입자들은 더욱 잘게 깨어질 수 있다. 이들은 유출구 개구(26)를 향해 더욱 긴 경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분리를 위해 더욱 긴 기간이 달성된다.
마지막으로 가장 바깥측 원추형 부재(35)와 하측 외부케이싱(23) 사이에서 혼합되지 않은 순수한 물이 떠올라서 개구(55)를 통과하며 상측 외부케이싱 (22)을 따라 더욱도 상측으로 떠올르고, 축방향의 개구를 통하여 유출구부재(60)를 나온다. 그러나, 분리된 기름을 원심작용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의 물표면위에 점차적으로 한 층으로 만들어 질 것이며 축방향의 단부개구(59)와 기름 유출구(14)를 통해 유출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원추형 부재들 사이 그리고 내부케이싱(21)과 상측 외부케이싱(22) 사이에는 방사상의 임펠러 플레이트가 있다. 이들은 모든 직경을 가로질러 최대의 원심분리 효과를 보장 하도록 기름과 물의 혼합물이 계속해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방사상의 임펠러 플레이트들은 또한 물과 기름의 안정된 원환을 유지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비중링(27)은 그 개구직경이 동작에 중요하기 때문에 바뀌어질 수도 있다. 안쪽 환상의 오일층 방사상 두께는 기름의 비중에 따라 증가할 것이며, 만약 비중링의 개구가 너무 크고 기름이 너무 큰 비중을 가지면 기름이 순수한 물을 향한 통로내로 흐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비중링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분리기의 분리용량이 감소된다. 분리가 끝나는때 분리기 회전이 정지된다. 케이싱(22)(23)이 정지 상태에 있는 때, 물과 기름의 잔류물은 개구(55)(56)를 통하여 그리고 기름 유출구(14)를 통하여 바깥으로 흘러나갈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7)의 상측면은 경사져 있으며 원추형이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정지 상태중에 어떤 고체라든가 진흙의 외향 흐름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물 혼합물은 냉각 상태로 분리되기 때문에, 분리중에 헐거운 외피만이 형성될 것이며, 이들 중 대부분도 정지 상태중에 분리기 바깥으로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간혹 상당히 두꺼운 외피가 남아 있기도 하며, 이것이 이와 같이 가능한 두꺼운 잔류물을 정제된 물과 함께 강제 유출시키는 대신 방사상 내향으로 원심력 표면을 향해 잔류물들을 끌어올리는 상기 물 밀봉(water seal)을 분리유입구(61)(62)로부터 제공하는 이유이다. 분리기가 시동되는때 하측 외부케이싱(23)상의 아래측 기름 잔류물도 캐치링(catch ring)(67)에 의해 포획될 것이다.
분리가 정지되기전 정제된 물(분리기의 용량을 초과하는)과 함께 분리기가 회전하는 기간은 청소효과를 갖기도 할 것이며, 일정한 정도까지는 어떠한 기름 잔류물도 정제된 물에 의해 넘쳐 흐르게 될 것이다. 뜨거운 물이 특히 효과적이며, 분리기의 내측 부분들은 가능한한 매끄러운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한 횡단벽(17), 상기 횡단벽의 맞은편 측면상에 있는 축방향 단부와 축방향 단부에 있는 축방향의 개구를 각각 가지는 상측 및 하측 외부 케이싱부(22,23)로서, 상측 케이싱부(22)내의 축방향 개구(26)가 하측 케이싱부(23)내 축방향 개구보다 유효직경이 큰 바의 케이싱부, 상측 케이싱부(22) 내측에 떨어져 있으며 상측 케이싱와 같은 측의 횡단벽상에 하나의 축방향 단부와 맞은편 상축 단부를 갖는 내부케이싱(21), 횡단벽(17)을 향해 단부쪽으로 가늘어지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내 케이싱 내측의 상측 원추형 부재(28,30)로서, 기저부에 개구(32,33)를 가지는 바의 원추형 부재, 횡단벽(17)에 나있는 적어도 두개의 개구(55,56)로서, 한개구(55)는 하측 케이싱부(2 3)로부터 상측 케이싱부(22)와 내부케이싱(21) 사이의 공간으로 통하도록 하며, 다른 한 개구(56)는 방사상 내측으로 형성되어서 내부케이싱 (21)과 하측 케이싱부(23)를 통하게 하는 바의 개구, 다른 비중을 갖는 두 액체의 혼합물을 내부케이싱(21)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내부케이싱의 상측단내 있는 유입구(61), 그리고 횡단벽(17), 케이싱부 (22,23), 그리고 내부케이싱(21)을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으로 포함하여, 회전 원심력이 내부케이싱 내에 액체 원환을 형성하고 액체가 아래로 흐르는때 낮은 비중을 갖는 한 액체가 횡단벽(17)에 나있는 개구중 내측에 있는 개구(56)로 그리고는 하측 케이싱부(23)로 분리되어 지도록 하며, 하측 케이싱부내에 액체 원환을 형성하여 상기의 한 액체가 아래로 흘러서 하측 케이싱부(23)내 축방향 개구를 통과하는때 그같은 한 액체가 더욱더 방사상 내향으로 분리되어지게 하고, 다른 액체는 방사상 외향으로 그리고 횡단벽(17)의 다른 개구(55)를 통해 상측 케이싱부(22)와 내부케이싱(21)사이의 공간으로 올라가게 하여 축방향의 개구(26)를 통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 부재(61)가 내부케이싱의 상측단에 연결된 거꾸로된 호퍼(25)를 포함하여 혼합 액체를 수용 하기 위한 축방향 챔버를 제공하도록 하며, 횡단벽(17)의 방사상 내측 개구(56)가 상측과 하측 케이싱부(22,23)의 축방향 개구와 동축인바를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하측 케이싱부(23) 축방향 단부와 같은 측면의 횡단벽 (17)에서 기저부를 두고 있는 그리고 하측 케이싱부 축방향 개구(59)를 향해 점점 가늘어지는 하측 케이싱부 내측의 방사상으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적어도 두개의 하측 원추형 부재(35,36,37,38)를 포함하며, 하측 원추형 부재의 방사상 내측부재가 횡단벽(17) 가까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39,40)를 가지며, 횡단벽의 개구가 하측 원추형 부재(35,36,37,38)의 기저부 반대편 방사상 측면에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교대하여 있는 상측 원추형 부재(28,29,30)의 단부가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고, 방사상 내측 단부를 가지는 교대의 상기 상측 원추형 부재가 개구(32,33)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5. 제2항에 있어서, 한 개구를 갖는 유입구 파이프(64)를 포함하여 혼합액을 공급하도록 하며, 거꾸로된 호퍼(25)가 상측 케이싱부(22)의 축방향 개구(26)를 통해 동축을 가지며 상향하여 연장되는 한 상측부를 가져서 그 개방단부에서 유입구 파이프(64)를 수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거꾸로된 호퍼(25)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유입구 파이프(64)의 개방 단부를 수용하도록 하는 컵모양 간막이(20)를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케이싱부(22)의 축방향 개구에서 고정된 차단(blocking) 스크린을 더욱더 포함하여 케이싱부의 회전과 접촉함을 막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8. 제5항에 있어서, 거꾸로된 호퍼(25) 상측부 둘에서 방사상의 임펠러 플레이트( 68)를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9. 제3항에 있어서, 하측 원추형 부재(35,36,37,38)상의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플레이트를 더욱더 포함하여 하측 케이싱부(23)내의 액체가 상기 방사상 플레이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측 케이싱부(22)의 축방향 개구로부터 상측 케이싱부와 내 케이싱(21) 사이의 공간으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액체 밀봉수단을 더욱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KR1019870000269A 1986-01-15 1987-01-15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KR960000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860122 1986-01-15
NO860122A NO157967C (no) 1986-01-15 1986-01-15 Separator for skilling av to sammenblandede vaesker med ulike egenvek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919A KR870006919A (ko) 1987-08-13
KR960000002B1 true KR960000002B1 (ko) 1996-01-03

Family

ID=1988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269A KR960000002B1 (ko) 1986-01-15 1987-01-15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816152A (ko)
EP (1) EP0229749B1 (ko)
JP (1) JPH0811201B2 (ko)
KR (1) KR960000002B1 (ko)
CN (1) CN1014871B (ko)
AT (1) ATE53514T1 (ko)
BR (1) BR8700265A (ko)
CA (1) CA1298255C (ko)
DE (1) DE3763148D1 (ko)
ES (1) ES2016655B3 (ko)
GR (1) GR3000714T3 (ko)
NO (1) NO157967C (ko)
SU (1) SU1628843A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9072B2 (en) 2004-04-27 2009-12-08 Samsung Sdi Co., Lt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9158A (en) * 1989-03-30 1990-09-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 for separating disparate components in a fluid stream
US5300014A (en) * 1992-10-16 1994-04-05 Dorr-Oliver Corporation Underflow control for nozzle centrifuges
US5591340A (en) * 1995-09-01 1997-01-07 Costner Industries Nevada, Inc. Centrifugal separator
WO1997016255A1 (en) * 1995-11-03 1997-05-09 Jacob Kalleberg Separator for separation of two liquids
US5571070A (en) * 1996-01-16 1996-11-05 Costner Industries Nevada, Inc. Rotor sleeve for a centrifugal separator
US6561965B1 (en) 2000-10-20 2003-05-13 Alfa Laval Inc. Mist pump for a decanter centrifuge feed chamber
CN100340348C (zh) * 2005-07-21 2007-10-03 扬州澄露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二相三元体系分离的离心机
DE102006027893B4 (de) * 2005-07-28 2015-05-13 Gea Mechanical Equipment Gmbh Separator mit einer doppelt konischen Trommel aus Metall
CN101298008B (zh) * 2008-01-14 2012-10-03 经建中 应用于混合液体连续离心分离系统上的盘管结构
CN103495511B (zh) * 2013-10-11 2015-08-19 耿锡岭 一种高效离心选矿机
CN108275792B (zh) * 2018-01-29 2020-10-09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污水处理装置及污水处理方法
FR3081352B1 (fr) * 2018-05-28 2020-06-12 IFP Energies Nouvelles Separateur rotodynamique pour fluide multiphasique sans moyeu centr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318A (en) * 1917-01-02 1917-04-12 Severin Christian Anker-Holth Improvements in Cream Separators.
US1917422A (en) * 1931-02-09 1933-07-11 Laval Separator Co De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entrifugal bowls
GB676604A (en) * 1951-02-17 1952-07-30 Vear Oliver Goument Centrifugal butterfat isolating separator
US2646921A (en) * 1951-08-31 1953-07-28 James S Adams Device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US3208201A (en) * 1960-09-27 1965-09-28 Dorr Oliver Inc Crude oil separating treatment
SE308277B (ko) * 1965-12-16 1969-02-03 H Reinhardt
US3674206A (en) * 1970-11-20 1972-07-04 John S Wendt Jr Centrifugal separator with means controlling flow
JPS517859B2 (ko) * 1973-01-20 1976-03-11
US4067494A (en) * 1977-01-03 1978-01-10 Dorr-Oliver Incorporated Nozzle type centrifugal machine with improved slurry pumping chamb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9072B2 (en) 2004-04-27 2009-12-08 Samsung Sdi Co., Lt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60122L (no) 1987-07-16
EP0229749A3 (en) 1988-06-15
US4816152A (en) 1989-03-28
NO157967B (no) 1988-03-14
CA1298255C (en) 1992-03-31
BR8700265A (pt) 1987-12-08
ATE53514T1 (de) 1990-06-15
SU1628843A3 (ru) 1991-02-15
EP0229749A2 (en) 1987-07-22
ES2016655B3 (es) 1990-11-16
CN87100330A (zh) 1987-08-05
NO157967C (no) 1991-05-08
JPS62183811A (ja) 1987-08-12
DE3763148D1 (de) 1990-07-19
JPH0811201B2 (ja) 1996-02-07
EP0229749B1 (en) 1990-06-13
GR3000714T3 (en) 1991-10-10
CN1014871B (zh) 1991-11-27
KR870006919A (ko) 198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002B1 (ko) 상이한 비중의 두 혼합액 분리기
AU698539B2 (en) Centrifugal separator and method
US3092582A (en) Centrifuge
SE504616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diskontinuerlig separering av partiklar ur en vätska genom centrifugalsedimentering
EP0390899A1 (en) CENTRIFUGAL SEPARATOR.
US6955637B1 (en) Separation device having a centrifugal rotor
US5941811A (en) Centrifugal separator to free a liquid from both lighter particles and heavier particles
US3022937A (en) Centrifuge for separating three components
US6508752B1 (en)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end walls and a central shaft to resist axially directed forces
US3937397A (en) Basket centrifuge
KR20190015921A (ko) 가변 수력 디스크 분리장치
US6802804B1 (en) Method and a device for separation of a surface layer of a liquid body
NO844285L (no) Sentrifuge
WO1998045046A1 (en)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a vertical axis
KR900000028B1 (ko) 유분농도 측정에 있어서의 전처리용 원심분리기
US1269067A (en) Centrifugal filtering and clarifying apparatus.
US4375411A (en) Device for limiting vortex flow
EP0824379B1 (en) Centrifugal separator
US721186A (en) Centrifugal cream-separator.
US7118521B2 (en) Centrifugal separator with conical pump inlet
KR20230097193A (ko) 디스크 스택을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
US749393A (en) Cream-separator
CN116583356A (zh) 离心分离器和操作离心分离器的方法
WO1998045044A1 (en) A centrifugal separator having separation discs and sludge transporting means
WO1997016255A1 (en) Separator for separation of two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