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167B1 -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 Google Patents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167B1
KR950015167B1 KR1019920000979A KR920000979A KR950015167B1 KR 950015167 B1 KR950015167 B1 KR 950015167B1 KR 1019920000979 A KR1019920000979 A KR 1019920000979A KR 920000979 A KR920000979 A KR 920000979A KR 950015167 B1 KR950015167 B1 KR 950015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metal film
layer
group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653A (ko
Inventor
윌리암 클리랜드 이안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더블유. 벅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더블유. 벅맨 filed Critical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2001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3Electric condenser making
    • Y10T29/435Solid dielectr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제1도는 조립되기 이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제작된 두층의 용량성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용량성 구조체에 따른 전기 등가회로.
제3도는 본 발명의 4층으로 된 용량성 구조체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4도는 8층으로 된 본 발명의 조립된 용량성 구조체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두층으로 된 용량성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용량성 구조체에 대한 전기 등가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량성 구조체 12 : 제1층
13a,13b : 리본 14 : 제2층
16 : 제1절연기판 18 : 제1금속 필름
18a : 말단 세그먼트 18b : 중간 세그먼트
20 : 제2절연기판 22 : 제2금속 필름
22a : 중간 세그먼트 22b : 말단 세그먼트
24,26,28,30 : 에지 32,38 : 무금속 영역
34,40 : 금속 필름 밴드 36 : 무금속 가장자리레인
본 발명은 층 또는 적층 권선형 축전기 조립(layer or stack wound capacitor constructions)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가지며 각 층이 제2에지에서 소폭의 가장자리 필름 밴드에 인접하여 배치된 금속유리 영역(metal-free zone) 및 상기 무금속 영역과 제1에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갖는 복수개의 층을 구비하는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청에서 본원의 논제와 관련된 종래 기술에 관한 다음과 같은 미국 특허를 조사하였다.
3,292,063 4,424,552
3,483,453 4,586,112
3,508,128 4,462,062
3,651,548 4,750,085
1966년 12월13일자로 디.켓러만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292,063호에는 튜브형 절연 코어 부재(14)와 상기 코어 부재 둘레에 나선형으로 권선된 다층 필름 부재(12)를 구비하는 권선형 축전기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필름 부재는 제1절연층(16)과 제2절연층(18)으로 구성된다. 제1전도층(20)은 제1절연층의 상부 표면과 제2절연층의 하부 표면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된 전도성 스트립(22)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전도층(38)은 제1절연층의 하부 표면과 제2절연층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이격된 전도성 스트립(40)으로 형성된다. 전도성 스트립(40)은 전도성 스트립(22)에 대하여 엇갈린 관계로 위치한다.
1969년 12월9일자로 알.시.마이어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483,453호에는 한층내에 측방향으로 분리된 박막(23,24)과 또다른 층내에 측방향으로 분리된 박막(25,26)을 구비하는 3섹션의 직렬 권선된 편평한 팩으로 형성된 축전기 팩 구조체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층은 절연 시이트(27,28)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박막(23,26)은 각각의 절연 시이트(27,28)의 에지를 넘어 연장한다. 상기 특허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A만큼 박막(24)위에 중첩된다. 또한, 그 에지에서 박막(24)은 거리 A만큼 박막(25)위에 중첩되며, 박막(25)은 거리 A만큼 박막(23)위에 중첩된다. 중첩 영역은 세개의 직렬 연결된 축전기를 형성 하도록 활성 박막 영역을 형성한다.
1970년 4월21일자로 더블유.엠.엘리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08,128호에는 각 섹션이 절연 스페이서(18)에 의해 제1부유 전극(14)에서 분리된 내부 전극(10)과 상기 제1부유 전극(14) 및 최의 전극(12)과 용량적으로 중첩한 제2부유 전극(16)과, 유니트가 롤링 업 될때 전극(10,16)을 전극(12,14)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2절연 스페이서(20)를 구비하는, 분리 권선되고 내부적으로 직렬 권선된 한쌍의 축전기 섹션을 기술하고 있다.
1986년 4월29일자로 에프.더블유.맥도갈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586,112호에는 나란히 정렬되고 두 절연 스트립(18,20)사이에 위치하는 두 금속 박막 전극(12,14)을 갖는 권선형 축전기가 기술되어 있다. 금속아이들러(16)가 두 박막 전극(12,14)으로부터 절연 스트립(20)의 다른 측면상에 위치하며(제1도), 양 측면상에 얇은 금속층으로 피복된 전기적 비전도 페이퍼 기판 스트립으로 형성된다. 박막 전극(12,14)과 아이들러(16)의 배치는 직렬 연결된 두 축전기를 제공한다.
1984년 7월 24일자로 시.시.레이번에게 허여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462,062호에는 일정한 길이로 된 복수개의 층을 가는 용량성 구조체가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층은 대향 에지를 가지며 절연 기판과 금속 필름을 포함한다. 금속 필름은 한 에지로부터 다른 에지를 향하여 연장한다. 각각의 층은 금속필름이 없는 영역을 가지며, 이 영역은 다른 에지로부터 이격되며, 금속 필름의 잔부로부터 무금속 영역에 의해 이격되는 소폭의 가장자리 금속 필름 밴드를 다른 에지에 형성한다.
특별히 기술하지 않은 나머지 특허들은 일반적인 것들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간주되며 다수의 축전기를 갖는 용량성 구조체에서 종래 기술 상태와 그 형성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인용하였다.
본 발명은 참조로서 본원에 합체된 상기 미국 특허 제4,462,062호에 대하여 개선점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에서의 축전기 구조체는 기본적으로 한 필드의 평행판 톱날 에지 형태(a one-field, parallel plate sawed edge type)이다. 이러한 형태의 축전기 구조체는 작동 전압 적용이 대략 400 VDC 또는 250 VAC로 제한된다. 제조 공정동안, 축전기는 모체 축전기로부터 절단(sawn)된다. 톱은 활성 전극 영역을 통하여 절단한다. 등전위 전극의 제1셋트는 지지 절연 필름의(톱으로 절단된)에지에 의해 대기중에서 등전위 전극의 제2셋트로부터 분리된다. 두 등전위 전극 셋트사이에 전압이 허용 레벨이상으로 증가하면, 전기 아아크가 한 전극 셋트로부터 다른 셋트로 점프된다. 이러한 전기 아아크 발생은 증발된 전극 에지를 불태우며 톱으로 절단된 절연 필름 에지를 탄화시켜, 축전기의 품질을 전기적으로 저하시킨다. 전기 아아크 발생을 회피하기 위한 최대 안전 전압은 절연 필름 두께에 따라 직접적으로 그러나 비선형으로 변화한다. 권선 시스템은 예로서 10마이크론 이하의 두께를 갖는 PET 필름에 제한된다.
따라서, 몸체의 AC 및 DC 전압 세기가 상당히 증가된 용량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를 제작하려면, 적어도 하나의 나란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상기 '062 특허의 용량성 구조체에서의 복수개의 층 각각에 추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절연 파괴 전압을 3배로 하도록 직렬 연결된 세개의 축전기로서 작용하는 3섹션 직렬 연결식 용량성 구조가 형성된다.
축전기와 단자에 인가되는 전체 전압은 상기 세부분 각각의 용량과 역관계로 각각의 직렬 축전기 부분을 가로질러 분포된다. 축전기의 세 부분이 동일한 용량이도록 제조되면, 각 부분은 말단 단자를 가로질러 인가되는 전압의 3분의 1을 감당할 수 있다. 이 전압이 톱으로 절단된 에지에서 상기 필름 두께에 대하여 톱으로 절단된 에지의 아아크 오우버(arc-over)를 방지하기 위한 최대 안전 전압이면, 축전기 말단 단자를 가로질러 적용된 전압이 톱으로 절단된 에지 아아크 오우버를 발생시키지 않고 3배로 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축전기 구조체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복수개의 층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연속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이 배치된 제조 및 조립하기에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DC 전압 세기가 상당히 증가한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몸체의 AC 전압 세기가 상당히 증가하며 코로나 온셋 전압이 증가한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갖는 다수의 층을 구비하는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로서, 각각의 층이 상기 제2에지에서 소폭의 가장자리 필름 밴드에 인접하여 배치된 무금속 영역과, 상기 무금속 영역과 제1에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갖는 용량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그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일정 길이의 제1층과, 제2그룹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일정길이의 제2층을 갖는 용량성 구조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제1층의 각각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가지며, 제2층의 각각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갖는다. 제1층의 각각은 제1절연기판과 제1금속 필름을 구비한다. 제1금속 필름은 제1층의 제1에지로부터 제2에지를 향하여 연장한다. 제2층의 각각은 제2절연 기판과 제2금속 필름을 구비한다. 제2금속 필름은 제2층의 제2에지로부터 제1에지를 향하여 연장한다.
상기 제1금속 필름에는 비교적 소폭의 제1무금속 영역이 상기 제2에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에지에는 상기 제1무금속 영역에 의해 나머지 제1금속 필름부분과 이격되는 제1가장자리 금속 필름이 형성된다. 상기 제1금속필름은 제1 및 제2세그먼트로 분리되도록 제1무금속 영역과 제1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1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부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2금속 필름에는 비교적 소폭의 제2무금속 영역이 상기 제1에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에지에는 상기 제1무금속 영역에 의해 나머지 제2금속 필름 부분과 이격되는 제2가장자리 금속 필름이 형성된다. 상기 제2금속 필름은 제3 및 제4세그먼트로 분리되도록 제2무금속 영역과 제2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2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부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1그룹의 제1층은 제1 및 제2절연 기판이 상기 제1 및 제2세그먼트를 제3 및 제4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제2그룹의 제2층에 끼워진다. 상기 제1그룹의 제1층은 제1그룹의 제1에지가 제2그룹의 제1에지 이상으로 외향 연장하고 제2그룹의 제2에지가 제1그룹의 제2에지 이상으로 외향 연장하도록 제2그룹의 제2층과 오프셋된다. 제1그룹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1에지는 제1셋트의 외부 축전기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층의 제1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된다. 제2그룹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제2에지는 제2셋트의 외부 축전기 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층의 제4세그먼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장점을 대응하는 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므로서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용량성 구조체(10)는 조립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하는 제1층(12)과 제2층(14)을 구비한다. 제1층(12)은 제1웨브를 복수개의 개별 리본으로 분할시킨 단일 리본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층(14)은 제2웨브를 복수개의 개별 리본으로 분할시킨 단일 리본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원에 참조로서 합체된 미국 특허 제4,462,062호를 참조한다. 상기 특허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4도에 제1웨브(A)가 퇴출된(withdrawn) 공급 롤(2)과 제2웨브(B)가 퇴출된 공급롤(4)을 도시한다. 웨브(A)는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개의 면도날(21a)로 구성된 제1분활 장소로 통과하며, 그곳에서, 복수개의 제1리본(18a)으로 분할된다. 한편, 웨브(B)는 그것을 복수개의 제2리본(18b)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평행하게 이격된 면도날(21b)로 구성되는 제2웨브 분할 장소로 통과한다. 복수개의 제1 및 제2리본(18a,18b)은 상기 특허의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 형태로 되도록 각각의 롤러(16a,18b)상에서 웨빙용 드럼(20)까지 통과하게 된다.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제1층(12)은 리본(13a)으로부터 얻어지며 제1절연기판(16)과 제1금속 필름(18)을 구비한다. 제2층(14)은 리본(13b)으로부터 얻어지며 제2절연기판(20)과 제2금속 필름(2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절연기판(16,20)은 MYLAR(상표명)로 시판되는 고형 수지와 같은 적절한 플라스틱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금속 필름(18,22)은 증착된 알루미늄일 수 있다. 상기 절연기판(16,20)은 10만분의 1인치 정도의 두께를 갖는 매우 얇은 층으로 제작된다. 또한 금속 필름(18,22)은 500 옴스트롱 정도의 두께를 갖는 매우 얇은 층으로 제조된다.
제1층(12)은 대향하는 좌우 측면 에지(24,26)를 가지며, 제2층(14)은 대향하는 좌우 측면 에지(28,30)를 갖는다. 제2층(14)은 제1층에 대하여 오프셋된 관계로 배치되어, 제1층의 측면 에지(24)가 제2층의 측면 에지(28) 이상으로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하며 제2층(14)의 측면 에지(30)는 제1층(12)의 측면 에지(26)이상으로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한다.
제1금속 필름(18)은 리본(13a)상에 가장자리 금속 필름 밴드(34)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면 에지(26)로부터 분리 이격된 비교적 소폭의 탈금속 영역 또는 무금속 영역(32)을 구비한다. 또한 제1금속 필름(18)은 무금속 영역(32)과 측면 에지(24) 사이에 정렬된 하나의 나란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36)을 구비한다. 상기 가장자리 레인(36)은 제1금속 필름을 말단 세그먼트(18a)와 중간 세그먼트(18b)로 분리시키도록 무금속 영역(32)과 측면 에지(24)사이에 배치된다. 제2금속 필름(22)은 가장자리 금속 필름밴드(40)를 리본(13b)상에 형성시키도록 측면 에지(28)로부터 이격된 비교적 소폭의 탈금속 또는 무금속 영역(38)을 구비하며, 또한 무금속 영역(38)과 측면 에지(30)사이에 정렬된 연속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42)을 구비한다. 가장자리 레인(42)은 제2금속 필름을 중간 세그먼트(22a)와 말단 세그먼트(22b)로 분리시키도록 무금속 영역(38)과 측면 에지(30)사이에 배치된다.
제1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말단 세그먼트(18a)는 거리 a만큼 중간 세그먼트(22a)와 중첩된다. 또한, 다른 에지에서 중간 세그먼트(22a)는 동일한 거리 a만큼 중간 세그먼트(18b)와 중첩된다. 마지막으로, 다른 에지에서 중간 세그먼트(18b)는 거리 a만큼 말단 세그먼트(22b)와 중첩된다. 이렇게 형성된 중첩영역은 활성판 영역을 나타내며 3중 직렬 연결된 용량성 구조체를 포함한다. 제1도의 용량성 구조체에 대한 전기 등가 회로는 직렬 연결된 세개의 축전기(C1,C2,C3)를 나타내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는 제2층(14)의 제2그룹에 대하여 오프셋된 제1층(12)의 제1그룹을 갖는 본 발명의 용량성 구조체(10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인접한 상기 층(12,14)의 각각은 명료성을 위하여 다음 인접층으로부터 분리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용량성 구조체의 길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층(12)은 에지(24,26)에서 절단되며 제2층(14)은 에지(28,30)에서 절단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렇게 형성된 용량성 구조체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용량성 스틱(비도시)을 형성하도록 가압 및 가열된다. 그후, 용량성 스틱은 각각의 축전기 유니트를 형성 하도록 횡으로 절단된다.
도면중 제4도는 제2층(14)의 제2그룹(34)에 대하여 끼워지고 오프셋 된 제1층(12)의 제1그룹(32)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된 용량성 구조체(10b)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1그룹(32)은 4개의 제1층(12)으로 구성되며, 제2그룹(34)은 4개의 제2층(14)으로 구성된다. 제1그룹(32)내에서 제1층(12)의 에지(24)에서 금속 필름 말단 세그먼트(18a)와 절연기판(16)은 제2그룹(34)내의 제2층(14)의 인접 에지(28) 이상으로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한다. 금속 필름 말단 세그먼트(18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셋트의 외부 축전기 전극 또는 판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 전도성 재료의 금속 분무코팅(36)이 종래의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그룹(34)의 제2층(14)의 에지(30)에서 금속 필름 말단 세그먼트(22b)와 절연기판(20)이 제1그룹(32)내의 제1층(12)의 인접 에지(26)이상으로 측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전기 전도성 물질의 금속 분무 코팅(38)이 제2셋트의 외부 축전기 전극 또는 판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 필름 말단 세그먼트(22b)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적용된다.
제1그룹(32)의 제1층(12) 각각에 형성된 연속 금속 유리 가장자리 레인(36)은 금속 필름 말단 세그먼트(18a)를 제1셋트의 내부 부유 전극 또는 판을 형성하는 금속 필름 중간 세그먼트(18b)로부터 명확히 분리시켜야 한다. 또한, 각각의 제2그룹(34)의 제2층(14)에 형성된 연속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42)은 제2셋트의 내부 부유 전극 또는 판을 형성하는 금속 필름 중간 세그먼트(22a)로부터 금속 필름 말단 세그먼트(22b)를 분리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셋트의 내부 부유 판을 제1 및 제2셋트의 외부사이에 배치시키므로써, 직렬의 세축전기로서 작동하는 3섹션 직렬 연결된 용량성 구조체가 형성된다. 제1축전기를 형성하는 제1부분이 말단 세그먼트(18a)와 내부 부유 판(22a)사이에 형성된다. 제2축전기를 형성하는 제2부분이 부유판(22a)과 부유판(18b)사이에 형성된다. 제3축전기를 형성하는 제3부분이 부유전극(18b)과 말단 세그먼트(22b)사이에 형성된다. 세축전기 각각은 제1 및 제2셋트의 외부판 사이의 인가 전압의 일부만을 처리할 것이 요구되므로, 절연 파괴 전압이 3배로 된다.
제1 및 제2그룹(32,34)각각에 있어서 층마다 하나의 나란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첨가하면 직렬 연결된 세개의 축전기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1 및 제2그룹 각각에서 층마다 두개의 나란한 무금속 레인을 생성하므로써 다섯개의 직렬 축전기가 제조될 수 있다. 제5도에서는 제1층(12)이 두개의 나란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36a,36b)을 가지며 제2층(14)이 두개의 나란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42a,42b)을 갖는 본 발명의 용량성 구조체(10c)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장자리 레인(36a,36b)은 폭이 동일하고 금속 필름(18)을 3세그먼트(18a,18b,18c)로 분할시키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동일한 폭을 갖는다. 한편, 가장자리 레인(42a,42b)은 폭이 동일하고 금속 필름(22)을 3세그먼트(22a,22b,22c)로 분할시키며 각각의 세그먼트는 동일한 폭을 갖는다. 제5도의 용량성 구조체에 대한 전기 등가 회로는 직렬 연결된 5개의 축전기(C1 내지 C5)를 나타내는 제6도에 도시된다.
또는, 직렬 연결된 축전기의 필요한 갯수에 따라 하나의 층에 여러개의 가장자리 레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레인은 침착된 금속을 연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상술된 미국 특허 제4,462,062호의 제8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금속 영역이 형성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예를 들면, 가장자리 레인(36a,36b,42a,42b)의 폭과 간격 및 개별 세그먼트(18a-18c,22a-22c)의 폭은 제1 및 제2외부판사이에 수용된 각각의 축전기들 사이의 용량값에 어느 정도를 변화를 주도록 변화될 수 있다.
상술로부터, 본 발명에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갖는 복수개의 층을 구비하는 개선된 용량성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은 제2에지에서 소폭의 가장자리 필름 밴드에 인접하여 배치된 무금속 영역과 상기 무금속 영역과 제1에지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한 나란한 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용량성 구조체는 몸체의 AC 및 DC 전압 세기가 상당히 증가한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로서 도시 및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본원의 요소가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 상태나 재료가 본원의 기술 사상에 부합되도록 여러가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최상의 형태로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의 영역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제1그룹을 형성하며,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일정길이의 제1층과, 제2그룹을 형성하며,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일정길이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 각각은 제1절연 기판과 제1금속 필름을 갖고, 제1금속 필름은 제1층의 제1에지로부터 제2에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층 각각은 제2절연 기판과 제2금속 필름을 갖고, 제2금속 필름은 제2층의 제2에지로부터 제1에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1금속 필름에는 비교적 소폭의 제1무금속 영역이 상기 제2에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에지에는 상기 제1무금속 영역에 의해 나머지 제1금속 필름부분과 이격되는 제1가장자리 금속 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금속 필름은 제1 및 제2세그먼트로 분리되도록 제1무금속 영역과 제1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1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부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금속 필름에는 비교적 소폭의 제2무금속 영역이 상기 제1에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에지에는 상기 제1무금속 영역에 의해 나머지 제2금속 필름 부분과 이격되는 제2가장자리 금속 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금속 필름은 제3 및 제4세그먼트로 분리되도록 제2무금속 영역과 제2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2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부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1그룹의 제1층은 제1 및 제2절연기판이 상기 제1 및 제2세그먼트를 제3 및 제4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제2그룹의 제2층과 관계를 갖고, 상기 제1그룹의 제1층은 제1그룹의 제1에지가 제2그룹의 제1에지 이상으로 외향 연장하고 제2그룹의 제2에지가 제1그룹의 제2에지 이상으로 외향 연장하도록 제2그룹의 제2층과 오프셋되며, 상기 제1그룹의 외향 연장하는 제1에너지는 제1셋트의 외부 축전기 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층의 제1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되며, 상기 제2그룹의 외향 연장하는 제2에지는 제2셋트의 외부 축전기 판을 형성하기 위해 제2층의 제4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가장자리 레인은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그먼트는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세그먼트는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그먼트는 제1셋트의 내부 부유 판을 형성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세그먼트는 제2셋트의 내부 부유 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장자리 레인은 레이저 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8. 제1그룹을 형성하며,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일정길이의 제1층과, 제2그룹을 형성하며, 대향하는 제1 및 제2에지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일정길이의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 각각은 제1절연 기판과 제1금속 필름을 갖고, 제1금속 필름은 제1층의 제1에지로부터 제2에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층 각각은 제2절연 기판과 제2금속 기판을 갖고, 제2금속 필름은 제2층의 제2에지로부터 제1에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1금속 필름에는 비교적 소폭의 제1무금속 영역이 상기 제2에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2에지에는 상기 제1무금속 영역에 의해 나머지 제1금속 필름 부분과 이격되는 제1가장자리 금속 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1금속 필름은 말단 및 중간 세그먼트로 분리되도록 제1무금속 영역과 제1에지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1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부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2금속 필름에는 비교적 소폭의 제2무금속영역이 상기 제1에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1에지는 상기 제1무금속 영역에 의해 나머지 제2금속필름 부분과 이격되는 제2가장자리 금속 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2금속 필름은 말단 및 중간 세그먼트로 분리되도록 제2무금속 영역과 제2에지 사이에 배치된 복수개의 제2무금속 가장자리 레인을 부가로 부기하며, 상기 제1그룹의 제1층은 제1 및 제2절연 기판이 제1금속 필름의 말단 및 중간 세그먼트를 제2금속 필름의 말단 및 중간 세그먼트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제2그룹의 제2층과 관계를 갖고, 상기 제1그룹의 제1층은 제1그룹의 제1에지가 제2그룹의 제1에지 이상으로 외향 연장하고 제2그룹의 제2에지가 제1그룹의 제2에지 이상으로 외향 연장하도록 제2그룹의 제2층과 오프셋되며, 상기 제1그룹의 외향 연장하는 제1에지는 제1셋트의 외부 축전기판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층의 말단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 되도록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되며, 상기 제2그룹의 외향 연장하는 제2에지는 제2셋트의 외부 축전기 판을 형성하기 위해 제2층의 말단 세그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 되도록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KR1019920000979A 1991-01-28 1992-01-24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KR950015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46,823 US5157583A (en) 1991-01-28 1991-01-28 Series wound capacitive structure
US646,823 1991-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653A KR920015653A (ko) 1992-08-27
KR950015167B1 true KR950015167B1 (ko) 1995-12-23

Family

ID=2459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79A KR950015167B1 (ko) 1991-01-28 1992-01-24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7583A (ko)
EP (1) EP0497456A1 (ko)
JP (1) JP2767660B2 (ko)
KR (1) KR950015167B1 (ko)
CA (1) CA2058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498A (en) * 1994-12-21 1996-10-08 Delco Electronics Corp. Flexible capacitor filter
US6187062B1 (en) * 1998-06-16 2001-02-13 Alcatel Current collection through thermally sprayed tabs at the ends of a spirally wound electrochemical cell
JP4564118B2 (ja) 1999-10-26 2010-10-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098482B2 (en) * 2006-07-28 2012-01-17 Illinois Tool Works Inc. Double layer capacitor using polymer electrolyte in multilayer construction
US9294064B2 (en) * 2013-03-15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Bandpass filter implementation on a single layer using spiral capacito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4680A1 (de) * 1968-07-16 1971-05-19 Siemens Ag Elektrischer Stapel- bzw. Schichtkondensator
JPS51128233U (ko) * 1975-04-14 1976-10-16
JPS545755U (en) * 1977-06-15 1979-01-16 Murata Manufacturing Co The multilayer capacitor for high voltage
US4462062A (en) 1981-02-27 1984-07-24 Illinois Tool Works Inc. Capacitive structure
CA1173123A (en) * 1981-02-27 1984-08-21 Charles C. Rayburn Capaci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S59187124U (ja) * 1983-05-30 1984-12-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部品
JPS63249318A (ja) * 1987-04-03 1988-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イルム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US5057967A (en) * 1989-07-26 1991-10-15 Nichicon Corporation Rolled film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8658A1 (en) 1992-07-29
EP0497456A1 (en) 1992-08-05
KR920015653A (ko) 1992-08-27
JP2767660B2 (ja) 1998-06-18
US5157583A (en) 1992-10-20
JPH04316307A (ja) 199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1743A (en) Metallized capacitor having increased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EP0762448B1 (en) Multilayer feedthrough capacitor
US4028595A (en) Multi-voltage capacitor section
JP4917092B2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
KR980700671A (ko) 전기 커패시터용 금속박막 (metallized film for electrical capacitors)
EP2395523A1 (en) Metalized film capacitor
JPS6364318A (ja)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99921A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
US4694377A (en) Segmented capacitor
EP0789371B1 (en) Capacitor with metallized dielectric film of variable resistance
KR950015167B1 (ko) 축전기의 용량성 구조
US5717563A (en) Electrode patterning in metallized electrode capacitors
JP4869531B2 (ja) 電力コンデンサ用コンデンサ素子、該素子を有する電力コンデンサ、および電力コンデンサ用金属化膜
JP2000133545A (ja) 積層セラミックチップコンデンサ
FI77741B (fi) Kraftkondensator.
NL8105732A (nl) Condensator en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JP2847355B2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US3628108A (en) Convolutely wound capacitor
US3993967A (en) Resistance-capacitance network
EP0115389A1 (en) Dual film metallized capacitor
JP2001319826A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H06267786A (ja) コンデンサ
US5012565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layered capacitors having a thickness of inactive layers
US2861231A (en) Electrical capacitors
EP1341195A1 (en) Capaci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