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972B1 - 자수 문양 포지의 제법 - Google Patents

자수 문양 포지의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972B1
KR950014972B1 KR1019870015254A KR870015254A KR950014972B1 KR 950014972 B1 KR950014972 B1 KR 950014972B1 KR 1019870015254 A KR1019870015254 A KR 1019870015254A KR 870015254 A KR870015254 A KR 870015254A KR 950014972 B1 KR950014972 B1 KR 95001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embroidery
color
embroidered
fo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915A (ko
Inventor
요시또시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기누따야
요시또시 이또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기누따야, 요시또시 이또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기누따야
Publication of KR89000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2Reserving parts of the material before dyeing or printing ; Locally decreasing dye affinity by chem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수 문양 포지의 제법
도면은 본원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자수 문양포지가 사용된 의복의 정면도.
제2도는 반제품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포 (1a) : 색문양을 실시한 부분
(1b) : 홀치기 문양을 실시할 예정부분 (10) : 홀치기 문양 부분
(11) : 자수 문양 부분
본 발명은 자수 문양과 홀치기 문양을 실시한 포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홀치기 문양에 인접시켜서 자수 문양이 있는 미려한 포지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자수문양이 들어있는 포지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홀치기포지는 포지면에 요철을 형성 구비시켜 축포를 갖게함이 특징이며, 한편, 자수 문양은 자수틀에 기포를 연신하고, 장가하여 평탄하게 하여 가공함이 특징으로서, 양자는 가공 기술상 상반하여 서로 연결짓지 못하였다. 또, 포지에 대하여 자수 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색문양을 표현하기 위하여는 복수의 색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또한, 윤곽도 자연히 색사로써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어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자수 문양과 홀치기 문양이 인접 존재하는 포지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자수 문양들이 포지의 제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은 특히 청구의 범위 기재와 같은 수단을 강구한 것으로서,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포의 일부에 색문양에 실시한다. 다음에, 그 옆에 자수 문양을 실시한다. 자수틀에 기포를 인신하여 장가하고, 색문양의 부분에 동색의 색사를 사용하여 자수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미려한 홀치기 문양과 자수 문양이 인접 병존하는 미려한 포지가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다음에, 본 원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제조과정에 있어서의 포지의 상황을 설명하기 의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기포의 존재를 나타내며, 실크생지, 린즈포 등 홀치기 가공을 실시하기에 적당한 임의의 포생지를 사용한 것을 나타낸다. 통상을 백생지를 사용하지만, 색생지이어도 무방하다. 1a는 학의 그림을 나타낸, 색문양을 실시한 부분을 나타낸다. 색문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우선(友禪), 유수(留袖)등에 있어서 알려진 것과 같은 것이다. 예를들면 손으로 그린 문양 또는 기계적 수단(프린트수단 등)으로 나타낸 복수색을 사용한 생문양을 나타낸다. 1b, 1c는 상기 색문양을 실시한 부분 1a에 인접하여 홀치기 문양을 실시한 임의의 넓이의 예정부와 무문양 또는 임의의 다른 문양을 실시할 부분을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0은 상기의 기포 1에 있어서의 홀치기 문양을 실시할 예정부 1b에 대하여, 임의의 홀치기 가공이 실시된 영역을 나타낸다. 이 영역내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는 필전(疋田) 홀치기, 횡인(橫引) 홀치기, 인목(人目) 홀치기 등의 임의의 홀치기 기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문양의 홀치기가 실시되어 있다. 상기 홀치기 공정에 있어서, 주지하는 밑그림과 그후의 실감치기를 행한 후의 염색공정에 있어서는 제2도의 부호 1a로 표시한 인접하는 색문양의 구역 등을 염색하지 않도록 한다. 이 수법으로서는 일접 쇄선(4)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주위에 실을 넣고, 주지하는 방염 가공을 실기하거나, 방수포로 싸던가하여 노출부를 염색하면 무염색역(1a)의 방염이 용이하다. 또 같은 방법으로 부호 1c의 부분을 방염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부호 1c의 부분을 방염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부호 1b로 나타낸 홀치기 범위로 형성되는 실감치 필부분의 염색을 완료한 뒤에는, 상기 기포(1)에 110℃∼130℃ 전후의 가열처리를 약 70분∼40분 정도 동안 실시한다. 수단으로서는 진공솥 가마 등의 가열장치를 이용하면 된다. 다음에, 방염부의 비닐 등의 방수포를 제거한 뒤에는, 주지하는 증기 다리미 공정을 실시한다. 이는 홀치기 염색필의 포에 증기를 뿌려서, 포를 전개시키는 공정이다. 그리고 상기의 홀치기 부호 1c로 나타낸 부분 전역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홀치기 공정이 실시된 포지에 대하여 다음에는 자수 공정을 실시한다. 그 범위는 제2도에 부호 1a로 나타낸 미리 대응적으로 홀치기 되어 있지 않은 색문양 부분에 실시한다. 이 영역(1a)은 미리 예정 하였던 자수 문양의 넓이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 놓은 것으로서 그 영역내에 주지의 자수봉제봉기를 사용하거나 손으로 자수 문양을 실시한다. 또는, 중국에서 유명한 선두
Figure kpo00001
자수 수단을 사용하거나 하여 임의의 자수를 실시한다. 이 경우, 기포(1)는 도시하지 않은 자수틀에 인신상으로 장기한 상태로 장착된다. 그 결과, 자수 공정 완료후에 있어서는 모처럼의 홀치기 문양(입체관이 형성되어 있는 홀치기 문양) 부분의 일부는 인신되어, 팽출부는 소실되어서 평면상으로 된다. 그리고, 부호 1a의 영역에는 미리 상기와 같이 색문양이 실시되어 있으므로 자수의 작용이 용이화된다. 즉, 윤곽도, 색지정도 색문양에 따라서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색문양으로 지정된 색체에 대응하는 동계색의 색사를 선택하여, 색 윤곽내에 중합상으로 자수 문양을 형성하는 간단한 작업(작업자 자신은 그림 문양 색, 윤곽을 창작하는 등의 배려를 할 필요성이 없는 작업)이 된다. 또 자수 문양의 형성시에 자수 문양에 실상호 간격이 떨어져서 바탕지가 보여도 바탕지(1a)에는 미리 동색으로 색칠해 있으므로 외관적으로는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이점도 있다. 또, 색문양의 일부에 대하여 자수 문양의 실시를 생략하여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다. 또, 제2도에 있어서 부호 3은 자수 문양을 실시하는 부분(1a)과, 홀치기를 실시하는 영역(1b)등의 다른 부분과의 경계에 있는 잔부를 나타내며, 문양을 미려하게 눈에 띄게 하기 위하여 2∼4m/m 정도의 천으로 대상로를 남겼다. 그러나, 양문양은 일부가 약간 중합할 정도로 일부 또는 전역에 인접 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자수틀로부터 기포(1)를 해제한 뒤에는 평탄화된 홀치기 부분(10)에 대하여 상기한 주지의 홀치기 부에 대한 증기 다리미와 같은 공정을 실시한다. 이 증기 다리미 공정의 정도는 상기한 자수틀 장가에 의하여, 평탄화된 홀치기 부분(10)의 요철이 복원하여 홀치기포로서의 상품가치가 복원할 정도로 복원 상황에 대응한 시간으로 실시하면 된다. 그후에는 주지의 마무리 공정을 실시한다.
다음에 상기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 실 감치기후의 염색 공정에 있어서의 염색의 색이 뒤의 자수문양에 해를 끼치지 않을 정도로 엷은 색의 경우에는 방염가공을 생략하여 기포 전체를 염색할 수가 있다. 또, 제2도에 있어서, 부호 1b, 1c의 부분이 미리 짙은색인 경우에는 홀치기 문양을 실시하기 전에 색문양 부분(1a)를 방염하여 상기 1b 또는 1c의 부분 또는 양쪽을 발염하여 엷은색으로 한다. 이렇게하면 제1도의 자수 문양 부분(11) 또는 홀치기 문양 부분(10)을 눈에 띄게할 수가 있다.
다음에 홀치기 문양을 실시하기전에 자수 문양의 작업을 하면 자수 문양이 실시된 포지는 약간 딱딱해져서 그 자수 문양에 인접하여 홀치기용의 실감치기를 실시하거나 일부 염색하는데 곤란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자수 문양의 실량이 적으면, 포지는 그다지 딱딱해지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자수 문양을 실시한 뒤에는 홀치기 문양을 실시하는 작업을 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수 문양과 홀치기 문양을 인접 병존 시키는 것으로서, 홀치기 문양의 입체적인 미려와 자수 문양의 호화함을 같이갖게한 고급포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많은 수공과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자수 문양의 작성에 있어서 본원발명에 있어서는 기포(1)에 색문양이 미리 실시되므로 작업자는 그 색문양이 지정하는 윤곽내에 색지정대로 자수 문양을 실시하면 되므로 고도한 자수 기술이 없는자라도 단시간의 수공으로 마무리 할수 있는 획기적 특징이 있다. 또, 약간의 자수색의 배치누락(간격)이 있어서도 바닥지가 동색이므로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기포에 대해서는 자수 문양을 실시할 예정부에 색문양을 염색하고 홀치기 문양을 실시한 예정부에 대하여는 홀치기 문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색문양을 실시한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 기포를 자수틀에 장가하여 상기 색문양의 윤곽내에서 상기 색문양에 있어서의 색체와 동계색의 실을 사용하여 색문양에 증합 시켜서 자수 문양을 실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 문양이 들어있는 포지의 제법.
KR1019870015254A 1987-10-08 1987-12-29 자수 문양 포지의 제법 KR950014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4362 1987-10-08
JP62254362A JPH0197260A (ja) 1987-10-08 1987-10-08 刺繍模様入り布地の製法
JP???254362/87 1987-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915A KR890006915A (ko) 1989-06-16
KR950014972B1 true KR950014972B1 (ko) 1995-12-20

Family

ID=1726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254A KR950014972B1 (ko) 1987-10-08 1987-12-29 자수 문양 포지의 제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197260A (ko)
KR (1) KR950014972B1 (ko)
CN (1) CN10082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71684A (zh) * 2017-02-22 2017-05-17 陈顶凯 绞染工艺品
CN110424172A (zh) * 2019-06-25 2019-11-08 张颖 扎染刺绣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4579B1 (ko) * 1970-07-31 1975-11-10
JPS5153162Y2 (ko) * 1972-05-10 1976-12-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49A (zh) 1989-04-19
KR890006915A (ko) 1989-06-16
JPH0197260A (ja) 1989-04-14
CN1008283B (zh) 199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0204A1 (en) Double-embroidered lace
JP2005248376A (ja) 刺繍の製造方法
CN112323521A (zh) 一种3d印色压花工艺
US2028872A (en) Pile fabric
KR950014972B1 (ko) 자수 문양 포지의 제법
US2348230A (en) Art of imprinted woven fabrics
US4439202A (en) Embroidered transf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50014971B1 (ko) 일부에 자수 문양을 갖는 홀치기 포지의 제법
US3963428A (en) Printing of textile articles
US3958926A (en) Relief printing acrylic pile fabric with di-beta-cyanoethyl formamide to simulate animal skins
KR20220107365A (ko) 주름이 형성되는 의류의 제조방법
US1548819A (en) Textile fabric simulating animal eur and in the method oe producing
US1520333A (en) Pile fabric to simulate fur blanke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840001619B1 (ko) 홀치기 염포의 제조 방법
JPS6223110B2 (ko)
CN206964191U (zh) 一种无缝一体式经编针织手表带
US2069760A (en) Embroidered fabric
JPS5836202A (ja) ネクタイの製造方法
JP3003417U (ja) 刺繍布帛
KR970001410Y1 (ko) 이중 자수직물
JP3052871U (ja) さがら刺繍付き生地
Miller et al. Fibre, Fabric and Fashion
US1518585A (en) Process of producing dyed fabrics
JPH0589492U (ja) パイル編地
WO2009104847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tton clothing or j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