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20B1 -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 Google Patents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20B1
KR950013620B1 KR1019920024682A KR920024682A KR950013620B1 KR 950013620 B1 KR950013620 B1 KR 950013620B1 KR 1019920024682 A KR1019920024682 A KR 1019920024682A KR 920024682 A KR920024682 A KR 920024682A KR 950013620 B1 KR950013620 B1 KR 95001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ellular phone
switching unit
pow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342A (ko
Inventor
강종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620B1/ko
Publication of KR94001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제 1 도는 종래 셀룰라폰의 개략적 구성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셀룰라폰의 외부 전원절체장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날로그 스위치 2 : 제 1 스위칭부
3 : 제 2 스위칭부 4 : 레귤레이터
D : 다이오드
본 발명은 셀룰라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라폰으로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하는 도중 배터리의 소모로 인하여 통화 감도가 저하될시 차량장치대 또는 외부 배터리 팩에 의한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연속적인 통화를 확보하도록 한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셀룰라폰은 첨부된 도면 제 1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셀룰라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중앙 처리장치(21)와, 안테나(14)로부터 듀플렉서(25)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2)와, 송신신호를 듀플렉서(25)를 통해 안테나(14)측으로 출력하는 송신부(23)와, 수신부(22)와 송신부(23)측에 복조 및 변조신호를 공급하는 주파수 합성부(24)와, 키패드부(13)로부터의 전화번호 등을 일시 저장했다. 중앙처리장치(21)측으로 출력하는 메모리부(26)와, 중앙처리장치(21)의 제어에 따라 통화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11)와, 수신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수화용 스피커(SPK)측으로 출력하고 송화용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중앙처리장치(21)측으로 출력하며 수신호출음 신호를 호출음 발생용 부저(BZ)측으로 출력하는 음성처리부(27)와, 각 회로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8)를 구비하여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종래의 셀룰라폰은 상대방과 통화하는 도중 배터리가 소모되어 통화감도가 저하될시 외부전원을 절제하여 사용하고자 하면 셀룰라폰의 전원을 오프시켜 상대방과의 통화를 중지한 후 배터리 팩을 교환하거나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장치대와 셀룰라폰을 연결하여 전원공급을 받아야 하므로 연속적인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셀룰라폰으로 상대방과 통화하는 도중 배터리가 소모되는 경우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장치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절환하여 전달하는 아날로그 스위치(1)와 ;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를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 배터리의 전원 출력을 절환하는 제1스위칭부(2)와 ;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를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의 출력을 절환하는 제 2 스위칭부(3)와 ; 상기 제 1 스위칭부(2)와 제 2 스위칭부(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전압으로 유지하여 셀룰라폰측에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4)와 ; 상기 제 2 스위칭부(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4)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스위칭부(2)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스위칭부(3)측으로 역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장치 구성도이고, 제 3 도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제 1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젤체장치는 아날로그 스위치(1), 제 1 스위칭부(2), 제 2 스위칭부(3) 및 레귤레이터(4)로 연결 구성된다. 아날로그 스위치(1)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절환하여 제 1 스위칭부(2) 또는 제 2 스위칭부(3)측에 출력하는데,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점(a)를 접점(b)측에 연결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 1 스위칭부(2)측에 전달하고,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접점(a)를 접점(c)측에 연결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 2 스위칭부(3)측에 전달한다. 제 1 스위칭부(2)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메인 배터리로부터 레귤레이터(4)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아날로그 스위치(1)를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한다. 제 2 스위칭부(3)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외부전원으로부터 레귤레이터(4)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아날로그 스위치(1)를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한다. 레귤레이터(4)는 제 1 스위칭부(2)나 제 2 스위칭부(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전압으로 유지하여 셀룰라폰측에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다이오드(D)는 제 2 스위칭부(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레귤레이터(4)측에 전달하며, 제 1 스위칭부(2)가 동작하는 경우에 제 2 스위칭부(3)측으로 역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장치는 제 3 도에 도시된 순서로 동작한다.
셀룰라폰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자 셀룰라폰의 전원키를 구동하면(스텝 S1) 전원이 인가된다(스텝 S2).
이때, 외부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아날로그 스위치(1)의 접점(a)이 접점(c)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제 2 스위칭부(3)에 인가되므로 제 2 스위칭부(3)가 온(ON)됨과 동시에 제 1 스위칭부(2)가 오프(OFF)되어 외부전원이 레귤레이터(4)를 경유하여 셀룰라폰에 공급되며(스텝 S3),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인가되고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스위치(1)의 접점(a) 접점(b)에 연결됨으로 인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제 1 스위칭부(2)에 인가되는 제 1 스위칭부(2)가 온(ON)됨과 동시에 제 2 스위칭부(3)가 오프(OFF)되어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레귤레이터(4)를 경유하여 셀룰라폰에 공급된다.(스텝 S4). 상기 스텝 S3 또는 스텝 S4의 동작에 의해 셀룰라폰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가 통화모드로 진입하여(스텝 S5), 상대방의 통화를 진행시키는 중에(스텝 S6), 레귤레이터(4)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전압을 체크함으로써 해당 전원이 미약해지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S7), 레귤레이터(4)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미약해진 것으로 획인되면 전원이 미약해져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측에 출력한다(스텝 S8).
이와 같이 셀룰라폰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이 출력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메인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측에 접속되어 있는 수동스위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를 온시켜 전원이 교체되어 인가되면(스텝 S9) 제 1 스위칭부(2)와 제 2 스위칭부(3)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어 메인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이 셀룰라폰측에 공급되는데(스텝 S11), 예를들어 상기 스텝 S4의 동작 수행에 의해 메인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셀룰라폰에 공급하는 중에 외부전원으로 교체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스위치(1)가 외부전원에 의해 절환동작하여 접점(a)를 접점(c)에 연결하게 되어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제 2 스위칭부(3)측에 인가됨으로 인하여 제 2 스위칭부(3)가 온됨과 동시에 제 1 스위칭부(2)가 오프되어 외부전원이 레귤레이터(4)를 통해 셀룰라폰측에 공급되고, 예를들어 상기 스텝 S3의 동작 수행에 의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셀룰라폰에 공급하는 중에 메인 배터리로 교체되는 경우에는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아날로그 스위치(1)가 절환동작하여 접점(a)를 접점(b)에 연결하게 되어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가 제 1 스위칭부(2)측에 인가됨으로 인하여 제 1 스위칭부(2)가 온됨과 동시에 제 2 스위칭부(3)가 오프되어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레귤레이터(4)를 통해 셀룰라폰측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스텝 S9에서 전원이 교체되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는 통화를 중단시킨다.(스텝 S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셀룰라폰의 외부전원 절체장치는 상대방과 통화하는 도중에 메인 배터리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해당 전원을 제 1 및 제 2 스위칭부(2, 3)에 의해 자동으로 절체하여 셀룰라폰측에 공급하므로 전원이 미약해짐으로 인하여 통화감도가 저하될 때 셀룰라폰의 통화 중단없이 전원을 절체할 수 있어 연속통화를 확보하게 된다.

Claims (1)

  1. 셀룰라폰에 있어서,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셀룰라폰의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절환하여 전달하는 아날로그 스위치(1)와 ;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를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 배터리의 전원 출력을 절환하는 제 1 스위칭부(2)와 ;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를 통해 인가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전원의 출력을 절환하는 제 2 스위칭부(3)와 ; 상기 제 1 스위칭부(2)와 제 2 스위칭부(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전압으로 유지하여 셀룰라폰측에 동작전원으로서 공급하는 레귤레이터(4)와 ; 상기 제 2 스위칭부(3)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레귤레이터(4)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스위칭부(2)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스위칭부(3)측으로 역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장치.
KR1019920024682A 1992-12-17 1992-12-17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KR95001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82A KR950013620B1 (ko) 1992-12-17 1992-12-17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82A KR950013620B1 (ko) 1992-12-17 1992-12-17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342A KR940017342A (ko) 1994-07-26
KR950013620B1 true KR950013620B1 (ko) 1995-11-13

Family

ID=1934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682A KR950013620B1 (ko) 1992-12-17 1992-12-17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6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342A (ko) 1994-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1416B1 (en) Foldable portable telephone set
JP2943765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0274091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위치 추적 보조장치
JP2943406B2 (ja) ページャ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
US6236869B1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100400168B1 (ko) 휴대폰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제어를 이용한 배터리 절약방법
KR880004669A (ko) 코드리스 전화기와 유선 전화기 사이의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KR100379946B1 (en) Emergency paging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950013620B1 (ko) 셀룰라폰의 외부전원절체 장치
KR1004002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방법
JPH0481379B2 (ko)
KR950010732B1 (ko) 셀룰라폰의 배터리 교환시 통화연결방법
JP2001127866A (ja) 通信端末
KR960003104B1 (ko) 키폰시스템의 착신 호 연결 방법
KR100188874B1 (ko) 셀룰라폰의 전원/종료키 단일화방법
JPH02155320A (ja) 無線電話装置
KR930000406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류 소모 억제장치
JPH09252484A (ja) 携帯電話機
KR950009563B1 (ko) 고정시킨 상태에서 통화가능한 셀룰라폰
JPH027372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給電制御方法
KR19990039226A (ko)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서 휴대장치 전원 오프 경고 및 표시방법
JPH0591041A (ja) 携帯電話装置
JPH1079984A (ja) 携帯電話装置
JPH0983627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50027529A (ko) 핸즈프리 통화중 전원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