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472B1 - 원형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형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472B1
KR950012472B1 KR1019920006182A KR920006182A KR950012472B1 KR 950012472 B1 KR950012472 B1 KR 950012472B1 KR 1019920006182 A KR1019920006182 A KR 1019920006182A KR 920006182 A KR920006182 A KR 920006182A KR 950012472 B1 KR950012472 B1 KR 95001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insulated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787A (ko
Inventor
씨. 브레큰리지 로버트
제이. 미스킨 미카엘
머피 포올
스텐스트롬 에릭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2002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형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실시한 차폐 커넥터 조립체의 주요 부품의 분해된 평면도.
제2도는 조립된 커넥터 조립체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3-3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크림프 페룰의 수직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크림프 페룰의 우측 단부에서 본 단부 정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5-5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원형 대 평면의 크림프 페룰을 크림핑하기 위한 프레스 공구의 개략도.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 페룰의 다른 형태의 측면도 및 단부 정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 페룰의 또다른 형태의 측면도 및 단부 정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 페룰의 또다른 형태의 측면도 및 단부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커넥터 조립체 16 : 하우징
20 : 단자 22 : 전도체
24 : 케이블 26 : 케이블 차폐재 또는 포일
28 : 절연 재킷 30 : 크림프 페룰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평면 어레이의 단자를 가진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에 원형 다심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차폐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절연 전도체를 커넥터에 대량 접속시키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전도체들은 다양한 형태로 대량 접속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원형 전도체 리본 케이블에 예를 들면 개별 와이어 전도체들은 와이어를 둘러싸고 이를 절연시키며 와이어들 사이에서 절연 웨브(web)를 형성하는 절연 유전체 층들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평면으로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다. 다르게는, 전도체는 원형 횡단면의 외부 절연 재킷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 전도체를 가진 다중 케이블 조립체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 형태의 케이블 조립체는 원형 전도체 리본 케이블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리본 케이블을 사용할 때, 중간 개재 웨브는 인접한 전도체들의 상대 위치 및 간격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 와이어를 취급할 때, 절연 전도체는 먼저 한 묶음의 와이어로부터 풀리고, 이어서 다수의 단자에 대량 접속되게 하는 방법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커넥터 시스템의 예는 원거리 통신 시스템으로서, 전화기와 같은 모듈식 유니트에는 유니트의 내부 회로에 전기 연결된 일렬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단자를 가진 리셉터클형의 외부 커넥터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식 유니트 상의 리셉터클형 커넥터내로 삽입되는 모듈식 원거리 통신 플러그에 접속된 평탄 케이블을 통하여 내부 회로에 전기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에는 리셉터클형 커넥터내의 각각의 단자와 전기 연결되고 평탄 케이블내의 각각의 전도체에 전기 연결된 일렬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단자가 마련된다. 평탄 케이블은 케이블 내의 전도체들 중 어느것이 열내에서 측방향으로 이격된 단자들중 어느 것에 연결되는가에 대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코일 코드(coiled cord)와 같은 원형 케이블을 통하여 모듈식 유니트의 내부 회로에 전기 연결할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원형 케이블은 유니트상의 리셉터클형 커넥터내로 삽입시키기에 적절한 모듈식 플러그에 접속시키기 위한 적당한 크기 또는 형상을 갖지 않는다. 게다가, 원형 케이블내의 전도체는 단자 열내의 각각의 단자에 전기연결을 하기 위한 설정 평행 위치 관계로 배치되지 않는다.
전술한 원형 대 평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커넥터의 열내의 평탄 어레이의 단자에 접속하도록 원형 케이블의 개별 와이어들을 펑탄 어레이로 위치시키고 보유시키기 위한 어댑터가 커넥터에 합체된 다양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커넥터의 예들은 1987년 12월 15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173,023호 및 1988년 12월 13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4,769,906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713,023호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참고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었다.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원형 케이블을 평탄 어레이 단자 커넥터에 접속하고, 종래 기술의 어댑터 수단을 제거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지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탄 어레이 또는 일렬의 단자를 가진 커넥터에 원형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차폐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커넥터 자체뿐만 아니라 커넥터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에서, 원형 케이블은 케이블 차폐재 또는 차폐 포일과, 드레인 와이어(drain wire)내에 있고 외부 절연 재킷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폐 커넥터 조립체는 평탄 어레이로 절연 전도체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 수단을 가진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자는 수납된 전도체에 접속되도록 그리고 상호 보완적인 대응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다. 전도성 커넥터 차폐 수단은 차폐 수단의 일부가 리셉터클 수단내로 연장되는 상태로 절연 하우징의 일부분 및 그 주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차폐재 및 개별 절연 전도체를 노출시키기 위해 다심 케이블로부터 절연 재킷의 일부분을 스트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기본 부품을 갖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crimp ferrule)은 노출된 케이블 차폐재와, 크림프 페룰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노출된 절연 전도체와 맞물려 원형 다심 케이블 상에 위치된다. 그 다음에, 노출된 절연 전도체는 분류되어 평탄 어레이로 위치된다.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은 평탄어레이로 분류되어 위치된 전도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평탄 형상으로 원형 케이블 상에서 크림프 \된다. 다음에, 케이블은 전도체의 평탄 어레이가 단자에 접속되도록 리셉터클 수단내에 위치되고 크림프 페룰이 리셉터클 수단내로 연장된 차폐 수단의 부분과 맞물리는 상태로 절연 하우징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폐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수단 안으로 연장된 차폐 수단의 부분에 대향한 위치에서 케이블을 위한 스트레인(strain)완화 수단을 포함하므로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713,023호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스트레인 완화 수단을 수납하고 크림프 페룰을 차폐 수단의 상기 부분과의 맞물림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전도성 크림프 페룰에 접근 수단을 마련하는 것을 고려한다. 이러한 것은 다른 쪽보다 한 쪽을 더 길게 하도록 비스듬히 원형 크림프 페룰을 절단함으로서 성취되며, 길이가 긴 쪽은 차폐 수단과 맞물릴수 있고 짧은 쪽은 스트레인 완화수단이 케이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크림프 페룰이 다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한 하기의 설명으로 잘 이해될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거리 통신 산업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모듈 차폐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형태인 차폐 전기 커넥터 조립체(14)로 실시되어 있다. 플러그 조립체는, 일체로 압인 성형된 금속 셸 형태의 차폐 수단으로서의 접지 차폐체(18)를 후방 영역 둘레에서 장착한 플러그 하우징(16)과, 하우징내에 있는 다수의 절연 관통 단자(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20)는, 절연 전도체(22)의 단부와 케이블의 절연 재킷(28)의 외부 표면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첩된 상태로 도시된 케이블 차폐재로서의 전도성 금속 포일(26)을 노출시키기 위해 제1도에서 스트립된 것으로 도시된 다심 전기 케이블(24)의 개별 절연 전도체(22)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포일(26)은 전도체(22)의 차폐재로서 작용하며, 절연 재킷(28)은 포일을 둘러싼다. 물론, 공지된 바와 같이, 포일은 다심 케이블용 편조(braid) 또는 다른 접지 시스템을 포함하며, 또한 드레인 와이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도는, 단자(20)에 접속하도록 노출된 절연 전도체(20) 및 금속 포일(26)과 전도성 맞물림 상태로 다심 케이블(24) 둘레에서 평탄 형태로 크림프 되고 금속 등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된 원형 크림프 페룰(30)을 도시한다.
제2도는, 하우징(16)의 후방 둘레에서 접지 차폐체(18)를 가지고, 다심 케이블(24)이 조립체의 후방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상태에서의 차폐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4)를 도시한다. 커넥터 조립체의 하우징(16)은 한쌍의 래치 아암(32)을 포함하고, 래치 아암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본 명세서에서 완전히 참조된 미합중국 특허 제4,713,023호에 기재된(도시되지 않음) 상호 보완적인 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 내에서 결합 맞물림시에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래칭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측방 외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래치 아암(32)을 포함한 하우징(16)은 성형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된 일체식 구조라고만 말해 두기로 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크림프 페룰(30)이 원형 다심 케이블(24)을 수납하기 위한 크기로 된 원형 광통 통로(34)를 한정하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음을 도시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프 페룰(30)은 페룰의 바닥 벽 부분(38)이 상부 벽 부분(40)보다 길도록 일 단부(36)에서 비스듬하게 절단된다. 이하에 기재된 목적을 위해서, 페룰의 각진 절단부는 페룰의 상부로부터 페룰을 통해 연장된 다심 케이블까지의 접근 수단을 형성하도록 양머리 화살표(42)로 도시된 수직 하방으로의 간극을 마련한다.
제5도는 완전 조립 상태에서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4)를 도시한 것이다. 크림프 페룰(30)은 접지 포일(26) 둘레에서 다심 케이블(24)의 스트립된 단부 상에서 평탄 형태로 크림프되어 있으며, 이때 전도체(22)는 페룰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며, 전도체의 절연체를 관통하여 전도체의 코어와 접속되도록 화살표 "B"방향으로 하방으로 가압된 단자(20)에 접속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우징(16)은 차폐체(18)내의 각각의 개구(48,50)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스트레인 완화 수단(44,46)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제2도 참조). 이러한 구조의 상세부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713,02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스트레인 완화수단(44)은 모든 전도체(22)에 대하여 플러그 조립체를 측방으로 가로질러 스트레인을 완화시키며 스트레인 완화 수단(46)은 다심 케이블(24)의 절연 재킷(28)상에서의 스트레인을 완화시킨다고 말해두기로 한다.
다시 제5도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4)의 하우징(16)은 케이블을 수납하는 내부 공동(52)의 형태의 리셉터클 수단을 가지고, 리셉터클 수단은 전방구역(52a)에서 좁게되어 있어 전도체(22)가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단자(20)열에 접속되도록 평탄 어레이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차폐체(18)는 바닥 벽을 따라 리셉터클 수단인 내부 공동(52)안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부분(54)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차폐 절곡 부분(54)이 스트레인 완화 수단(46)과 수직 정렬 상태로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제3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크림프 페룰(30)이 경사지게 절단된 상태에서 간극(42)(제3도)은 케이블의 절연 재킷(28)과 맞물리는 스트레인 완화 수단(46)에 대한 접근 수단을 제공하고 크림프 페룰의 바닥벽 부분(38)은 여전히 차폐 절곡 부분(54)과의 맞물림 상태에 있다. 따라서, 차폐체(18)와, 차폐 절곡 부분(54)과, 크림프 페룰(30)과, 다심 케이블의 접지 포일(26) 사이에 접지 연속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원형 케이블(24)의 전도체(22)를 단자(20)열에 접속시키도록 평탄 어레이로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접지 크림프 페룰(30)의 사용을 고려한다. 달리 말하면, 크림프 페룰(30)이 최초에는 원형 케이블(24)을 수납하는 크기로 된 원형 관통 통로(34)를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된다는 것을 제1도, 제3도 및 제4도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림프 페룰은 크림핑 후에 전도체(22)를 단자(20)열에 접속시키기 위한 평탄 어레이로 유지하도록 상당히 평탄해진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블 차폐 금속 포일(26) 및 절연 전도체(22)를 노출시키기 위해(제1도에서) 다심 케이블(24)로부터 절연 재킷(28)(제1도)의 일부분을 스트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14) 조립방법을 고려한다. 그리고 나서, 원형 크림프 페룰(30)은 원형 케이블 둘레에 위치되며,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페룰이 수직 절단 단부는 테이블의 절연 재킷의 스트립된 단부와 일치한다. 그 다음에, 전도체(22)는 적당한 회로 순서대로 분류되며, 하타의 전도체가 다른 전도체 상으로 가로지르지 않도록 평탄 어레이로 배치된다. 이어서, 크림프 페룰(30)은 전도체를 분류된 평탄 어레이로 유지하도록 평탄 크림핑 공구에 의해 케이블 상에서 크림프 된다. 이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이러한 것은 페룰의 상부 벽 부분(40)이 전도체의 평탄 어레이로부터 하방으로 대면하도록 적용 공구의 앤빌(anvil)에 전도체가 분류된 페룰 및 케이블의 부조립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다음에 크림프된 부조립체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16)의 리셉터클 수단인 내부 공동(52) 및 이에 형성된 구역(52a)내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도체의 평탄 어레이가 단자(20)와의 접속을 위해 제 위치에 있으며 크림프 페룰(30)은 차폐 절곡 부분(54)과 맞물려 있다. 절연 관통 단자(20)를 전도체(22)로 밀고, 하우징의 스트레인 완화 수단(44,46)을 전도체 및 케이블의 절연 재킷과 맞물리도록 적당한 공구가 적용될 수 있다.
제6도는 크림프 페룰을 다심 케이블(24)상에서 크림핑하기 위해 적용된 공구의 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공구는 지지 표면(62)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장착 기부(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블 가이드(64), 크림프 앤빌(66) 및 절단 앤빌(68)은 장착 기부(60)의 상부에 고정된다. 케이블 가이드(64)는 다심 케이블(4)을 위치시키기 위한 골(trough,70)을 갖는다. 크림프 앤빌(66)은 크림프 페룰(30)의 바닥과 맞물리는 평탄 앤빌 표면(72)을 갖는다. 절단 앤빌(68)은 전도체(22)로부터 단부(22a)를 다듬기 위한 절단 표면(74)을 갖는다. 실제에서, 케이블(24)의 절연 재킷(28)은 플러그 조립체 하우징내에 위치될 전도체(22)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스트립되어 있어, 플러그 하우징내에 위치될 노출된 전도체의 일정한 길이를 마련하도록 초과한 단부(22a)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6도를 참조하면, 적용 공구는 크림프 펀치(80) 및 절단 블레이드(82)를 장착하기 위한 공구 홀더(78)를 가진 프레스 램(76)을 포함할 수 있다. 크림프 펀치는, 크림프 페룰을 평탄하게 하고 전도체의 분류된 평탄 어레이를 유지하기 위한 평탄 앤빌 표면(72)에 대향하여 크림프 페룰(30)의 바닥상으로 크림핑하기 위해 페룰(30)을 수납하고 폭을 제어하도록 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말단부(84)를 갖는다. 절단 블레이드(82)는 전도체(22)의 단부(22a)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86)을 갖는다.
제7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수행하기 위한 크림프 페룰의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 페룰은 포일(26)과 같은 접지 수단과 맞물린 상태로 원형 케이블(24)상에 위치되기 위해 크림프 페룰(30)의 관통 통로(30)와 유사한 원형 관통 통로를 갖는다. 특히, 제7도 및 제8도는 관통 통로(34')를 가진 원형 크림프 페룰(30')을 도시한 것이다. 크림프 페룰은 페룰의 주요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하부 벽 부분(38')을 제외하면 원통형이다. 달리 말하면, 스트레인 완화 수단(46)이 케이블의 절연 재킷과 맞물리기에 충분한, 양머리 화살표 "D"로 표시된 간극이 마련되며, 크림프 페룰의 돌출 하부벽 부분(38')이 차폐 절곡 부분(54)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제9도 및 제10도는 다른 실시예의 크림프 페룰(30")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크림프 페룰(30")은 대체로 원통형이지만 이에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의 스트레인 완화 수단(46)이 절결부를 통해 접근하도록 페룰의 상부에 절결부(88)가 마련되며, 원통형 크림프 페룰(30")의 바닥은 차폐 절곡 부분(54)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대체로 원통형이며 페룰의 상부에 창(window,90)이 마련된 다른 변형된 크림프 페룰(30"')를 도시한 것이다. 창은 스트레인 완화수단(46)이 케이블의 절연 재킷과 맞물린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접근 수단으로 마련되며, 크림프 페룰(30'")의 바닥은 차폐 절곡 부분(54)과 접지 맞물림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중심 특징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가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 및 실시예는 도시한 것과 같은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4)

  1. 케이블 차폐재내에 있고 외부 절연 자켓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며 외부 절연 자켓이 케이블 차폐재를 노출시키도록 케이블로부터 스트립되고 케이블 차폐재가 절연 전도체를 노출시키도록 외부 절연 재킷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첩되는 원형 다심 케이블을, 단자의 평탄 어레이를 갖는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에 연결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펑탄 어레이로 위치된 절연 전도체의 자유 단부를 수납하는 리셉터클 수단과, 수납된 전도체에 접속되고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하는 다수의 단자와, 리셉터클 수단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며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및 그 주위에 장착된 전도성 커넥터 차폐 수단과, 리셉터클 수단내에 있는 차폐 수단의 부분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케이블을 위한 스트레인 완화 수단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절연 전도체의 노출된 자유 단부 및 노출된 케이블 차폐재와 맞물린 상태로 원형 전도체 케이블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커넥터 조립체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하우징의 리셉터클 수단내에서 전도체의 자유 단부를 평탄 어레이로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서 평탄 형태로 케이블 상에서 크림프 되도록 되어 있으며, 스트레인 완화수단을 수납하고 크림프 페룰이 차폐 수단의 상기 부분과 맞물려 있게 하는 접근 수단도 구비한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수단은 스트레인 완화 수단에 인접한 길이가 짧은 벽 부분과 차폐 수단의 상기 부분과 맞물리는 길이가 긴 벽 부분을 마련함으로써 크림프 페룰의 경사진 단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차폐 커넥터 조립체는, 리셉터클 수단내로 연장된 차폐 수단의 부분이 크림프된 크림프 페룰과 맞물려 있는 상태로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및 그 주위에 장착된 전도성 커넥터 차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
  3. 케이블 차폐재 내에 있고 외부 절연 재킷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며 외부 절연자켓이 케이블 차폐재를 노출시키도록 케이블로부터 스트립되고 케이블 차폐재가 절연 전도체를 노출시키도록 외부 절연 재킷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첩되는 원형 다심 케이블을, 단자의 평탄 어레이를 갖는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에 연결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평탄 어레이로 위치된 절연 전도체의 자유 단부를 수납하는 리셉터클 수단과, 수납된 전도체에 접속되고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하는 다수의 단자와, 리셉터클 수단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며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및 그 주위에 장착된 전도성 커넥터 차폐 수단과, 리셉터클 수단내에 있는 차폐 수단의 부분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케이블을 위한 스트레인 완화 수단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절연 전도체의 노출된 자유 단부 및 노출된 케이블 차폐재와 맞물린 상태로 원형 전도체 케이블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커넥터 조립체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하우징의 리셉터클 수단내에서 전도체의 자유 단부를 평탄 어레이로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서 평탄 형태로 케이블 상에서 크림프 되도록 되어 있으며, 스트레인 완화 수단을 수납하고 크림프 페룰이 차폐 수단의 상기 부분과 맞물여 있게 하는 접근 수단도 구비한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수단은 크림프 페룰의 일 단부에 있는 절결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
  4. 케이블 차폐재 내에 있고 외부 절연 자켓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절연 전도체를 포함하며 외부 절연 자켓이 케이블 차폐재를 노출시키도록 케이블로부터 스트립되고 케이블 차폐재가 절연 전도체를 노출시키도록 외부 절연 자켓 상부에서 후방으로 절첩되는 원형 다심 케이블을, 단자의 평탄 어레이를 갖는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에 연결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평탄 어레이로 위치된 절연 전도체의 자유 단부를 수납하는 리셉터클 수단과, 수납된 전도체에 접속되고 상호 보완적인 커넥터의 단자와 결합하는 다수의 단자와, 리셉터클 수단내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며 절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및 그 주위에 장착된 전도성 커넥터 차폐 수단과, 리셉터클 수단내에 있는 차폐 수단의 부분에 대향한 위치에 있는 케이블을 위한 스트레인 완화 수단을 구비한 절연 하우징과;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절연 전도체의 노출된 자유 단부 및 노출된 케이블 차폐재와 맞물린 상태로 원형 전도체 케이블 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커넥터 조립체의 단자에 접속되도록 하우징의 리셉터클 수단내에서 전도체의 자유 단부를 평탄 어레이로 유지하기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서 평탄 형태로 케이블 상에서 크림프 되도록 되어 있으며, 스트레인 완화 수단을 수납하고 크림프 페룰이 차폐 수단의 상기 부분과 맞물려 있게 하는 접근 수단도 구비한 원형 전도성 크림프 페룰을 포함하며, 상기 접근 수단은 크림프 페룰내의 개방 창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커넥터 조립체.
KR1019920006182A 1991-04-15 1992-04-14 원형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KR950012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607091A 1991-04-15 1991-04-15
US686,070 1991-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787A KR920020787A (ko) 1992-11-21
KR950012472B1 true KR950012472B1 (ko) 1995-10-18

Family

ID=2475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182A KR950012472B1 (ko) 1991-04-15 1992-04-14 원형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509324B1 (ko)
JP (1) JPH0760725B2 (ko)
KR (1) KR950012472B1 (ko)
DE (1) DE692206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717A (zh) * 2018-12-29 2019-04-12 贵州建工安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w字型吊顶边龙骨的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8780A (en) * 1979-07-03 1983-08-16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4713023A (en) * 1987-01-30 1987-12-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9324A2 (en) 1992-10-21
JPH0760725B2 (ja) 1995-06-28
JPH05159845A (ja) 1993-06-25
EP0509324B1 (en) 1997-07-02
EP0509324A3 (en) 1993-05-05
DE69220605T2 (de) 1998-02-12
KR920020787A (ko) 1992-11-21
DE69220605D1 (de) 199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1373B1 (en) Modular connector
EP0118168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for
EP1295363B1 (en) High speed connector
US5632634A (en) High frequency cable connector
US7670193B2 (en) Connector with insulation piercing contact and conductor guiding passageway
US5116230A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4713023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US4701139A (en) Shielded cable assembly
WO2003034549A1 (en)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means
JPH07201379A (ja) パッチコネクタ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US20080014801A1 (en) Wire guide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same
EP0607485A1 (en) Modular coaxial cable connector
JPH0626152B2 (ja) シールド型電気プラグアセンブリ
US4458967A (en) Connector for shielded flat cable
US5281170A (en) Round-to-flat shielded connector assembly
JPH0864282A (ja) 電気コネクタ素子
US20110250797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US5419718A (en) Mixed coaxial connector
US5238428A (en) Round-to-flat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4674822A (en) Multi-conductor shielded cable
KR950012472B1 (ko) 원형 대 평면의 차폐 커넥터 조립체
US5110306A (en) Compact connector assembly and termination guide therefor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KR20010021452A (ko) 동축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