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961B1 - 타현 또는 건반 악기용 음악 연주 작동 방법 및 현악기 장치 - Google Patents

타현 또는 건반 악기용 음악 연주 작동 방법 및 현악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961B1
KR950011961B1 KR1019880700128A KR880700128A KR950011961B1 KR 950011961 B1 KR950011961 B1 KR 950011961B1 KR 1019880700128 A KR1019880700128 A KR 1019880700128A KR 880700128 A KR880700128 A KR 880700128A KR 950011961 B1 KR950011961 B1 KR 95001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ar
string
keyboard
harm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432A (ko
Inventor
데니 드라로쉬포르디에르
Original Assignee
데니 드라로쉬포르디에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니 드라로쉬포르디에르 filed Critical 데니 드라로쉬포르디에르
Publication of KR88070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26Pedals or pedal mechanisms; Manually operated sound modifica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현 또는 건반 악기용 음악 연주 작동 방법 및 현악기 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악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제4도는 직립형 피아노에 적용한 휴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5도는 건반을 누르지 않고 조합형 페달을 하모닉 위치로 누른 상태에서의 제4도와 동일한 구조를 도시한다.
제6도는 건반을 누른 상태에서의 제5도와 동일한 구조를 도시한다.
제7도는 건반을 놓았을 경우의 제6도의 후속 상태를 도시한다.
제8도는 건반을 누르지 않고 조합형 페달을 강음 위치로 누른 상태에서의 제5도와 동일한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건반 악기 및 타현 악기(sturck string instrument) 또는 유사 악기의 신규한 음악 연주 작동 방법과 상기 신규 방법에 사용되는 현악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사 악기라 함은 예컨대 종래의 현악기 음을 모의하는 전자 악기를 의미한다.
기존 악기에 있어서 음악가들은 이하의 것들 중에서 선택하게 된다.
-손가락을 건반에서 떼는 즉시 각각의 음의 발산이 중지되는 "스타카토(staccato)"의 연주, -손가락을 건반에서 뗀 후에도 연주된 각각의 음이 계속 공명하게 되는 강음 페달의 누름 연주 및 -조음페달(tonal pedal)이 존재하는 경우로서 조음페달을 누르면, 타현된 코드(chord)는 "저장(stored)"되어, 그리고 나서의 분리된 음의 연주와 동시에 동명하는 조음 페달의 사용에 의한 연주.
그러나, 강음 페달 및 조음 페달 사용의 실현성은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음페달은 단지 하나의 코드만을 저장한다. 이하 첨부된 제1도 및 제2도의 악보예를 참조하면 강음 페달의 실현성이 제한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제1도에서, 각각의 베이스의 2분음은 각각의 아르페지오(arpeggio)에 대응함을 알 수 있다. 모든 음들은 하모니의 일부를 형성하며 문자 P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강음 페달이 사용되면 불협화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제2도에서 각 소절에 코드가 있으나 강음 페달을 사용하면 ↗로 도시된 장식음들은 극복할 수 없는 불협화음을 창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불협화음들을 피하기 위한 두 개의 해결책이 있는데, 강음 페달을 사용하지 않고 연주하거나 강음 페달을 하나의 소절당 8회씩 누르는 것이며, 이 모두는 좋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주 및 작곡에 관한 새로운 가능성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주 직후의 음들에 대해서는 강음 페달 효과를 유지하면서 막 연주될 음에 대한 강음 페달의 효과를 차단함으로써 성취된다.
전자 악기들의 경우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수단은 그 실제 구성이 조음페달의 관점에서 공지된 것을 기초로 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의 범주 내에 있는 메모리(memory)형태일 수 있다.
종래의 악기들의 경우 실제적 해결책은 기계적 장치이다.
상기 종래의 악기들은, 건반에 의해 작동되는 해머(hammer)로 타현되며 비구속 위치(unsolicited position)에서는 현에 맞닿아 현의 진동을 방지하고 구속 위치(solicited position)에서는 현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지음기(muffler)가 각각 설비된 한 세트의 현을 포함하며, 지음기들은 강음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강음 바아라 칭하는 공통 바아(common bar)의 작용하에 전체적으로 또는 건반에 의해 제어되는 스푼(spoon)의 작용하에 개별적으로 구속된다.
음악가는 상기 종래의 악기들에 의하여 다음의 가능성을 갖는다.
-건반을 눌러 각각의 건반에 대응된 현을 진동시킬 수 있는데, 손가락이 건반을 누르고 있는 한 현을 진동시키도록 상기 현의 지음기는 현으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건반을 놓으면 상기 지음기는 원위치로 복귀하며, 반면에 다른 모든 현들은 각각의 지음기들에 의하여 진동하지 않는다.
-또는, 강음 페달을 눌러, 눌러진 건반에 대응된 현을 진동시킬 뿐 아니라(이 진동상태는 건반에서 손가락을 뗀 후에도 계속됨), 상기 눌러진 건반에 대응하는 현과 동조하여 진동하는 베이스 현들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음기는 하나는 하모닉 바아(harmonic bar)로부터 현수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지음기로부터 현수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한쌍의 구속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속되며, 현 조립체로부터 지음기 조립체를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하모닉 비아를 작동시키는 하모닉 페달과 건반의 동시 누름은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현의 지음기에 대하여 한쌍의 구속 수단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하모닉 페달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건반을 누르고 있을 동안에만 상기 건반에 대응된 현이 진동하며, 지음기는 연주된 음을 지음시고 동조에 의해 발생한 베이스 현의 화음을 유지시킨다. 이는 음질을 배려하면서, 각각의 장식음에서 하모닉 페달을 떼지 않고 페달을 누른 상태로 전 악구를 동일화음으로 연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제3도에 의해서 명백해지는데, 제3도에 도시된 음들은 코드를 이루는 3개 또는 4개의 음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는 장식음 또는 악절음들이다. 음의 발산직후, 그 음들은 지음기에 의해 지음되고 잔류 조화음은 미미하다. 하모닉 페달의 사용은 본 악보에서 베이스가 스타카토로 연주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기존 피아노에서 각각의 지음기는 지음기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모닉 바아는 그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각각의 구속 수단 쌍은 지음기 지지체로부터 현수된 회피 스프링과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고 하모닉 바아의 외주에 돌출한 회피 너트(escape nut)를 포함하며, 하모닉 페달은 하모닉 바아, 상기 너트 및 상기 스프링을 통해 지음기 지지체 전체가 구속되게 하고, 하모닉 페달을 누른 상태에서 건반을 누른 경우의 대응 스푼에 의한 각각의 지음기 지지체의 개별적인 구속은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지음기 지지체의 너트와 스프링을 분리시키며, 이후의 상기 건반의 누름 해제는 상기 너트와 상기 스프링을 재결합시키지 않는다.
하모닉 페달은 기존 피아노 페달 세트(강음 페달, 약음 페달, 조음 페달)에 부가되지만, 강음 페달 및 하모닉 페달은 절반 또는 완전히 눌러질 수 있는 단 하나의 하모닉 페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페달의 절반 누름은 건반을 누른 경우 지음기 지지체가 스푼에 접근 가능하게 유지되는 하모닉 위치에 대응하고, 페달의 완전 누름은 강음 바아가 지음기 지지체의 현을 향한 복귀를 방지하는 강음 페달 위치에 대응한다.
따라서, 하모닉 페달 위치에서는 각각의 지음기의 구속 수단은 대응 건반을 누른 후에 분리되어서 연주된 음을 지음하고, 강음 페달 위치에서는 지음기들은 대응 건반을 누른 후에도 현들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합형 페달은 완전 누름 위치인 강음 페달 위치로부터 절반 누름 위치인 하모닉 페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강음 위치에서 연주된 모든 음들은 페달이 하모닉 위치로 진행하는 페달들에 비해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공지된 페달들은 작용 순간에 눌러진 건반들을 단지 "기억"할 수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조음 기능은 아르페지오 전체 및 2, 3 또는 5개의 일련의 전체 화음의 공명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한 하기 설명에 의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제4도에 따르면, 피아노 건반(1)은 적절한 장치(2)를 통해 핀(5)를 중심으로 피벗(pivoting)되도록 장착된 지음기 지지체(4)와 결합되도록 스푼(3)을 작동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음기 지지체(4)에는 현(7)에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된 지음기(6)이 마련된다. 칼라(collar)(8)은 지음기 지지체를 바아(13)의 일단부에 결합하며, 바아(13)의 타단부는 회피 스프링(9)를 지지한다. 회피 스프링(9)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하모닉 바아"(11)의 외주에 장착된 회피 너트(10)과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강음 바아"(12)는 지음기 지지체(4)에 대해 진퇴가 가능하다. "절반 누름"위치로 칭하는 중간 누름 위치 및 "누름"위치로 칭하는 완전 누름 위치를 갖는 도시하지 않은 조합형 페달은 절반 누름 위치에서는 하모닉 바아(11)을 작동시키고 누름 위치에서는 강음 바아(12)를 작동시킨다.
제5도를 참조하면, 페달의 절반 누름(하모닉 위치)후에, 하모닉 바아(11)의 화살표 F1방향으로 α의 각으로 회전하여 회피 너트(10)을 회피 스프링(9)와 접촉시켜 스프링을 하방으로 변성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은 추력을 받아 이를 바아(13) 및 핀(5)를 중심으로 피벗된 지음기 지지체(4)에 전달한다. 따라서, 지음기(6)은 현(7)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제5도의 장치에서 건반(1)을 누른 상태인 제6도에 따르면, 스푼(3)은 지음기 지지체(4)에 접촉되어, 회피 스프링(9)가 회피 너트(10)으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F2방향으로 그 휴지 위치로 복귀될 수 있을 정도로 지음기 지지체를 핀(5)를 중심으로 더욱 피벗 이동시킨다.
건반(1)을 놓는 즉시(제7도), 스푼(3)은 제6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지음기 지지체를 더 이상 지지하지 않으며, 지음기(6)은 복귀하여 현(7)과 접촉하여 현의 진동을 방지함을 알 수 있다. 지음기의 휴지 위치로의 복귀에 의해 회피 스프링(9)는 회피 너트(10) 상부를 통과한다. 작동된 건반(1)에 대응된 스푼(3)만이 너트 상부로 스프링이 통과하게 하였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스푼(3a, 3b, 3c, ...)들은 제5도의 스푼(3) 위치에 유지되며, 따라서 스프링(9a, 9b, 9c, ...)들은 너트(10a, 10b, 10c,...)들과의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지음기(6a, 6b, 6c,...)들은 건반(1)을 놓았을 때에도 현(7a, 7b, 7c,...)들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문자(a), (b), (c)로 명기한 요소들은 도면상에 나타나 있지 않으며,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하였다.
제8도를 참조하면, 페달의 완전 누름 상태하에서, 바아(12)는 지음기 지지체(4)를 향해 화살표 F3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체를 더욱 피벗 이동시켰음을 알 수 있다. 동시에, 페달의 완전 누름은 하모닉 바아가 화살표 F4방향으로 회전되게 하였다. 강음 위치에서, 건반(1)을 누르고 떼고 해도, 지음기(6)은 현(7)로부터 멀리 떨어져 유지된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되고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상기 예에서는 직립 피아노만을 설명하였지만, 그랜드 피아노(grand piano)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음악적 적용은 매우 중요하며 다양하다.
-대위법(contrapuntal)음악: 하모닉 페달은 스타일 및 해석적 측면에서의 논의를 야기할 것이다.
-낭만 음악: 특별한 음의 단계, 즉 강음 페달의 공명 효과 이상의 하모닉 기능의 분절된 연주를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전 작품들의 피아노 악곡 개작: 오르간(organ) 작품들을 피아노 작품으로 악곡 개작하는 것이 새 관심사로 재발견될 것이다.
-다른 방법의 시작, 피아노 작곡의 새로운 가망성.
본 발명은 기존 악기들에 적용 가능한데, 이를 위해, 본래의 강음 바아는 본 발명의 구조로 마련된 하모닉 바아에 연결되고, 본래의 강음 페달은 본 발명의 조합형 페달로 대체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건반(1)에 의해 작동되는 해머로 타현되며 비구속 위치에서는 현(7)에 맞닿아 현의 진동을 방지하고 구속 위치에서는 현(7)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지음기(6)이 각각 설비된 한 세트의 현(7)을 가지며, 지음기(6)은 강음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강음 바아(10)라 칭하는 공통 바아의 작용 하에 전체적으로 또는 건반(1)에 의해 제어되는 스푼(3)의 작용 하에 개별적으로 구속되는 종류의 피아노와 같은 타현 악기; 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건반 및 강음 페달에 의해 제어되는 동등한 전자 수단을 갖는 종류로서 상기 타현 악기의 음을 모의하는 전자 건반악기를 위한 음악 연주 작동 방법에 있어서, 타현 악기에서는 각각의 지음기(6)이 하나는 하모닉 바아(11)로부터 현수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지음기(6)으로부터 현수되어 있는 분리 가능한 한쌍의 구속 수단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속되고, 현(7) 조립체로부터 지음기(6) 조립체를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하모닉 바아(11)을 작동시키는 하모닉 페달을 제공하여 하모닉 페달과 건반(1)을 동시에 누르면 상기 건반에 대응한 현(7)에 설비된 지음기(6)과 관련된 한쌍의 구속 수단을 분리되게 하고, 전자 악기에서는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하모닉 페달의 작용을 받는 동등한 장치를 포함하여, 타형 악기 및 전자 악기에서, 막 연주된 음에 대하여 강음 페달의 효과를 유지하면서 막 연주될 음에 대하여는 강음 페달 효과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연주 작동 방법.
  2. 한 세트의 현, 현을 진동시키는 대응 해머 세트, 각각의 현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동일 개수의 지음기 및 각각의 지음기에 대한 각각의 피벗식 지음기 지지 수단을 갖는 피아노 등의 현악기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지음기 지지수단과 협동하고, 모든 지음기를 일제히 비구속 위치로부터 구속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모든 상기 지지수단을 제1각도만큼 피벗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음기 지지수단과의 사이에 구동연결을 이루는 제1바아수단과; 각각의 지음기 지지수단과 접촉하여 이를 회전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각각의 지음기 지지수단에 대한 각각의 건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바아 수단은 회피 너트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돌기를 포함하고, 지음기 지지수단은 스프링 수단을 지지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아 수단은 상기 반경 방향돌기와 상기 스프링 수단 사이에서 간섭에 의한 구동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음기 지지수단이 상기 건반 수단에 의해 조작되지 않게 위치되도록 상기 모든 지음기를 비구속 위치로부터 구속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만큼 모든 지음기 지지수단을 일제히 피벗시키고, 상기 지음기 지지수단과 협동하는 제2바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바아수단 및 제2바아수단은 각각의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제1바아수단과 제2바아수단은 단일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장치.
KR1019880700128A 1986-06-06 1987-06-03 타현 또는 건반 악기용 음악 연주 작동 방법 및 현악기 장치 KR950011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08177 1986-06-06
FR8608177A FR2599880B1 (fr) 1986-06-06 1986-06-06 Nouveau procede musical pour instruments a cordes frappees ou instruments similaires et mecanisme a pedale adapte a ce nouveau procede
PCT/FR1987/000198 WO1987007746A1 (fr) 1986-06-06 1987-06-03 Mecanisme a pedale pour instruments a clav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432A KR880701432A (ko) 1988-07-27
KR950011961B1 true KR950011961B1 (ko) 1995-10-12

Family

ID=933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128A KR950011961B1 (ko) 1986-06-06 1987-06-03 타현 또는 건반 악기용 음악 연주 작동 방법 및 현악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52445A (ko)
EP (1) EP0271527B1 (ko)
JP (1) JP2681275B2 (ko)
KR (1) KR950011961B1 (ko)
AT (1) ATE69116T1 (ko)
DE (1) DE3774248D1 (ko)
FR (1) FR2599880B1 (ko)
WO (1) WO1987007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0084B1 (fr) * 1995-01-31 1997-04-04 Rochefordiere Denis De Procede musical pour instruments de musique tels que pianos et mecanisme de mise en oeuvre de celui-ci
JP3598942B2 (ja) * 2000-05-01 2004-12-08 ヤマハ株式会社 ピアノのダンパー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422C (ko) *
US780944A (en) * 1903-11-25 1905-01-24 William A Earhart Piano damper-action.
US767100A (en) * 1904-01-09 1904-08-09 Charles P Blinn Piano damper-action.
FR449022A (fr) * 1912-09-30 1913-02-15 Paul Croses Système tonal progressif et forte actionné par une pédale unique, pour piano droit et à que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74248D1 (de) 1991-12-05
US4852445A (en) 1989-08-01
JPH01500301A (ja) 1989-02-02
JP2681275B2 (ja) 1997-11-26
EP0271527B1 (fr) 1991-10-30
EP0271527A1 (fr) 1988-06-22
ATE69116T1 (de) 1991-11-15
FR2599880A1 (fr) 1987-12-11
WO1987007746A1 (fr) 1987-12-17
FR2599880B1 (fr) 1988-09-23
KR880701432A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sing Science of percussion instruments
Giordano Physics of the Piano
Wier The Piano: its history, makers, players and music
KR950011961B1 (ko) 타현 또는 건반 악기용 음악 연주 작동 방법 및 현악기 장치
Vanlandingham The percussion ensemble: 1930-1945
Mobbs Stops and other special effects on the early piano
Harnsberger Essential dictionary of music: definitions, composers, theory, instrument & vocal ranges
RU2364953C2 (ru) Клавишное 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звлечения звуков из струнных музыкальн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Harrel NEW TECHNIQUES IN TWENTIETH-CENTURY SOLO PIANO MUSIC--AN EXPANSION OF PIANISTIC RESOURCES FROM COWELL TO THE PRESENT.
Norton Transcribing for solo marimba
JPH04372993A (ja) 音板打楽器
Bucur Organology of Percussion Instruments for the Classic Symphony Orchestra
Burns SOME ACOUSTICAL PRINCIPLES AFFECTING THE INTONATION OF BAND INSTRUMENTS (BRASSWIND, WOODWIND)
JP4264597B2 (ja) 和音発生装置
Cristofori SSS Yet To Be Done.
Byrne Musical and cultural influences that contributed toward the evolution of the percussion ensemble in western art music
Starmer Carillons
Bennett Jr et al. The Struck String
Hamilton An Emerging US Organ-Building Movement-1
Cristofori Keyboard instrument Hornbostel–Sachs classification
Kingan The influence of Bela Bartok on symmetry and instrumentation in George Crumb's" Music for a Summer Evening" with three recitals of selected works of Abe, Berio, Dahl, Kessner, Miki, Miyoshi, and others
Cristofori Lua error in Module: Details flatline 30: attempt to call field'_formatLink'(a nil value).
Bradbury II Volume I." Huracan" for wind ensemble.[Original composition] and Volume II. Messiaen and Gamelan: An analysis of gamelan in the" Turangalila-symphonie"
Pennington An examination of the percussion writing in George Crumb's" Madrigrals, Books I through IV"
Mortensen Graduate percussion recital and a history and development of percussion instruments and percussion mu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