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520B1 -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520B1
KR950011520B1 KR1019920004662A KR920004662A KR950011520B1 KR 950011520 B1 KR950011520 B1 KR 950011520B1 KR 1019920004662 A KR1019920004662 A KR 1019920004662A KR 920004662 A KR920004662 A KR 920004662A KR 950011520 B1 KR950011520 B1 KR 95001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uminance signal
frequency
output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401A (ko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520B1/ko
Priority to JP5059005A priority patent/JP2780730B2/ja
Priority to CN93103199A priority patent/CN1043114C/zh
Publication of KR93002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축 및 수직축상에 분포한 NTSC 영상신호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의 구성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채용된 변조펄스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5a도는 제4도에 채용된 시간적응 펼침부의 상세 블럭도.
제5b도는 제4도에 채용된 공간적응 펼침부의 상세 블럭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제4도에 따른 각 부의 동작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동기신호분리부 110 : A/D변환부
120 : 휘도신호분리부 130 : 주파수중첩부
140 : 변조펄스발생부 150 : 동신호검출부
160 : 레벨검출부 170 : 휘도/동신호 혼합부
180 : 선택부 190 : D/A변환부
200 : FM변조부 210 : 색도신호분리부
220 : AM변조부 230 : 휘도/색도신호 혼합부
240 : 기록증폭기 250 : 기록헤드
300 : 재생헤드 310 : 재생증폭기
320 : 휘도신호분리부 330 : FM복조부
331 : 동기신호분리부 340 : A/D변환부
350 : 주파수펼침부 360 : 변조펄스발생부
370 : 동신호분리부 380 : 레벨검출부
390 : 주파수보상부 400 : 선택부
410 : D/A변환부 420 : 색도신호분리부
430 : AM복조부 440 : 복합영상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주파수중첩기술을 사용하는 영상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 교번중첩 및 펼침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채널간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소정 주기로 번갈아가며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제한된 대역폭에 중첩시키거나 중첩하지 않은 원래의 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영상신호 교번중첩 및 펼침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록매체의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주파수중첩기술을 사용하는 영상기록 재생장치는 한국의 삼성전자(주)에 의해 출원된 미국특허출원번호 "제 07-5690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출원번호 "제 07-569029호"에 따르면, 전대역폭 영상신호는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는 엔코더를 통하여 전송되고, 이 신호는 감소된 진폭의 고주파성분신호를 서브나이카스트 샘플링하여 저주파성분에 중첩하여 저주파 성분을 갖는다. 상기 엔코더의 출력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은 소정의 비디오카세트에 녹화된다. 또한, 감소된 진폭의 중첩 고주파성분은 회복될 수 있고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는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출원번호"제 07-569029호"에 개시된 장치는 기록매체에 필드분의 영상신호가 실린 채널간 중첩된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저주파대역에 실린 고주파 휘도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간섭(Crosstalk)으로 인해 화질의 열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기록하기 위하여 주파수 중첩기술을 사용하는 영상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채널간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제한된 대역폭에 중첩시킨 신호와 주파수중첩하지 않은 원래의 신호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기록하고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소자를 구비한 영상기록장치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를 신호입력원으로 부터 유입하기 위한 입력통로 ;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된 복합영상신호중 전대역의 휘도신호에서 고주파 휘도신호를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시켜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중첩부 ; 및 소정 주기로 상기 주파수중첩부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 또는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며 선택해서 상기 기록소자에 전송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신호 펼침회로는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제한된 대역폭에 중첩시킨 신호와 주파수 중첩하지 않은 원래의 신호를 소정주기로 번갈아가며 기록매체상에 기록하여, 이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소자를 구비한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신호중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주파수펼침부 ; 및 소정 주기로 상기 주파수펼침부의 출력 또는 상기 독취소자로 부터 재생되는 제한된 대역의 신호를 번갈아가며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는 영상정보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소자,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영상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소자를 구비한 영상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입력원으로 부터 복합영상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입력통로 ;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복합영상신호중 전 대역의 휘도신호에서 고주파 휘도신호를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시켜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중첩부 ; 미리 정해진 소정 주기로 상기 주파수중첩부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 또는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를 교번적으로 선택해서 상기 기록소자에 전송하는 제1선택부 ;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신호중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원래의 점유 대역으로 펼치는 주파수펼침부 ; 및 미리 정해진 소정 주기로 상기 주파수펼침부의 전 대역폭의 휘도신호 또는 상기 독취소자로 부터 재생되는 제한된 대역의 휘도신호를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제2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TSC방식 시스템의 TV신호는 수평주파수축으로 ±5MHz 이내에, 수직주파수축으로fv(Hz)이내에 존재한다. 여기서, fv는 수직주파수(NTSC : 60Hz, PAL : 50Hz)이다.
즉, 제한된 대역폭의 TV신호를 전 대역폭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주파수 중첩기술을 이용하는 바라인이하의 2.5MHz 내지 5MHz의 고주파 휘도신호(빗금친 영역)를 수직축으로내지라인으로, 수평축으로 1MHz 내지 2.5MHz 저주파성분을 제거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저주파 휘도영역에 중첩시키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2도에 의하면, 입력단자(101)는 복합영상신호를 유입하기 위하여 비디오신호공급원(도시되지 않음)과 접속된다. 그리고 입력단자(101)는 동기신호분리부(100) 및 A/D변환부(11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휘도신호분리부(120)의 입력단자는 상기 A/D변환부(11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수평고역통과필터(131) 및 수평저역통과필터(134)에 접속된다.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131)의 제1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132)의 제1입력단자(A)에 접속되고 제2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132)의 제2입력 단자(B)에 접속된다. 가산기(133)의 제1입력단자는 상기 멀티플렉서(13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출력단자는 수평저역통과필터(171)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171), 멀티플렉서(132), 가산기(133), 수평저역통과필터(134), (I1)는 주파수중첩부(130)에 해당한다.
판별부(141)인 카운터의 제1 및 제2입력단자는 상기 동기신호분리부(100)의 수평동기신호 출력단자(H) 및 수직동기신호출력단자(V)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출력단자는 배타부정논리합게이트(G1)의 제1 및 제2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제3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144)의 선택단자(SEL)에 접속된다. 상기 배타부정논리합게이트(G1)의 출력단자는 오아게이트(G2)의 제1 입력단자, 인버터(I2)의 입력단자 및 낸드 게이트(G3)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오아게이트(G2)의 제2입력단자는 인버터(I2)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병-직렬변환기(이하 PISO라고 지칭함)(142)의 리세트단자(RST)에 접속된다. 상기 낸드게이트(G3)의 제2입력단자는 레벨검출부(16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멀티 플렉서(143)의 선택단자(SEL)에 접속된다.
PISO(142)의 제1 내지 제4입력단자는 2진수 1010로 세팅되고 클럭단자는 10MHz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발생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1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143)의 제1입력단자(A)에 접속되며, 제2출력단자는 인버터(I3)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멀티플렉서(143)의 제2입력단자(B)는 상기 인버터(I3)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144)의 제1입력단자(A) 및 인버터(I4)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멀티플렉서(144)의 제2입력단자(B)는 상기 인버터(I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132)의 선택단자(SEL)에 접속된다. 상기 카운터(141), PISO(142), 멀티플렉서(143, 144), 인버터들(I2~I4), 배타부정논리합게이트(G1), 오아게이트(G2), 낸드게이트(G3)는 변조펄스발생부(140)에 해당한다.
프레임메모리(151)의 입력단자는 휘도신호분리부(120)의 휘도신호 출력단자(Y)에, 출력단자는 감산기(152)의 감수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감산기(152)의 피감수단자는 상기 휘도신호분리부(120)의 휘도신호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레벨검출부(160) 및 AM변조부(17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프레임메모리(151) 및 감산기 (152)는 동신호검출부(150)에 해당한다.
가산기(173)의 제1입력단자는 수평저역통과필터(171)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는 AM변조부(172)에 접속된다.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171), AM변조부(172), 가산기(173)는 휘도/동신호 혼합부(170)에 해당한다.
선택부(180)는 멜티플렉서로 구성되고, 상기 멀티플렉서(180)의 제1입력단자(A)는 상기 가산기(173)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B)는 상기 휘도신호분리부(120)의 휘도신호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선택단자는 헤드스위칭펄스신호(HD)를 출력하는 서보부(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며, 출력단자는 D/A변환부(190)에 접속된다. FM변조부(200)의 입력단자는 D/A변환부(19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가산기(230)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색도신호분리부(210)의 입력단자는 입력단자(101)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AM변조부(220)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며, 이 AM변조부(220)의 출력단자는 가산기(230)의 제2입력단자에 접속된다. 기록증폭기(240)의 입력단자는 상기 가산기(23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기록헤드(250)에 결합되어 있다.
이어서, 제2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A/D변환부(110)에서는 표준 전 대역폭의 NTSC방식의 복합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샘플링된 데이타 멀티비트 디지탈신호형태로 변환한다. 이때의 샘플링주파수는 NTSC방식의 신호에 있어서 약 10MHz가 선택된다.
휘도신호분리부(120)에서는 상기 A/D변환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Y)를 분리하여, 이 휘도신호(Y)는 주파수중첩부(130) 및 동신호검출부(150)에 출력된다.
상기 주파수중첩부(130)의 수평고역통과필터(131)에서는 상기 휘도신호분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에서 2.5MHz이상의 고주파 휘도신호만을 멀티플렉서(132)의 제1입력단자(A)에 출력하고, 또한 인버터(I1)를 통해 반전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멀티플렉서(132)의 제2입력단자(B)에 출력한다.
샘플링 클럭주파수의 1/2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중첩클럭신호는, 멀티플렉서(132)의 제어입력단자인 선택단자(SEL)에 공급된다. 따라서, 중첩클럭신호를 발생하는 변조펄스발생부(140)의 카운터(141)에서는 신호 입력원으로 부터 복합영상신호를 유입하여 복합영상신호에 실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 V)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100)로 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H, V)를 카운팅하게 된다.
상기 카운터(141)에서는 기수 또는 우수 프레임인지를 구별하는 제어신호(E/O FRAME) 및 프레임내에서 기수 또는 우수 필드인지를 구별하는 제어신호(E/O FIELD)를 배타부정논리합게이트(G1)에 입력시키고, 필드내에서 기수 또는 우수라인인지를 구별하는 제어신호(E/O LINE)를 멀티플렉서(144)의 선택단자(SEL)에 입력시킨다. 여기서 기수 필드(ODD FIELD)는 주파수를 중첩하지 않는 원래의 신호로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우수 필드(EVE FIELD)는 주파수를 중첩한 신호로 기록매체상에 기록한다.
오아게이트(G2) 및 인버터(I2)는 배타부정논리합게이트(G1)의 출력이 별할 때마다 즉 우수필드 또는 기수필드, 우수프레임 또는 기수프레임으로 변할 때마다 변화를 검출하여 PISO(142)를 리세트시킨다. 상기 PISO(142)에서 5MHz클럭신호가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신호를 멀티플렉서(143)의 제1입력단자(A) 및 인버터(I3)를 통해 제2입력단자(B)에 출력한다.
멀티플렉서(143)에서는 배타부정논리합게이트(G1)의 출력과 레벨검출부(160)의 출력을 부정논리곱하는 낸드게이트(G3)의 출력에 따라 제1입력단자(A) 및 인버터(I3)를 통해 유입되는 PISO(142)의 반전출력을 선택해서 멀티플렉서(144)의 제1입력단자(A) 및 인버터(I3)를 통해 제2입력단자(B)에 출력한다.
상기 낸드게이트(T3)의 출력 및 멀티플렉서(143)의 출력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여기서, 움직임량 정도를 나타내는 동신호 검출은 휘도신호분리부(120)로부터 분리된 한 프레임분 휘도신호를 프레임메모리(151)에 의해 지연시키고, 감산기(152)에서는 휘도신호분리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현재 프레임 휘도신호에서 한 프레임 전의 휘도신호의 차성분을 출력하는데 이 차성분이 움직임량이 된다. 레벨검출부(160)에서는 상기 감산기(152)로 부터 출력되는 동신호를 미리 설정된 문턱치와 비교해서 문턱치 이상이면 공간적(spatial)으로 도출된 휘도신호이므로 수평 및 수직축으로 변조하여 주파수중첩하기 위한 "로우"논리신호를, 검출된 움직임량이 미리 설정된 문턱치와 비교해서 문턱치미만이면 시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이므로 수평, 수직, 시간축으로 변조하여 주파수중첩하기 위한 "하이"논리신호를 T/S신호로서 발생하여 낸드게이트(G3)의 제1입력단자에 출력한다.
멀티플렉서(144)에서는 상기 카운터(141)로 부터 출력되는 기수/우수라인구별 제어신호(E/O LINE)가 선택단자(SEL)에 유입됨에 따라 멀티플렉서(143)의 출력 또는 반전출력을 선택해서 상기 멀티플렉서(132)의 선택단자(SEL)에 입력시키며 이것을 수직축으로 변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멀티플렉서(132)의 선택단자(SEL)에 입력되는 신호는 중첩주파수가 되며 PISO(142)의 5MHz클럭신호이다. 멀티플렉서(143)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는 낸드게이트(G3)의 T/S "하이"인 경우, 기수 프레임이고 기수필드, 또는 우수프렘임이고 우수필드인 경우의 5MHz클럭신호는 제3a도에 도시된바와 같은 신호이고, 기수프레임이고 우수필드, 또는 기수프레임이고 우수필드인 경우의 5MHz 클럭신호는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이다. 따라서, PISO(140)의 5MHz클럭신호에 따라 변조기(32)에서는 시간축으로 변조하게 된다.
만약, 낸드 게이트(G3)의 T/S가 "로우"인 경우 항상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가 멀티플렉서(143)의 출력이 되어 시간축 변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멀티플렉서(143)에서는 레벨검출부(16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이면 시간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신호 즉, 정지화 휘도신호이며, 이 경우 시간축 처리에 의해 고주파 휘도신호는 푸키누키홀에 중첩시키게 된다. 즉, 고주파 휘도신호가 시간축상으로 볼때 15Hz에 있으므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단위로 PISO(142)의 반전출력(제3b도) 혹은 비반전 출력(제3a도)을 선택해서 필드 오프셋 샘플링(field offset sampling)하여 수평저주파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필드단위로 오프셋을 주어 샘플링한 고주파 휘도신호는 기본 영역의 휘도신호와는 시간축상으로 떨어져 있으며 푸키누키홀 부근에 놓여진다.
레벨검출부(16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면 시간적으로 움직임이 많은 신호 즉 동화상 휘도신호이며, 이 경우 공간축 처리에 의해 고주파 휘도신호를 중첩시킨다. 즉, 움직임량이 클 때는 필드간 오프셋 샘플링은 하지 않으므로 멀티플렉서(143)에서 PISO(142)의 출력(제3a도)을 입력하는 제1입력단자(A)를 선택하고 멀티플렉서(144)에서는 선택단자(SEL)에 입력되는 E/O LINE신호에 따라 PISO(142)의 출력을 라인마다 반전시키므로 멀티플렉서(132)에서는 수직축으로 변조하게 된다.
가산기(133)에서는 수평저역통과필터(134)로 부터 출력되는 2.5MHz이내의 저주파 휘도신호와 상기 멀티플렉서(132)로 부터 출력되는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휘도신호에서 고주파 휘도신호를 저주파 휘도영역에 천이시킨 신호를 가산시켜 수평저역통과필터(171)에 출력한다. AM변조부(172)에서는 상기 동신호검출부(150)로 부터 출력되는 동신호를 소정주파수(여기에서는 250KHz)대역상에 존재하도록 AM변조한다.
혼합기(173)에서는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171)로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와 AM변조된 동신호를 혼합한다. 멀티플렉서(180)에서는 30Hz에 해당하는 헤드스위칭펄스(HD)에 따라 상기 가산기(173)의 출력 또는 휘도신호분리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하지 않은 원래 신호를 선택해서 D/A변환부(190)에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173)의 출력은 저주파 및 고주파 휘도성분(YL+YH)을 갖고, Y/C분리부(120)로 부터 출력되는 원래 신호는 저주파 휘도신호 및 대각선 휘도신호(YL+YD)를 갖는다. 상기 D/A변환부(190)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180)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FM변조부(200)에 출력한다.
상기 FM변조부(200)에서는 상기 D/A변환부(190)로 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휘도신호의 진폭에 따라 주파수를 변조하여 가산기(230)의 제1입력단자에 전송한다.
한편, 색도신호는 색도신호분리부(210)에서 유입되는 복합영상신호로 부터 색신호를 분리한 후, AM변조부(220)에서 629KHz로 저역 변환된후, 가산기(230)의 제2입력 단자에 전송된다.
상기 가산기(230)에서는 상기 FM변조부(200)의 휘도신호와 색도신호분리부(210)의 출력인 AM변조된 색도신호를 혼합해서 기록증폭기(240)를 통해 기록 헤드(250)에 의해 기록매체상에 실리게 된다. 상기 기록매체상에 실리는 정보는 필드 주기로 우수필드는 중첩된 휘도신호, 기수필드는 중첩되지 않은 원래 신호가 교번적으로 실리게 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의 구성 회로도이다.
제4도에 의하면, 재생헤드(300)는 표준 VCR의 표준 테이프전송(도시되지 않음)과 합체된다. 이 재생헤드(300)의 재생신호 출력단자는 재생증폭기(31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휘도신호분리부(320)의 입력단자는 상기 재생증폭기(31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FM복조부(33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A/D변환부(340)의 입력단자는 FM복조부(33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시간적응펼침부(352)의 입력단자는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제어용스위치(SW1)의 제1선택접점(a1)에 접속되며, 제어입력단자는 변조펄스발생부(36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공간적응펼침부(353)의 입력단자는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제어용스위치(SW1)의 제2선택접점(b1)에 접속되며, 제어입력단자는 변조펄스발생부(36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시간적응펼침부(352)의 상세한 구성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21)의 제1입력단자(A)는 제4도에 도시된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B)는 접지되고, 선택단자(SEL)는 제4도에 도시된 변조펄스발생수(360)의 멀티플렉서(36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수평고역통과필터(22)에 접속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23)의 입력단자는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2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감산기(24)의 감수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감산기(24)의 피감수단자는 멀티플렉서(2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제4도에 도시된 제어용 스위치(SW1)의 제1선택접점(a1)에 접속된다.
상기 공간적응펼침부(353)의 상세한 구성은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31)의 제1입력단자(A)는 제4도에 도시된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B)는 접지되고, 선택단자(SEL)는 제4도에 도시된 변조펄스발생수(360)의 멀티플렉서(364)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수평고역통과필터(3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33)의 입력단자는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3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감산기(34)의 감수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감산기(34)의 피감수단자는 멀티플렉서(3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제4도에 도시된 제어용 스위치(SW1)의 제2선택접점(b1)에 접속된다.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 시간적응 펼침부(352), 공간적응펼침부(353)의 제어용스위치(SW1)는 주파수펼침부(350)에 해당한다.
변조펄스발생부(360)는 제2도에 도시된 변조펄스발생부(140)와 구성이 동일하다.
저역통과필터(371)의 입력단자는 상기 A/D변환부(340)의 출력단자에, 출력되는 AM복조부(37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레벨검출부(380)의 입력단자는 AM복조부(37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제어용스위치(SW1)의 제어접점 및 변조펄스발생부(360)의 낸드게이트(G13)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저역통과필터(371) 및 AM복조부(372)는 동신호분리부(370)에 해당한다.
수평고역통과필터(391)의 입력단자는 제어용스위치(SW1)의 고정접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필드메모리(392)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가산기(393)의 제1입력단자는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는 필드메모리(39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가산기(393)의 제1입력단자는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는 필드메모리(392)의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400)의 제2입력단자(B)에 접속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394)의 입력단자는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수평고역통과필터(395)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394) 및 수직고역통과필터(395)는 대각선 필터(396)에 해당한다. 필드메모리(397)의 입력단자는 수직고역통과필터(395)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가산기(398)의 제1입력단자에 접속된다. 가산기(398)의 제1입력단자는 제어용 스위치(SW1)의 고정접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400)의 제1입력단자(A)에 접속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391, 394), 필드메모리(392, 397), 가산기(393, 398), 대각선필터(396)는 주파수보상부(390)에 해당한다.
멀티플렉서(400)의 선택단자(SEL)는 서보부의 30Hz의 헤드스위칭 펄스신호출력단자(HD)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D/A변환부(41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색도신호분리부(420)의 입력단자는 상기 재생증폭기(31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출력단자는 AM복조부(43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복합영상신호발생부(440)의 제1입력단자는 AM복조부(43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고, 제2입력단자는 D/A변화부(410)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이어서, 제4도의 동작을 제5a도 내지 제6c도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제4도에 의하면, 재생헤드(300)는 표준 VCR의 표준테이프전송(도시되지 않음)과 합체된다. 재생증폭기(310)에서는 재생헤드(300)로 부터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여 휘도신호분리부(320)에 전송한다. 상기 휘도신호분리부(340)에서는 상기 재생증폭기(310)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복합영상신호로 부터 휘도신호(Y)를 분리하고, 이 휘도신호(Y)는 FM복조부(330)에 출력한다.
A/D변환부(340)에서는 상기 FM복조부(330)로 부터 출력되는 제한대역폭(여기서는 약 2.5MHz)의 NTSC방식의 복합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샘플링 된 데이타 디지탈신호 형태로 변환한다. 이때의 샘플링 주파수는 NTSC방식에 있어서 약 10MHz가 선택된다.
우선, 동신호분리부(370)에서 저역통과필터(371)에 의해 상기 A/D변환부(340)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Y)중 소정치 이하의 저 휘도신호만을 AM복조부(372)에 출력한다. AM복조부(372)에서는 포락선검파기를 이용하여 AM복조된 동신호를 검출한다.
레벨검출부(380)에서는 검출된 동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문턱치이상이면 재생되는 휘도신호가 공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 즉,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동화상 휘도신호임을 나타내는 "로우"제어신호를, 문턱값미만이면 재생되는 휘도신호가 시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 즉,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정지화 휘도신호임을 나타내는 "하이"논리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펼침부(350)에서는 수평저역통과필터(351)에 의해 상기 A/D변환부(340)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중 2.5MHz 이내의 휘도신호를 시간적응펼침부(352)에서는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렉서(21)는 변조기의 역할을 하며 샘플링주파수의 전반의 주파수인 클럭신호에 의해 홀수번째는 그대로 즉, 제1입력단자에 유입되는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을 선택하고 짝수번째는 "0" 즉, 접지되어 있는 제2입력단자(B)를 선택하면 0Hz의 휘도신호는 5MHz신호로 2.5MHz의 휘도신호는 2.5MHz신호로 변조되어 주파수가 5MHz대역으로 펼쳐지게 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22)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21)로 부터 출력되는 0 내지 5MHz의 휘도신호에서 2.5MHz이상의 휘도신호를 수직고역통과필터(23)에 출력한다. 수직고역통과필터(23)에서는 2.5MHz이상의 고주파 휘도신호에서 수직적으로라인이상의 휘도신호만을 감산기(24)의 감수단자에 출력한다. 감산기(24)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21)로 부터 출력되는 전 대역폭의 휘도신호에서 상기 수직고역통과필터(23)의 출력신호를 감산한다. 이 감산된 휘도신호는 기록측에서 시간축으로 처리된 휘도신호 즉, 수평, 수직, 시간축으로 변조된 신호이므로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역을 가지며 제어용스위치(SW1)의 선택접점(a1)에 전송한다. 여기서 멀티플렉서(21)의 선택단자(SEL)에 입력되는 변조클럭은 변조펄스발생부(360)에서 발생되고, 변조펄스발생부(360)의 동작은 제2도의 변조펄스발생부(36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공간적응펼침부(353)에서는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멜티플렉서(31)는 변조기의 역할을 하며 샘플링주파수(여기서는 10MHz)의 절반에 해당한은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5MHz)에 의해 홀수번째는 그대로 즉, 제1입력단자에 유입되는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의 출력을 선택하고 짝수번째는 "0" 즉, 접지되어 있는 제2입력단자(B)를 선택하면 0Hz의 휘도신호는 5MHz신호로, 2.5MHz의 휘도신호는 2.5MHz신호로 변조되어 주파수가 5MHz대역으로 펼쳐지게 된다. 수평고역통과필터(32)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31)로 부터 출력된는 0 내지 5MHz의 휘도신호에서 1MHz이상의 휘도신호를 수직고역통과필터(33)에서는 수평적으로 1MHz이상의 휘도신호에서 수직적으로라인이상의 휘도신호만을 감산기(34)의 감수단자에 출력한다. 감산기(34)에서는 상기 멀티플렉서(31)로 부터 출력되는 전 대역폭의 휘도신호에서 상기 수직고역통과필터(33)의 출력신호를 감산한다. 이 감산된 휘도신호는 기록측에서 시간축으로 처리되지 않은 휘도신호 즉, 수평, 수직축으로 변조된 신호이므로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역을 가지며, 제어용스위치(SW1)의 선택접점(b1)에 전송한다. 여기서 멀티플렉서(31)의 선택단자(SEL)에 입력되는 변조클럭도 변조펄스발생부(360)에서 발생되고, 변조펄스발생부(360)의 동작을 제2도의 변조펄스발생부(14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멀티플렉서(31)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는 수평, 수직성분을 갖으며 상기 감산기(34)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는 대각선성분의 휘도신호가 손상된 저주파 및 고주파 휘도신호이다.
제어용스위치(SW1)에서는 레벨검출부(380)로 부터 출력되는 시간/공간 제어신호(T/S)에 따라 시간적응펼침부(352) 또는 공간적응펼침부(353)의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해서 수평고역통과필터(391) 및 가산기(398)의 제1입력단자에 출력한다. 필드메모리(392)에서는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391)로 부터 출력되는 2.56MHz 이상의 우수필드의 고주파 휘도신호를 저장한다. 이는 기록측에서 기수필드에서 중첩하지 않고 기록하고 우수필드에서는 주파수중첩하여 기록하므로 기수필드에서는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로 부터 출력되는 저주파휘도신호(YL) 및 대각선 휘도신호(YD)를 갖는 제한되는 대역폭의 휘도신호를 가산기(393)의 제2입력단자 및 대각선필터(396)에 출력한다.
가산기(393)에서는 필드메모리(392)에 저장된 우수필드의 고주파 휘도신호와 수평저역통과필터(351)로 부터 출력되는 기수필드의 저주파 휘도신호 및 대각선 휘도신호를 혼합하여 멀티플렉서(400)의 제2입력단자(B)로 전송한다.
상기 대각선필터(396)의 수평고역통과필터(394)에서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351)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중 수평적으로 1MHz이상의 휘도신호를 수직고역통과필터(395)에 출력한다. 상기 수직고역통과필터(395)에서는 수평적으로 1MHz이상의 휘도신호에서 수직적으로라인 이상에 해당하는 신호인 기수번째의 대각선성분의 휘도신호를 필드메모리(397)에 저장한다.
가산기(398)에서는 상기 제어용스위치(SW1)에 의해 절환된 우수필드의 저주파 및 고주파 휘도신호와 필드메모리(397)에 저장된 기수필드의 대각선 휘도신호를 혼합하여 멀티플렉서(400)의 제1입력단자(A)에 출력한다. 기수필드일때 멀티플렉서(400)에서는 30Hz의 헤드스위칭 신호의 "하이"신호에 의해 제2입력단자(B)를 선택하여 원래 신호에서 고주파 휘도신호를 보상한 신호인 가산기(393)의 출력을 선택하고, 우수필드일때 헤드스위칭신호의 "로우"신호에 의해 제1입력단자(A)에 유입되는 중첩된 신호를 펼친 휘도신호에서 대각선 휘도신호를 보상한 신호인 가산기(398)의 출력을 선택한다. D/A변환부(410)에서는 상기 멜티플렉서(400)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휘드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색도신호분리부(420)에서는 재생증폭기(310)로 부터 재생되는 복합영상신호로 부터 색도신호를 분리한 후, AM복조부(430)에서 3.58MHz의 색도신호로 AM복조한다.
복합영상신호발생부(440)에서는 표준 복합영상신호를 형성하기 위해 D/A변환부(410)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와 AM복조부(430)로 부터 출력되는 색도신호를 결합시키고자 기존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는 녹화시 필드 주기로 원래의 신호 또는 전 대역폭의 영상신호를 제한된 대역폭에 중첩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휘도신호를 중첩반송신호에 의해 변조한 후 저역 휘도신호에 중첩시킨 신호를 교번적으로 기록하고, 재생시 대역보상에 의해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재생함으로써 채널간 간섭을 줄여 고해상도의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색도신호 및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전대역에 분포된 영상신호를 유효대역폭을 갖는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소자를 구비한 영상기록장치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입력통로;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전대역의 휘도신호에서 고주파 휘도신호를 중첩반송신호에 의해 변조하고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하여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중첩부; 및 상기 주파수중첩부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 또는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휘도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교번적으로 선택해서 상기 기록소자에 공급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중첩부는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휘도신호를 수평적으로 제한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평고역통과필터; 변조반송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변조반송신호 발생부;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휘도신호를 상기 변조반송신호에 의해 저주파 휘도신호에 주파수 천이시키기 위한 변조부;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휘도신호중 저주파 휘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평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의 출력과 상기 변조부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3. 색도신호 및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전대역에 분포된 영상신호를 유효대역폭을 갖는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영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다수 비트의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로 부터 전대역의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신호분리부; 상기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유입되는 전대역의 휘도신호중 고주파 휘도신호를 중첩반송신호에 의해 변조하여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하여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중첩부; 상기 주파수중첩부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 또는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대역폭의 휘도신호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휘도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 및 상기 D/A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변조하는 휘도신호기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유입되는 복합영상신호 부터 색도신호를 분리하는 색도신호분리부; 상기 색도신호를 기록매체상에 기록될 수 있도록 주파수변화하는 색도신호 기록부; 및 상기 휘도신호기록부의 휘도신호 및 색도신호기록부의 색도신호를 혼합하여 기록소자에 공급하는 색도/휘도신호 혼합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로 부터 동신호를 검출하는 동신호검출부; 상기 동신호검출부로 부터 출력되는 동신호를 AM변조하는 동신호기록부; 및 상기 동신호기록부로 부터 출력되는 동신호와 상기 주파수중첩부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혼합해서 상기 선택부에 출력하는 휘도/동신호 혼합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중첩부는 상기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대역의 휘도신호 중 수평적으로 고주파 휘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평고역통과필터; 변조반송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변조반송신호 발생부;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휘도 신호를 상기 변조반송신호에 의해 저주파 휘도신에 주파수 천이시키는 변조부; 상기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중 저주파 휘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평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수평저역통과필터의 출력과 상기 변조부의 출력을 가산하는 가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신호검출부는 상기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1프레임 지연시키기 위한 프레임딜레이; 및 현재 프레임 휘도신호에서 상기 프레임딜레이로 부터 출력되는 한프레임전 휘도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기로 부터 출력되는 동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문턱치와 비교해서 동신호가 문턱치이상이면 공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임을 나타내는 기저상태의 논리신호를 출력하고, 동신호가 문턱치미만이면 시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임을 나타내는 여기상태의 논리신호를 출력하는 레벨검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9. (정정)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반송신호발생부는 상기 A/D변환부에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 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해서 기수/우수 프레임 구별신호, 기수/우수 필드구별신호, 기수/우수라인 구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
    수평적으로 주파수 천이시키기 위한 샘플링주파수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병-직렬변환기; 상기 판별부로 부터 출력되는 기수/우수 프레임 구별제어신호, 기수/우수필드 구별제어신호에 따라 필드 또는 프레임이 바뀔 때마다 변화를 검출해서 상기 병-직렬변환기를 리세트시키는 변화검출부; 상기 레벨검출부로 부터 출력되는 여기상태의 논리신호에 따라 상기 병-직렬변환기의 비반전 출력 또는 반전출력을 선택함으로서 시간적으로 주파수 천이시키기 위한 반송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 및 상기 판별부로 부터 출력되는 기수/우수라인 구별제어신호에 따라 제1멀티플렉서의 비반전출력 또는 반전출력을 선택하여 수직적으로 주파수 천이시키기 위한 반송클럭신호를 상기 변조부의 제어입력단자에 출력하기 위한 제2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회로.
  10. 유효대역폭의 기록매체상에 소정주기로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제한된 대역폭에 중첩시킨 신호 또는 주파수중첩하지 않은 원래의 신호를 교번적으로 기록하고, 이 기록된 정보를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독취소자를 구비한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신호중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주파수펼침부; 및 상기 주파수펼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대역의 휘도신호 또는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재생되는 유효대역폭의 휘도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 주기로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펄침회로.
  11. 유효대익폭의 기록매체상에 소정주기로 전대역폭의 영상신호를 제한된 대역폭에 중첩시킨 신호 또는 주파수 중첩하지 않은 원래의 신호를 교변적으로 기록하고, 이 기록된 정보를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소자;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정보를 복조하여 휘도신호를 재생하는 휘도신호재생부; 상기 휘도신호재생부로 부터 재생된 휘도신호를 디지탈 휘도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공간/시간 제어신호에 따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주파수펼침부; 상기 주파수펼침부로 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및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전대역폭의 휘도신호 또는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재생되는 저주파 휘도신호 및 대각선 휘도신호를 갖는 제한된 대역폭의 휘도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 주기로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가 주파수펼침부의 출력일 때는 상기 독취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대각선 휘도신호를 혼합하고 상기 독취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유효대역폭의 휘도신호일 때는 상기 주파수펼침부의 출력중 고주파 휘도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보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정보를 복조하여 색도신호를 재생하는 색도신호 재생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영상신호중 소정 대역으로 주파수천이하여 동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신호분리부; 상기 동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동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문턱값과 비교하여 문턱값이상이면 공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임을 나타내는 기저상태의 시간/공간 제어신호를 동신호가 문턱치 미만이면 시간적으로 도출된 휘도신호임을 나타내는 여기상태의 시간/공간 제어신호를 상기 주파수펼침부로 출력하는 레벨검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신호분리는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신호에서 소정대역폭 이하의 저주파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포락선검파하여 동신호를 검출하는 AM복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펼침부는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시간적으로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제1주파수펼침부;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공간적으로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제2주파수펼침부; 상기 레벨검출부로 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량에 따른 레벨신호에 따라 상기 제1주파수펼침부 또는 제2주파수펼침부를 선택해서 상기 주파수보상부에 출력하는 선택용 스위칭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펼침부는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변조방송신호에 따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주파수 천이시키는 변조부; 변조반송신호를 발생하는 변조반송발생부; 상기 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수평적으로 제1소정대역이상의 휘도신호영역만을 필터링하는 수평고역통과필터;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시나호에서 수직적으로 최대 수직주파수의 1/2이상 대역의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수직고역통과필터; 및 상기 변조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대역폭의 휘도신호에서 상기 수직고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펼침부는 상기 A/D변환부로 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변조반송신호에 따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주파수 천이시키는 변조부; 변조 반송신호를 발생하는 변조반송발생부; 상기 변조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적으로 제2소정대역이상의 휘도신호영역만을 필터링하는 수평고역통과필터;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최대 수직주파수의 1/2이상 대역의 휘도신호를 출력하는 수직고역통과필터; 및 상기 변조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대역폭의 휘도신호에서 상기 수직고역통과필터의 출력을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보상부는 상기 선택용 스위칭수단에 접속된 수평고역통과필터; 상기 수평고역통과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휘도신호를 저장하는 제1화면 메모리; 상기 제1화면 메모리의 출력과 상기 A/D변환부의 출력을 가산하는 제1가산기; 상기 A/D변환부에 접속되어 대각선성분의 휘도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대각선필터; 상기 대각선필터로 부터 출력되는 대각선성분의 휘도신호를 저장하는 제2화면 메모리; 및 상기 선택용스위칭수단의 출력에 상기 제2화면 메모리에 저장된 대각선성분의 휘도신호를 혼합하는 제2가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반송발생부는 상기 A/D변환부에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 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 상기 동기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 신호를 카운팅해서 기수/우수 프레임 구별신호, 기수/우수 필드구별신호, 기수/우수라인 구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별부; 수평적으로 주파수천이시키기 위한 샘플링주파수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병-직력변환기; 상기 판별부로 부터 출력되는 기수/우수 프레임 구별제어신호, 기수/우수필드 구별제어신호에 따라 필드 또는 프레임이 바뀔 때마다 변화를 검출해서 상기 병-직렬변환기를 리세트시키는 변화검출부; 레벨검출부로 부터 출력되는 여기상태의 논리신호에 따라 상기 병-직렬변환기의 비반전 출력 또는 반전출력을 선택함으로서 시간적으로 주파수 천이시키기 위한 반송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 및 상기 판별부로 부터 출력되는 기수/우수라인 구별제어신호에 따라 제1멀티플렉서의 비반전출력 또는 반전출력을 선택하여 수직적으로 주파수천이시키기 위한 반송클럭신호를 상기 변조부의 제어입력단자에 출력하기 위한 제2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펼침회로.
  20. 색도신호 및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전대역에 분포된 영상신호를 유효대역폭을 갖는 기록매체상에 기록소자에 의해 기록하고, 기록된 휘도신호 및 색도신호를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독취소자에 의해 재생하기 위한 영상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를 유입하기 위한 입력통로;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전대역의 휘도신호에서 고주파 휘도신호를 중첩반송신호에 의해 변조하는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하여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중첩부; 상기 주파수중첩부로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 또는 상기 입력통로로 부터 유입되는 휘도신호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제1선택부;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신호중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주파수펼침부; 및 상기 주파수펼침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대역폭의 휘도신호 또는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재생되는 유효대역폭의 휘도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 주기로 선택하는 제2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21. 색도신호 및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전대역에 분포된 영상신호를 유효대역폭을 갖는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기록된 휘도신호 및 색도신호를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전대역의 영상신호를 다수 비트의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디지탈 영상신호로 부터 전대역의 휘도신호를 분리하는 휘도신호분리부; 상기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유입되는 전대역의 휘도신호중 고주파 휘도신호를 중첩반송신호에 의해 변조하여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하여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중첩된 휘도신호를 발생하는 주파수중첩부; 상기 주파수중첩부로 부터 출력되는 중첩된 휘도신호 또는 휘도신호분리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 대역폭의 휘도신호를 소정 주기로 교번적으로 선택하는 제1선택부; 상기 제1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휘도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 상기 D/A변화부로 부터 출력되는 휘도신호를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변조하는 휘도신호기록부;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소자;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독취된 정보를 복조하여 휘도신호를 재생하는 휘도신호재생부; 상기 휘도신호재생부로 부터 재생된 휘도신호를 디지탈 휘도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제한된 저주파 휘도신호에 중첩된 고주파 휘도신호를 원래의 점유대역으로 펼치는 주파수 펼침부; 상기 주파수펼침부로 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및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전 대역폭의 휘도신호 또는 상기 독취소자에 의해 재생되는 저주파 휘도신호 및 대각선 휘도신호를 갖는 제한된 대역폭의 휘도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 주기로 선택하는 제2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가 주파수펼침부의 출력일 때는 상기 독취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대각선 휘도신호를 혼합하고 상기 독취소자로 부터 출력되는 유효대역폭의 휘도신호일 때는 상기 주파수펼침부의 출력중 고주파 휘도신호를 혼합하는 주파수보상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KR1019920004662A 1992-03-20 1992-03-20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KR95001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662A KR950011520B1 (ko) 1992-03-20 1992-03-20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JP5059005A JP2780730B2 (ja) 1992-03-20 1993-03-18 映像信号交番重畳及び広げ回路
CN93103199A CN1043114C (zh) 1992-03-20 1993-03-20 视频信号的交替折叠和/或展开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4662A KR950011520B1 (ko) 1992-03-20 1992-03-20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01A KR930020401A (ko) 1993-10-19
KR950011520B1 true KR950011520B1 (ko) 1995-10-05

Family

ID=1933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662A KR950011520B1 (ko) 1992-03-20 1992-03-20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780730B2 (ko)
KR (1) KR950011520B1 (ko)
CN (1) CN104311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2123B2 (ja) 2002-03-25 2005-11-02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可変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88296B (zh) * 2010-12-07 2014-02-26 成都雷思特电子科技有限责任公司 微波带宽折叠接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2682A (ja) * 1985-08-20 1987-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再生装置
US4831463A (en) * 1987-01-30 1989-05-16 Faroudja Y C Video processing in which high frequency luminance components are folded into a mid-band spectr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80730B2 (ja) 1998-07-30
KR930020401A (ko) 1993-10-19
JPH0686325A (ja) 1994-03-25
CN1043114C (zh) 1999-04-21
CN1079097A (zh) 199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0131A (en) Recording signal generation system for color video signal
KR870000884B1 (ko) 칼라 영상신호 재생장치의 클럭펄스 발생회로
US6459849B1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 video signal including a plurality of small images
KR0176449B1 (ko) 영상기록 및 재생시스템
EP0551561A2 (en) Digital modulators for use with subnyquist sampling of raster-scanned samples of image intensity
US4555735A (en) Interconnection system between image pickup device and recording device
KR950011521B1 (ko) 영상신호 중첩 및 펼침회로
US46912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two color video signals
JPS648516B2 (ko)
KR930010928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US5500739A (en) Frequency-multiplexing FM luma signal with color and 2nd under signals having overlapping frequency spectra
JPH04271685A (ja) 同期信号復元回路
KR950011520B1 (ko) 영상신호 교번 중첩 및 펼침회로
JPS59171285A (ja) 映像信号のドロツプアウト補償回路
JPH04332282A (ja) 周波数重畳情報挿入及び分離回路とその情報発生方法
KR950011009B1 (ko) 비디오 신호 기록 재생 장치
KR930000457B1 (ko) 서브나이키스트 샘플링에 의한 영상신호의 대역압축 전송방식
KR920010167B1 (ko) 영상신호 중첩 및 펼침회로
KR100249291B1 (ko) 정보 기록 및 재생 장치
EP0095162B1 (en) Dropout compensation circuit for a video reproducing system
CA1249365A (en) Process for recording and playback of tv-signals in analog form
EP0140706B1 (en) Jitter-immune time expansion for time-compressed line-sequential video signals
JP2531616B2 (ja) 画像信号記録装置
US4692814A (en) Jitter-immune time expansion for time-compressed line-sequential video signals
WO1987000383A1 (en) Dropout compensator and luminance averager with ''shared'' d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