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934B1 - 마스카라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934B1
KR950010934B1 KR1019920010567A KR920010567A KR950010934B1 KR 950010934 B1 KR950010934 B1 KR 950010934B1 KR 1019920010567 A KR1019920010567 A KR 1019920010567A KR 920010567 A KR920010567 A KR 920010567A KR 950010934 B1 KR950010934 B1 KR 950010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s
parts
mascara
film
alky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095A (ko
Inventor
김영대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평양
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평양, 한동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to KR101992001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934B1/ko
Publication of KR94000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카라 조성물
본 발명은 알킬화 아트릴계의 양성(amphoteric) 고분자와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사용하여 피부안전성, 사용성, 사용효과 및 제형안정성을 향상시킨 마스카라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좀더 상세하게는 종래 유화형 마스카라에 필름 형성제로 널리 사용되어온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계의 고분자의 유화물 대신 계면활성을 갖는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고분자 필름형성제를 단독 또는 종래의 아크릴 또는 메타아크릴계의 고분자 유화물 필름형성제와 병용하고 로진에서 얻은 아비에틸산에서 유도된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병용함으로서 피부안전성이 우수하며, 필름형성 및 컬유지력이 우수하고, 부착성이 향상되고 내수성과 내유성이 우수하며 특히 세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쉽게 용기에서 건조되지 않고 점도와 경도가 시간이 경과되어도 큰 변화가 없는 신규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눈썹에 도포되어 눈썹을 짙고 길게 보이게 해주고 눈의 표현력과 아름다움을 높여줄 목적으로 사용된다.
마스카라는 눈썹에 용이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도포되어야 하고, 눈썹에 묻은 후 신속히 건조되어 눈썹이 서로 붙지 않고 또 눈의 주위에 옮겨 묻는다든지 퍼진다든지 하지 않아야 한다. 또 눈썹이 컬을 만들어진 그대로의 상태로 보존하는 성능이 요구된다. 그리고 마스카라는 눈의 주위에 사용하므로 안전성, 위생성의 고려가 필요하다.
오늘날의 마스카라 제품에서 중요한 점중의 하나는 피그먼트와 필러나 화이버(fiber) 같은 눈썹 익스텐더(extender)의 적당한 분배이다. 이 분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품은 제대로 기능을 나타낼 수 없다.
따라서 밀링이 중요한데 완전히 못한 색소밀링은 최종제품에 사용시 불균일한 필름을 형성하고, 눈썹에의 부착성이 나쁘고, 경시변화가 일어나 겔화 내지 고형화가 일어난다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을 주는 응집체를 만들게 된다.
오늘날 가장 인기있는 중요한 마스카라는 유화타입의 마스카라로서 이에는 다시 묽은 액상 유화타입과 크림상 유화타입이 있는데 크림상 유화제품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크림상 마스카라의 경우 피그먼트를 바니싱크림과 같은 성분의 베이스속에 밀링하거나 적당한 유용성 색소를 사용하여 만드는데 이럴 경우 적당한 습윤제를 사용하여 계면장력을 줄여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색소가 브러쉬에 잘 묻지 않는다.
색소 피그먼트는 유화가 끝나면 즉시 베이스속으로 혼합시키고 냉각하는 동안 교반을 계속하면서 혼입된 기포를 탈기시킨다. 기본적으로 좋은 마스카라는 제품의 요기내에서 건조되지 않아야 하고 눈썹에 잘 묻어야 한다.
크림 마스카라가 인기있는 이유는 이것은 사용하기가 쉽고, 빨리 건조하고, 쉽게 지울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크림 마스카라는 기본적으로 유화 안정화문제와 피그먼트 또는 용기와 기제간의 반응성,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 경도등의 증가가능성 그리고 방부문제 등으로 인해 화장품 화학자가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가장 어려운 화장품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에서 만족스러운 품질의 마스카라 개발은 용이하지 않다.
근래의 눈썹용 크림 마스카라는 고형, 반고형, 액상의 유분과 수계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화타입이 대부분인데 이 종류의 것은 물, 땀 및 눈물 등에 의하여 떨어지기 쉽고 또 눈 주위에 있는 피지와 화장료의 유분에 의하여 마스카라가 번진다든지 시간경과에 따라 눈 주위를 쉽게 더럽히는 결점이 있고 또 눈썹의 아름다움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유화타입의 것은 내수성이 거의 없고, 건조성과 내유성도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 고분자 유화물 수지와 같은 피막타입의 것은 건조가 너무 빨라서 눈썹에 매끄럽게 도포할 수 없다든지 또는 건조하면 불가역적인 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용기의입구에 쉽게 덩어리지기가 쉽고 따라서 솔 및 눈썹에 잘 묻어나지 않는 결점이 있다.
그후 이 양자를 결합한 마스카라가 개발되어 나오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이들의 결점이 해결된 것이 아니고 부분적으로 개선된 것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색소피그먼트의 분산성이 양호하고, 용기내에서 건조되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여도 점도와 경도의 변화가 적은 점등 제품의 안전성이 우수하고 사용시 균일하고 적당한 두께로 눈썹에 발려 우수한 컬링효과와 이의 지속성이 양호하며 가루날림이나 눈주위에서의 번짐이 없으며 내수성, 내유성이 우수하고 특히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마스카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필름형성은 마스카라의 기능중 아주 중요하다. 이는 주로 컬링을 양호하게 해주고 매끈한 눈썹을 갖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지금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유화물 수지, 왁스 및 수용성 폴리머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각각 그 나름대로의 기능을 발휘하지만 근본적으로 서로 상용성이 없으므로 복합적으로 향상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특히 고분자 유화물의 경우 근본적으로 함유된 모노머 등에 의한 피부 안정성이 나쁘기 때문에 점점 이의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기능면에서도 고분자 유화물의 경우 상당히 많은 양을 사용해야 컬링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건조가 된다든지 하면 부스러지기 쉽고 가루가 날리는 문제가 있고, 자체가 수용성 내지 수분산성이므로 공동필름형성제 왁스 등과 상용성이 나빠 매끈한 필름형성이 어렵다. 한편 수용성 폴리머의 경우 자체의 분산성에 의해 제형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면과 눈썹표면을 매끈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나 왁스와의 친화성이 나쁘고 특히 내수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마스카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스카라의 부착성은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아무리 그 자체가 좋은 내용물도 눈썹에 궁극적으로 부착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이는 마스카라와 눈썹사이의 표면장력을 줄여줌으로써 향상될 수 있음을 알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필름형성제 특히 고분자 유화물의 경우 이 기능을 다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계면장력이 큰 왁스성분 등의 용이하고 고른 부착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물질로서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 폴리머는 자체가 친유성의 알킬기를 가지므로 왁스와 혼합성이 좋으면서 마스카라와 눈썹의 계면장력을 줄여줄 수 있고 특히 양성(amphoteric)을 띄므로 음이온성의 눈썹에 부착이 잘 되게 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컬링효과가 우수하려면 우선 여러 종류의 필름형성제가 별도의 상에 작용하지 않고 균질의 복합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마스카라에 컬형성력, 내수성, 수축성 등의 효과를 주는 상용되는 왁스 필름형성제와 친화성이 있는 고분자 필름형성제가 왁스와 복합물을 형성하여 우수한 컬효과를 줄 것으로 생각하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즉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고분자로 분산 및 코팅된 색소 피그먼트를 친수성 베이스에 넣고 충분히 분산시킨 후 왁스등의 친유성 베이스와 혼합 유화시켜 마스카라를 제조하면 우수한 컬링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고분자는 친유기 및 친수기를 가지는데 그 친수가 부분의 영향으로 수용성 필름형성제와의 친화성도 있어서 복합된 우수한 필름형성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셋째,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고분자는 지금까지의 고분자 유화물 필름형성제와는 달리 자체 계면활성이 있으므로 특히 마스카라에 함유된 색소 등 피그먼트의 분산안전성이 양호해지며 따라서 분산 불안정에 의한 건조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고 또 특히 이로서 피그먼트를 코팅하여 사용시 우수한 피그먼트 부착성을 나타내고 가루날림 등의 문제가 해결되었다. 한편 다른 유화제 및 분산제의 함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피부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사용된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 폴리머의 경우 지금까지의 고분자 유화물 필름형성제와는 달리 고분자에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모노머의 함량이 거의 없고 분자량이 크고 소수성이 증가되어 피부에의 침투가 이루어지지 않고 막을 형성하는 성질이 커서 특히 피부안전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존재의 필름형성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로는 알킬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등을 들 수 있으며, 그의 사용량은 0.1 내지 20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 폴리머를 알킬기로서 50 내지 90% 중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 폴리머의 경우 여러가지 우수한 성질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양성으로 만들고 계면활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알칼리 성분으로 중화를 시켜야 하는데 이때 친수성 성질이 증가하게 되고 또 분자량이 큰 물질에 다시 알킬기가 결합된 것으로 다량 사용시 그 효과는 양호하나 너무 응집력이 큰 성질이 있다.
한편 고점성도는 크림상의 마스카라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 또는 경도상승의 문제 등은 계속 개선이 요망되어 계속 연구를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개선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의 사항을 검토하였다.
내수성의 향상과 고르고 매끈한 부착을 위해 본 발명의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고분자와 친화성이 있으면서 내수성이 있고 필름형성력이 있는 그러면서도 퍼짐성이 양호한 원료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특히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 내지 경도 상승의 문제(이를 리베링(Livering)이라 부른다.)가 발생하는데 경도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제품이 굳어진다든지 고무상의 덩어리로 되어 전연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하였다.
리베링의 원인중의 하나는 기제의 산기와 안료의 염기성분 등이 반응하여 비누를 만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가정되기도 하고, 제품중의 분산질이 이중에서 겔로 변하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리베링을 막아주는 방법으로 안료 입자의 주위에 분산질의 응집과 비누의 생성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는 불활성 물질로서 안료입자를 코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에 가능한 원료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이 이러한 성질을 갖는 동시에 앞에 기술한 알킬화 아크릴계의 양성 폴리머의 마스카라에서의 부족한 기능을 보완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시 상술하면 로진으로부터 얻은 로진산에서 유도된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은 지금까지의 고분자 유화물 필름형성제와 사용시 서로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복합 필름의 생성이 곤란하고 따라서 이로 인한 기능의 향상이 없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콜을 본 발명의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와 같이 사용하면 서로 상용성이 있기 때문에 우수한 복합 필림의 형성이 가능하여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계면활성 및 피그먼트 분산성을 갖게 하기 위해 중화됨으로서 약해진 본 발명의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의 내수성을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콜이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균일하고 매끈한 필름 형성으로 사용감을 개선시켜 주었고, 피그먼트 입자를 코팅해주므로서 피그먼트와 다른 지방산과의 접촉반응을 막아주므로서 크림성 마스카라의 일반적 특징인 시간경과에 따른 제품의 경도나 점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콜은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100%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O/W 유화 마스카라)
제조방법
1) 원료 1~5를 평량하여 60℃에서 가열한 후 원료 6~8을 넣고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2) 1)에 원료 9를 넣고 교반, 혼합시킨다.
3) 원료 10~16을 85℃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73℃로 가열한 2)에서 서서히 가하면서 교반, 혼입시킨 다음 30℃로 냉각한다.
[실시예]
(W/O 유화 마스카라)
제조방법
1) 원료 1~8을 80℃로 용해시키고 원료 9를 가하여 혼합, 교반시킨다.
2) 원료 15~16를 73℃로 가열한 원료 10~14에 용해시킨 후 1)에 서서히 가하면서 혼합·교반후에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제조실시예 1, 2, 3, 4, 5와 종래의 비교예 1, 2를 비교하여 실제 제품 사용효과를 알아보았다.
20~35세 여성 30명씩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W/O 유화 마스카라와 O/W 유화 마스카라로 나누어 컬링, 두께감, 밀착감, 지속성, 사용감촉 및 피부안전성을 비교·품평하여 상대적으로 양호한 제품을 선택한 인원수는 다음과 같다.
[표 1]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인 실시예 1, 2, 3, 4, 5의 제품은 종전의 비교예 1, 2의 제품보다 컬링, 두께감, 밀착감, 지속성, 사용감촉 및 피부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와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혼합사용한 실시예 1, 3, 4는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를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2, 5보다 컬링, 두께감, 밀착감, 지속성, 사용감촉 및 피부안전성이 좀더 우수하다.
이는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필름형성으로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폴리머 사용시의 무거운 감촉을 개신시켰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실시한 마스카라의 건조성, 내수성 및 내유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방법으로 비교 품평하였다.
1) 건조성 비교품평은 나일론판에 적량시료를 취해 균일하게 도포하고 상온에서 손가락으로 건조시간을 체크한다.
2) 내수성 비교품평은 20ml 시험관에 10ml의 이온교환수를 취하고 1)에서 시험한 나일론판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시료를 넣어서 30분간 흔들어준다,
3) 내유성 비교품평은 2)에서 실시한 이온교환수 대시에 스쿠알란을 사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30분간 흔들어준다.
[표 2]
(범례) ○ : 양호, △ : 보통, × : 나쁨.
시간경과에 따른 경도 상승을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한 실시예, 비교예를 30℃ 항온조에서 관찰하고 경도계(Rheometer)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표 3]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품이 종전의 제품과 비교하여 건조성, 내수성 및 내유성이 양호하다. 이는 본 발명에 사용한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고분자가 포함된 알킬기의 영향으로 내수 및 건조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와 친화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혼합 사용하므로서 복합필름의 형성이 가능하여 기능의 향상이 있었다.
표 1, 표 2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전에 마스카라 필름형성제인 아크릴 및 메타아크릴계 폴리머보다 본 발명의 필름형성제인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는 필름형성 능력이 우수한 원료로서 컬링효과가 양호하게 되었으며 소수성기를 가지고 필름형성능이 있으므로 피부에 접촉시 피부침투가 어렵고 양이온성이므로 피부안전성이 우수하고 밀착감이 양호하여 속눈썹에 두껍게 밀착이 되어 속눈썹을 두껍고 길게 표현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 및 속눈썹에 밀착성이 뛰어나므로 장시간 경과후 가루나 덩어리로 떨어지는 현상이 없이 지속성이 양호하게 되었다.
또한 필름형성 능력이 있고 동시에 가소제 성질을 지닌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혼합 사용하여 계면활성 및 피그먼트 분사성을 갖게 하기 위해 중화됨으로서 약해진 본 발명의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의 내수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균일하고 매끈한 필름형성으로 무거운 사용감을 가볍게 개선시켜 주었고 내수성과 내유성이 우수하여 쉽게 용기에서 건조되지 않고 시간 경과에 따른 제품의 경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고분자를 단독 또는 고분자 유화물 필름형성제와 병용하고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사용하여 마스카라의 컬링, 두께감, 밀착감, 지속성, 사용감촉, 및 피부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내수성과 내유성을 향상시켜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쉽게 용기에서 건조되지 않고 적당한 건조성을 지니게 하며 장시간 경과에 따른 경도상승을 막는 마스카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5)

  1.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고분자 및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가 알킬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의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알킬기는 헥실, 옥틸, 데실, 도데실, 테트라데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의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가 전체 중량의 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의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아비에틸알코올은 알킬화 아크릴계 양성 폴리머 중량의 5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의 조성물.
KR1019920010567A 1992-06-18 1992-06-18 마스카라 조성물 KR950010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567A KR950010934B1 (ko) 1992-06-18 1992-06-18 마스카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0567A KR950010934B1 (ko) 1992-06-18 1992-06-18 마스카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95A KR940000095A (ko) 1994-01-03
KR950010934B1 true KR950010934B1 (ko) 1995-09-26

Family

ID=1933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567A KR950010934B1 (ko) 1992-06-18 1992-06-18 마스카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3482A1 (en) 2009-11-30 2011-06-03 Natura Cosméticos S.A.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in-water emulsion and mascara for eyelash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209B1 (ko) 2013-05-09 2015-01-30 신준협 조이스틱을 이용한 위치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3482A1 (en) 2009-11-30 2011-06-03 Natura Cosméticos S.A.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il-in-water emulsion and mascara for eyelas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95A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576B1 (ko) 화 장 료
EP0388582B1 (en) Cosmetic composition
JP3984259B2 (ja) 化粧用調製品
JP4906040B2 (ja) 油性化粧料
JPS6118708A (ja) 非水系メークアップ化粧料
KR20040019048A (ko) 방수성, 내마모성 모발 및 화장용 화장품
US5238678A (en) Double-coat type make-up cosmetic product containing aluminum powder
JPS6126764B2 (ko)
JPS61289009A (ja) 化粧料
KR20110088179A (ko) 유중수형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950010934B1 (ko) 마스카라 조성물
JPS6216411A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S62187405A (ja) 化粧料
JPH0377165B2 (ko)
JP3072568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S6112606A (ja) アイメ−クアツプ化粧料
CN114746065A (zh) 包含聚合物共混物和高负载的磁性材料的磁性组合物
JPH08133928A (ja) 化粧用粉体及び該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7043263B2 (ja) 非水系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及び非水系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を含む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H02250812A (ja) アイ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H0971521A (ja) 混練組成物及び組成物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化粧料
JPS60255713A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H0576442B2 (ko)
KR100376113B1 (ko) 케라틴으로 코팅된 색소를 함유하는 눈 화장용 조성물
KR100431504B1 (ko)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