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686B1 -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 Google Patents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686B1
KR950010686B1 KR1019890700229A KR890700229A KR950010686B1 KR 950010686 B1 KR950010686 B1 KR 950010686B1 KR 1019890700229 A KR1019890700229 A KR 1019890700229A KR 890700229 A KR890700229 A KR 890700229A KR 950010686 B1 KR950010686 B1 KR 95001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able
casing
plates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923A (ko
Inventor
세이지 스가사와라
겡 쓰네끼
가즈요시 오오시마
요오지로오 나까야마
다쓰야 하야가와
세이 이찌로오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488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0823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5479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3183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66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21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66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21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71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5545A/ja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88/000550 external-priority patent/WO1988009884A1/ja
Publication of KR89070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03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moving linearly to and fro in chambers,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는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관한 회전식의 댐퍼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그 요부 종단 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분해사시도.
제1c도는 전체의 조립 사시설명도.
제 2 도, 제 3 도는 제1a도, 제1b도와 동일한 회전식 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각 요부의 분해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견인식 댐퍼의 실시예를 표시한 종단 정면 설명도.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분해사시설명도.
제5a도는 다른 고정판을 사용한 경우의 일부를 절결한 부분정면도.
제5b도는 링스페이서를 사용한 경우의 부분정면도.
제5c도는 가동판의 다른예를 표시한 평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제 2 발명에 의한 회전식 다판 댐퍼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 종단 정면도.
제6b도는 제 6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6d도는 다른예에 의한 케이싱의 일부를 절결한 부분정면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발명에 의한 상동 댐퍼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 종단 정면도.
제8a도는 제 7 도의 가동판을 표시한 종단 전면도.
제8b도와 제8c도는 제 7 도와 각기 별도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분 종단 정면도.
제9a도, 제9b도는 제6a도, 제6b도에 의한 제 2 발명과 상이한 댐퍼를 표시한 각기 요부 종단 정면도와 분해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 제 4 발명에 의한 회전 다판식 댐퍼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요부 종단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본 발명 댐퍼의 분해사시도.
제12a도, 제12b도는 본 발명의 제 5 발명에 의한 댐퍼의 각기 별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종단 정면도.
제13a도, 제13b도는 제12a도, 제12b도의 각기 분해사시 설명도.
제14a도, 제14b도, 제14c도는 본 발명 제 6 발명에 의한 댐퍼의 각기 별도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종단 정면도.
제15a도, 제15b도, 제15c도는 제14a도, 제14b도, 제14c도의 각기 분해사시 설명도.
제16도는 본 발명 제 7 발명의 의한 댐퍼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종단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분해사시 설명도.
제18도, 제19도, 제20도는 다른 실시예의 각 종단 정면도.
제21a도, 제21b도는 당해 댐퍼의 각기 고온시, 저온시에 있어서.
제22a도, 제22b도는 종래의 점성유체 사용에 의한 댐퍼의 각기 종단 정면도와 횡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고분자 점성유체 기타의 점성유체를 사용하고, 그 점성전단저항을 이용하므로서 저항력을 얻을 수 있게 하고, 당해 저항력에 의하여 의력에 대한 완충작용 즉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한 각종 용도에 제공되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종래의 댐퍼에는 공지된 바와같이 기름을 사용하고, 이것이 좁은 간극을 통과할 때의 난류저항을 이용하도록 한 것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완충장치에 의한 때에는 소정의 저항력에 의한 제동을 얻는데 상기 간극에 대하여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이되고, 또 충격적인 외력을 받았을 경우에는 기름이 압축불능이기 때문에 각 부재에 외력 그대로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이 결과 높은 강도가 요구되므로서 대형화되어 버리는 난점이 있고, 더우기 당해 극간이 오물에 의하여 막혀 버리는 지장이 생길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방식의 댐퍼가 가지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대운동을 행하는 2물체의 상호근접 하는 2면간에 고도의 점성을 가지는 점성유체를 배치시켜 두고, 상기 상대운동에 있어 생기는 당해 점성유체의 점성전단저항을 이용하고, 이 점성유체에 내부승압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얻도록 한 방식의 완충장치가 기히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방식에 의한 초기의 댐퍼로서는 케이싱내에 회전축과 직교상태로 축착된 소망복수매의 디스크 상태로 한 가동판과, 당해 가동판의 사이에 존재하고 당해 케이싱어 고정하고 이것 또한 디스크상태인 고정판을 배치하고, 이들의 가동판과 고정판의 판면간에 충진된 케이싱내의 점성유체를 배치되도록 된 것이 공지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댐퍼는 회전축에 회전력으로서의 외력이 가해지므로서 회전축에 축결합된 가동판과 케이싱에 고정설치된 고정판을 상대운동시키고, 이때 양판사이의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을 이용하여 당해 외력에 대한 완충작용을 발휘시키고 있지만, 이때 가동판과 고정판이 어느 것이나 고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양판의 이간 거리를 고정밀도로 균일하게 정리시켜두지 아니하면,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은 양판의 이간 거리가 작아질수록 커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거리에 좁은 부분이 있을 때에는 당해 부분에 있어서의 양판간에 저항력이 크게 부담되게 되어 당해부재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파손에 이르는 것이다.
이 결과로 제작에 상당한 정밀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점성전단저항은 양판의 대향면적에 비례되는 것이지만 이 대향면적을 변경하여 저항력을 별개의 설정치로 하고져 할 경우에도 양판의 위치는 고정화되어 있으므로 전혀 새로운 댐퍼를 제작하지 않으면 당해 요구를 충족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더우기 상기 초기 댐퍼의 결함을 시정하기 위하여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회전댐퍼가 제안(실용공보 소 57-39644)되게 되었지만 구성은 도면 제22a도와 제22b도에서와 같다.
즉 당해 댐퍼는 케이싱 a 내에 상기 초기댐퍼와 동일하게 외력이 가해지게 되는 회전아암 b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회전축 c가 매입되었고, 당해 회전축 c에 직교상태로 용접부착 등의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복수매의 가동판 d,d…를 구비하고 있지만, 고정판 e,e…는 케이싱 a에 고정되지 아니하고서, 당해판 e,e…의 결합홈 f,f에 케이싱 a의 내주벽에서 돌출된 결합돌기 g,g를 결합하므로서, 상기 고정판 e,e…가 회전은 저지되지만, 동도면(a)에 있어 상하 방향으로는 자유도가 부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물론 이 케이싱 a 내에는 상기 점성유체가 충진된다.
상기 개선된 종래 댐퍼에 의한 때는 가사 고정판 e,e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부적당한 힘이 작용되었다하여도 당해판 e,e…는 승강작용이 자유자재하게 구성되었므므로, 당해 외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부재의 손상을 회피할 수가 있고, 더우기 특정의 고정판 e가 인접하게 장치된 가동판 d에 근접된 상태에서 있었다하여도 가동판 d,d…의 회전에 의하여, 이것에 근접하고 있는 고정판 e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점성유체의 점성전단저항력에 크게되고, 이 결과로 당해 고정판 e가 자동적으로 이간되어 있는 점성전단저항력의 발생이 적은 타방의 고정판 e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작용(조심효과 : 調心效果)에 의하여 항상회전축 c에 고정부착 가동판간격을 평분하는 위치로 고정판 e,e…가 이용하고, 어는 개소에서도 균일한 점성전단저항력이 발생하고, 이상(異常)한 점성전단저항력의 국부적인 발생에 의한 당해부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댐퍼에 의한 때에도 가동판 d는 회동축 c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들 가동판 d의 설치 간격에 대하여서는 여전하게 고정밀도가 요구되고 있을 뿐아니라, 저항력을 별도로 설정하고져 할때도 가동판의 간격은 움직일 수 없으므로 고정판 e의 판면적을 변경하지 않으면 설정저항력을 변경할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고정판 e는 결합돌기 g,g에 삽입하여 결합시켜야만 하므로, 그 판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결국 이 댐퍼의 경우에도 신규로 제작하지 아니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런종류의 댐퍼에 있어서는 어느 범위에 있어서, 그 저항력을 가변하게 조정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지만 당해 개량댐퍼로 하여도 가동판 d,d…가 회전축 c에 고정부착되어 있으므로 저항력의 결정요인이 되는 가동판, 고정판 상호의 이간거리를 외부로부터의 조작으로 변경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이 결과로 저항력 즉 제동력의 조절조작이 불능하게 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것을 실현하고자 하면 최초부터 케이싱의 크기, 가동판, 고정판의 사이즈 등을 변경시킨 별도설계의 제품을 제작하므로서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판면간격을 크게하여 저항력을 작게 하거나, 반대로 작게하여 저항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던지 양판의 대향면적을 크게 하여 저항력을 크게, 또는 작게하여 저항력을 적게한다는 것을 실행하는 이외에는 목적 달성의 수단이 없었다.
더우기, 상기 댐퍼에 의한 때는 그 점성유체가 하절기의 기온상승에 따라서 점도가 저하되므로서, 점성전단저항력이 약해져 버리고, 반대로 동절기의 기온저하에 의하여 그 점도가 높게 되고, 이 때문에 당해 저항력이 강해지므로 예를들어 동절기에는 정상적인 댐퍼로서 작동하는데 불구하고 하절기가 되면 댐퍼로서의 제동력이 저하되어 버려 도어첵커 등에 사용하였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도어가 급속하게 동작하여 버려 폐문시에 충격음을 발생하는 등 도어첵커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제 1 발명)은 이제까지와 동일하게 상기 고정판, 가동판의 쌍방을 회전축 등에 고정시킨다든가, 일방의 고정판만을 상하방향, 즉 두께방향에 대하여 자유도를 부여한다는 고정수단 채택의 생각을 일체 배제하고, 고정판은 물론 가동판도 두께방향으로의 변동을 자유롭게 시키므로서 가동판이 회전한다던가 견인한다던가에 의하여 외력에 의한 변동시 이들이 전혀 자유로운 고정판, 가동판이 점성유체내에 있어서 상기 조심효과(점성유체가 점성전단저항의 크게 되어 있는 개소(판의 이간거리가 좁은 개소)에 향하여 흐르는 것에 의하여 당해 이간거리가 균일화되어 가는 효과)에 기준하여 판상호간의 이간거리가 균등분화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작상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바 없이 이상 점성저항을 국부적으로 발생시켜서 당해 부품에 손상을 부여한다는 것도 해소하고져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제 2 도의 발명)은 어느 것이나 자유도를 가지고 있는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고정, 가동판의 변동허용범위인 판자유전장을 외부에서 가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판상호의 이간거리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고, 그러므로 저항력에 대하여 간이 신속하게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제 3 발명)은 더우기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판자유전장의 감축에 대하여 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원체를 적절하게 설치하므로서 댐퍼로서 항상 원활한 시동을 확보시키고, 더우기 상기의 저항력 조정조작을 하기 쉽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제 4 도의 발명)은 상기 제2,제 3의 발명에 있어서의 저항력 조정수단이 상위하고, 어느 것이나 자유도를 가지고 있는 고정, 가동판 중에서 가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있는 가동판의 매수를 외부에서 증감변경시킬 수 있게 하여 전체의 저항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하고, 더우기 자유롭게 교체가 자유로운 고정판, 가동판에 대하여 그 판면적을 달리 하는 것과의 조립변경작업만으로 간이 신속하게 그 저항력에 대한 설정치까지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의 제 5 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어느 것이나 자유도를 가지고 있는 고정, 가동판의 자유도를 가진 변동자유전장을 외부에서 가변으로 하여두기만 하면 판상호의 이간 거리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고, 그러므로써 저항력의 조정도 가능하게 하고, 더우기 자유롭게 교체 가능한 고정판, 가동판에 대하여 그 판면적을 다르게 하는 것과의 조립변경작업만으로서 간이신속하게 그 저항력에 대한 설정치도 변경할 수 있게 하려는 것뿐 아니라, 가동판, 고정판과 관련하는 케이싱내의 소정위치에 감온변경소자를 내설하여 두는 것으로서, 당해 소자의 열변형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환경온도의 변화에 좌우되지 않고 일정한 제동력이 인위적 조정을 하지 아니하여도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그 목적인 것이다.
제 6 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발명과 같이 감온변형소자를 별도로 설비하는 일없이,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자체를 감온변형부재에 의하여 형성하므로써 당해 부재에 의한 판의 열변형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환경온도의 변화에 좌우되는 일없이 일정한 제동력이 인위적, 조정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다시 본 발명의 타목적(제 7 의 발명)은 제 4 의 발명에 더하여 가동판, 고전판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외력을 부여하여두는 동시에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 자체를 감온변형부재인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하므로서 당해 바이메탈에 의한 판의 열변형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환경온도의 대폭적 변화에 대하여서도 이것에 좌우되는 일없이 일정한 제동력이 인위적 조정에 의하는 일없이 자동적으로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제 1 발명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한 회전 또는 견인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 또는 견인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 또는 견인에 비연동하는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매설되고, 당해 케이싱 내의 점성유체가 이들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配在)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 또는 견인 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에는 변동자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에서는 외력이 가동축에 회전력으로서, 또는 직선형의 견인력으로서 가해지므로서, 가동축에 결합 또는 연결되어 있는 가동판이 케이싱의 점성유체내에서 회전 또는 견인되는 것이되어, 이 경우 당해 가동판과 정지상태에 있는 고정판과의 사이에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력이 생겨서, 이것이 외력에 대한 저항력으로 작용하므로서 댐퍼로서의 효용을 달성하는 것이 되지만 상기의 조심효과로서 점성유체가 상기 점성전단저항력이 큰 개소를 향하여 유동하므로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상호 간격에 광협의 차가 있다하여도 점성전단저항이 커다란 좁은 간격에 점성유체가 흘러들어, 이것에 의하여 어느 것이나 자유도를 가지는 가동판, 고정판은 변동하고 결국 전판의 이간거리가 판 자유전장을 균분하게 되고, 이 결과 국소에 무리한 저항력이 걸려서 부재의 파손이 생기는 것을 없앨수 있게 된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하는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이고, 또한 상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여서 이들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상기 변동허용범위인 판자유전장이 외부에서 조작자재한 조정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2 의 발명에서도 상기 제 1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이 실행되는 것이 되지만, 다시 그것뿐만이 아니고, 본 발명에 의하연 조정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의 판자유전장을 장단자재하게 가감되고, 따라서 당해 전장을 단축시키면 판의 판면간격이 작아져서 점성저항력을 크게 역으로 길게하여 주면 상동간격이 커져서 댐퍼로서의 저항력을 작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제 3 발명에 있어서는 이 역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 하게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 가동판과 교호배치되어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하는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며,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 가동판, 고정관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에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고정판도 그 두께방향에는 변동자재하여, 이들의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상기 변동허용범위인 판자유전장이 외부에서 조작자재한 조정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가변인 동시에 상기 판자유전장의 감축에 대하여 이것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원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제 3 발명에서는 제 2 발명에 더하여 탄성원체가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판자유전장을 짧게하여 가면 당해 탄성원체가 탄발력을 보유하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일단탄력을 축적시킨 후 상기판의 자유전장을 길게할때는 이것에 추종하여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격도 커지는 상태로 되돌아갈 뿐아니라 외력인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는 불사용상태에 있어서도 당해 탄성원체에 의하여 판간격이 영에 가깝게 되어 버리는 일없이 판의 판면간에 평상시에도 점성유체를 저류(貯溜)해들수가 있고, 외력에 대한 댐퍼로서의 작용도 원할 한 것이 된다.
제 4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되어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상기 가동축에는 가동판과 결합하는 회전정지부설부(回轉停止付說部)와, 케이싱에 관통설치되는 회전정지비부설부(回轉停止非付設部)가 형성되고, 가동축을 케이싱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회전정지비부설부에 연설한 회동조정자의 조작에 의하여 축선방향으로 변동자재하게 하고, 당해 변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정지비부설부가 케이싱내에 진입, 진출하는 것으로 각각 회전정지부설부에 결합하는 최하위의 가동판에서 회전정지비부설부로 자유롭게 낙하하도록 하여 떨어진 가동판이 회전정지부설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의 작용에 그치는 것만이 아니고, 외부에서 회전조정자를 회전조작하면 가동축이 상측으로 이동하여서 그 회전정지비부설부가 케이싱내에 진입하므로 그때까지 회전정지부설부에 결합하고 있던 최하위의 가동판이 떨어져 회전정지비부설부까지 강하해오기 때문에 당해 가동판은 가동축의 회전과 고정하지 않게 되어서 가동판과 그 위의 고정판이 점성유체에 의한 저항력 발생원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그 결과 저 저항력 즉 댐퍼로서의 제동력이 저하되고, 다시 다음의 가동판도 낙동시킨면 보다 한층 제동력을 작게 조정할 수 있고, 물론 회동조정자의 역전조작에 의하면서 떨어진 가동판을 제차 회전정지부설부에 결합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점성전단저항을 크게 할 수 있게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간도 그 두께방향으로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케이싱내에 온도상승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가동판과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의 변동자유전장을 협소하게 하고, 온도저하에 의한 변형으로 당해 변동자유전장을 확장하는 감온변형소자를 단부측 또는 가동판, 고정판의 사이에 있어 1개 이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5 발명에서는 동일하게 제 1 발명에 의한 작용외에 하절기 등에 있어서 기온이 상승하므로서 점성유체의 점성이 저하하기에 이르더라도 감온변형소자가 변형하고, 이것에 의하여 가동판, 고정판의 변형자유전장이 작아지기 때문에 당해 양판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것에 의하여 점성저하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의 약화를 보완하는 것이 되고, 이렇게 하여 외기온도의 변동에 의하여 제동력이 변동되어 버리는 난점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제 6 발명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 상기 가동측의 회전에 비연동하는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치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게가 이들의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치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력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의 전부 또는 일부가 온도상승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판간극을 협소하게 하고, 온도 저하에 의한 변형으로 당해 판간극을 확대하는 감온변형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 이다.
그리고 제 6 발명에 있어서는 제 1 발명에 더하여 상기 제 5 발명에서 설치한 바와같이 하절기 등에 있어 기온이 상승하므로서, 점성유체의 점성이 저하하기에 이르더라도 감온변형소자가 변형하고, 이것에 의하여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의 두께가 크게 되어선 판간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 결과로 점성저하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의 약화를 보완하게 되고, 그리하여 외기온도의 변동에 의한여 제동력이 변동되어 버린다는 난점을 해소하기 되는 것이다.
최후에 제 7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치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이들 가동판, 고정판에는 당해 양판의 판간극을 협소하게 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외력이 부여되고, 또한 당해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의 전부 또는 일부가 온도저하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상기 판간극을 상기 탄성외력에 대항하여 확장하고, 온도상승에 의한 변형으로 동상 판간극을 상기와 같은 탄성외력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협소하게 하는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이 발휘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동절기 등에 있어서 기온이 저하하므로써 점성유체의 점성이 커지게 되더라도 바이메탈이 열변형하고, 이것에 의하여 탄성외력에 대항하여 가동판, 고정판의 판간극이 커지는 동시에 이들 가동판, 고정판은 승강동작이 가능한 자유전장도 커지게 되기 때문에 점성증대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의 강화를 약화시킬 수가 있고 역으로 하절기 등의 기온상승시에는 바이메탈의 복원변화에 의하여 상기 탄성외력이 작동하여 상기 자유전장을 작게하고 이에 의하여 판간극이 협소해지는 결과 점성유체의 점성저하를 보완할 수 있게하고, 이와같이 하여 외기온도가 대폭으로 변동되어도 제동력이 본의 아니게 변동되어 버리는 난점을 충분하게 해소할 구 있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제 1 의 발명은 제1a도-제5d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a도-제 3 도까지가 가동판, 고정판의 회전에 의한 다판식 댐퍼를 표시한 것이고, 제4a도와 제4b도는 회전이 아닌 견인식의 실시예이고, 더우기 제5a도-제5d도는 동일하게 회전식의 경우에 있어 점성유체의 본의 아닌 정지시의 유동저지, 가동시에 있어서 유동의 원활을 도모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1a도-제1c도의 회전에 의한 다판식 댐퍼에 대하여 설명하면 용기형상의 케이싱(1)은 그 바닥(1a)에 축받이 요입부(1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내주벽(1c)의 대향되는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요흠(1d),(1d)…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가동축(2)이 상기 케이싱(1)의 중심축선상에 축끼움되어서, 그 선단부가 상기 축받이 요입부(1b)에 끼워지는 동시에 당해 가동축(2)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2a)에 끼워지는 덮개판(3)이 상기 케이싱(1)의 상단의 암나사부(1e)에 나사로 결합되므로서, 상기 플랜지(2a)에서 돌출된 연결용 나사구멍(2b)을 가진 각형두부(2c)가 상기의 덮개판(3)을 관통하고 있다.
상기 각형두부(2c)의 돌출단부에는 외력으로서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회전아암(4)의 각형구멍(4a)에 끼워지고, 상기 아암(4)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나사(5)가 상기의 연결용 나사구멍(2b)에 나사결합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덮개판(3)에 의하여 밀폐된 케이싱(1)내에는 상기와 같이 폴리이소부틸렌 등의 고분자 점성체라든가 핏치 또는 고점도의 물유리 등에 의한 점성유체 A가 수용되는 동시에 당해 점성유체 A내에는 소요매수의 도시예에서는 원판상태인 가동판(6),(6)…과 고정판(7),(7)…이 상하방향으로 교호배치가 되도록 다음과 같이 하여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즉 가동판(6)은 그 중심에 축구멍(6a)이 개구된 원판으로 당해 축구멍(6a)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6b),(6b)…에 상기 가동축(2)에 종설한 돌출리브(2d),(2d)…가 끼워지므로서, 가동축(2)의 회전과 함께 당해 가동판(6)도 회전하지만, 이 가동판(6)은 가동축(2)에 대하여 그 축선방향 즉 두께방향에는 변동가능하고, 따라서 제1a도와 같이 승강자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고정판(7)은 그 중심에 축구멍(7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주연에는 회동정지돌편(7b),(7b)… 가 돌설된 원판이고, 상기 가동축(2)은 상기 축구멍(7a)에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가동축(2)의 회전이 고정판(7)에 전달되는 일은 없고 또한 상기 회동정지돌편(7b),(7b)…은 상기 케이싱(1)의 요흠(1d),(1d)…에 끼워지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고정판(7)은 회전력에 대하여 추종하는 일없이 두께방향으로의 변동이 가동판(6)과 동일하게 자유롭게 되어 있고 도면중 제3a도는 상기 덮개판(3)의 축구멍을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회전식 댐퍼를 도어첵커 등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있어 외력이 회동아암(4)에 회전력으로서 작용한 때 가동축(2)의 회전에 의하여 가동판(6),(6)…이 회전하는 것이 되고, 이때문에, 가동판(6),(6)…과 비회전의 고정판(7),(7)…과의 각 판면간에 존재되고 있는 점성유체 A에 기준한 점성전단저항력이 작용함과 함께 상기 조심효과에 의하여 두께방향에 어느 것이나 자유도를 가진 양판이 변동하고, 판간격이 균등화되고, 이 결과 케이싱(1)내에 있어서의 판자유전장 H를 등분하도록 양판이 평행하여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제5a도-제5d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5a도가 고정판(7)의 외주단부에 두꺼운 살을 가지는 주변부(7c)를 가지게 한 경우를 그리고 제5b도에서는 고정판(7)과 가동판(6)과의 사이에 있어 링스페이서(8)를 축설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이렇게 하므로서 당해 댐퍼의 불사용상태에 있어 양판이 그 중량에 의하여 침하하므로서 판면간의 점성유체가 외측으로 유출되어 버려,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즉시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이 적절히 작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더우기 제5c도에 있어서는 가동판(6)에 호형의 스리트(6c),(6c)를 천설하여두고, 가동축(2)과 함께 화살표 방향에 회전했을때 점성유체 A를 당해 스리트(6c),(6c)에 의하여 외측에서 축심축에 적극적으로 도입시킬 수 있게 양판의 판면간에 있어서의 점성유체 A를 원할하게 하고자 하고, 또 제5d도에서도 고정판(7)의 축구멍(7a)를 크게함과 함께, 가동판(6)의 외경을 작게 하므로서 점성유체 A를 유동하기 쉽게 하고 이것에 의하여 신속한 조심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보증하고져 하고 있다.
다음은 제 2 도와 제 3 도도 회전식 댐퍼를 표시한 실시예이고, 제 2 도에서는 제 1 도의 것과 그 가동축에 관한 구성이 다음과 같이 상위하다.
즉 가동축(2)이 1개가 아니고, 중심축(2e)와 편심축(2f),(2f)으로 구성되고, 이들을 가동판(6)의 축구멍(6a)이 중심축공(6d), 편심측공(6e),(6e)에 끼워지므로서, 가동축(2)의 회전을 가동판(6)에 전달하도록 하고 물론 고정판(7)의 축구멍(7a)은 상기 중심축(2e), 편심축(2f),(2f)의 3개가 끼워지되도록 크게 형성되었다.
제 3 도의 실시예도 그 가동축에 관한 구성을 달리하고, 가동축(2)가 각형두부(2c)를 가진 축본체(2g)의 플랜지부(2a)에 있어서 그 외주연에 요홈(2h),(2h)…을 형성하고, 이것에 최상위의 가동판(6)에 있어서 축구멍(6a)의 내단면에서 기립시킨 돌출리브(6f),(6f)…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동판(6)의 돌출리브(6f),(6f)…사이에 형성된 홈(6g),(6g)…에 하위의 가동판(6)에 있어서의 돌출리브(6f),(6f)…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었고, 이것에 의하여 축본체(2g)의 회전이 순차적으로 하측의 가동판(6),(6)…에 전달 되도록 하고, 물론 돌출리브(6f),(6f)…는 고정판(7)의 축구멍(7a)에 삽입 가능한 칫수로 되어 있다.
이상은 가동축(2)을 회전하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의 댐퍼이지만, 제 4 도에 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는 가동축(2)을 직선적으로 견인시키는 외력에 대하여 점성전단저항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이 본체(11a)와 이것에 측방에서 결합되는 부체(11b)와, 당해 양자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호결합되며 가동축(2)이 끼워지는 축구멍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입구(11c),(11c)와의 접합상태로서, 양입구(11c),(11d)의 외주연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덮개(11e)로 구성되었고, 상기 나사덮개(11e)의 축구멍(11f)에 접동자재하게 관장된 가동축(2)이 케이싱(1)내에 있어서의 선단부에는 축핀(2i)에 의하여 죠인트(2j)가 제4a도의 전후 방향에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었다.
상기 죠인트(2j)는 좌우의 날개편(2k)c(2k)과 이것을 연결하는 연결편(21)으로 되었고, 상기 날개편(2k)(2k)의 하단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안내핀(2m)에 가동판(6),(6)…이 그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구멍(6h)에 의하여 두께방향 즉 도면에 있어 좌우로 변동자재 하도록 드리워져 있다.
한편 고정판(7),(7)…은 케이싱(1)내에 있어서 상기 가동판(7),(7)…과 교호로 배치되어, 이 실시예에서는 양디스크와도 구형판 형상이며, 고정판(7),(7)…는 그 측단면에서 돌출된 이탈방지돌편(7b'),(7b')…를 케이싱(1)의 내벽에 있어서 상하 배치하여 형성한 요홈(1d'),(1d')…에 삽입하는 것으로 종방향에는 부동이지만 횡방향 즉 두께방향에는 가동판(6),(6)…과 동일하게 변동자재 하게 되어 있고, 도면중(7d)도는 안내핀(2m)과의 당접을 회피하기 위한 홈을 표시한 것이고, 물론 이 경우에도 케이싱(1)내에는 점성유체 A가 수납(收納)된다.
따라서 이제 외력이 가동축(2)을 도면중에서 상측에서 견인하였다고 하면 수직상태의 가동판(6),(6)…도, 상방에서 직선형으로 변동하고, 이 결과 조심효과에 의하여 당해 가동판(6),(6)…과 고정판(7),(7)…과의 판간극이 균일화되어, 도시한 경우 상기 죠인트(2j)에 있어서의 날개편(2k),(2k)의 이간 간극인 판자유전장 H가 양판(6),(6)… (7),(7)…에 의하여 균등하게 구분되고, 동판간의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력 이 균등하게 발휘되는 것이 된다.
다음은 제 2 발명을 제6a도, 제6b도에 따라서 설명하면 용기형상의 케이싱(1)에는 그 바닥(1a)에 있어서, 가동축(2)이 상기 케이싱(1)의 중심축선상에 회전자재하도록 관통설치되고, 또한 케이싱(1)의 상단암나사부(1e)에 덮개판(3)이 나사결합되었고, 상기 가동축(2)의 하단에 외력이 작용하는 회동아암(4)이 이탈방지나사(5)의 나사로 설치되고 다시 상기 케이싱(1)의 내주벽(1c)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그 대향하는 개소에 요홈(1d),(1d)…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덮개판(3)에 의하여 밀폐된 캐이싱(1)내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점성유체 A가 수용되고 소요매수의 가동판(6),(6)…과, 고정판(7),(7)…이, 상하방향으로 교호배치가 되도록 가동판(6)의 축구멍(6a), 축구멍(6a)의 주면에 요부(6b),(6b) 상기 가동축(2)의 돌출부(2d),(2d)…에 의하여 가동축(2)의 회전과 함께 가동판(6)도 회전하지만 두께방향으로는 변동가능하고, 고정판(7)은 그 축구멍(7a), 외주연의 회동정지돌편(7b),(7b)… 그리고 요홈(1d),(1d)…의 존재에 의하여 상기 제 1 발명과 동일하게 고정판(7)은 회전력에 대하여 추종하는 일없이 두께방향으로의 변동이 가동판(6)과 동일하게 자유롭게 되어 있다.
상기 축구멍(3a)에 나사결합 조정나사(8a)는 외주에서 조작이 자유롭고, 한편 가동축(2)의 상단측에는 덮개판(3)의 하위에 압판(3b)이 부설되어 있고, 당해 압판(8b)의 중앙돌부(8b')에 끼워져 있다.
상기 조정나사(8a)를 상기한 바와같이 나사회전하므로서 압판(8b)을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하여 케이싱(1)의 바닥(1a)과 압판(8b)과의 이간거리, 즉 판자유전장 H가 가감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정나사(8a)와 압판(8b)에 의하여 조정부재(8)가 구성되어 있고, 도면에서 8b"는 요홈(1d),(1d)…에 결합되는 회전방지돌편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댐퍼를 도어첵커 등에 사용하였을 경우에 있어 외력이 회동아암(4)에 회전력으로서 작용하였을때의 작용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발명의 경우와 동일하고, 판간격이 균등화되고 이 결과 케이싱(1)내에 있어서의 판자유전장 H를 등분하도록 양판이 평행하게 존치되게 된다.
이제 상기 댐퍼의 저항력을 변경조정하고져 할때에는 조정나사(8a)를 회동조작하게 되는 것이지만 지금 조정나사(8a)를 나사 전진하므로서 상기한 H를 작게하고, 이것에 의하여 회전아암(4)에 외력이 가해졌을때의 판간격을 작게하여 당해 댐퍼의 저항력을 크게 할 수가 있는 것이고, 당해 조정나사8a₩의 나사전진은 점성유체 A가 케이싱(1)내에 충만하더란도 압축 가능한 점성유체라면 가능하게 되고, 압축이 곤란할 때는 케이싱내에 점성유체를 가득 충진하지 않고 공기층을 잔존시켜 두게 하여도 된다.
더우기 상기 제 2 발명에 대하여 제9a도 제9b도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6a도, 제6b도의 것과의 상이점은 가동축(2)이 바닥(1a)에 관장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제 1 발명과 동일하게 덮개판(3)을 관통하여 바닥(1a)의 축받이 요입부(1b)에 그 선단부가 끼워져 있는 동시에 상기 가동축(2)의 상부에 설치한 플랜지(2a)에서 둘출되어 연결용 나사구멍(2b)를 가진 각형두부(2c)가 상기 덮개판(3)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각형두부(2c)의 돌출단부에 상기 외력으로서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회전아암(4)의 각형구멍(4a)이 끼워져 결합되고, 이것을 연결용 나사구멍(2b)에 나사결합한 이탈방지나사(5)에 의하여 고정되었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조정부재(3)가 케이싱(1)의 바닥(1a)에 있어 그 일측 편심위치에 관통되어 나사결합된 조정나사(8c)에 의하여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최하위에 이동되는 상기 고정판(7)의 하면에서 그 내주벽(1c) 가까운 하면에 당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나사(8c)를 나사전진시키면 당해 고정판(7)이 경사지게 상향으로 이동되므로서 그 직상방의 가동판(6)과의 판면 간극이 좁게되고, 결국 실질적으로 판자유전장 H가 작아져서 당해 댐퍼의 점성전단저항에 의한 저항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 3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의 표시되어 있는 제 7 도에 따라 설명하면 이것이 상기 제6a도, 제6b도의 것과 상이한 점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판자유전장 H가 조정부재(8)의 조작에 의하여 감축되고, 댐퍼의 저항력이 크게 되었을때 당해 감축에 대하여 이것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증가하는 탄성원체(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당해 실시예에서의 탄성원체(9)는 제8a도에서도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판(6),(6)…에 대하여, 이것을 단순한 원형평판으로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종단면이 산형이 되도록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축구멍(6a)과 외주단면(6i)과의 높이차 h가 있게 하고, 이렇게 형성된 가동판(6),(6)…이 축구멍(6a)을 가진 정상부를 순차적으로 교호하게 반전시켜서 고정판(7),(7)…와 교호로 배치되도록 중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외것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조정나사(8a)를 나사회전하면 압판(8b)이 압하되고, 최상위의 가동판(6)을 개재하여 앞부분의 판을 압하해 나가게 되므로 판의 판면 간격이 작아짐과 함께 접시형의 가동판(6),(6)…이 산형에서 점차로 편평형상에 가까워져 가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이번에는 조정나사(8a)틀 역나사회전시키면 상기 변형에 의하여 축전된 탄발력에 의하여 원형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동판(6)에 복원력을 구하였지만, 물론 고정판(7)을 탄성원체(7)로 하여 활동하거나, 또한 양판(6)(7)의 쌍방에 변형에 의한 에너지의 축적시키게 할 수도 있다.
다음은 제8b도, 제8c도의 탄성원체(9)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8b에서는 가동판(6),(6)…과 고정판(7),(7)…과의 사이에 있어서 각기 축구멍(6a), 축구멍(7a)보다도 큰 축구멍(7a)를 가진 작은판스프링(9a)이 탄성 원체(9)로서 사용되고, 당해 축구멍(9b)에 가동축(2)이 끼워지는 것이 되고, 제8c도에 있어서는 축구멍(6a)의 외주부에 있어 당접하는 코일스프링(9c)이 탄성원체(9)로서 가동판(6),(6) 사이에 개재된 것으로서, 물론 고정판(7)의 축구멍(7a)에는 끼워지며, 같은 스프링 (9c)의 구멍중심에 가동축(2)이 끼워지는 것이 된다.
상기 작은판스프링(9a), 코일스프링(9c)에 대하여서는 판에 복원력을 구하지 않고, 다른 부재에 이것을 구하도록 하는 것만으로 그 작용효과는 제 7 도, 제8a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은 본 발명 제 4 발명을 제10도와 제11도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싱(1)에는 요홈(1d),(1d)…이 형성되고, 가동축(2)은 바닥(1a)을 관통하도륵 O링(1f) 를 개재하여 끼워져 있는 동시에 당해 가동축(2)의 상부에 설치된 플랜지(2a)에서 각형두부(2c)가 돌설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에 내장되며 나사결합된 덮개판(3)의 축구멍(3a)에는 날개편 연결금구(10)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날개편 연결금구(10)의 하부홈(10a)에 상기 가동축(2)의 각형두부(27)가 승강자재하게 되도록 크리어랜스(10b)를 남기고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이 덮개판(3)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날개편 연결금구(10)의 플랜지부(10c)에서 돌설된 각형두부(10d)가 덮개판(3)에서 돌출되고, 이것에 외력으로서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회동아암(4)의 각형구멍(4a)에 끼우고 상기 아암(4)의 이탈을 저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나사(5)가 날개편연결금구(10)의 연결용 나사구멍(10e)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동축(2)의 케이싱(1)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하단부에는 회전조정자(12)의 중심부가 고정나사(12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조정자(12)의 주면측부에 내설한 암나사부(12b0가 케이싱(1)의 하부 주면측에 설치한 숫나사부(7g)와 나사결합되어 있고, 당해 회동조정자(12)를 나사회전하므로서 가동축(2)를 승강동작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가동축(2)의 풀랜지(2a)보다 하위에 있어서는 순차 회전정지부설부(2m)와 회전정지비부설부(2n)가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회전정지부설부(2m)로서 예시한 것은 방사상으로 다수 돌설된 돌기(2p),(2p)…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끼움돌기(2p),(2p)…의 하단축은 원주형상의 회전정지비부설부(2n)를 향하여 전체로서 가늘게 되도록 그 돌출높이를 낮게 하므로서 테이퍼부(2m')로 되었다.
이제 이와같이 하여 덮개판(3)에 의하여 밀폐되어서 얻은 케이싱(1)내에는 상기와 같이 점성유체 A가 수용됨과 함께 당해 점성유체 A 내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가동판(6),(6)…과, 고정판(7),(7)…이 상하방향으로 교호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판(6)의 축구멍(6a)에 설치한 요홈(6b),(6b)…에 상기 가동축(2)에 종설한 회전정지부설부(2m)에 있어서 끼움돌기(2p),(2p)…가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가동축(2)의 회전과 함께 당해 가동판(6)도 회전하지만, 이 가동판(7)은 가동축(2)에 대하여 그 축선방향 즉 두께방향으로는 변동가능하고, 따라서 제10도에 있어 승강자재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고정판(7)은 그 축선에 축구멍(7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주연에는 회동정지돌기(7b),(7b)… 가 돌설되고, 상기와 같이 고정판(7)은 회전력에 대하여 추종하지 않고, 두께방향으로의 변동이 가동판(6)과 동일하게 자유롭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회전식 댐퍼를 도어첵커 등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외력이 회동아암(4)에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때 가동축(2)의 회전에 의하여 가동판(6),(6)…이 회전하게 되고,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같이 가동판 (6),(6)…과 비회전되는 고정판(7),(7)…과의 각판면 간에 존재하고 있는 점성유체 A에 기준하는 점성전단 저항력이 작용함과 함께 상기의 조심효과에 의하여 양판(6)(7)이 승강운동이 가능한 범위인 변형자유전장 H를 등분하도톡 양판이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된다.
다음에 당해 댐퍼에 대하여 그 제동력을 증감하고져 할때는 상기한 회동조정자(12)를 회동조작하는 것이고, 지금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축(2)의 회전정지부설부(2m)에 있어서의 테이퍼부(2m')가 케이싱(1)의 바닥(1a)에 형성된 테이퍼주면(la')와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조정자(12)를 나사전진시켜가면, 테이퍼부(2m')가 바닥(1a)에서 점차로 상승하여 벌어지고, 이 결과 케이싱(1)내에 회전정지비부설부(2n)가 진입하고, 이것에 의하여 최하위 가동판(6)이 회전정지부설부(2m)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낙하하고, 이 결과 회전정지비부설부(2n)의 외주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당해 가동판(6)은 가동축(2)의 회전이 전달되지 아니하는 상태가 되고, 점성전단저항의 발생원에서 제외되는 것이 되어 댐퍼로서의 저항력은 그만큼 삭제되는 것이 된다.
이와같이 하여 회동조정지(12)의 조작을 더욱 진행시켜가면 다음의 가동판(6)을 회전정지비부설부(2n)에 낙하시킬 수 있게 되고, 더우기 그 저항력을 작게할 수가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저항력이 저감된 상태에서 당해 회동조정자(12)를 역전시키면 가동축(2)은 하강하여 그 회전정지부설부(2m)의 끼움돌기(2p),(2p)…에 가동판(6)의 축구멍(6a)에 있어서의 요홈(6b),(6b)…이 결합되는 것이 되어 제10도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고, 이것에 의하여 댐퍼로서의 제동력을 크게 할 수가 있다.
제 5 발명에 대하여 이하 제12a도, 제12b도와 제13a도, 제13b도에 의하여 이것을 설명하면, 기본적 구성은 상기 제 1 발명에 의한 제1a도-제1c도의 것과 동일하고 물론 동일부재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당해 발명에서는 더우기 상기 구성의 것에 더하여 케이싱(1)내에 감온변형소자(13)가 배설되어 있다.
제12a도, 제13a도와 제12b도, 제13b도에 의하여 각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온변형소자(13)로서 각기 실리콘고무재이며, 구멍(13a)을 가진 원판형상의 것과, 승온에 의하여 접시 상태로 반곡 변형하는 구멍(13a)를 개구한 원판형의 바이메탈이 사용되고 있고, 도시한예에서는 모두의 구멍(13a)에 가동축(2)이 끼워져 있고, 이 경우 그 내장위치는 케이싱의 하단측, 즉 바닥(1a)과 최하단의 고정판(7)과의 사이에 설 치되거나, 도시한 바와같이 당해 하단측에서 고정관(7),(7)의 사이에 설치하여도, 더우기 감온변형소자(13)는 케이싱(1)의 개판(3) 직하인 상단측에 개장한다든가, 가동판(6)과 고정판(7)과의 사이에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1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를 소망의 각소에 분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의 실리콘고무는 기재된 바와같이 환경온도 변화에 의하여 두께방향으로의 체적변화를 표기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기온상승으로 팽창, 기온의 저하로 수축하므로서, 그 두께 가변화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은 이것 또한 기지하는 바와같이 기온의 상승에 따라서 휘어지며, 이로써 점차 접시형또는 산형상태로 변형되어 가고, 이 결과 축구멍(13a)에서 외주연부(13b)까지 거리 S가 커지게 되도록 변형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감온변형소자(13)의 부가에 의하여 이제 하절기 등에 있어 기온이 상승되어 가면 실리콘고무의 경우는 그 두께가 커지게 되고, 그 상위의 고정판(7)을 그만큼 상동하는 것이 되므로 상기한 가동축(6),(6)… 고정판(7),(7)…의 변동가능한 판자유정장 H가 짧아진다.
이 때문에 댐퍼로서 상기한 바와같이 사용하였을매 양판의 이간거리인 간극이 저 기온일때 보다도 작아지고, 따라서 기온상승에 의하여 점성유체 A의 점성이 저하되어 버려도 간극의 협소화에 의하여 점성전단저항이 커지고 댐퍼로서의 제동력을 승온시에 있어서도 저하시키는 일없이 일년간을 통하여 소망의 값에 정상화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제 4 발명과 그 기본적 구성이 동일하며 동일부재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제14a도, 제15a도로서도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명과 상위하는 부위는 그 고정판(7)이 축선에 끼워지는 축구멍(7a)이 형성되고, 외주연 동일위치에는 회전정지돌편(7b),(7b)…이 돌출된 상하 2매의 원판간에 실리콘고두 등에 의한 감온변형부재(7a)를 협삽하고 접착제 등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제14b도와 제15b도에 도시한 것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것과는 반대로 고정판(7)이 단순하게 1매의 원판에 축구멍(7a)과 회전정지돌편(7b),(7b)…를 돌출하는 것인데 대하여, 가동판(6)측을 상하 2매의 원판사이에 실리콘고무 등에 의한 감온변형부재(6j)를 개입고정하여 축구멍(6a)을 관통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기 가동판(6)의 전부인가 고정판(7)의 전부에 대하여 감온변형부재(6j),(7e)를 사용하도록 되었지만 물론 양판(6),(7)의 전부는 아니고 일부만에 대하여 상동부재(6j),(7e)를 구비시키게 하여도 된다 .
여기에서 상기 실리콘고무는 기재된 바와 같이 환경온도변화에 의하여 두께방향으로의 체적변화를 표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 때문에 기온상승에 의한 팽창, 기온의 저하로 수축하므로서 그 두께가 변화하게 된다.
다음은 제14c도와 제15c도에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는 상기에 있어서 가동판(6), 고정판(7)의 쌍방 또는 편방이 그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바이메탈으로서의 감온변형부재(6j),(7e)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고, 제14c도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는 전판이 가동축(2)과 직교상태의 평판으로 되어 있지만 온도상승에 따라서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된 예를들어 가동판(6),(6)… 등이 접시형으로 반곡하여 단면 산형이 되고, 이때 축구멍(6a)의 구멍주면에서 가동판(6)의 외주단면(6i)까지의 이간거리, 즉 두께가 커지게 변형한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 다판식 댐퍼를 도어첵커 등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는 외력이 회동완간(4)에 회전력으로서 작용하였을때 상기 제 1 발명과 동일 자동으로 될 뿐만 아니라 케이싱(1)내에 있어서의 판자유전장 H를 등분하도록 양판이 평행하여 존치되는 것이 된다.
하절기 등에 있어 기온이 상승해가면 상기의 실리폰고무에 의한 감온변형부재(6j),(7e)의 경우는 그 두께가 커지고, 따라서 가동판(6),고정판(7)의 일방 또는 쌍방의 두께가 커지고, 따라서 가동판(6), 고정판(7)의 일방 또는 쌍방의 두께가 커지므로 전체적으로서의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판간극이 작아지고, 이 결과 기온상승에 의하여 점성유체 A의 점성이 저하되어 버려도 판간극의 협소화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의 증대에 의하여 댐퍼로서의 제동력을 승온시에 있어서도 저하시키는 일없이 일년간을 통화하여 소망의 값에 정상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바이메탈에 의한 감온변형부재(6j),(7e)를 채택한 경우에 있어서도, 환경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가동판이라던가 고정판이 접시형상으로 반곡하여 그 실질적인 두께를 크게하는 것이 되고, 그 결과 전체의 판간극을 좁게 하는 것이 되어 상기 실리콘고무의 경우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제 7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제16도-제21b도에 따라서 이하 상술한 제 1 발명과 상이한 점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판(6),(6)… 고정판(7),(7)…에 대하여 그 판두께방향으로 탄성외력 B 제21a와, 제21b를 부가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제16도, 제17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판(3)의 이면측에 천설된 환상요부(3b)에 압축코일스프링(14a)을 삽입하고, 당해 스프링(14a)의 하단연을 최상위에 배치한 고정판(7)에 탄력적으로 접촉시킨다.
여기에서 제18도, 제19도, 제2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의 탄성외력부여수단과 바이메탈의 채용수단과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즉, 제16도의 것이 압축코일스프링(14a)을 탄성원으로 하고 있음에 대하여, 제18도에서는 덮개판(3)과 최상위의 바이메탈인 가동판(6)과의 사이에 당해 바이메탈의 변형과는 반대방향의 산형이 되도록 형성한 접시스프링(14a)가 협장되어 있고, 또 가동판(6),(6)…에는 단순한 원판을 사용하고, 고정판(7),(7)…에 바이메탈을 채택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제19도의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14a)를 케이싱(1)의 바닥(1a)에 천설한 환형요부(1h)에 수납하고, 당해 스프링(14a)의 상단연을 최하위의 바이메탈인 고정판(7),(7)…에 압압시키도록 하고,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는 가동판(6),(6)… 고정판(7),(7)…의 어느 것이나, 저온에 의하여 산형으로 변형되는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20도에서는 제16도와 동일하게 가동판(6),(6)…에게만 바이메탈을 채택하고 있고, 탄성외력 B의 부여수단으로서도 환형요구(3b)의 압축코일스프링(14a)를 사용하고 있지만, 더우기 고무 등에 의한 탄성시이트(15)를 당해 스프링(14a)과 최상위의 고정판(7)과의 사이에 장치하고 탄성시이트(15)의 내주연은 가동축(2)와 덮개판(3)과의 사이에 그리고 그 외주연은 덮개판(3)과 케이싱(1)과의 사이에 각기 협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회전 다판식 댐퍼를 도어첵커 등에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발명의 것과 동일하게 외력이 회동완간(4)에 회전력으로서 작용할 때 댐퍼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뿐아니라, 제21a도와 같이 하절기 등에 있어 기온이 높은 상태에서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저하하여 오면 상기 각종의 실시예로부터 이해되는 바와같이 가동판(6),(6)… 고정판(7),(7)…의 일방 또는 쌍방의 전부이거나, 그 일부가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물론 이 경우, 바이메탈의 온도변화에 의한 변형력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14a) 등에 의한 탄성외력 B 보다도 크게 하여 두었기 때문에 제21b도와 같이 가동판(6),(6)…이 수평상태에서 산형으로 변형하고, 이 결과 그때까지 고정판(7),(7)…의 판간극이 t1이었던 것이 t2 2까지 커지고, 전체적으로서의 판자유전장 H1도 H2까지 확장되게 되며, 이 결과 가동판(6),(6)…과 고정판(7),(7)…과의 판간극이 t보다 커져서, 기온저하에 의하여 점성유체 A의 점성이 커진다하여도, 판간극의 확장화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의 저감에 의하여서 댐퍼로서의 제동력을 강온시에 당면하여서도 증대하여 버리는 일이 없다.
다음은 상기 동절기에서 하절기를 맞게되면 이번에는 제21b도의 상태에서 가동판(6),(6)…이 평판형으로 변형하고, 이 때문에 탄성외력 B가 고정판(7),(7)… 가동판(6),(6)…을 그 두께방향으로 압동시키는 것이 되기 때문에 그 결과로 판자유전장은 H2에서 H1에 단축화되고, 고정판의 판간극도 t2에서 t1로 축소되어서 판간극 t도 좁게 되고, 점성유체 A의 점성이 저하되어 버려도 상기 판간극의 협소화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의 증대에 의하여, 댐퍼로서의 제동력을 승온시에 있어서도 저하시키는 일없이 일년간을 통하여 소망의 값으로 정상화시킬 수가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원 제 1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으로서 가동판도 고정판도, 그 두께방향에 변동 자유이기 때문에 가동판이 외력에 의하여 회동 또는 견인되었을 경우의 조심효과가 지극히 이상적인 상태로 발휘되고, 이 결과 항상 신뢰성이 높은 저항력이 얻어지는 동시에 국부적으로 커다란 부하가 가해지는 일도 없기 때문에 판등의 부재를 파괴한다는 지장도 생기지 않고 외력작동시에도 점성유체의 내압이 상승되지 않는 다판식 댐퍼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우기 점성전단저항력을 대폭으로 설계 변경하고져 할때에도, 가동판, 고정판을 이종칫수의 것에 변경조립하거나, 또 그 매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신규로 제작하는 일없이 지극히 용이하게 그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이제까지 이러한 댐퍼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던 점성전단 저항력의 조절도 조정부재의 간이 조작에 의하여 판자유전장은 변경해주므로서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3 발명에서는 더우기 탄성원체의 존재에 의하여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사이에 밀폐되는 일이 없는 판면간격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당해 판면간의 점성유체가 외측으로 배출되어서 부존재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외력이 가해진 초기 상태에 만족하여야 할 저항력이 발휘되지 아니한다는 지장이 해소되고, 또 상기 탄성원체가 탄력을 보유하고 있는 복원력에 의하여 조정부재에 의한 저항력의 증감변경이 지극히 원할하게 조작되어 미조정조작도 하기 쉽게 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의 효과뿐만아니라 이제까지의 이러한 종류의 댐퍼에서는 실현할 수 없었던 점성전단저항력의 조절도 나사회전조정자의 회동조작에 의한 회동측의 승강 등에 의하여 당해 가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가동판의 수를 증감변경할 수 있으므로 간이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제 5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상기와 같이 두께방향에 자유로운 가동판, 고정판에 더하여 두께방향에 온도에 의하여 변형하는 감온변형소자틀 내설하였으므로 기온의 변화에 의하여 소정의 제동력이 얻어질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지장을 해소할 수가 있다.
더우기 제 6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두께방향에 자유로운 가동판, 고정판에 대하여 이것을 온도에 의하여 변형하는 감온변형부재에 의하여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기온의 변화에 의하여 소정의 제동력이 얻어질 수 없게 된다는 지장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제 7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두께방향에 자유로운 가동체, 고정판에 대하여 탄성외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것들 온도에 의하여 변형하는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당해 바이메탈의 변형에 의하여 판자유전장을 변화시킬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판간극을 대폭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기온의 커다란 변화에 대하여서도 소정의 제동력을 발휘시킬 수가 있고 종래의 지장을 해소할 수가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3)

  1.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 또는 견인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 또는 견인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서 상기 가동축의 회전 또는 견인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 또는 견인 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자유롭게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2.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고정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자유롭게 변동하여, 이들의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상기 변동허용범위인 판자유전장이 외부에서 조작자재한 조정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가변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조정부재가 덮개판 또는 케이싱의 바닥에 나사결합되고, 외부에 노출된 조정나사와 이것에 의하여 각기 상기 바닥 또는 덮개판측에 압동되는 압판과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4. 제 2 항에 있어서, 조정부재가 케이싱의 바닥에 나사결합되어 의부에 노출되고, 또한 최하단의 고정 또는 가동판에 있어서의 하면 편측에 당접하는 조정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5.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 하게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고정판이 배치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 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고정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며 이들의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상기 변동허용범위인 판자유전장이 외부에선 조작자재한 조정부재의 작동에 의하여 가변함과 함께, 상기 판자유전장의 감축에 의하여 이것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휘하는 탄성원체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6.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원체가 접시형으로 형성한 가동,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이, 가동판 상호간에 개입 설치된 코일스프링 또는 가동판과 고정판간에 개입설치된 접시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7.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 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상기 가동축에는 가동판과 개합하는 회전정지부설부와 케이싱에 관설의 회전정지비부설부가 형성되고, 가동축을 케이싱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정지비부설부에 연설된 회동조정자의 조작에 의하여 축선방향에 변동자재 하게 하고, 당해 변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정지비부설부가 케이싱내에 진입하고, 진출하는 것으로, 각기 회전정지부설부에 결합하는 최하 위의 가동판에서 회전정지비부설부에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낙하된 가동판이 회전정지부설부에 결합자재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8. 제 7 항에 있어서, 가동축의 회전정지부설부가 가동판이 끼워지는 축구멍에 형성된 거치형의 끼움홈과 결합자재한 끼움돌기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당해 끼움돌기의 하단측이 회전정지비부설부에 향하여 가늘어지는 테이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9.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 상기 가동판의 회전에 비연동하는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 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케이싱내에 온도 상승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가동판과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의 변동자유전장을 협소하게 하고, 온도저하에 의한 변형으로 당해 변동자유전장을 확장하는 감온변형소자를 단부측 또는 가동판, 고정판의 사이에 있어서도 1개 이상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10. 제 9 항에 있어서, 감온변형소자가 가동축에 끼워지는 바이메탈, 실리콘고무에 의한 판체로함 특징으로 하는 점성액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11.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 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과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기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의 전부 또는 일부가 온도 상승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가동판과 고정판과의 판간극을 협소하게 하고, 온도저하에 의한 변형으로 당해 판간극을 확대히는 감온변형부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12. 케이싱내에 외력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 한 가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소요매수의 가동판과 이들의 가동판과 교호배치로서 상기 가동축의 회전에 비연동인 소요매수의 고정판이 배설되고, 당해 케이싱내의 점성유체가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의 판면간에 배재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이 케이싱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가동축의 회전방향에는 부동상태이지만 당해 고정판의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또한 상 기 가동판도 그 두께방향으로는 변동자재하고, 이들의 가동판, 고정판에는 당해 양판의 판간극을 협소하게 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외력이 부여되고, 또한 당해 가동판, 고정판의 일방 또는 쌍방의 전부 또는 일부가 온도저하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상기 판간극을 상기 탄성외력에 대항하여 확장하고, 온도상승에 의한 변형으로 상동 판간극을 상동 탄성외력에 의한 압압에 의하여 협소하게 하는 바이메탈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단판식 댐퍼.
  13. 제12항에 있어서, 탄성외력의 부여가 압축코일스프링, 접시스프링에 의한 탄성원에 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KR1019890700229A 1987-06-10 1988-06-08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KR950010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44882 1987-06-10
JP14488287A JPS63308238A (ja) 1987-06-10 1987-06-10 粘性流体を用いた制動力調整可能な回転式多板ダンパ−
JP62-144881 1987-06-10
JP62-154794 1987-06-22
JP15479487A JPS63318337A (ja) 1987-06-22 1987-06-22 粘性流体を用いた回転多板式ダンパ−
JP62-164666 1987-07-01
JP62-164665 1987-07-01
JP16466587A JPS6412150A (en) 1987-07-01 1987-07-01 Rotary multiplate damper with automatic temperature sensing-damping force adjusting mechanism using viscous fluid
JP16466687A JPS6412151A (en) 1987-07-01 1987-07-01 Rotary multiplate damper with automatic temperature sensing-damping force adjusting mechanism using viscous fluid
JP62-170713 1987-07-08
JP17071387A JPS6415545A (en) 1987-07-08 1987-07-08 Rotary multiple plate type damper with automatic temperature sensitive braking force adjusting mechanism using viscous liquid
PCT/JP1988/000550 WO1988009884A1 (en) 1987-06-10 1988-06-08 Multi-plate damper using viscous fl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23A KR890701923A (ko) 1989-12-22
KR950010686B1 true KR950010686B1 (ko) 1995-09-21

Family

ID=6773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229A KR950010686B1 (ko) 1987-06-10 1988-06-08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7231B2 (en) 2005-06-10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damper and electronic appliances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7231B2 (en) 2005-06-10 2008-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damper and electronic appliance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23A (ko) 1989-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88009884A1 (en) Multi-plate damper using viscous fluid
US4208076A (en) Compliant hydrodynamic bearing with improved support element
JP5679469B2 (ja) 空間楔合摩擦オーバーランニング・クラッチ
KR20040078568A (ko)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EP0812998B1 (en) Multiple disk friction coupling device
US9410536B2 (en) Self-contained thermally actuated flow-control assembly
US9856922B2 (en) Frictional shifting element for a vehicle transmission
US20080078640A1 (en) Sprag
US20020166745A1 (en) Multiple disc clutch pack having rheological film layer
KR950010686B1 (ko) 점성유체를 사용한 다판식 댐퍼
BRPI0808392A2 (pt) Freio de torque
EP0544702B1 (en) Drag/damper device
JP6538047B2 (ja) 皿ばね
EP0550261B1 (en) Device for driving power transmission
WO1988009885A1 (en) Regulatable braking force multi-plate damper using viscous fluid
US2054377A (en) Driving mechanism
US7438166B2 (en) Flywheel assembly
US20080078643A1 (en) Clutch component
US4768991A (en) Cylindrical low friction slip clutch
JP2586112Y2 (ja) 環状ウエーブスプリング
WO2013060202A1 (en) Thermoregulator
US5263324A (en) Rotary electrothermal actuator
JP2996566B2 (ja) 曲がり板ばね及びそれを用いたダンパーディスク
CA1306761C (en) Multi-disc damper using viscous liquid
US4083440A (en) Engag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