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667Y1 - 무접점식 비상등 - Google Patents

무접점식 비상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667Y1
KR950009667Y1 KR2019930000107U KR930000107U KR950009667Y1 KR 950009667 Y1 KR950009667 Y1 KR 950009667Y1 KR 2019930000107 U KR2019930000107 U KR 2019930000107U KR 930000107 U KR930000107 U KR 930000107U KR 950009667 Y1 KR950009667 Y1 KR 950009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logic gate
controller
input
sm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855U (ko
Inventor
최만형
Original Assignee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최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최만영 filed Critical 동방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0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667Y1/ko
Publication of KR940019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접점식 비상등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콘트롤구성 회로도.
제3도는 종래 것의 회로구성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에스. 엠. 피. 에스(SMPS) B : 충진부
C : 발진부 D : 콘트롤러
L1, L2, L3: 입력 Rl, R2, R3: 저항
Gl, G2, G3: 논리게이트 TRl: 트랜지스터
Dl, D2, D3: 다이오드 0 : 논리게이트입력
Q : 논리게이트출력 P : 콘트롤러의 입력
FL : 형광램프
본 고안은 화재발생시 비상구 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전류를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 아크발생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접점식 비상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비상구 유도등이 있었으나, 이는 제3도와 같이 평상시에는 건물자체의 전기를 공급받아 교류로 점등하고 정전시에는 전기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배터리(BAT)에 의하여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에 릴레이(RELAY)의 접점에 의하여 아크가 발생하여 릴레이 수명이 짧아지고, 릴레이구동을 위한 전류소모가 많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재발생시 자체 건물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에스. 엠. 피. 에스(SMPS)에서 직류로 변환하여 발진기를 구동시켜 비상등의 형광램프를 점등하고, 건물의 전원이 정전되면 즉시 배터리(BAT)가 방전되어 발전기가 구동되어 형광램프를 점등하도록 하므로서. 릴레이에 의하여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 생기는 아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명이 길고 전류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있도록 안출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무접점식 비상등 회로블록도로서,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에스. 엠. 피. 에스(SMPS) (A)는다이오드(Dl)를 통하여 저항(Rl)과 다이오드(D2)로된 충진부(B)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도록 연결하고, 동시에 발진부(C)로 전류를 공급하여 형광램프(FL)을 점등하도록 접속하고, 상기 에스. 엠. 피. 에스(SMPS)(A)와 다이오드(Dl)사이에 단자입력(Ll)과 (L3)에 연결된 콘트롤러(D)를 접속한 구성으로서, 콘트롤러(D)의 트랜지스터(TRl) 에미터는 일측 그라운드에 접속되고, 컬렉터는 저항(R3)과 발진부(C)에 연결되며, 베이스는 논리게이트(G3)(G2) (Gl)에 연결하되, 논리게이트(G2)단자일측은 콘트롤러(D)의 입력(P)에 접속하며, 일측은 논리게이트(Gl)에 접속하고, 논리게이트(Gl)는 콘덴서(C1)와 저항(R2) 및 정류다이오드(D3)를 갖는 단자입력(Ll)과 (L3)에 연결한 구성으로서, 미설명부호 V1은 평상시 전압이고, V2는 정전시 공급되는 전압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에스. 엠.피. 에스(SMPS)(A)는 교류전원을 DC로 변환시켜 평상시 전압(V1)을 다이오드(Dl)와 충진부(B)의 충전저항(Rl)을 거쳐 충전전류를 공급하여 배터리(BAT)를 충전시키는 동시에 다이오드(Dl)를 통과한 에스. 엠. 피. 에스(SMPS)(A)의 일부전류는 발진부(C)를 구동시켜 형광램프(FL)를 점등시킨다.
정전시에는 에스. 엠. 피. 에스(SMPS)(A)로서 전원공급이 없으므로 충전부(B)로의 전류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배터리(BAT)의 비상시 전압(V2)이 다이오드(D2)를 거쳐 전류를 흘러 발진부(C)를 구동시켜 형광램프(FL)를 점등시킨다.
이때 다이오드(Dl)는 배터리(BAT)의 전류가 거꾸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제2도는 정류다이오드(D3)와 평활콘덴서(C1), 저항(R2, R3) 및 논리게이트회로, 트랜지스터(TRl)로 구성된 콘트롤러(D)의 상세도로서, 단자입력(Ll)은 정류다이오드(D3)와 평활콘덴서(C1)를 거쳐 저항(R2)에서 다운되어 논리게이트(Gl)에 입력(0)이 된다. 논리게이트(G2)에 공급되는 콘트롤러(D)의 입력(P)은 에스.엠.피.에스(A)의 출력이다.
따라서 단자입력(Ll)과 논리게이트(G2)에 공급되는 콘트롤러(D)의 입력(P)에 전원공급이 정상일때는 논리게이트출력(Q)이 제로가 되어 트랜지스터(TRl)가 오프되므로 발진기(C)는 정상동작하여 형광램프(FL)는 점등되고, 단자입력(Ll)이 온되고 콘트롤러(D)의 입력(P)이 오프인 경우와 단자입력(Ll)과 콘트롤러(D)의 입력(P)이 모두 오프인 경우에도 논리게이트출력(Q)이 제로가 되므로 발진기(C)가 정상동작하여 형광램프(FL)가 점등된다.
또한 입력(Ll)이 오프이고 콘트롤러(D)의 입력(P)이 온인 경우에는 논리게이트출력(Q)이 하이가되어 트랜지스터(TRl)를 동작시키므로 발진기(C)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는 무접점식 변환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평상시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발진기를 구동시켜 형광램프를 점등하다가 정전되면 즉시 배터리에 의하여 발진기가 구동되어 형광램프를 점등케한 것으로서, 릴레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아크발생이 없어 비상등의 수명이 길고 전류소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 잇점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2)

  1. 전원을 공급하는 에스.엠.피.에스(SMPS)(A)와, 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l)와, 저항(Rl)및 다이오드(D2)로 병렬구성된 충전부(B)를 포함하는 무접짐식 비상등에 있어서, 상기 에스. 엠. 피. 에스(SMPS)(A)는 다이오드(Dl)를 통해 저항(R1)과 다이오드(D2)를 병렬구성된 충전부(B)에 충전전류를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동시에 발진부(C)로 전류를 공급하여 형광램프(FL)를 점등하도록 접속하고, 상기 에스. 엠. 피. 에스(SMPS)(A)와 다이오드(Dl)사이에 단자입력(Ll)과 (L3)에 연결된 콘트롤러(D)를 접속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식 비상등.
  2.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러(D)의 트랜지스터(TRl) 에미터는 일측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컬렉터는 저항(R3)과 발진부(C)에 연결되고, 베이스는 논리게이트(G3)(G2)(Gl)에 연결하되, 논리게이트(G2) 단자일측은 콘트롤러(D)의 입력(P)에 접속하며, 일측은 논리게이트(Gl)에 접속하고, 논리게이트(Gl)는 콘덴서(C1)와 저항(R2) 및 정류다이오드(D3)를 갖는 단자입력(Ll)과 (L3)에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식 비상등.
KR2019930000107U 1993-01-07 1993-01-07 무접점식 비상등 KR950009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107U KR950009667Y1 (ko) 1993-01-07 1993-01-07 무접점식 비상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107U KR950009667Y1 (ko) 1993-01-07 1993-01-07 무접점식 비상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855U KR940019855U (ko) 1994-08-22
KR950009667Y1 true KR950009667Y1 (ko) 1995-11-09

Family

ID=1934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107U KR950009667Y1 (ko) 1993-01-07 1993-01-07 무접점식 비상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6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855U (ko) 199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132A (en) Electronic ballast deriving auxilliary power from lamp output
CA2108073C (en) Single transformer switching regulator
US4063108A (en) Inverter lockout circuit
US7423386B2 (en) Power supply circuits and methods for supplying stable power to control circuitry in an electronic ballast
US7247998B2 (en) Transient detection of end of lamp life condi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7105272B2 (ja) 他励式インバータ形放電灯点灯装置
KR950009667Y1 (ko) 무접점식 비상등
JP3613731B2 (ja) 無負荷時省電力電源装置
ATE208098T1 (de) Anordnung mit einem elektronisch kommutierten motor
KR900007136Y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출력제어회로
JP2001112289A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モータ駆動装置
JPH08205399A (ja) Acアダプタ
JPH0393460A (ja) 2電圧電源装置
JPH05135885A (ja) 非常用点灯装置
JP3714440B2 (ja) 防災用照明点灯回路、防災用照明点灯装置及び防災用照明装置
KR920000770Y1 (ko) 수평발진 전원 공급회로
JP3005228B2 (ja) 充電回路
JP2001110585A (ja) 放電灯点灯装置
CA1095972A (en) Inverter lockout circuit
KR890006038Y1 (ko) 인버어터 제어회로
JPH0260466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JPS588325A (ja) ラツシユカレント防止回路
JPH0713398Y2 (ja) 電源保護回路
KR900001905Y1 (ko) 리모콘 사용기기의 전원릴레이 구동회로
KR900005310Y1 (ko) 원격조정 텔레비젼의 주전원 단속용 스위칭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