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471B1 - 물걸레 취부봉 구조 - Google Patents

물걸레 취부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471B1
KR950009471B1 KR1019930013077A KR930013077A KR950009471B1 KR 950009471 B1 KR950009471 B1 KR 950009471B1 KR 1019930013077 A KR1019930013077 A KR 1019930013077A KR 930013077 A KR930013077 A KR 930013077A KR 950009471 B1 KR950009471 B1 KR 95000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rod
mop
rod
pres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701A (ko
Inventor
강상보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13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471B1/ko
Publication of KR95000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걸레 취부봉 구조
제1도는 종래의 물걸레 취부봉 구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대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라 잘라내어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취부봉 2 : 제2취부봉
3 : 고정돌기 4 : 고정대
5 : 통수구 6 : 물걸레
7 : 연결점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물걸레를 취부봉으로부터 일탈시키지 아니하고 취부봉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걸레를 세탁할 수 있는 물걸레 취부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걸레질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진공청소기는 브러쉬구조에 물걸레를 장착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이곳에 세탁되어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걸레를 장착하여 브러쉬구조를 바닥에 대고 청소를 할 때, 공기의 흡입력에 의한 먼지 등의 흡입과 동시에 물걸레로 바닥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브러쉬구조에 물걸레를 고정시키기 위한 물걸레 취부봉이 있어 이곳에 보습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중공의 원주형상의 물걸레를 원주형의 취부봉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물걸레는 보습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코올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취부봉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물성으로 인하여 물걸레를 손세탁 또는 세탁기에 의한 세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물걸레를 취부봉으로부터 분리시켜 물걸레만을 세탁하고, 건조시킨 후 재장착시켜 사용하여야 했다.
따라서 매사용시마다 물걸레를 취부봉으로부터 착탈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통상 널리 사용되는 물걸레들이 주로 폴리비닐알코을 등과 같은 보습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 소재의 물걸레는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때에는 매우 유연한 구조를 이루나, 일단 수분이 완전히 증발되어 수분을 전혀 함유하고 있지 아니하거나 너무 적은 양의 수분만을 함유하고 있을 때에는 매우 단단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물걸레는 취급이 곤란하여취부봉에 재장착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취부봉으로부터 물걸레를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물걸레를 세탁할 수 있는 취부봉 구조를 개발하여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걸레를 취부봉으로부터 일탈시키지 아니하고 취부봉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걸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물걸레를 취부봉으로부터 일탈시키지 아니하고 취부봉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걸레를 세탁할 수 있는 물걸레 취부봉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는 다수개의 통수구가 형성된 제1취부봉, 상기 제1취부봉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취부봉을 제2취부봉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찬 고정돌기, 다수개의 통수구가 형성된 제2취부봉 및 상기 제2취부봉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취부봉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고정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는 물걸레가 장착된 취부봉을 브러쉬구조로부터 분리시켜 물걸레가 취부봉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물걸레를 세탁한다. 세탁이 완료되면 물걸레가 장착된 취부봉을 연결점을 중심으로 비틀어서 물걸레로부터 과량의 수분을 짜내어 적량의 수분만이 물걸레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취부봉을 브러쉬구조에 장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의 설명]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는 다수개의 통수구(5)가 형성된 제1취부봉(1), 상기 제1취부봉(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취부봉(1)을 제2취부봉(2)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성돌기(3), 다수개의 통수구(5)가 형성된 제2취부봉(2) 및 상기 제2취부봉(2)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취부봉(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고정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두개의 취부봉과 상기 취부봉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수구(5)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제1취부봉(1)은 그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를 상기 제2취부봉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대(4)내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므로써 상기 제1취부봉(1)과 상기 제2취부봉(2)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취부봉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취부봉(l)의 단부와 상기 제2취부봉(2)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을 연결점이라 하고 상기 연결점을 중심으로 하여 하나로 결합된 상기 취부봉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취부봉상에는 종래의 물걸레(6)와 동일 또는 유사한 물걸레(6)가 장착되어 브러쉬구조에 고정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취부봉(1) 및 제2취부봉(2) 상에 형성된 통수구(5)는 그 위에 고정되는 물걸레(6)를 짜내어 물걸레(6)로부터 과량의 수분을 제거할 때 물걸레(6)로부터 나오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물걸레 취부봉 구조는 물걸레(6)가 장착된 취부봉을 브러쉬구조로부터 분리시켜 물걸레(6)가 취부봉에 장착된 상태 그대로 물걸레(6)를 세탁한다. 세탁이 완료되면 물걸레(6)가 장착된 취부봉을 연결점을 중심으로 비틀어서 물걸레(6)로부터 과량의 수분을 짜내어 적량의 수분만이 물걸레(6)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취부봉을 브러쉬구조에 장착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민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다수개의 통수구(5)가 형성된 제1취부봉(1), 상기 제1취부봉(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취부봉(1)을 제2취부봉(2)의 일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3), 다수개의 통수구(5)가 형성된 제2취부봉(2) 및 상기 제2취부봉(2)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제1취부봉(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3)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고정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취부봉 구조.
KR1019930013077A 1993-07-12 1993-07-12 물걸레 취부봉 구조 KR95000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077A KR950009471B1 (ko) 1993-07-12 1993-07-12 물걸레 취부봉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077A KR950009471B1 (ko) 1993-07-12 1993-07-12 물걸레 취부봉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01A KR950002701A (ko) 1995-02-16
KR950009471B1 true KR950009471B1 (ko) 1995-08-23

Family

ID=1935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077A KR950009471B1 (ko) 1993-07-12 1993-07-12 물걸레 취부봉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60B1 (ko) * 2004-12-06 2006-11-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걸레 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260B1 (ko) * 2004-12-06 2006-11-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걸레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01A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5599A (en) Cap system for sponge mops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KR950009471B1 (ko) 물걸레 취부봉 구조
KR900000361B1 (ko) 마루걸레 클램프
KR200286205Y1 (ko) 손걸레
US3520018A (en) Cleaning device for venetian blinds and the like
JP4285791B2 (ja) 清掃具
US2696015A (en) Holder for quick-change mopping cloths
KR960005551Y1 (ko) 자루가 달린 걸레(mop)
JPH08336494A (ja) 静電気を利用した掃除機具
US3329988A (en) Dust mop having replaceable soil collecting element
KR850001914Y1 (ko) 가정용 걸레
CN219578831U (zh) 一种便于安装擦拭物的拖把板
KR910006805Y1 (ko) 로울러 소제기
KR960005447Y1 (ko) 청소기
KR850003019Y1 (ko) 청소기
SE431158B (sv) Sett att rengora golvytor samt rengoringsduk for genomforande av settet
JP4027473B2 (ja) 画面用クリーナー
KR200303868Y1 (ko) 조립식 다용도 기구의 테이프청소기
JPH0810206A (ja) モップ用払拭体
KR200305298Y1 (ko) 다용도 기구겸 테이프청소기
KR100247886B1 (ko) 진공청소기 흡입노즐
KR920003821Y1 (ko) 목욕용 때밀이
KR980008161A (ko) 복수의 걸레 착탈이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KR820001795Y1 (ko) 위생 행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