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47Y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47Y1
KR960005447Y1 KR2019930020250U KR930020250U KR960005447Y1 KR 960005447 Y1 KR960005447 Y1 KR 960005447Y1 KR 2019930020250 U KR2019930020250 U KR 2019930020250U KR 930020250 U KR930020250 U KR 930020250U KR 960005447 Y1 KR960005447 Y1 KR 960005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loth
plate
bag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0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891U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소진태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진태, 김성식 filed Critical 소진태
Priority to KR2019930020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447Y1/ko
Publication of KR950010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4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청소기
제1도는 걸레포를 장착하지 않은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평면도.
제2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배면도.
제2c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자루가 연결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에 걸레포가 집게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에 자연회전을 억제하는 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걸레판 1a : 절결부
2 : 자류연결용 고정축 3 : 자루
4, 4' : 집게 5, 5' : 고무줄
10 : 걸레포지
본 고안은 걸레포를 착탈시킬 수 있는 걸레판에 자루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기는 한개의 걸레판에 밑면에만 걸레포지가 부착되고 윗면에는 자루가 연결되어 있어 밑면 1면으로만 청소를 할 수 있었고, 타올과 같은 긴 걸레포지를 장착할 경우에도 타올의 앞뒤 양면 전체를 두루 청소에 이용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종류의 청소기로서는 한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85-1914호(명칭 : 가정용 걸레) 및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88-21397호(명칭 : 청소용 브러쉬 겸용 걸레 밀대)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5-1914호에 개시되어 있는 가정용 걸레는 하방지지대에 회전다찰판을 나사로 결합하여 중앙일측에 지지판을 부착하여 등지지판 사이에 회전파이프를 결합한 축을 삽지, 지지판에 결합하면서 지지판의 회전파이프 축연부에 닿을 수 있게 지지판에 작동손잡이를 형성하면서 회전파이프와 회전마찰판간에 걸레를 감은 것이고,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8-21397호에 개시되어 있는 청소용 브러쉬 겸용 걸레밀대는 상면에 대연결구와 수개의 보강테가 돌설된 대판과 다수개의 연결합성 수지 침봉이 형성된 걸레부착판을 부착하되, 상기 대판 상면에 형성된 보강체에 현수공을 천공하여 두쌍의 집게가 결속된 탄성띠를 유설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5-1914호의 가정용 걸레는 방바닥이나 마루를 닦음에 따라 방바닥에 접촉되는 걸레면이 더러워지면 마찰판을 지지대에서 돌려 새로운 깨끗한 걸레면으로 바닥을 닦을 수 있기는 하나, 가구와 벽사이 및 가구와 바닥면 사이가 좁은 공간의 바닥면은 닦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8-21397호의 청소용 브러쉬 겸용 걸레 밀대는 가구와 벽사이의 좁은 공간 및 가구와 바닥면 사이의 낮은 공간의 바닥면 등을 닦을 수 있으나, 걸레부착판에 형성된 침봉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걸레의 바닥면이 더러워지면 교체하거나 뒤집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봉걸레로써,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공개번호 제86-3485호 및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 57-27255호가 있다.
상기 한국 공개실용신안 공보 공고번호 제86-3485호의 능률적인 봉걸레는 걸레고정봉과 걸레고정봉을 착탈하는 장치와 걸레끝 누룸봉을 장착한 상하 동일한 본체판에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손잡이를 갖추고 적절한 크기의 걸레를 겹쳐감아서 그 끝을 고정시킨 뒤 걸레질을 하고 차례로 풀고 감고하면서, 윗판 아랫판을 뒤집어 가면서 걸레의 깨끗한 앞뒷면을 전부 이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능률적인 봉걸레는 윗판과 아래판을 뒤집어 가면서 걸레의 깨끗한 앞뒷면을 전부 이용할 수 있으나, 걸레를 고정시키는 구성이 복잡하여 본체판에 걸레를 고정하는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57-27255호의 걸레포 고정구는 자루에 걸레가 감기는 원통체를 T자 형상으로 고정하고, 상기 자루에 체인 또는 띠를 개재해서 그립을 부착한 것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걸레포 고정구는 상기 걸레가 감기는 원통체가 원형으로 되어 있어, 닦아야할 바닥면과 걸레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좁아서 걸레의 위치를 수시로 변경해야 하므로, 청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구와 벽사이의 좁은 공간과 가구와 바닥면 사이의 좁은 공간 등을 닦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청소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걸레판을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레포 1회 장착으로 2면에 의해 바닥을 청소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올과 같은 긴 걸레포지를 장착할 경우 사용한 걸레면과 사용하지 않은 걸레면을 즉시 구분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타올양면 전체를 골고류 사용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루가, 종래의 청소기처럼, 걸레판 윗면에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지 않고 걸레판의 절결부 사이에 끼어 있으므로 가구 밑의 아주 낮은 틈새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벽과 가구 사이의 좁은 틈새도 청소판을 옆으로 세워서 용이하게 닦을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청소기는 양쪽면에 형성된 걸레판과, 상기 걸레판의 후부 중앙부를 절결한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의 중간부에 가로질러서 상기 걸레판의 양단부 근처까지 걸려있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중간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자루와, 상기 걸레판에 걸레포를 밀착고정하는 집게와, 상기 집게를 자루에 고정하는 고무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시 설명한다.
제1도는 걸레포를 장착하지 않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제2a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평면도이며, 제2b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배면도이고, 제2c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의한 걸레판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루가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에 걸레포가 집게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걸레판의 자연회전을 억제하는 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단면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인 걸레판(1)(1')과, 상기 걸레판(1)(1')의 후면중앙부 근처에서 소정폭을 두고 모양의 절결부(1a)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1a)의 중간부에 절결부(1a)를 가로 질러서 상기 걸레판(1)(1')의 양단부근처까지 걸려있는 자루고정용 고정축(2)과, 상기 고정축(2)의 중간부에 자루(3)가 상기 고정축(2)를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레판(1)(1')에는 타올등의 걸레포(10)가 씌워지며, 상기 걸레포(10)의 양단부는 걸레판(1)(1') 뒤쪽에서 집게(4)(4')에 의해 고정된다.
고무줄(5)(5')는 집게(4)(4')와 자루(3)에 연결되어 집게(4)(4')의 분실을 막기 위함이며, 걸레포(10)가 집게(4)(4')에 의해 걸레판(1)(1')에 밀착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즉 본 고안품을 청소에 사용중일 때에는 고무줄(5)(5')이 집게(4)(4')를 제5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므로, 걸레판(1)(1')이 자루연결용 고정축(2)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연회전하는 것을 어느정도 억제한다.
상기 걸레포(10)를 걸레판(1)(1')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간편한 장치를 선호하는 현대여성들의 심리를 감안하여 그냥 집게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기용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는 걸레의 크기, 부착위치등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중,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길이 75cm 정도의 타올을 절반으로 접어서 사용할 경우를 예로들어 다음에 설명한다.(걸레판에 가로 25cm 세로 15cm일 경우로 가정)
먼저, 타올등의 걸레포(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접은 다음, 걸레판의 한쪽면(1') 선단부를 접은 걸레포(10)의 1/2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올려놓는다. 다음에, 너머지 1/2되는 부분을 걸레판(1)의 상부면에 덮고, 상기 걸레포(10)의 양단부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4)(4')에 의해 클램프하면 걸레포(10)가 걸레판(1)(1')에 밀착해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걸레판(10)를 걸레판(1)(1')에 밀착 고정시킨 다음, 자루(3)를 잡고 걸레판(1')에 밀착고정된 걸레포(10)를 사용하여 바닥을 닦으면 바닥이 깨끗하게 닦인다. 바닥의 먼지등에 의해 걸레포(10)의 한쪽면(예를들면 걸레판(1')에 고정된 걸레포(10)의 면)이 더러워지면, 자루(3)를 잡고 상기 걸레판(1')을 뒤집어서 걸레판(1')이 상부에 위치하고, 걸레판(1')이 하부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걸레판(1)에 밀착고정된 깨끗한 걸레포(10)면을 이용해서 바닥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를 행함으로써, 걸레판(1)(1')에 고정된 걸레포(10)의 양쪽면이 모두 더러워지면, 상기 걸레포(10)로부터 집게(4)(4')를 이탈시킨 다음 1/2로 접었던 걸레포(10)를 뒤집어서 그대로 바닥면에 뒤집어 펴놓은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레포(10)의 양단을 집게(4)(4')에 의해 밀착 고정하면 걸레판(1)(1')에 고정된 깨끗한 걸레포지(10) 양면을 사용하여 다시 바닥을 닦는다.
그후 당초 1/2로 접었던 걸레포(10)의 앞뒤 양쪽을 사용하고 나면 걸레포지(10)로부터 집게(4)(4')를 이탈시키고 1/2로 접었던 걸레포지(10)를 펴서 더러워진 걸레포지(10)의 면이 서로 당접되게 길이 방향을 따라 1/2로 접는다. 그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걸레판(1)(1')에 상기 걸레포(10)를 집게(4)(4')에 의해 밀착 고정시킨 다음, 바닥을 닦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는 타올 1장으로 사용한 면과 사용하지 않은 면을 즉시 구분하여 4번 용이하게 걸레판(1)(1')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8면의 깨끗한 면으로 바닥을 닦을 수 있다.
그리고, 가구밑등의 바닥면을 닦을 경우에는, 자루가 고정축(2)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어 있으므로, 자루(3)를 바닥면에 평행하게 뉘인 상태에서 가구밑의 바닥면을 닦으면, 걸레판(1)(1') 두께 정도의 낮은 틈새까지도 가구밑 바닥면을 닦을 수 있으며 가구와 벽 사이의 좁은 틈새를 닦을 경우에는 걸레판을 옆으로 세우고 자루를 벽면과 평행되게 위치하면, 이때에도 걸레판(1)(1') 두께 정도의 좁은 틈새의 바닥면은 물론 벽면과 가구의 옆면을 닦을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청소기에 의하면 걸레판의 후면 중앙부 근처를 절결하여 절결부를 형성하고, 이 절결부에 자루고정용 고정축을 고정시킨 다음, 이 고정축에 선회가능하게 자루를 부착하고, 상기 자루에 집게를 연결하는 고무줄을 고정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걸레판에 타올등을 집게에 의해서 밀착고정시킨다음, 자루를 잡고 바닥을 닦을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가구등이 놓여 있는 바닥밑면등도 용이하게 닦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쪽 걸레판에 밀착 고정된 걸레포가 더러워지면 걸레판을 뒤집어서 다른쪽 걸레판에 밀착고정된 걸레포에 의해서도 바닥을 닦을 수 있으며, 또한 양쪽 걸레판에 밀착고정된 걸레포가 더러워지면 집게를 걸레포로부터 제거한 다음, 걸레포를 뒤집어서 더러워진 걸레포의 면이 걸레판측을 향하게 한 후, 집게로 클램프하여 바닥을 깨끗한 걸레면으로 닦을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양쪽면에 형성된 걸레판(1)(1')과, 상기 걸레판(1)(1')의 후부 중앙부를 절결한 절결부(1a)와, 상기 절결부(1a)의 중간부에 가로질러서 상기 걸레판(1)(1')의 양단부 근처까지 걸려있는 고정축(2)과, 상기 고정축(2)의 중간부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자루(3)와, 상기 걸레판(1)(1')에 걸레포(10)를 밀착고정하는 집게(4)(4')와, 상기 집게(4)(4')를 자루(3)에 고정하는 고무줄(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2019930020250U 1993-10-05 1993-10-05 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250U KR960005447Y1 (ko) 1993-10-05 1993-10-05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0250U KR960005447Y1 (ko) 1993-10-05 1993-10-05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91U KR950010891U (ko) 1995-05-15
KR960005447Y1 true KR960005447Y1 (ko) 1996-07-03

Family

ID=1936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0250U Expired - Fee Related KR960005447Y1 (ko) 1993-10-05 1993-10-05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4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891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713A (en) Toilet mop
US4580307A (en) Wall washing pad holder
US6606757B2 (en) Flexible dust mop
US5343587A (en) Mop construction including detachable fabric cleaning element
US6745434B2 (en) Cleaning attachment for converting a cleaning implement to a mop
US6058552A (en) Mop having hold down bars for removably securing an absorbent piece of material thereto
EP0864292B1 (en) Mop heads
JPH02182228A (ja) 清掃器具
US5410772A (en) Floor washing mop
US5165138A (en) Cleaning device
KR960005447Y1 (ko) 청소기
KR200286205Y1 (ko) 손걸레
US5406670A (en) Dust mop
US20050039287A1 (en) Mop head hav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extensions
US2694824A (en) Combination mop, scrubbing brush, and wringer
JP3071400B2 (ja) 箒に着合して用いる払掃具
US20200253448A1 (en) Head for a Cleaning Device
EP1419726A1 (en) Cleaning attachment for converting a cleaning implement to a mop
US2252407A (en) Dry mop
US3329988A (en) Dust mop having replaceable soil collecting element
JP3001633U (ja) カンタンワックスモップ
KR200288566Y1 (ko) 다용도 물걸레 청소기
KR200184462Y1 (ko) 청소기
KR200209751Y1 (ko)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JPH11137496A (ja) 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310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310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4091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50918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6010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620100023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960925

Appeal identifier: 1996201000235

Request date: 1996020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2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19951218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05

B701 Decision to grant
U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60925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15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612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612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