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813B1 -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 전기유압식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 전기유압식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813B1
KR950008813B1 KR1019880700271A KR880700271A KR950008813B1 KR 950008813 B1 KR950008813 B1 KR 950008813B1 KR 1019880700271 A KR1019880700271 A KR 1019880700271A KR 880700271 A KR880700271 A KR 880700271A KR 950008813 B1 KR950008813 B1 KR 950008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valve
control device
annular spac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845A (ko
Inventor
게오르그 기어레르
Original Assignee
찬라드파브릭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발터어, 라우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찬라드파브릭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발터어, 라우에 filed Critical 찬라드파브릭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claimed from PCT/EP1987/000423 external-priority patent/WO1988001029A1/de
Publication of KR88070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2059/006Overriding autom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32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32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 F16H2061/1236Bringing the control into a predefined state, e.g.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actuators or gear ratios using fail priori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44Keeping the current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the controller
    • F16H2061/1268Electric parts of the controller, e.g. a defect solenoid, wiring or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306/00Shi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0Out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orbital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7/00Interrelated power delivery controls, including engine control
    • Y10S477/906Means detecting or ameliorat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 전기유압식 제어장치
제1도는 직결된 제 4단을 가지는 하나의 4-단-자동변속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것이지만 하나의 증속단-오우버 드라이브.
제3도는 제1도에 의한 변속장치에 있어서, 개별적인 단들에 연결된 클러치, 브레이크 및 전자밸브에 관한 하나의 표.
제4도는 간단히 표현된 제어-및 오일안내도.
제5도는 도 다른 실시에서 간단히 표현된 제어-및 오일안내도임.
이 발명은 청구범위 제 I 항의 상위개념에 의한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의 전기유압식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ATZ 85(1983) 6 393 내지 405페이지로부터 2개의 출판으로부터 전기유압식 제어장치를 가지는 4-단-자동변속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제4절로부더 변속장치제어(402페이지), 그리고 제5절에서 안전기능이 그리고 또 상기 출판의 제6도 및 제7도는 전류없는 상태에서 순수하게 유압적으로 선택스라이더-이동에 상응하여 제3단에서 전진하거나 또는 후진으로 주행되어 질 수 있으며 여기서 역시 하나의 중립위치(공전위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공지되어있다.
제트에프 게트리베 게엠베하 살부뤽켄(ZF Getriebe GmbH Saarbruecken)의 인쇄물(4HP 22E,Oelfuehrungsplaene)로부터 상기의 전기유압식 제어장치가 더 상세히 표현되어 있으며 제6도를 보충한다.
상기의 시스템으로서는 중속단-변속장치의 경우에 제4단은 하나의 습속단-오우버 드라이브이며 그리고 제4단에서 엔진은 가장 높은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는 그러한 중속단-변속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상기의 시스템이 가능하다.그러나 역시 최고의 엔진회전수가 최고단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직결된 제4단변속장치 또는 하나의 오우버 드라이브-변속장치를 가지는 하나의 4-단(변속장치에 대하여는 그러한 제어장치는 -적합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전류차단의 경우에 제4단으로부터 제3단으로의 역절환은 엔진에서 너무높아진 회전수를 가져오고 이와 함께 이 엔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상위개념에 의하여 전기유압식 제어장치를 계속 개발하며 그 결과 전류의 차단의 경우에도 허용할 수 없는 역절환들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에 건조비용이 상승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로서 이루어진다.
전자의 차단은 고속으로 주행시에 계기판에서의 미리 마련된 지시까지는 자동차의 주행성능으로부터 운전자에 의하여 전혀 인식되지 않으며 그리고 그는 그러한 조건들의 경우에 주행을 방해받지 않고 계속할 수가있다.
엔진의 손상을 초래할지도 모르는 허용되지 않는 역절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역시 엔진을 과부하되지않는다. 예를들면 더 큰 경사면에서의 주행과 같이 상기의 단에서 더 이상은 성취되어 질 수 없는 요구조건들의 경우에야 비로서 운전자는 변속장치를 더 낮은 단으로 절환하는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를 위하여는 전기유압식 제어장치의 유압부분에 대한 시스템압력이 잠시 중단되지 않으면 안된다.
안전상의 이유로부터 운전자는 이를 위하여 엔진을 정지시키고 그리고 다시 시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물론 중립위치에로 그리고 다시 전진 주행위치에로의 선택스라이더의 이동에 의하여 더 낮은 단에서의 상기의 절환을 실현하는 것도 역시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운전자는 상기의 절환을 아직도 너무 높은 주행속도에서 행하는 가능성을 가질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설비된 제어장치는 안전 요구 조건들을 성취시키지 않을지도 모른다.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9항으로 이 발명은 유리한 방법으로 더 형성된다.
그러나 전진 주행 범위에서 이미 더 낮은 단으로 절환되어 있은 일이 없이 후진주행(R)에 대한 위치에로 선택스라이더의 이동은 상기의 방향에서 주행을 역시 실현시킨다.4-단-번속장치의 경우에 예를들면 제3단에로와 같이 더 낮은 단에로 자동변속장치의 절환으로서, 시동하는 경우 또는 전자의 차단후에 재시동하는 경우에는 역시 서있는 상태로부터 전진 주행 방향으로 출발되어 질수 있다. 전자의 차단의 경우에 엔진의 손상이 없이 전진-및 후진 주행 방향에서의 계속 주행과 시동을 실현시키는 유압 제어 설비에 대한 그자체가 필요한 절환-및 제어밸브들에 대한 사용에 의하여 건조비용은 상승되지 않는다.3개의 절환밸브와의 2개의 안전밸브의 교묘한 결합에 의해서만 4-단-자동변속장치에 대한 전기유압식 절환의 경우에 이 과제는 실현된다.
전자밸브의 다중 사용에 의하여는 R-단-안전에 대하여 그 자체가 필요한 전자밸브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발명은 청구범위들의 특징의 결합에만 제한되어 있지 않는다. 전문가들에게는 과제설정으로부터 청구범위들의 그리고 개개의 청구범위 특징들의 도 다른 뜻이 깊은 조합 가능성들이 결과할 것이다.
제1도에 의한 자동변속장치(Gl)는 표시되지는 않은 구동엔진에 의하여 오버브릿지 클러치(UK)를 가지는 동액압 톨크콘버터(WT)를 거쳐서 구동되며 그리고 클러치(A) 및 (B) 그리고 브레이크(C'),(C) 및 (D)를 가지는 하나의 기본 변속장치(G)와 그리고 클러치(E) 및 브레이크(F)를 가지는 제4단을 위한 하나의 그룹 변속장치(GRl)로 되어 있다. 그밖에 절환과 제어의 개선을 위하여 아직 표시되지는 않은 후라이휠이기본변속장치에도 그룹 변속장치에도 배열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한 자동변속장치(G2)에서 동액압 톨크콘버터(W)와 기본변속장치(G)의 배열은 제1도에 의한 것과 동일하며 다만 그룹변속장치(GR2)만이 기본변속장치(G)와 다르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클러치(E)와 브레이크(F)가 다르게 배열되어 있다.
제1도에 의한 변속장치(G1)에 해당하는 제3도에 의한 표로부터는 어느 클러치들과 브레이크들(A 내지F) 및 전자밸브들(4a 및 4b)이 개별적인 단들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리고 전기유압식 제어에 의하여 그리고 전자기(電磁氣)밸브의 경우에는 전자기식 제어장치에 의하여 접속 및 차단되고 그리고 클러치와 브레이크에 관하여 시스템압력으로 움직여지는 것을 쉽게 상상할 수가 있다.
제4도에 의하여 간단히 표현된 제어도에서 압력원(1)은 도관(10)을 거쳐서 주압력밸브(11)와 그리고 선택스라이더(2)와 시스템압력도관(l3)과 연결되어 있다. 선택스라이더(2)는 도관(21)을 거쳐서 전진 주행을 위한 클러치(A)와의 그리고 1-2 전환밸브(5)에 제5환형공간(55)과의 또 하나의 연결을 갖는다. 또 선택스라이더(2)로부터는 또 하나의 도관(22)이 후진단-안전밸브(8)의 제2환형공간(82)에 안내되며 그러나 이 제2환형공간은 다만 후진주행위치(R)에로의 선택밸브의 이동의 경우에만 시스템압력으로 충전되어진다.
시스템압력도관(13)은 감압밸브(12)에로, 또한 안전밸브(9)의 제3 환형공간(93)에로 그리고 3-4-절환밸브(7)의 제5환형공간에로의 분기도관을 갖는다.
감압밸브(12)에 의하여는 제어압도관(43)을 거쳐서 전자밸브(4a) 및 (4b)가 시스템압력으로 공급된다.전자밸브(4a) 및 (4b)는 전자기적인 제어장치(3)에 의하여 전기적인 제어도관(31)을 거쳐서 연결되며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기되어 있다. 첫번째 전자밸브(4a)로부터는 제1제어도관(41)이 3-4-절환밸브(7)의 제 2환형공간(72)에 그리고 1-2-절환밸브(5)의 스프링실(58)에 다다른다. 제 2도관(42)은 두번째전자밸브(4b)로부터 절환밸브(5),(6)의 그리고 후진단-안전밸브(8)의 그리고 안전밸브(9)의 첫번째의 전면측의 환형공간들(51),(61),(81),(91)에로 안내되고 그리고 또 상기의 안전밸브(9)의 제5환형공간(95)에로 안내된다.
모든 절환밸브들(5)(6)(7) 후진단-안전밸브(8) 및 안전밸브(9)는 밸브케이싱안에 가공되어져 있는 다수의 환형공간들(51-57),(61-67),(71-77),(81-84),(91-95)과 그리고 1개씩의 피스톤 스라이더(50),(60),(70),(80),(90)을 가지며 이 피스톤 밸브는 스프링실(58),(68),(78),(85),(96)에 배열된 각 1개씩의 압축스프링(59),(69),(79),(86),(97)에 의하여 단부위치에로 눌려진다.1-2-절환밸브(5)는 제 3 환형공간(53)으로부터 도관(530)과 제2의 볼밸브(K2)를 거쳐서 후진단-브레이크(D)에 이르는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갖는다. 제6 환형공간(56)은 도관(560),(561)을 거쳐서 2-3-절환밸브(6)의 제5환형공간(65)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 환형공간(65)과 제7 환형공간(57)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50)는 제어단면(steuerkanten)의 형성을 위하여 3개의 제어피스톤(501),(502) 및 (503)을 갖는다.2-3-전환밸브(6)에는 제3 환형공간(63)으로부터 도관(63)을 거쳐서 브레이크(C')에로 그리고 제6 환형공간(66)으로부터 도관(660)과 제1의 볼밸브(K1)와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갖는다.
나아가서는 하나의 도관(640)이 제4환형공간(64)으로부터 브레이크(C)에 그리고 제2환형공간(62) 및 제7환형공간(67)은 하나의 배기구를 갖는다.
피스톤 스라이더(6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3개의 제어피스톤(601),(602) 및 (603)을 갖는다.3-4-절환밸브(7)는 제4환형공간(74)으로부터 도관(740)을 거쳐서 제1 내지 제3단 및 R-단을 위한 브레이크(F)에로의 그리고 제6환형공간(76)으로부터 도관(760)을 거쳐서 제4단을 위한 클러치(E)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갖는다. 제3환형공간(73) 및 제7환형공간(77)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70)은 전연의 형성을 위하여 4개의 제어피스톤(701-704)을 가지며 여기서 제어피스톤(701)은 여타의 제이피스톤에 비하여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후진단-안전밸브(8)는 제3환형공간(83)으로부터 도관(830)과 그리고 제2볼밸브(K2)를 거쳐서 후진단-브레이크(D)에로 도관(831)과 제l볼밸브(Kl)과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갖는다. 도관(830)의 한 분기관(832)은 안전밸브(9)의 스프링실(96)로 안내되며 그리고 제4환형공간(84)는 하나의 배기구를 갖는다. 피스톤 스라이더(8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2개의 제어피스톤(801) 및 (802)를 갖는다. 안전밸브(9)는 제4환형공간(94)으로부터 도관(940)을 거쳐서 3-4-절환밸브(7)의 첫번째의 전면측의 환형공간(71)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연결을 가지며 그리고 제2환형공관(92)는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9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또 3개의 제어피스톤(901-903)을 가지며, 여기서 제어피스톤(901)은 나머지의 제어피스톤(902) 및 (903)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 도관(560)으로부더 도관(640) 및 도관(21) 그리고 이로서 클러치(A)에로의 또 하나의 연결도관(562),(564)이 존재한다. 연결도관(564)와 도관(21) 사이-클러치(A)에로의 안내도관에는 기술된 방향에서의 관류만을 허용하는 또 하나의 제3볼밸브(K3)가 존재한다.
제4도에 의한 전기유압식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전자기 제어장치(3)에 의하여 전자기밸브(4a) 및 (4b)가 절환되어진다. 나아가서는 전자가변압력조정 및 이동식 오우버 브릿지 클러치의 절환을 더맡는다: 즉 양자는 제4도에 의한 단순화된 제어도에서는 표시되지 안했다. 전기유압식 제어장치의 전체의 기능의 경우에 제1단에서 전자기밸브(4b)는 전자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연결되며 그 결과로 제2의 제어도관(42)를 거쳐서 전환밸브(5),(6) 및 (7)가 스프링(59),(69) 및 (79)의 압력에 대항하여 절환된다. 도관(21)을 거쳐서 클러치(A)가 그리고 도관(13) 및 도선(740)을 거쳐서 브레이크(F)가 연결된다. 제3도에 의하면 제2단에서 전자기밸브(4a)가 마찬가지로 연결되며, 그 결과로 첫번째 압력도관(41)을 거쳐서 제어압력이 1-2-절환밸브(5)의 스프링실(58)에 그리고 3-4-절환밸브(7)의 제2환형공간(72)에 안내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1-2-절환밸브는 처음 위치로 되돌아 밀려진다. 이것으로 인하여 시스템압력은 도관(21)으로부터 환형공간들(55) 및 (56)을 거쳐서 그리고 도관(560),(562) 및 (563)을 거쳐서 브레이크(C)와, 그리고도관(640) 및 2-3-절환밸브(6)의 환형공간들(64) 및 (63)을 거쳐서 그리고 도 도관(630)을 거쳐서 브레이크(C')를 연결한다.
제3단에서 전자기밸브(4b)는 차단되며 그리고 제2제어도관(42)는 전자기밸브를 거쳐서 배기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2-3-절환밸브(6)은 처음 위치로 되돌아가며 그리고 브레이크(C')는 도관(63) 및 환형공간들(63) 및 (62)를 거쳐서 배기된다. 동시에 도관(561) 및 2-3-절환밸브(6)의 환형공간들(65) 및 (66)를 거치며 도관(660)과 제1볼밸브(Kl)과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가 연결된다. 제4단에서는 역시 전자기밸브(4a)도 차단되며 제1제어도관(41)이 배기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3-4-절환밸브(7)는 처음 위치로 되돌아가며 브레이크(F)는 도관(740)과 제4 및 제3환형공간을 거쳐서 배기되며 그리고 클러치(E)는 도관(13), 제5 및 제6환형 공간 그리고 도관(760)을 거쳐서 연결된다. 상기의 조합은 시간 지연없이 절환밸브들(5),(6) 및 (7)을 임의로 개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전자기밸브(4b)를 가지고 동시에 R-단-안전밸브(8)이 작동되어 질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전자기밸브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환밸브들(5),(6) 및 (7)은 상호간에 유압적으로 록킹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변속장치의 파괴 내지 봉쇄를 야기시킬 수 있는 오류절환들이 이루어질 수 없다. 선택스라이더(2)의 위치(R)의 전자기적인 인지의 경우에 그리고 한계속도의 더 큰 자동차 속도의 경우에 전자기밸브(4a)에 추가적으로 역시 전자기밸브(4b)가 연결된다. 제2제어도관(42)을 거쳐서 후진단-안전 및 밸브(8)은 환형공간(8l)을 거쳐서 스프링(86)에 대항하여 변위 하여지며 그리고 이와함께 도관(22)을 거쳐서 선택스라이더(2)로부터 오는 계압력이 제2환형공간에서 차단된다. 한계속도의 미달후에야 비로서 전자기밸브는 전자기적으로 차단되어지며 그리고 환형공간(82) 및 (83) 그리고 도관(830) 그리고 제2볼밸브(K2)를 거쳐서 후진단-브레이크(D)가 그리고 도관(831)과 제1볼밸브(K1) 그리고 또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가 연결되어질 수 있다. 주행도중에 전자기 제어장치(3)가 이탈되는 경우 그리고 이것과 연결되는 제어도관(41) 및 (42)의 배기의 경우에 안전밸브는 도관(13)의 계압력을 거쳐서 환형공간(93)에서 절환된 위치에 유지된다.3-4-절환밸브(7)는 스프링(79)에 의하여 작용된 단부위치에 존재하며 그 결과로 계압력은 도관(13)으로부터 환형공간들(75) 및 (76) 그리고 도관(760)을 거쳐서 클러치(E)에로 흐르며 그리고 상기 클러치가 연결된다. 계압력도관(21)을 거쳐서 클러치(A)가 직접, 그리고 1-2-전환밸브, 환형공간들(55) 및 (56), 그리고 도관(560),(562) 및 (563)을 거쳐서 브레이크(C)가, 그리고 또 도관(660) 및 제1볼밸브(K1) 및 도관(661)을 거쳐서 역시 클러치(B)가 연결되어 있다.
이로서 제4단이 유지되거나 절환되며 그리고 계속 주행은 맨먼저 다만 상기단에서만 가능하다. 더 낮은단에서 계속 주행을 위하여 또는 시동을 위하여는 먼저 시스템압력이 단시간동안 중단되지 않으면 안된다.이를 위하여는 엔진을 차단하고 다시 새롭게 시동시키는 것이 목적에 합당한데 왜냐하면 이로써는 역시 출발이 가능한 낮은 단에서 변속장치의 절환의 경우에 엔진 회전수가 허용할 수 없을 만큼 높지 않음이 보증된다. 엔진이 새로 시동되면 시스템압력은 도관(13), 환형공간(93),(94) 및 도관(940)을 거쳐서 환형공간(71)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하여 3-4-절환밸브(7)는 표현된 위치에 가져와진다. 시동되어지는 위치 "N(중립)"으로부터 위치 "전진주행"으로 선택 스라이더의 변위시에 시스템압력은 도관(13)으로부터 환형공간(75)및(74) 및 도관(740)을 거쳐서 브레이크(F)에 안내되며 그리고 이 브레이크가 연결되며 한편 클러치(E)는 도관(760)과 환형공간(76) 및 (77)을 거쳐서 배기된다. 도관(21)을 거쳐서 계압력에 의하여 클러치(A)가 직접 연결되고 그리고 1-2-절환밸브(5) 및 도관(560),(562),(563)을 통하여 브레이크(C)가 그리고 도관(560),(561),2-3-절환밸브(6),도관(660), 볼밸브(Kl) 그리고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가 연결된다. 전자기 제어장치(3)가 차단되고 선택스라이더(3)가 후진주행(R)으로 이동되면 시스템압력은 도관(22)을 거쳐서 후진단-안전밸브(8)에 도달한다. 여기서 환형공간(82) 및 (83)을 거쳐서 도관(830)이 채워지며 그리고 제2볼밸브(K2)를 거쳐서 후진단-브레이크(D)가 그리고 제1볼밸브(Kl)와 도관(66l)을 거쳐서 클러치(B)가 연결된다.
동시에 도관(830)의 분기관(832)을 거쳐서 시스템압력이 안전밸브(9)의 스프링실(96)안에 안내된다. 이경우에 도관(13)의 시스템압력은 제3환형공간(93) 및 제4환형공간(94) 그리고 도관(940)을 거쳐서 3-4-절환밸브(7)의 전면측의 제1환형공간(71)에 안내되며 그 결과로 환형공간(75) 및 (74)을 거쳐서 도관(l3)의 제2분기관으로부터의 시스템압력에 의하여 도관(740)을 거쳐서 브레이크(F)가 연결된다.3-4-절환밸브의 상기의 절환위치에서 클러치(E)는 배기되어진다.
제5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이며, 제4도에 대단히 유사하다. 제4도와는 다르게 제2제어도관(42)은 R-단-안전밸브(8)의 전면측의 환형공간(81)에로는 안내되지 않으며, 그리고 도관(830)으로부터 스프링실(96)에로의 분기관(832)도 역시 만들어져 있지 않다.
이를 위하여는 도관(940)이 3-4-절환밸브(7)의 첫번째의 전면측의 환형공간에로만이 아니라 R-단-안전밸브(8)의 첫번째 전면측의 환형공간(81)까지의 도관(940a)로서 또 안내하고 있으며, 그리고 도관(22a)를 거쳐서지는 시스템압력을 위한 제4환형공간(84)이 선택스라이더(2)의 R-단-위치의 경우에 이 선택스라이더와 연결되고 있으며 한편 제2환형공간(82)은 배기되어 있다. 상기의 상이한 도관안내로서는 후진단에서 전자의 차단시에 시스템압력이 잠시동안 중단되는 일이 없이 주행되어질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중립위치(N)와 그리고 또 전진주행(D) 및 후진주행(R)을 위한 하나의 선택스라이더(2)와,하나의 전자기 제어장치(3)와 스프링의 힘으로 중립위치에 지지된 자기밸브를(4)과 하나의 압력수단 소오스(1)와, 단절환 클러치들과 브레이크들(A-F)의 작동을 위한 압력제어-및 절환밸브들(5,6,7)을 가지며 그리고 또 아직도 너무 높은 전진주행 속도의 경우에 R-단으로의 절환의 방지를 위한 하나의 R-단-안전밸브(8)를 가지며 그리고 최대로 가능한 자동차의 속도의 경우에 최대로 허용할 수 있는 엔진 회전수가 초과되지 않는 것을 보증하는 하나의 단에서 자동변속장치(G1,G2)를 전자의 차단의 경우에 유지하거나 절환하는 하나의 장치를 가지는,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G1,G2)용의 전기유압식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단은 전자기 제어장치(3)에서의 차단의 경우에는 다만 제어장치(5,6,7,8,9)에 의한 운행동안에만 유지되거나 상기의 단으로 절환되며 차단된 전자기 제어장치(3)의 경우에는 엔진시동전에 또는 제시동전에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더 낮은 단이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기 제어장치(3)의 차단에 무관하게 엔진의 시동 및 재시동후에 그리고 R-단-위치(R)에로 선택스라이더(2)의 이동후에 후진단에서의 주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제 4 도) .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기 제어장치(3)의 차단에 무관하게 R-단-위치(R)에로 선택스라이더(2)의 이동의 경우에 후진단에서의 주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제5도).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후에 차단된 전자제어장치(3)를 가지며, 그리고 전진 주행방향(D)으로 선택스라이더(2)의 이동후에 미리 정해진 더 낮은 전진단에서의 시동이 가능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유압식 제어장치(5,6,7,8,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6. 3개의 절환밸브들(5,6,7)과 하나의 R-단-안전밸브(8)와 그리고 하나의 또 다른 절환 밸브를 가지는 4-단-자동변속장치(Gl,G2)에 대한 제1항에 의한 제어장치에 있어서, 절환밸브로서 안전밸브(9)가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유압제어장치는 상기의 안전밸브와 현존하는 3개의 절환밸브들(5,6,7)과 그리고 또 R-단-안전밸브(8)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압력수단소오스(1)는 도관(10)을 거쳐서 주압력밸브(11)와 선택스라이더(2)와 그리고 시스템압력을 위한 도관(13)과,-선택스라이더(2)는 시스템압력을 위한 도관(21)을 거쳐서 전진주행을 위한 클러치(A)와 그리고 1-2-절환밸브(5)의 제5환형공간(55)와, 그리고 R-단-위치에로 선택스라이더(2)의 이동의 경우에 시스템압력으로 채워져 있는 하나의 도관(22)을 거쳐서 R-단-안전밸브(8)의 제2환형공간(82)과 연결되어 있으며,-도관(13)의 하나의 시스템 압력-분기관은 감압밸브(12)에로 그리고 또 안전밸브(9)의 제3 환형공간(93)에로 그리고 3-4-절환밸브(7)의 제5 환형공간(75)에로 안내되며,-제어압력으로서 감소된 압력은 제어압력도관(43)을 거쳐서 자기 밸브들(4a,4b)에 안내되며, 그리고 이것은 전기적인 제어도선(31)을 거쳐서 전자기 제어장치(3)에 연결되어 있으며,-제1전자기밸브(4a)로부터는제1제어도관(41)이 3-4-절환밸브(7)의 제 2환형공간(72)에 그리고 1-2-절환밸브(5)의 스프링실(58)에 그리고 제 2 전자기밸브(4b)로부터는 제 2제어도관(42)이 R-단-안전밸브(8)의,1-2 및 2-3-절환밸브(5,6)의 그리고 안전밸브(9)의 첫번째 전면측의 환형공간들(51,61,81,91)에 그리고 또 상기의 안전밸브의 제 5 환형공간(95)에 안내되며,-모든 절환밸브들(5,6,7), R-단-안전밸브(8) 및 안전밸브(9)는 밸브케이싱네에 가공하여 만든 환형공간들(51-57,6l-67,71-77,81-84,91-95)과 그리고 각각 하나의 피스톤 스라이더(50,60,70,80,90)을 가지며, 이 피스톤 스라이더는 하나의 스프링실(58,68,78,85,96)내에 배열된 각각 하나의 압축스프링(59,69,79,86,97)에 의하여 단부 위치에 눌려지며,-1-2-제어밸브(5)는 제3 환형공간(53)으로부터 도관(530)과 그리고 제2볼밸브(K2)를 거쳐서 후진단-브레이크(D)에 이르는 또 하나의 압력수단연결을 가지며, 제6 환형공간(56)은 도관들(560,561)을 거쳐서 2-3-절환밸브(6)의 제5 환형공간(65)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제2환형공간(52) 및 제7환형공간(57)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5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3개의 제어피스톤(501,502,503)을 가지며,2-3-절환밸브(6)는 제3 환형공간(63)으로부터 도관(630)을 거쳐서 브레이크(C')에로 그리고 제6 환형공간(66)으로부터 도관(660), 제1볼밸브(K1) 및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가지며,제4환형공간(64)과 도관(640)을 거쳐서 브레이크(C)에로의 연결을 가지며, 제2환형공간(62)와 제7환형공간(67)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6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3개의 제어피스톤(601,602,603)을 가지며,-3-4-절환밸브(7)는 제4 환형공간(74)로부터 도관(740)을 거쳐서 제l 내지 제3단과 R-단을 위한 브레이크(F)에로 그리고 제6환형공간(76)으로부터 도관(760)을 거쳐서 제4단을 위한 클러치(E)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가지며, 제3 및 제7환형공간(73,77)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7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4개의 제어피스톤(701-704)을 가지며, -R-단-안전밸브(8)는 제3환형공간(83)으로부터 도관(830)과 제2볼밸브(K2)를 거쳐서 R-단-브레이크(D)에로 그리고 도관(831) 및 제1볼밸브(Kl) 및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가지며 그리고 도관(830)으로부터는 또 하나의 분기관(832)이 안전밸브(9)의 스프링설(96)에 안내되며, 제4환형공간(84)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8)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2개의 제어피스톤(801,802)를 가지며,-안전밸브(9)는 제 4환형공간(94)으로부터 도관(940)을 거쳐서 3-4-절환밸브(7)의 첫번째 전면측의 환형공간(92)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을 가지며 제2환형공간(92)은 하나의 배기구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 스라이더(90)는 제어단면의 형성을 위하여 3개의 제어피스톤(901-903)을 가지며 그리고 도관(640)으로부터 도관(560)에 그리고 도관(564)와 다만 일측만이 개방된 제3의 볼밸브(K3)를 거쳐서 도관(21)에로 그리고 이와함께 클러치(A)에로의 또 하나의 압력수단 연결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3)의 차단의 경우에 시스템 압력도관(13)을 거쳐서 주행도중에 그리고 이것과 연결된 제어도관들(41,42)의 배기 동안에 안전밸브(9)가 절환된 위치에 유지되며 그리고 3-4-절환밸브(7)와 도관(760)을 거쳐서 제4단을 위한 클러치(E)가 연결되며, 시스템 압력도관(21)을 거쳐서는 클러치(A)가 직접 그리고 1-2-절환밸브(5)와 도관(560,562,563)을 거쳐서는 브레이크(C)가 그리고 도관(560,561)을 거쳐서는 2-3-절환밸브(6)가 그리고 또 도관(660), 볼밸브(K1) 및 도관(661)을 거쳐서는 클러치(B)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전자기 제어장치(3)의 차단의 경우에 엔진의 시동 또는 재시동전에 그리고 전진주행(D)에로 선택스라이더(2)의 작동전에 계압력은 도관(13)으로부터 안전밸브(9)과 도관(940)을 거쳐서 3-4-절환밸브(7)에로 안내되며 스프링(79)의 압력에 대항하며 이 절환밸브를 밀며, 여기서 제4단을 위한 클러치(E)는 배기되고 브레이크(F)가 도관(13)의 시스템압력과 도관(740)을 거쳐서 연결되며 시스템압력도관(21)을 거쳐서 클러치(A)가 직접 그리고 1-2-절환밸브(5)와 도관(560,562,563)을 거쳐서 브레이크(C)가 그리고 도관(560,561)을 거쳐서 2-3-절환밸브(6)가 그리고 도관(660), 볼밸브(K1) 및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B)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전자기 제어장치(3)의 차단 및 후진주행(R)으로의 선택스라이더(2)의 작동의 경우에 시스템압력이 도관(22)을 거쳐서 R-단-안전밸브(8)에로 그리고 도관(830)과 제2볼밸브(K2)을 거쳐서 R-단-브레이크(D)가 그리고 도관(83l), 제1볼밸브(K1) 및 도관(661)을 거쳐서 클러치(E)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또 다관(830)의 분기관(832)을 거쳐서 안전밸브(9)의 스프링실(96)로 안내되며 그리고 도관(13)의 시스템압력이 도관(940)을 거쳐서 3-4-절환밸브(7)을 절환하며, 그리고 도관(13)의 시스템압력이 도관(740)을 거쳐서 브레이크(F)를 연결하며, 한편 클러치(E)는 3-4-절환밸브(7)을 거쳐서 배기되도록 그렇게 상기의 안전밸브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KR1019880700271A 1986-08-08 1987-08-01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 전기유압식 제어장치 KR950008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PCT/EP86/00469 1986-08-08
LU86-00469 1986-08-08
EP8600469 1986-08-08
PCT/EP1987/000423 WO1988001029A1 (en) 1986-08-08 1987-08-01 Electrohydraulic control for an automatic gear-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845A KR880701845A (ko) 1988-11-05
KR950008813B1 true KR950008813B1 (ko) 1995-08-08

Family

ID=6823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271A KR950008813B1 (ko) 1986-08-08 1987-08-01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 전기유압식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8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845A (ko) 198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1052A (en) Transmission control fail safe system
CN102356254A (zh) 动力传递装置
US997555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US6319164B1 (en) Electro-hydraulic control with a manual selection valve
KR920701721A (ko) 변속장치를 가지는 구동장치
US4478108A (en) Control apparatus for oil pressure operated type transmission for vehicle
EP0626912B1 (en) A shift control device of a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4618042A (en) Control for automatic transmissions
KR950002992B1 (ko) 자동변속장치용 전유제어장치
KR0162786B1 (ko) 자동차용 4속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장치
KR10022282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JPS6346303B2 (ko)
US3712156A (en) Control mechanism for fluid-operated vehicular transmission system
KR950008813B1 (ko) 자동적으로 절환하고자 하는 자동차 변속장치용 전기유압식 제어장치
KR970008501B1 (ko) 자동 변속기 유압제어장치의 n-d-r 제어밸브
US4574925A (en) Motor and gearing controls for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KR0168112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KR102618300B1 (ko) 다단변속기용 유압장치
KR0168363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KR100220060B1 (ko) 자동차용 4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0168379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KR0136140B1 (ko) 수동변속기 차량을 위한 자동변속장치
JPS6333023B2 (ko)
KR100401601B1 (ko) 자동 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KR100325580B1 (ko) 변속장치의 유압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