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729B1 -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729B1
KR950008729B1 KR1019910025969A KR910025969A KR950008729B1 KR 950008729 B1 KR950008729 B1 KR 950008729B1 KR 1019910025969 A KR1019910025969 A KR 1019910025969A KR 910025969 A KR910025969 A KR 910025969A KR 950008729 B1 KR950008729 B1 KR 95000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door
rubber pack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411A (ko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익목재
유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익목재, 유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익목재
Priority to KR101991002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729B1/ko
Publication of KR930013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설치된 문의 외측정면도.
제2도는 본문틀과 문짝이 연결된 상대를 나타낸 일부절단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a),(b)는 가문틀에 본문틀을 고정하는 상대를 나타낸 부분단면 사시도.
제6도는 가문틀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문틀 및 문짝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제8도(a),(b)는 가문틀의 좌.우측벽프레임과 상하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제9도(a),(b)는 본문틀의 좌.우측벽프레임과 상.하프레임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 벽체 DP1 : 가문틀
DP2 : 본문틀 F1, F2 : 좌,우측벽프레임
F1', F2' : 상,하프레임 D : 문짝
G : 유리판 P1, P2, P3, P4, P5, P6 : 패킹
T1, T2,T3,T4 : 목재프레임 1:측벽
2 : 외벽 3 : 고정벽
4 : 삼각돌기 5,5' : 나사조립공
6,6' : 내설돌기 8 : 만곡면
9 : 나사결합공 12 : 외벽
13 : 내벽 16 : 고정돌부
17 : 요홈 18 : 단턱
19 : 결착요훔 20,20-1,20-2:연결부재
21 : 외벽 22 : 내벽
26 : 절곡부 27 : 입설벽
29 : 삼각요홈 31 : 결착구
40 : 절곡부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의 문짝 또는 창문을 가문틀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문짝의 설치방법과, 건물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의 문짝은 목재로 형성되어 미관을 향상시키고,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금속재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이중프레임으로 구성된 문짝의 구성과 상기 이중프레임으로 구성된 문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축건물에 문짝 또는 창문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3단계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했다.
즉, 건물에 문이 설치된 지점에 본문틀을 임시고정하는 제1과정과, 본문틀이 벽면에 매립되도록 벽면을시공하는 제2과정과, 벽면공사가 마무리 된 후, 본문틀에 문짝을 고정설치하는 제3과정으로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3단계로써 문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본문틀이 벽면에 매립되므로, 벽면을 구성하는 벽돌 또는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수분과 자체의 하중압력에 의하여 본문틀의 수직,수평균형상태가 깨어지게 되고, 수직.수평균형상태가 깨어진 본문틀에 이미 제작된 문짝을 고정설치하기 위하여는 부득이 문짝을 재구성하거나, 문짝의 재가공을 통하여 본문틀의 형태에 맞춘다음 조립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짝설치방법을 개선하여 가문틀을 벽면 공사시 벽면에 매립되도록 시공하고 이후, 건물의 내외장공사가 완료된 다음 문짝이 고정될 본문틀을 가문틀에 조립하고, 조립완료된 본문틀에 문짝을 조립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벽면의 하중과 습기등에 의하여 가문틀의 수직,수평균형이 변형되어도 본문틀을 가문틀에 조립할 때 수직,수평균형을 재조정하여 조립한 다음, 문짝을 본문틀에 고정설치토록 함으로써 작업효울의 극대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문틀과 문짝의 구성을 건물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은 금속재로 되고, 건물의 내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목재로 되도록 함으로써, 내측에는 목재 특유의 부드러운 장식적 효과를 주고, 외측으로는 견고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이중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종래 내측 문짝과 외측문짝의 이중으로 구성하여야 했던 단점을 보완하여, 단일의 문짝으로 구성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벽체(W)에 매설되는 매설수단을 가진 가문틀(DP1)을 벽체(W)에 내설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문틀(DP1)과 결합고정하는 체결수단을 가진 본문틀(DP2)을 설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본문틀(DP2)에 조립완성된 문짝(D)을 설치하는 제3과정으로 문짝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설치되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벽체(W)에 내설되는 가문틀(DP1)은 제3도, 제8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축의 외벽(2)과 단축의 고정벽(3)을 측벽(1)에 일체로 내향입설하여 그 단부가 'F'형을 이루도록 하되, 외벽(2)의 내측에는 다수의 삼각돌기(4)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2)의 내측과 고정벽(3)의 외측에 나사조립공(5,5')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측벽(1)의 외향으로 벽체(W)에 내설되는 내설돌기(6,6')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좌,우측벽프레임(F1)과, 일측은 반원형으로 만곡된 만곡면(8)을 형성하며, 타측은 나사결합공(9)을 내설한 상,하프레임(F1')을 상기 좌,우측프레임(F1)과 나사결합하여 가문틀(DP1)을 조립하게 되는데, 이들의 조립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측프레임(F1')의 만곡면(8) 일부를 절단하여 조립구멍을 천공하여 'F'자형의 좌,우측벽프레임(F1) 내측에 입설된 고정벽(3)을 관통한 나사조립공에 나사못으로 하부에서 조립하며, 'F'자형의 좌,우측벽프레임(F1) 측벽(1) 하단에 조립구멍을 관통형성하여 상,하측벽프레임(F1')의 나사결합공(9)과 측면에서 나사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가문틀(DP1)을 벽체(W) 시공시에 벽면에 내설되도록 시공하고, 벽면공사가 마무리된 후본문틀(DP2)을 상기 가문틀(DP1)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가문틀(DP1)과 결합되는 본문틀(DP2)의 구성을 설명한다.
내측벽(10)과 외측벽(11), 외벽(12)과 내벽(13)에 의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벽(11)의 모서리에서 'ㄱ'자형의 연장돌출부(14)를 형성하여 나사구멍(15)을 적당한 간격으로 관통하고, 내측벽(10)의 외부에는 날개가 형성된 고무패킹(P1)을 고정하도록 고정돌부(16)를 형성하며, 건물외부에 돌출되는 외벽(12)을 연장하여 그 말단부에 양쪽으로 날개가 형성된 고무패킹(P2)을 삽입되는 고정돌부(16')를 형성하였으며, 실내를 향하는 내벽(13)에는 목재프레임(T1)을 부착하기 위한 'L'자형의 요홈(17)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단턱(18)을 형성하였으며, 목재프레임(T1)의 일측에 결착요홈(19)을 상호 경사지게 요설한 후, 연결부재(20)로써 상기 목재프레임 (T1)과 좌,우측벽프레임(F2)을 연결부착하였다.
상기 연결부재(20)는 'ㄱ'형 돌기(20')와, 'ㅅ'형의 돌기(20'')를 상호 내향경사지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좌,우측벽프레임(F2)과 조립되는 상,하측프레임(F2')은 제3도 및 제9도(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벽(21)과 내벽(22) 및 내측벽(23)과 외측벽(24)에 의하여 대략 사각을 이루며, 벽면외부로 노출되는 외벽(21)의 연장말단부에는 고무패킹(P3)이 고정되는 고정요홈(25)을 형성하고, 상기 외벽(21)의 중간지점에서 고무패킹(P4)이 고정되는 고정요홈(25')을 형성한 내측벽(23)이 입설되고, 상기 외측벽(24)의 외측에는 그 말단부를 연장하여 만곡지게 절곡하여 절곡부(26)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입설벽(27)을 입설하여 상기한 가문틀(DP1)의 상,하프레임(F1')이 상기 절곡부(26)와 입설벽(27) 사이에 삽입고정되도록 하였다.
목재프레임(T2)이 부착되는 내벽(22)은 'フ'자형 요홈(28)을 요설하고, 외측벽(24)의 연장된 절곡부(26)의 외측선단에 삼각요홈(29)을 형성한 후, 내벽(22)에 형성된 요홈(28)과 삼각요홈(29)에 연결부재(20-1)를 각각 삽입시켜 고정하며, 그 외측에는 내측으로 경사요홈(30)이 형성되고, 직립요홈(30')이 측벽에 형성된 목재프레임(T2)을 연결부재(20-1)에 의하여 상,하측프레임(F2')과 결착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상,하측프레임(F2')과 좌,우측벽프레임(F2)을 가문틀(DP1)의 내측에서 결합되도록 절단하여 조립하게 되며, 이들의 조립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문틀(DP1)의 측벽인 'F'자형 좌,우측벽프레임(F1) 하단에 입설된 고정벽(4)의 내측에 형성된 삼각돌기(5)와, 본문틀(DP2)을 구성하는 좌,우측벽프레임(F2)의 외측벽(10)에 연장형성된 연장돌출부(13)의 나사구멍(15)에 나사를 삽입하여, 일측에 삼각돌기(31')가 횡설되고, 나사구멍(31")이 관통된 결착구(31)를 상기 연장돌출부(13)의 내측에서 끼워 적당히 조인 후, 가문틀(DP1)의 'F'자형의 좌,우측벽프레임(F1)의 고정벽(4)과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가문틀(DP1)의 상측 'F·자형 좌.우측벽프레임(F1)과 본문틀(DP2)의 좌,우측벽프레임(F2)을 연결고정하는 것이다. 가문틀(DP1)의 상,하측프레임(F1')에 고정되는 본문틀(DP2)의 상,하측프레임(F2')은 상기 가문틀(DP1)의 상,하측프레임(F1')의 만곡면(8)에 본문틀(DP2)의 상,하측프레임(F2') 외측벽(24) 외부에 형성된 절곡면(26)을 강제로 압압하여 끼워맞추어 고정하는 것이다.
본문틀(DP2)의 좌.우측벽프레임(F2)과 상.하프레임(F2')에 설치되는 문짝(D)은 건물외부로 향하는 금속재 프레임(F3)과 건물내측으로 향하는 목재프레임(T3)을 연결부재(20-2)를 이용하여 부착하며, 상기 금속재 프레임(F3)은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ㄱ'자형을 이루며, 외벽(32)과 외측벽(33)이 교차되는 모서리를 'ㄴ'자형으로 절곡하여 절곡부(34)를 구성하고, 이 절곡부(34)의 측벽(35)을 연장하여 입설판(35')을 형성하며, 외측벽(33)의 외측에 직립기판(36)을 입설하고, 내벽(37)의 연장 말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38)를 형성하고, 내측벽(39)과 내벽(37)이 교차되는 모서리에 내측벽(39)을 연장하여 'V'자형으로 절곡부(4⒧를 형성하고, 'ㅅ'형의 삽착부(41)를 형성하였으며, 외벽(32)의 연장부 말단에 삽입홈(42)을 형성하여 고무패킹(P3)을 삽착하였다.
상기 내벽(37)의 외측에 부착되는 목재프레임(T3)은 그 부착면의 일측에 고무패킹(P4)이 삽입되고, 외향으로 경사진 경사요홈(43)을 형성하여 연결부재(20-2)로써 상기 금속재 프레임(F3)과 목재프레임(T3)을 부착하였다.
상기 목재프레임(T3)의 내측벽에서 내측보조 목재프레임(T4)을 못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이 내측보조목재프레임(T4)의 외벽(44)에 고무패킹(P5)이 삽입되는 요홈(45)을 형성하여 고무패킹(P5)을 고정하므로써 내측보조 목재프레임(T3)의 외벽(44)과 금속재 프레임(T3)의 외벽(32) 내측 연장부에 착설된 고무패킹(P3) 사이에 유리칸막이판(G)을 2중 또는 3중으로 설치하여 방음 및 단열효과가 뛰어난 문짝(D)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된 문짝(D)의 금속재 프레임(T3)을 조립하기 위하여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금속재 프레임(T3)의 외벽(32)과 외측벽(33), 내벽(37) 및 내측벽(39)에 의해 형성된 사각의 공간부(46)에 'ㄴ'자형 고정구(47)를 삽입시켜 외측벽(33)의 외부에서 펀칭기로 펀칭하여 각 프레임을 조립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문짝(D)은 본문틀(DP2)의 목재프레임(T1)에 경첩으로써 설치되며, 문짝(D)의 목재프레임(T3)에 삽착된 고무패킹(P4)이 본문틀(DP2)의 목재프레임(T1)에 밀착되고, 본문틀(DP2)의 금속재프레임(F2)의 내측벽(10) 외부에 삽착된 고무패킹(P6)과, 외벽(12)의 말단에 삽착된 고무패킹(P2)에 문짝(D)의 금속재 프레임(F3)에 입설된 직립기판(36)과, 입설판(35')이 각각 밀착되어 2중 3중으로 외부와 차단되므로써 완벽한 방음 및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4)

  1. 벽체(W)에 매설되는 매설수단을 가진 가문틀(DP1)을 벽체(W)에 내설하는 제1과정과, 상기 가문틀(DP1)과 결합고정하는 체결수단을 가진 본문틀(DP2)을 설치하는 제2과정과, 상기 본문틀(DP2)에 조립완성된 문짝(D)을 설치하는 제3과정으로 문짝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의 설치방법.
  2. 장축의 외벽(3)과 단축의 고정벽(4)을 측벽(2)에 일체로 내향입설하여 그 단부가 'F'형을 하되, 외벽(3)의 내측에는 다수의 고정돌기(5)를 형성하고, 상기 외벽(3)의 내측과 고정벽(4)의 외측에 나사조립공(6,6')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측벽(2)의 외향으로 벽체(W) 내설되는 내설돌기(7,7')를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좌,우측벽프레임(F1)과, 일측은 반원형으로 만곡된 만곡면(8)을 형성하며, 타측은 나사결합공(9)을 내설한 상,하프레임(F2)을 상기 좌,우측벽프레임(F1)과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가문틀(DP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3. 내측벽(10)과 외측벽(11), 외벽(12)과 내벽(13)에 의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외측벽(11)의 모서리에서 'ㄱ'자형의 연장돌출부(14)를 형성하여 나사구멍(15)을 적당한 간격으로 관통하고, 내측벽(10)의 외부에는 날개가 형성된 고무패킹(P1)을 고정하도록 고정돌부(16)를 형성하며, 건물외부에 돌출되는 외벽(12)을 연장하여 그 말단부에 양쪽으로 날개가 형성된 고무패킹(P2)을 삽입되는 고정돌부(16')를 형성하였으며, 실내를 향하는 내벽(13)에는 목재프레임(T1)을 부착하기 위한 'L'자형의 요홈(17)을 형성하고, 측면에는 단턱(18)을 형성하였으며, 목재프레임(T1)의 일측에 결착요홈(19)을 상호 경사지게 요설한 후, 연결부재(20)로써 상기 목재프레임(T1)과 좌,우측벽프레임(F2)을 연결접속하며, 상기 좌,우측벽프레임(F2)임과 조립되는 상.하측프레임(F2)은, 외벽(21)과 내벽(22) 및 내측벽(23)과 외측벽(24)에 의하여 대략 사각을 이루며, 벽면외부로 노출되는 외벽(21)의 연장말단부에는 고무패킹(P3)이 고정되는 고정요홈(25)을 형성하고, 상기 외벽(21)의 중간지점에서 고무패킹(P4)이 고정되는 고정요홈(25)을 형성한 내측벽(23)이 입설되고, 상기 외측벽(24)의 외측에는 그 말단부를 연장하여 만곡지게 절곡하여 절곡부(26)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입설벽(27)을 입설하여 상기한 가문틀(DP1)의 상,하프레임(F1')이 상기 절곡부(26)와 입설벽(27)사이에 삽입고정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문틀(DP2)을 가진 문짝.
  4. 건물외부로 향하는 금속재 프레임(F3)과 건물내측으로 향하는 목재프레임(T3)을 연결부재(20-2)를이용하여 부착하며, 상기 금속재 프레임(F3)은 전체적으로 그 단면이 'ㄱ'자형을 이루며, 외벽(32)과 외측벽(33)이 교차되는 모서리를 'ㄴ'자형으로 절곡하여 절곡부(34)를 구성하고, 이 절곡부(34)의 측벽(35)을 연장하여 입설판(35')을 형성하며, 외측벽(33)의 외측에 직립기판(36)을 입설하고, 내벽(37)의 연장 말단부를 외측으로 절단하여 절곡부(38)를 형성하고, 내측벽(39)과 내벽(37)이 교차되는 모서리에 내측벽(39)을 연장하여 'V'자형으로 절곡부(41)를 형성하고, 'ㅅ'형의 삽착부(41)를 형성하였으며, 외벽(32)의 연장부 말단에 삽입홈(42)을 형성하여 고무패킹(P3)을 삽착하였으며, 상기 내벽(37)의 외측에 부착되는 목재프레임(T3)은 그 부착면의 일측에 고무패킹(P4)이 삽입되고, 외향으로 경사진 경사요홈(43)을 형성하여 연결부재(20-2)로써 상기 금속재 프레임(F3)과 목재프레임(T3)을 부착하였으며, 상기 목재프레임(T3)의 내측벽에서 내측보조 목재프레임(T4)을 못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이 내측보조 목재프레임(T4)의 외벽(44)에 고무패킹(P5)이 삽임되는 요홈(45)을 형성하여 고무패킹(P5)을 고정하므로써 내측보조 목재프페임(T3)의 외벽(44)과 금속재 프레임(T3)의 외벽(32) 내측의 고무패킹(P3) 사이에 유리판(G)을 2중 또는 3중으로 설치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짝.
KR1019910025969A 1991-12-31 1991-12-31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KR950008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969A KR950008729B1 (ko) 1991-12-31 1991-12-31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5969A KR950008729B1 (ko) 1991-12-31 1991-12-31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411A KR930013411A (ko) 1993-07-21
KR950008729B1 true KR950008729B1 (ko) 1995-08-04

Family

ID=1932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5969A KR950008729B1 (ko) 1991-12-31 1991-12-31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063A (ko) * 2001-06-14 2002-12-31 이종만 창호 및 창호틀과 이들의 제조방법
KR100510826B1 (ko) * 2002-06-03 2005-08-30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복합 창호구조 및 제작방법
KR20040041899A (ko) * 2002-11-12 2004-05-20 남창드림윈도스 주식회사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복합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411A (ko) 199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165B1 (en) Extrusion devices for mounting wall panels
US3103263A (en) Sectional metal door frames
US4154034A (en) Door frame construction
US8959852B2 (en) Methods and systems of interior window framing
KR950008729B1 (ko) 가문틀을 이용한 문짝 및 설치방법
JP3502832B2 (ja) リフォーム時における開口部周り施工方法及び該施工方法に用いる開口部周り化粧部材
JPH08135053A (ja) 間仕切壁ユニット及びパネル連結用ジョイント
KR200438940Y1 (ko) 벽체 배수판 설치구조
US6944995B2 (en) Prefabricated frame for ceiling fan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KR200317133Y1 (ko) 건축용 조립판넬의 구조
KR200144796Y1 (ko) 천정 패널
JPH0544300A (ja) 住宅用組立式柱
KR200309038Y1 (ko) 조립식 문틀
JPH09125656A (ja) 床パネルの取付構造
JPS5819202Y2 (ja) 本実形状板体雌実部の下縁部分と固定取付具との組合せ
JP2500170B2 (ja) 建築物の外壁施工方法
KR0134497Y1 (ko) 문용 조립식 프레임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950006796Y1 (ko) 천정반자 지지용 벽면고정부재
JPS6133819Y2 (ko)
KR920006962Y1 (ko) 천정판넬 고정용 행가
JPH0120456Y2 (ko)
JP2001288872A (ja) 外装化粧部材の施工構造
JPH0446017Y2 (ko)
JPS61181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