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45B1 -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과, 이 블럭에서 이용되는 잭 및 플러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과, 이 블럭에서 이용되는 잭 및 플러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645B1
KR950008645B1 KR1019860005719A KR860005719A KR950008645B1 KR 950008645 B1 KR950008645 B1 KR 950008645B1 KR 1019860005719 A KR1019860005719 A KR 1019860005719A KR 860005719 A KR860005719 A KR 860005719A KR 950008645 B1 KR950008645 B1 KR 950008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jack
contacts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685A (ko
Inventor
벤다 마크
죠셉 킬로스 제럴드
올리버 레플로글 죠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오레그 이. 앨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755,152 external-priority patent/US4618194A/en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오레그 이. 앨버 filed Critical 아메리칸 텔리폰 앤드 텔레그라프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2Terminal blocks for distribution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6Cable ducts or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exchange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6Distribution frames with lin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5Backplan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과, 이 블럭에서 이용되는 잭 및 플러그 조립체
제1도는 다수의 디지탈 교차 접속 시스템(DSX) 프레임에 대한 정면도.
제2도는 DSX 프레임에 대한 배면도.
제3도는 DSX 프레임에 행 부분에 대한 정면도.
제4도는 DSX 프레임의 두 행의 단부에 대한 도시도.
제5도는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회로를 DSX 프레임상의 배면 터미널 상에서 중단시키기 위하여 적소에 배치된 접속 블럭을 구비하는 DSX 프레임의 단부에 대한 도시도.
제6도는 DSX 접속 블럭을 통한 회로 선로용 전기 배선도.
제7도는 접속 블럭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접속 블럭의 뒷판 부분을 형성하는 유연성 인쇄 배선판의 정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각각 접속 블럭용의 단단한 배선판에 대한 정면도 및 배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접속 블럭용 하우징 장치의 배면 부분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접속 블럭용 하우징의 배면 부분에 대한 측면도 및 배면도.
제15도는 접속 블럭용 하우징 장치의 배면 부분에 대한 밑면도.
제16도 내지 제24도는 접속 블럭의 하우징 배면의 각 부분을 따라 취한 도시도.
제25도는 핀을 접지 버스에서 단단한 배선판으로 통하게 하는 접속 블럭용 하우징의 배면 부분의 공동(cavity)에 대한 상세도.
제26도 및 제27도는 접점 및 교차 접속 단자용 하우징 배면 부분의 구멍에 대한 정면도.
제28도 내지 제31도는 접속 블럭용 하우징 장치의 정면부분에 대한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제32도 내지 38도는 접속 블럭의 하우징 장치의 정면 부분의 전체에 걸쳐서 서로다른 부분을 따라 취한 도시도.
제39도 내지 제42도는 각각 접속 블럭의 받침대용 부채형(fanning) 스트립에 대한 평면도, 측면도, 밑면도 및 정면도.
제43도 내지 제46도는 연결 블럭의 부채형 스트립 전체에 걸쳐서 서로 다른 부분을 취한 도시도.
제47도는 조립된 연결 블럭에 대한 도시도.
제48도는 블럭용 플러그에 대한 도시도.
제49도는 제48도의 플러그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50도 및 제51도는 제48도의 인쇄 회로 기판의 두 표면에 대한 도시도.
제52도는 제48도의 플러그의 단부에 대한 도시도.
제53도 내지 제59도는 제48도의 플러그의 쉘(sheel)에 대한 서로 다른 도시도.
제60도는 예비의 일시 선로용으로 이용된 잭의 횡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61도는 잭내에 삽입된 플러그를 구비하는 제60도의 잭의 횡 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62도는 제61도의 잭에 대한 평면도.
제63도는 회로를 조정하는데 이용된 잭의 횡 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64도는 잭에 삽입된 플러그를 구비하는 잭의 횡 부분에 대한 평면도.
제65도는 잭과 관련된 추적 램프를 소정 기간 동안 깜박이게 하는 회로에 대한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14 : 베이(프레임) 16, 18, 20, 22 : 접속 블럭 행
21, 23, 25, 27 : 잭 24, 26, 28, 30 : 접속 블럭
34, 38, 50 : 크로스암 41, 43, 45, 47, 49 : 제2터미널
32 : 받침대 58, 60, 62, 64, 66, 68, 70, 72 : 제1터미널
71 : 유연성 인쇄 배선판 74 : 단단한 인쇄 배선판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교차 접속 프레임(cross connect frame) 특히,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블럭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디지탈 교차 접속 시스템(DSY)은 두 디지탈 송신 선로를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장소를 제공한다. DSX용 장치는 일반적으로 중앙 전화국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 또는 베이(bay)에 배치되어 있다. DSX 장치는 또한 통신 선로에 잭을 접근시키는 역할도 한다.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 잭의 단일 패널은 베이틔 전체 폭에 뻗쳐있다. 이 때문에 패널로 작업할 때 유연성이 떨어진다.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케이블은 DSX 베이의 배면과 종단 장치의 측면으로 경로 배정되어(routed), 종단 핀으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블의 이러한 경로 배경 방법은 DSX 베이에서 케이블을 혼잡하게 만든다. 패널의 배면에 접근시키기 위하여 기능공은 패널을 수용하는 베이의 배면에 배치된 통로로 따라가야만 했다. 더우기, 종래 기술의 시스템에서는 매 패널단 약 50회로만이 이용될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서 새로운 잭과 플러그 조합체가 제공된다. 신규성의 한 양상은 지지용 쉘(shell)의 두 반쪽 부재 사이에 끼인 인쇄 배선판을 사용하는 것이다. 인쇄 배선판의 전면 부분은 잭에서 대응 전기 접점과 맞물리게 하기 위한 4접촉 영역을 갖는다. 접촉 영역중 둘은 나머지 돌보다 인쇄 배선판의 전면 모서리에 더 가까이 근접해 있다.
신규성의 또다른 양상은 잭을 형성하는 상기 전기 접점에 있다. 전기 접점중둘은 짧고 둘은 길다. 짧은 접점은 플러그의 인쇄 배선판의 전면 모서리에 더 근접해 있는 플러그상의 접촉 영역과 맞물리고, 긴 접점은 플러그의 인쇄 배선판의 전면 모서리에서 더 멀리에 위치해 있는 플러그상의 접촉 영역과 맞물린다. 두가지 서로 다른 조합이 이용된다. 한가지 조합에서는 각쌍이 정상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는 두개의 짧은 접점을 구비하는 두쌍의 접점이 이용된다. 다른 조합에서도 두 쌍의 접점이 이용되지만, 각 쌍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짧은 접점과 긴 접점을 갖는다.
신규성의 또다른 양상은 잭내에 플러그를 보유하는 유지 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다. 유지 스프링은 잭내의 멈춤쇠와 맞물린다. 유지 스프링은 잭내에 플러그를 보유하는 힘의 대부분을 제공한다. 전기 접점은 플러그에 대해 최소의 힘만을 작용하여, 전기 접점과 맞물리는 플러그상의 접촉 영역에 대한 필요한 물질을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마모 특성을 증가시킨다. 플러그와 잭의 신뢰도도 또한 개선된다. 개선된 플러그와 잭의 또다른 장점은 구형 부분으로 인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다.
멈춤쇠는 수직봉에 연결된 수평부재로 부터 형성된다. 이어서 수직봉은 접지 전위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지 스프링도 또한 접지 전위를 제공한다.
신규성의 또다른 양상은 플러그의 쉘내에서 한 회로(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두 타이머)를 이용하는 점이다. 회로용의 -48V 공급, 추적 램프 접속 및 접지는 긴 전기 접접점과 맞물리는 상기 두 접촉 영역과 유지 스프링에서 얻어진다. 이 회로는 플러그가 잭에 삽입될 때 잭과 연관되는 추적 램프가 초기에 회로에 의해 정해진 주기 동안 깜박인 후 불이켜지는 것을 보장한다. 둘 이상의 추적 램프가 상호 접속될 때, 몇가지 응용에서, 플러그가 대응하는 한 잭에 삽입될 때 모든 상호 접속 추적 램프가 불켜질 것이다. 부품의 결함으로 회로가 오동작할 때마다 플러그가 쉽게 대체된다.
[상세한 설명]
제1도에는 다수의 디지탈 교차 접속 시스템(DSX)의 프레임(10,12,14)에 대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프레임(10)에는 접속 블럭의 다수의 행(16,18,20,…,22)(양호한 실시예에서는 10행)이 도시된다. 특히, 나머지 행을 대표하는 행(16)에는 다수의 접속 블럭(24,26,28,…,30)(양호한 실시예에서는 8블럭)이 도시된다. 각각의 접속 블럭은 어떤 두 디지탈 시스템(제1도에 도시안됨)사이의 다수의 회로를 교차 접속하는데 이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속 블럭은 10개 회로를 교차 접속하는데 이용된다.
제2 또는 DSX 시스템의 배면도가 도시된다. 각각 디지탈 시스템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다수의 도체를 구비하는 케이블(11,13,15,…19)은 플로어(17)에서부터 상향으로 수원(water fountain)과 유사한 배열로 종속 배열되고, 행(16,18,20,…,22)에 있는 DSX 유니트의 터미널상에서 각각 종단된다. 또한 케이블은 플로어(17)로 향해 하향하는 실링 케이블 랙(ceiling cable rack)(도시되지 않음)으로 부터 폭포와 유사한 배열로 종속 접속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디지탈 교차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케이블은 프레임의 측면에 위치되어 케이블 혼잡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뚜렷한 장점은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배면의 전체폭을 사용하는데 있다.
제3도는 행(16)의 접속 블럭(24,26,28)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며, 간략하게 제4도에 대해 언급하면, 제4도에서 접속 블럭(24)이 프레임(10)의 두개의 크로스암(34,36) 사이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머지 접속 블럭의 실례가 되는 접속 블럭(24)은 하부 크로스암(34)의 상부상에 위치한 받침대(32)를 가지며, 접속 블럭(24)의 상부는 상부 크로스암(38)내로 물려지는 탄성 탱(tang)을 갖는다. 상부 크로스암(38) 및 하부 크로스암(34)은 상호 적절하게 접속 블럭(24)을 유지시킨다.
제3도에서 접속 블럭(24)은 상기 언급된 디지탈 시스템중 두 시스템을 접속하는데 이용되는 다수의 교차 접속 터미널(40,42,44,…,46) 세트를 가짐을 알 수 있다(양호한 실시예에서 10개의 세트). 다른 터미널 세트를 나타내는 터미널(40) 세트의 두개의 하부 터미널인 팁(tip) 터미널(43)과 링(ring) 터미널(41)은 입력(IN) 터미널, 세트(40)의 다음 두 터미널인 팁 터미널(47)과 링 터미널(45)는 출력 터미널, 가장 위에 있는 제5터미널(49)은 추적 램프(TL) 터미널이라 부르며, 이들 터미널의 기능은 이후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접속 블럭(24)은 일렬의 입력 잭(21,23,24,…,27), 일련의 MON 잭(51,53,55,…,57), 일렬의 추적 램프(TL)(61,63,65,…,67)를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각각 10개의 입력, 출력 및 MON 잭이 있다. 플러그(도면에서(61,62)로 나타남)가 예를 들어 출력 잭(31)내로 삽입되었을 때, 통상 선로는 플러그내의 회로를 포함하도록 차단될 것이다. 이러한 차단은 유지 또는 루틴 조정을 위하여 유연한 회로의 재정렬이 가능하도록 견고한 배선 교차 접속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데 유용하다.
제4도는 크로스암(50,52)내의 적소에 위치된 접속 블럭(56)을 갖는 프레임(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접속 블럭(24)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접속 블럭(24)의 배면에는 뒷판(71)내에 위치한 다수의 터미널(58,60,62,…,72)이 도시되어 있다. 뒷판(71)의 나머지로 부터 전방으로 외형을 이루는 상부(79)사의 다수의 핑거형 종단부(제4도에 도시되지 않음)는 단단한 배선판(74)상의 대응 핑거형 종단부와 접촉하며, 이것은 하기의 제7도 내지 제10도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유연성 배선판(71)의 나머지는 단단한 배선판(74)으로 부터 스페이서(73)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언급된 디지탈 시스템의 케이블 내의 도선은 하기에 제5도를 참조로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선위에 배선함으로써 상기 터미널에 대해 견고하게 배선된다.
터미널(58,60)은 출력 터미널로서, 상기 언급된 디지탈 시스템(제6도에 도시됨)와 첫번째 시스템으로 부터 DSX 접속 블럭(24)으로 링과 팁 도선을 종단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동일행에 이와 같은 5세트의 터미널이 있고, 5세트의 출력 터미널(62,64)을 갖는 또다른 행이 있다. 터미널(68,66)은 입력 터미널로서, DSX 접속 블럭(24)으로 부터 제1디지탈 시스템으로 링과 팁 도선을 종단시킨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5세트의 입력 터미널이 있으며, 또한 다른 행에는 입력 터미널(72,70)의 또다른 세트가 있다. 이러한 두 세트의 터미널은 유연성 배선판(71)상에 배선 경로의 분리를 최대화 시키도록 입력 단자 처럼 엇갈리게 된다. 상기 회로 경로는 이후으; 제6도에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전면부(78) 및 배면부(76)는 함께 다수의 터미널(41,…,49)용 하우징 유니트와 다수의 전기 접점을 형성하여, 이에 대해서는 이후의 제7도에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4도에서, 접속 블럭(24)의 받침대(32)는 그것의 하부 표면에서 하부 크로스암(34)의 상단부에 위치한 수직 슬롯(39)를 가진다. 하부 크로스암(34)은 위로 상승하는 패널(80)에 거의 평행하며, 홈통(trough)(84)을 형성하도록 수평 베이스(82)에 의해 패널(80)과 상호 접속된다. 한 세트의 터미널(40)과 예를 들어 제3도의 또다른 세트의 터미널(46)을 상호 접속시키는 도선(제4도에 도시되지 않음)은 홈통(84)내에 위치한다.
제4도에는 또한 접속 블럭(24)의 하우징의 전면부(78)상에 탄성체인 캔틸레버형 탱(cantilever-liketang)(36)이 도시되어 있다. 접속 블럭(24)이 프레임(10)을 향하여 죄어들때, 크로스암(38)의 하부 표면(87)은 탱(36)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여, 탱의 경사 상부 표면의 단부가 도달되고 탱(36)이 적절하게 접속 블럭(24)을 고정하도록 위로 늘어날때 까지 탱을 하향으로 하게 된다.
수직 슬롯(81)은 받침대(32)의 전방 돌출부(83)의 상부 표면내에 도시되어 있다. 수직 슬롯(81)은 접속 블럭(24)이 베이(10)외부로 꺽여질(snap)때, 크로스암(34)의 위로 상승하는 패널(80)의 링(85)과 한짝이 되도록 선택된다. 그렇게 위치되었을때, 접속 블럭(24)은 상기 언급된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도선을 종단시키기 위하여 뒷판상에 터미널(58 내지 72)을 노출시킨다. 이로인해 케이블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0)뒤에 공간이 없어도 된다. 그렇지 아니하면 이 공간은 도선을 터미널(58 내지 72)상에서 종단시키기 위하여 사람이 작업할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제5도는 크로스암(50)과 (52)사이의 위치로 부터 이동된 접속 블럭(56)을 도시한 것이다. 접속 블럭(56)의 받침대(77)상의 슬롯(89)은 케이블(75)로 부터의 도선을 종단시키기 위하여 터미널(91 내지 98)을 노출하도록 상승 패널(99)의 상부에지(90)사에 위치된다. 접속 블럭(56)의 하부 전면 표면(69)은 터미널(91 내지 99)에서 작업하는데 양호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상승 패널(99)의 전방 돌출 소자(79)애 받쳐서 있다.
제6도는 다른 접속 블럭을 대표하는 접속 블럭(24)에 대한 간단한 배선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1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한쌍의 팁 및 링 도선은 각각 홀(601,581)내에 설치되어 있는 터미널(60,58)상에서 종단된다.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 접속 블럭(24)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이러한 도선은 상기 제4도에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은 출력 터미널이다. 각각 홀(661,681)내에 설치되어 있는 입력 터미널로서 공지된 터미널(66,68)은 접속 블럭(24)으로 부터 제1디지탈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한상의 링 및 팁 도선에 접속된다. 제6도에는 또한 홀(101)내에 설치되고, 접지 전위에 접속되어 있는 터미널(100)(제4도 또는 5도에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어 있다. 터미널(102)(제4도 또는 5도에 또한 도시되지 않음)은 양호한 실시예에서 -48V인 전압 공급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홀(105)내에 설치되어 있다.
홀(101)내의 상기 접지 터미널(100)은 뒷판(71)상의 인쇄 배선과 단단한 배선판(74)의 양 표면상의 인쇄 배선을 통하여, 전기 접점(630)을 따라 배치된 도금된 관통 구멍(670)에 연결된다. 접지 전위는 버스(191)를 통하여 다른 유사 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홀(105)내의 수용된 상기 전압 공급 터미널(102)은 뒷판(71)상의 인쇄 배선을 경유하여, 단단한 배선판(74)의 양 표면상의 인쇄 배선을 통하여, 전기 접점(545)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도금된 관통 구멍(515)으로 접속된다. 전압 공급은 버스(172)를 통해 다른 유사한 터미널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홀(581)에 배치되어 있는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링 도선을 종단시키기 위해 이용된 출력 터미널(58)은 뒷판(71)상의 인쇄 배선과 단단한 배선판(74)상의 인쇄 배선을 통하여, 짧은 전기 접점(305)이 배치되어 있는 도금된 관통 구멍(315)에 연결된다. 링 홀(315)은 또한 저항(370)을 통하여 짧은 전기 접점(546)에 수용된 도금된 관통 구멍(516)에 접속된다.
상기 제1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 팁 도선을 종단시키는 출력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해 이용된 구멍(601)은 뒷판(71)상의 인쇄 배선과 단단한 배선판(74)상의 인쇄 배선을 통하여, 짧은 전기 접점(304)을 수용하는 도금된 관통 구멍(314)에 접속된다. 도금된 관통 구멍(314)은 저항(340)을 통해 짧은 전기 접점(547)을 수용하는 도금된 관통 구멍(517)에도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입력 터미널(66,68)용의 도금된 관통 구멍(661, 681)은 뒤판(71)상의 인쇄 배선과 단단한 배선판(74)상의 인쇄 배선을 통하여, 각각 도금된 관통 구멍(216, 217)에 접속된다. 구멍(216,217)은 각각 짧은 전기 접점(246,247)을 수용한다.
도금된 관통 구멍(400,420,440,460,480)은 접속 블럭(24)의 하우징 장치의 배면부(76)의 하부 전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터미널(41,43,45,47,49)(제4도에 도시됨)에 각각 위치한다. 터미널(41,…, 49)의 세트는 터미널(이를테면 제3도의(46))의 세트에 대응하도록 점퍼 도선에 의해 접속된다. 세트(40)의 TL 터미널(49)은 세트(46)의 대응 TL 터미널에 접속되며, 세트(40)의 팁 및 링 출력 터미널(47,45)은 세트(46)의 팁 및 링 입력 터미널에 접속되고, 세트(40)의 팁 및 링 입력 터미널(43,41)은 세트(46)의 팁 및 링 출력 터미널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언급된 두개의 디지탈 회로간의 교차 접속이 이루어진다.
추적 램프(TL)(61)용으로 사용된 도금된 관통 구멍(480)은 저항(380)을 통하여 도금된 관통 구멍에 접속되며, 그것의 기능은 아래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긴 전기적 접촉부(610)는 도금된 관통 구멍(650)에 위치한다. 도금된 관통 구멍(480)은 또한 직접 도금된 관통 구멍(514)에 접속되며, 긴 전기적 접점부(544)는 도금된 관통 구멍(514)에 위치한다.
도금된 관통 구멍(460,440)은 팁 및 링 츨력 터미널을 수용하며, 각각 도금된 관통 구멍(316,317)에 접속된다. 구멍(316,317)은 각각 짧은 전기 접점(306,307)을 수용하며, 전기 접점(304)와 상기 언급된 전기 접점(306)은 정상 위치에서 상호 접촉한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팁선로는 뒷판(71)에서의 구멍(601)내의 터미널(60)로 부터 제3도에서의 출력 잭(31)의 전기 접점(304) 및 구멍(314)으로, 그리고 터미널(47)이 설치되어 있는 구멍(460)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정상 위치에서, 전기 접점(305,307)은 상호 직접 접촉한다. 상기 언급된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의 링 선로는 뒷판(71)에서의 구멍(581)내의 터미널(58)로 부터 구멍(315)과 짧은 전기 접점(305)으로, 이어, 제3도에서의 출력 잭(31)의 구멍(317)내의 짧은 전기 접점(307)으로, 그 다음에 구멍(440)내의 터미널(45)로 설정된다.
제48도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질 플러그가, 제61도 내지 6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잭(31)내로 삽입될 때, 한쌍의 전기 접점(305, 307)과 (304,306) 사이의 회로 선로의 연속성을 플러그내로 회로가 삽입되도록 중단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출력 회로 경로는 검사되어질 수도 있다. 비상시에는, 플러그는 한 회로의 출력 잭으로 부터 또다른 회로의 입력 선로로 선로를 있는데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입력 터미널(66,68)의 링 및 팁 선로는 한쌍의 전기 접점(244,246)과 (245,247)사이의 직접 접촉 때문에 각각 입력 터미널(41,43)에 병렬식으로 접속된다. 상기 정상 전기 선로는 플러그가 입력 선로를 검사하거나 비상시 선로를 잇기 위하여 입력 잭(21)로 삽입될 때 중단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인 추적 램프(TL)(61)는 전기 접점(610)과 (630)사이의 삽입되는 두개의 긴 암을 갖는다. 상기 전기 접점은 각각 구멍(650,670)내에 위치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플러그는 회로를 검사하기 위하여 MON 잭(51)내로 삽입된다. 전기 접점(544,545,546,547)은 각각 구멍(514,515,516,517)내에 유치한다. 그러나, 접점(545,544)이 접점(547,546)보다 더 긴 것을 주목해야 한다. 플러그가 제6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를 검사하기 위하여 MPN 잭(51)내로 삽입될 때, 전압 공급 버스(172)로 부터의 접점, 제65도의 플러그회로, 접점(544), 저항(380), 추적 램프(61)를 통해 접지 전위로 흐르게되어 램프(61)에 불이 켜지게 된다.
더 짧은 전기 접점(546,547)은 저항(370,340)을 통하여 출력 선로의 링 및 팁 도선에 접속되어, 과도 전류가 흐르지 않아, 출력 선로가 모니터되는 동안 출력 선로내의 정보의 왜곡을 피할 수 있다.
제7도는 접속 블럭(24)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으로, 완전하게 조립된 접속 블럭(24)의 동일 크기의 도면은 제4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의 뒷판(71)은 다수의 터미널(588,608,628), 배선판(125) 및 배선판(12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있다. 유연성 배선판(125)의 표면(124)은 단단한 판(121)의 표면(122)에 결합된다. 단단한 판(121)은 유연성 판(125)가 터미널(588,628,…, 728)에 지지대를 제공한다.
구멍(589,609)에 끼워진 터미널(588,608)은 각각 한 회로에 대한 링 및 팁 출력 터미널을 나타낸다. 구멍(629,649)은 또다른 회로에 대한 출력링 및 팁 터미널(628,648)을 나타낸다. 상기 두 세트의 구멍(589,609,629,649)은 유연성 배선판(125)상의 배선 선로와 분리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호 엇갈리게 된다. 대응 입력 터미널(668(제7도에 도시되지 않음),688,708,728)은 구멍(669,689,709,729)내에 설치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디지탈 시스템 회로는 상기 언급된 터미널(688,708,728)은 구멍(669,689,709,729)내에 설치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디지탈 시스템 회로는 상기 언급된 터미널(588,…,729)상에서 종단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10세트의 입력 및 출력 터미널은 10회로에 대해 제공된다.
뒷판(71)의 밑면 에지(8)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2)의 슬롯(9)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제7도는 상기 언급된 터미널(588,…,728)로 부터의 배선 선로를 종단시키기 위한 다수의 핑거(104,106,110,…,149)를 도시한 것이다. 배선판(125)의 표면(126)상의 상세한 배선도는 제8도에 도시될 것이다.
제7도에서, 단단한 배선판(74)은 배선 표면(127)과 구성 표면(129)을 갖는다. 표면(127)은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유연성 배선판(125)의 표면(126)상의 핑거와 정합하는 다수의 핑거(제7도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제10도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단단한 배선판(74)의 구성 표면(129)은 또한 하기 상세한 도면에 도시된 다수의 도금된 관통 구멍을 통하여 표면(127)상의 배선과 통한다.
단단한 배선판(74)은 제11도 내지 27도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나사(그 중 하나가 구성요소(131)로 도시됨)에 의해 하우징 장치의 후단부(76)에 기계적으로 고착된다. 정렬 구멍(134)은 돌출하는 요소(174)를 갖는 후단부(76)상에 단단한 배선판(74)을 위치시키는데, 제12도 및 13도에 더욱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단단한 배선판(74)의 구성 표면(129)상의 구멍(136)은 접지 봉(138)의 일부인 접지 핀(135)을 수용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도금된 관통 구멍(136)은 단단한 배선판(74)의 표면(127)상의 접지 버스에 접지 핀(135)용의 인쇄된 배선에 의해 통로를 제공하며, 인쇄된 배선을 통하여 휘기 쉬운 배선판(125)의 표면(126)상의 핑거(104)와 상응하는 핑거를 통하여 터미널(제7도에 도시되지 않음) 및 접지 전위로 통로를 제공한다.
다수의 터미널 세트(그중 한 터미널은 구성 요소(419)임)는 대응하는 리세트 세트내에 박혀 있으며, 한 세트는 후단부(76)를 통하여 도면부호(409,…,489)로써 도시되어 있다. 리세스(409,429)는 각각 링 및 팁 입력 터미널을 수용하며, 리세트(449, 469)는 각각 링 및 팁 출력 터미널을 수용하고, 리세스(489)는 추적 램프(TL) 터미널을 수용한다. 접퍼 도선은 한 세트의 터미널을 또다른 세트의 대응 터미널에 접속시킨다. 각 터미널은 배면부(76)를 통하여 상기 언급된 리세트의 하나를 통과하여, 단단한 배선판(74)을 통하여 대응 도금된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돌출한다. 각 터미널은 리세스와 스냅 고정 피트에 대한 구멍내에 유지된다.
단단한 배선판(74)과 하우징 후단부(76)가 조립되어진 후에, 뒷판(71)은 예를 들어(201)로써 도시된 다수의 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조립체에 고착된다. 유연성 판(125)의 표면(126)은 예를 들어 구성 요소(103)로써 도시된 다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단단한 배선판(74)의 표면(127)으로 부터 분리된다.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형태의 스페이서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의 짧은 전기 접점(그중 2개가 제7도에 구성 요소(298,299)로써 도시됨)은 하우징 전면(78)에 의해 하우징 배면부(76)의 리세스 내로 수용된다. 리세스(294, 296)는 각각 접점(298,299)을 수용한다. 접점(298)은 입력 경로의 링 측면을 나타내는 리세스(409)내의 터미널(419)를 갖는 단단한 배선판(74)을 통하여 접촉한다. 접점(299) 및 리세스(296)는 단단한 배선판(74) 및 뒷판(71)을 통하여 디지탈 시스템에 대한 입력 선로의 링 측면과 접촉한다. 정상 위치에서 접점(298,299)은 서로 통하기 위하여 두 디지탈 시스템 사이에 직통 링 선로를 제공하여 상호 직접 접촉한다. 리세스(295,297)는 상호 전송을 위하여 두개의 디지탈 시스템 사이에 통신용 입력, 팁 전기 접점을 수용한다.
마찬가지로, 리세스(394,396,395,397)는 링 팁 출력 터미널(제7도에 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며, 한 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 뒷판(71), 배선판(74), 하우징 배면부(76)를 통하는 선로를 나타내며, 점퍼 도선은 또다른 디지탈 시스템에 입력 경로를 제공한다.
제7도는 또한 하우징 전면(78)에 의해 하우징 배면부(76)의 리세스(594)내에 수용된 긴 전기 접점(568)이 도시되어 있다. 접점(568)은 배선판(74)의 구성 표면(129) 상의 인쇄된 배선에 의해 하우징 배면부(76)와 리세스(489)내에 수용된 터미널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또다른 긴 전기 접점은 하우징 후단부(76)내의 리세스(595)와 리세스(594)내에 수용된다. 상기 터미널은 배선판(74)과 뒷판(71)을 통하여 배선에 의해 -48V의 공급부와 접촉한다.
리세스(594,595)에는 2개의 짧은 전기 접점을 수용하는 2개의 리세스(596,597)가 바로 인접해 있다. 그중 한개의 리세스는 구성 요서(569)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기 두 전기 접점은 각각 링 및 팁 출력 선로를 나타내는 리세스(395,394)와 접촉한다(제6도는 다음 선로에서 유용하다).
정상 위치에서 접점(568,569)은 서로 닿지 않는다. 단지 플러그가 회로 선로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삽입될 때에만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65도에서 도시된 플러그에서 테스트 회로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다.
제7도에는 하우징 전면부(78)에 의해 리세스(679,659)내에서 맞물린 한쌍의 긴 전기 접점(619,639)이 도시된다. 바람직한 실시에에서는 그러한 터미널 세트가 10개 있다.
접지 봉(138)은 세개의 수평부재(133,137,139)를 갖는다. 수평부재(133)는 다른 부재(137,139)와 마찬가지로, 회로 테스트를 위해 이용된 플러그상에 멈춤쇠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리세스(115,117,…, 119)를 구비하여, 테스트 기간동안 플러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수평부재는 또한 전술한 것으로서 접지 봉(138)을 통해 테스트된 회로에 대해 접지 선로를 제공한다. 접지 봉(138)은 배면부(76)의 전면(434)안으로 내장된다. 하우징 장치의 전면부(78)는 배면부(78)의 배면(350) 상위 부분에 배치되어, 접지 봉(138)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전면부(78)는 다수의 나사로 배면부(76)에 고정되고, 나사중 하나는 도면부호(266)으로 도시된다. 하우징 전면부(79)의 상세한 것은 제28도 내지 제38도에서 도시된다. 다수의 LED(61,63,…, 67)가 도시된다. 다수의 LED(67)는 두개의 긴 암 돌출부를 지니며 하우징 전면부(78)에서 리세스(699)를 통하여 삽입되어 접점(619,639)과 접촉한다.
하우징 전면부(78)는 하우징 배면부(76)내에 수용된 전기 접점의 대응 세트와 접촉하도록 테스트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멍 세트(21,…,27,31,…,37 및 51,…,57)를 갖는다. 예로, 구멍(27)은 수평부재(137)내에서 멈춤쇠로, 그리고 리세스(294,295,296,297)내에서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잭으로 접근하도록 한다.
받침대(32)는 하우징 배면부(76)의 하부면에서부터 돌출한 소자(715,717)가 받침대(32)를 통하여 각각 구멍(735), (737)으로 관통하도록 허용하고, 받침대(32)를 배면부(76)의 측면(436)에서 이 배면부 측면(432)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조립된다. 받침대(32)와, 이 받침대가 하우징 배면부(76)상에서 유지된 방법에 대해서는 제39도 내지 46도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8도에는 뒷판(71)의 유연성 인쇄 배선판이 도시된다. 상기 유연성 인쇄 배선판은 구조적 지지를 위해 제7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단단한 판(121)에 결속된다. 구멍(101)을 통해 삽입되고 접합부에 의해 구멍내에 유지되는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101)이 도시된다. 상기 터미널은 공지의 기술로 접지 전위(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인쇄 배선은 구멍(101)내의 터미널을 핑거(finger)(104)와 접속시킨다. 마찬가지로 인쇄 배선은 -48V의 전원을 제공하는 터미널을 핑거(106)와 접속시킨다.
남아 있는 구멍은 엇물림 방법으로 조직되어 있다. 구멍(581,601,661,681)은 디지탈 시스템에서 뒷판(71)까지의 출력 선로의 링 및 팁과 뒷판(71)에서 디지탈 시스템까지의 입력 선로와 대응한다. 상기 구멍은 핑거(110,…,113)에서 종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10개의 회로와 대응하는 10세트의 터미널 및 구멍이 있다.
제9도에는, 제7도의 단단한 판(74)의 표면(127)이 도시된다. 정렬 구멍(134,206)과, 단단한 판(74)을 하우징 뒷부분(76)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 구멍(130,132)과 뒷판(71)을 단단한 판(74)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 구멍(204,208)을 제외하고는, 관통하는 나머지 구멍은 전기적인 전도가 용이한 물질로 도금된다.
구멍(136)은 제7도의 접지 봉(138)으로 부터 접지 핀(135)을 수용하고, 접지 버스(191)에 접속되며 이 접지 버스는 핑거(190)에 접속된다. 핑거(190)는 뒷판(71)의 유연성 판(125)의 핑거(104)와 통한다. 구멍(770,771,772,…,779)은 접지 버스(191)에 접속된다.
제7, 8, 9 및 10도를 참조하면, 단단한 배선판(74)의 측면(129) 구성이 도시된다. 구멍(780,781,782,…,789)은 각각 인쇄 배선에 의해 구멍(750,751,752,…,759)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LED(67)가 하우징 전면(78)의 리세스(699)안으로 접속될 때, LED의 암은 전기 접점(619,639)과 접촉된다. 상기 두 접점(619,639)은 각각 하우징 후면(76)내의 리세스(659,679)를 통해 그리고 단단한 배선판(74)의 구멍(759,779)을 통해 돌출한다. 구멍(779)은 접지 전위에 접속되며 구멍(759)은 하우징 배면부(76)의 레세스(489)에서 구멍(789)을 통해 TL 터미널에 접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9 및 10도를 참조하면, 저항(389)의 한쪽 단부는 구멍(789)상에 종단되며, 반면에 다른 단부는 구멍(799)상에 종단된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저항(380,381,382,…)은 구멍(760과 790, 781과 791,782과 792,…)사이에 종단된다. 인쇄 배선은 구멍(590,580,570,…,510)과 구멍(799,798,797,…,790)을 연결한다. 구멍(510,520,530,…,590)은 제7도의 구성 요소(419)와 같은 터미널 각각을 스냅 로크 피트(snap lock fit)로써 수용하고 유지하도록 각각의 TL 구멍(880,881,882)과 연결된다. 구멍(510,520,530) 각각은 제7도의 구성 요소(568)와 같은 긴 전기 접점을 갖고 있다.
제9 및 10도를 참조하면, 구멍(511,521,531,…591)은 버스(17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구멍(511)은 핑거(192)와 더불어 인쇄 배선(193)에 의해 연결된다. 핑거(192)는 -48V로 공급하도록 핑거(106)와 통한다.
구멍(511,521,531,…,591)은 제7도의 구성 요소(568)로서 긴 전기 접점을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리세스(515,525,535,…,595)와 대응하여 정렬된다.
구멍(513,523,533,…,593)은 각각 구멍(900,901,902,…,909)에 인쇄 배선으로 연결된다. 저항(340,341,342,…,349)은 각각 구멍(900,901,902,…,909) 및 (910,911,912,…,919)사이에 연결된다. 구멍(910,911,912,…, 919)구성 요소(298)로서 제7도에서 도시된 것중의 하나인 짧은 전기 접점으로 수용 및 유지하도록 제7도의 하우징 전면(76)의 리세스(314,324,344,…,394)와 정렬된 구멍(314,320,330,…,390)인 인쇄 배선으로 연결된다. 구멍(910,911,912,…,919)은 인쇄 배선을 통해 또한 핑거(152,156,160,…, 188)에 연결된다. 핑거(152)는 뒷판(71)의 휘기 쉬운 판(125)상의 핑거(112)와 출력 신호의 팁 도선과 통한다. 그리하여, 이 핑거 세트는 출력 선로의 팁을 나타낸다. 구멍(513,523,533,…, 593)은 제7도의 하우징 후부(76)내의 큰 리세스(518,528,538,…,598)내의 리세스(517,527,537,…,597)와 정렬된다. 상기 리세스(517,…,597) 및 구멍(513,…,593)은 구성 요소(569)로서 제7도에서 도시된 짧은 전기 접점을 수용 및 유지한다.
제9 및 10도를 참조하면, 구멍(512,522,532,…, 592)은 인쇄 배선에 의해 각각 구멍(930,931,932,…, 939)에 연결된다. 저항(370,371,372,…, 379)은 각각 상기 구멍(930,…, 939) 및 구멍(920,921,922,…, 929)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구멍(920,…,929)은 다수의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8)로 도시됨)을 리세스 내부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배면부(76)내의 리세스(315,325,335,…, 395)와 정렬된 구멍(311,321,331,…, 391)에 연결된다.
구멍(512,522,532,…, 592)은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569)로 도시됨)을 리세스 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및 부분(76)의 리세스(518,528,538,…, 598)내의 리세스(516,526,536,…, 596)와 정렬된다.
구멍(920,921,922,…, 929)은 또한 핑거(153,157,161,…, 189)에 연결된다. 핑거(189)는 제7도의 단단한 배선판(71)상의 핑거(149)와 통하며, 출력 선로의 링 측부를 제공한다.
제9도는 참조하면, 인쇄 배선에 의해 구멍(840,841,842,…, 849)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구멍(313,323,333,…, 393)을 도시한다. 구멍(313,323,333,…, 393)은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9)로 도시됨)을 리세스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리세스(317,327,337,…, 397)와 정렬된다.
구멍(840,841,842,…, 849)은 터미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419)로 도시됨)을 리세스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각각 하우징 배면부(76)의 리세스(440,441,442,…, 449)와 정렬된다. 상기 터미널은 출력 선로의 링 도선을 나타난다.
제9도를 참조하면, 각각 구멍(860,861,862,…, 869)에 연결된 다수의 구멍(312,322,332,…, 392)이 도시된다. 구멍(860,861,862,…, 869)은 터미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419)로 도시됨)을 리세스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각각 리세스(460,461,462,…, 469)와 정렬된다. 상기 터미널은 출력 선로의 팁 도선과 대응한다. 구멍(312,322,332,…, 392)은 다수의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9)로 도시됨)을 리세스 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다수의 리세스(316,326,336,…, 396)와 정렬된다
정상 위치에서, 리세스(315,317)내의 접점들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접 접촉하므로, 뒷판(71)상에 종단된 디지탈 회로에서부터 제7도의 배면부(76)의 리세스(440)에 있는 터미널까지 이르는 출력 선로의 링 측부를 취한다. 점퍼(jumper) 배선은 리세스(440)의 터미널을 다른 하우징 배면부(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입력 선로의 링 터미널에 연결시킨다.
마찬가지로, 정상 위치에서, 리세스(314,316)내의 접점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접 접촉하므로, 뒷판(71)상에 종단된 디지탈 회로에서부터 제7도의 배면부(76)의 리세스(460)에 있는 터미널까지 이르는 출력 선로의 팁 측부를 취한다. 점퍼 배선은 리세스(460)의 터미널을 다른 하우징 배면부내의 입력 선로의 팁 터미널에 연결시킨다. 그리하여, 하우징 배면부(76)내의 리세스(440,460)는 출력 선로에 접근한다.
다시 제9 및 10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구멍(800,801,802,…, 809)은 인쇄 배선을 통해 다수의 구멍(210,220,230,…, 290)에 연결한다. 구멍(800,…, 809)은 터미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419)로 도시됨)을 스냅 로크 피트에 의해 리세스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다수의 리세스(400,401,402)와 정렬된다. 이것은 입력 선로의 링 측부를 나타낸다.
구멍(210,220,230,…, 290)은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8)로 도시됨)을 리세스 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배면(76)을 통해 다수의 리세스(214,224,234,…, 294)와 정렬된다.
구멍(211,221,231,…, 291)은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8)로 도시됨)을 리세스 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배면(76)의 리세스(215,225,235,…, 295)와 정렬된다. 상기 구멍(211,…, 291)은 인쇄 배선을 통해 구멍(820,821,822,…, 829)와 연결된다. 구멍(820,…, 829)은 다수의 터미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419)로 도시됨)을 스냅 로크 피트에 의해 리세스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배면부(76)내의 리세스(420,…, 429)와 정렬된다. 상기 터미널은 입력 선로의 팁 도선과 대응한다.
제9 및 10도를 참조하면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9)로 도시됨)을 리세스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배면부(76)을 통해 리세스(216,226,236,…, 296)와 정렬된 다수의 구멍(212,222,223,…, 292)을 도시한다. 상기 구멍(212,…, 292)은 단단한 배선판(74)의 표면(127)상의 인쇄 배선을 통해 핑거(150,154,158,…, 186)에 연결된다. 예로, 핑거(150)는 제8도의 뒷판(71)의 핑거(110)와 입력 선로의 링 측부와 통한다.
구멍(213,223,233,…, 293)은 인쇄 배선을 통해 다수의 핑거(151,…,183)에 연결된다. 예로, 핑거(151)는 제7도의 뒷판(71)의 핑거(111)와 입력 선로의 팁 측부와 통한다. 상기 구멍(313,…,293)은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99)로 도시됨)을 리세스 내에 수용 및 유지하도록 하우징 배면부(76)내의 다수의 리세스(217,227,237,…, 297)와 정렬된다.
정상 위치에서, 제6도의 구성 요소(244,246)와 같은 전기 접점은 리세스(214,216)내에 수용될때 서로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리세스(400)내의 터미널에서부터 뒷판(71)까지 다시 이 뒷판에서부터 디지탈 시스템까지 이르는 입력 선로의 링측부를 연장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상 위치에서, 리세스(215,217)내의 전기 접점은 서로 직접 접촉하여 리세스(420)내 터미널에서 뒷판까지와 거기서부터 디지탈 시스템까지 입력 선로의 팁 측부로 연장하도록 함께 작용한다.
제11도를 참조하면, 제7도에서 먼저 도시된 표면(434)을 도시하는 하우징 배면부(76)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6 내지 27도는 하우징 배면부(76)의 여러 부분을 상세히 도시하며, 그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연구에 있어 유용하다. 제11도에서는 다수의 리세스 쌍(650,670), (651,671), (652,672), …, (659, 679)이 도시되며, 각 리세스는 그 내부에 긴 전기 접점을 수용 및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예로 제7도의 구성 요소(619,639)와 같은 전기적인 접점의 각 쌍은 서로 마주보지만 대응 리세스(659,679)가 위아래로 단을 짓기때문에 맞닿지는 않는다. 그리하여, 2개의 리세스 열 : (650,651,652,…, 659) 및 (670,671,672,…, 679)이 있게 된다. 상기 리세스의 몇몇 교차 구분에서의 평면도가 제16도에서 도시된다. 상기 리세스 쌍내에 수용된 긴 전기 접점의 각 쌍은 발광 다이오드를 수용한다.
다시 제11도를 참조하면, 다수의 리세트 세트, 즉 (514), (515), (518)내의 (516)와 (517),…, (594), (595), (598) 내의 (596), (597)이 도시되어 있다. 리세스(514,515)는 위아래로 정렬된다. 마찬가지로, 리세스(516,517)도 위아래로 정렬되지만 보다 큰 리세스(518)내에 둘다 정렬된다. 또, 리세스(514,524,534,…, 594)는 동일 직선상에 있다. 마찬가지로, 리세스(515,525,535,…, 595)도 동일 직선상에 있다. 리세스(514) 및 (515)는 긴 전기 접점을 수용하며, 이 전기 접점은 정상적으로는 어떠한 다른 전기 접점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플러그가 잭 안으로 삽입될때 전기 선로는 단락되며 상기 리세스(514,515)내의 접점을 통해 전류가 흘러서 대응 LED를 점등시킨다. 예로, 리세스(516,518)는 제7도의 접촉(569)인 짧은 전기 접점들을 내장하며, 이 접점들은 제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선로의 링 및 팁 측부에 병렬 접속된다. 이들 리세스(예컨대, 514,515,516,517)와 이 내부의 전기 접점들을 합쳐 모니터(MON) 잭이라 부른다.
제17도를 참조하면, 일부 상기 리세스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정면 입면도에서는 더 큰 리세스(518)내에 있는 것으로 보였던 리세스(517)는 배면부(76)의 전체폭으로 연장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더 큰 리세스(518)는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상기 더 큰 리세스는 하우징 전면부(78)로 부터의 제31도에서 구성 요소(760,810)로 도시된 핑거형 돌출부를 수용하여 조립된 상태에 있을때 전기 접점을 제위치에 단단히 붙들어서 전면부(78)와 배면부(76)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20도를 참조하면, 더 큰 리세스(518)내의 리세스(516,517)에 대한 측면 입면도가 도시된다.
리세스(595,594)의 측면도는 제24도에 도시된다.
구멍(280,…, 284)은 하우징 전면부(78)와 하우징 배면부(76)를 고정시키도록, 나사(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266으로 도시됨)를 수용한다.
다시 제11도를 참조하면, 출력 잭을 구성하는 짧은 전기 접점을 수용하는 다수의 리세트 세트(314,315,316 및 317,…, 394,395,396 및 397)을 도시한다. 리세스(314 및 316,324 및 326,334 및 336,…, 394 및 396)는 동일 직선상에 있다. 마찬가지로, 리세스(315 및 317,325 및 327,335 및 337, …, 395 및 397)는 동일 직선상에 있다 게다가, 리세트(315,314)는 위아래로 되어 있다. 리세스(314,315)는 제7도의 구성 요소(288)와 같은 짧은 전기 접점을 수용 및 유지하고, 각각 출력 선로의 팀 및 링 측부와 대응한다. 리세스(314,315)내의 전기 접점은 정상 상태에서 리세스(316,317)내의 접점과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출력 선로의 팁 및 링은 단단한 배선판(74)상의 배선에 의해 리세스(460,440)내의 출력 터미널에 병렬 접속된다.
제18도는 리세스(314,316,324,326)를 통하는 부분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21도는 리세스(316 및 317)를 통하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11도를 참조하면, 입력 잭을 구성하는데 사용된 다수의 리세스(214,215,216 및 217,…,294,295,296 및 297)를 도시한다. 리세스(214 및 216,224 226,234 및 236,…,294 및 296)는 동일 직선상에 있다. 마찬가지로, 리세스(215 및 217,225 및 227,235 및 237,…, 295 및 297)도 동일 직선상에 있다. 게다가, 리세스(215,214)는 위아래로 놓여 있다. 상기 리세스는 짧은 전기 접점(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88)로 도시됨)을 수용 및 유지한다. 제6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리세스(216,217)는 입력 선로의 측부의 링 및 팁에 연결된다. 정상 상태에서 전기 접점을 갖는 리세스(214,215)는 각각 리세스(216 및 217)내의 접점과 대응하여 직접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선로의 링 및 팁 측부는 각각 리세스(400,420)내의 입력 터미널에 병렬 접속된다. 제22도는 리세스(216,217) 부분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다시 제11도를 참조하면, 5세트의 열로된 다수의 리세스를 도시한다. 각 리세스는 제7도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419)와 같은 터미널을 내장하며 스냅 로드 피트에 의해 유지된다. 각 리세스는 상술된 단단한 배선판(74)을 통해 하우징 배면부(76)의 윗부분내의 대응 리세스에 병렬 접속된다. 제1열은 추적 램프(TL) 터미널을 수용하는 리세스(480,…,489)를 구비한다. 다음 두 열의 리세스(460,…,469 및 440,…,449)는 출력 선로의 링 및 팁 측부를 내장한다. 가장 낮은 열의 리세스(420,…,429 및 400 내지 409)는 입력 선로의 링 및 팁 측부를 내장한다. 리세스(480) 부분내의 측면도는 제23도에서 도시된다. 리세스(441) 부분내의 평면도는 제19도에서 도시된다.
제26도는 잭을 구성하는 하우징 배면부(76)의 상반부내의 리세스를 자세히 도시한다.
간단히 제7도를 참조하면, 하우징 배면부(76)의 하부면으로 부터 돌출한 두개의 부재(715,717)를 도시한다. 상기 두 부재는 중앙 리브(716)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자세한 것은 하우징 배면부(76)의 하부 평면도를 도시하는 제15도에서 알 수 있다. 제7, 11 및 15도를 동시에 참조하면, 돌출 부재(715)를 향해 경사진 표면을 지닌 하우징 배면부(76) 바닥에 작은 죔쇠(730)를 도시한다. 받침대(32)가 돌출 부재(715,717)위에서 조립되고 램프(730)쪽으로 밀릴때, 경사진 표면은 죔쇠(731)에 밑으로 힘을 가한다. 약간의 탄성을 지닌 합성물질로 제조된 받침대(32)는 죔쇠(731)가 상방으로 스냅되어 제위치로 로크될때에 죔쇠(731)가 램프(730) 바로 밑에 올때까지 죔쇠에 부드러운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램프(730) 및 죔쇠(731)는 돌발적인 이탈을 방지하고 하우징 배면부(76)에 받침대를 잠그는 기능을 한다.
제12도 및 7도를 참조하면, 하우징 배면부(76)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돌출부(174)는 단단한 배선판(74)상의 리세스(134)와 함께 작용함으로써 단단한 배선판(74)과 하우징 배면부(76)를 정렬시킨다. 구성 요소(170,172)는 단단한 배선판(74)상에서 대응 구멍(130,132)과 정렬하여 2개 부재를 함께 고정시키는 수단이 된다. 하우징 배면부(76)상의 구성 요소(176)를 통하는 구멍과 단단한 배선판(74)상의 구멍(136)은 접지 봉(138)의 접지핀(135)을 수용하도록 함께 작용한다. 각각 경사진 표면(143,142)을 갖는 두개의 구성 요소(141,140)가 도시되어 있다. 구성 요소(141,140)의 상부 표면과 제7도의 탱층계참(362)상의 구성 요소(363,361)의 상부 표면은 연결 블럭(24)이 프레임내에 고정될때 제4도의 크로스암(38)의 하부 모서리(87)와 거리 직접 접촉한다.
제13 및 14도는 하우징 배면부(76)의 배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들을 아래에 기술되는 하우징 배면부(76)에 대해 상세한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28, 29, 30 및 31도를 참조하면, 하우징 전면부(78)의 정면, 상부 평면, 측면 및 후면도를 도시한다. 리세스열(690,…, 699)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 리세스는 LED(그중 하나가 제7도에서 구성 요소(67)로 도시됨)를 수용 및 수용한다. 리세스(690)의 상세한 것은 제38도의 정면도와 제36도의 부분도에서 도시된다. 리세스(690)는 LED의 돌출암 각각이 하우징 배면부(76)의 대응 리세스에서 접점중 하나와 접촉하도록 만들어진다. 예로, 리세스(690)는 리세스(650,670) 세트와 정렬된다.
다수의 리세스(51,…,57)는 MON 잭에 접근하도록 한다. 예로 리세스(51)는 리세스 세트(514,515,516,517)와 정렬된다. 각 리세스(51,…,57)에 바로 인접한 곳에는 두 열(760,…,769 및 810,…,819)로 정렬된 돌출 부재 세트가 설치된다. 배면(352)상의 리세스(51)에 근접한 곳에는 돌출 부재(760,810)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두개의 부재는 정 위치에서 견고하게 배면부(76)의 리세스(516,517)에서 접촉을 유지한다. 부분 평면도에서 접근 슬로트(55,57)에 대한 세부 사항은 제33도에서 도시된다.
하우징 전면부(78)상의 구멍(270,…,276)을 하우징 배면부(76)상의 구멍(280,…,286)과 정렬하여 다수의 나사(그중 하나는 제7도에서 구성 요소(266)로 도시됨)로 상기 두 부분을 고정시킨다.
다수의 출력 잭에 접근하는 리세스(31,…,37) 열이 도시되어 있다. 예로 리세스(31)는 제7도의 리세스 세트(314,315,316,317)내에서 접촉하도록 접근한다.
다수의 리세스(21,…,27)는 입력 잭을 위해 접근한다. 예로 리세스(21)는 제7도의 하우징 배면부(76)의 리세스(214,215,216,217)와 대응한다. 리세스(25,27)의 부분 평면도는 제34도에서 도시된다.
제29 내지 32도를 참조하면, 탱(36)은 프레임(10) 안으로 삽입될때 정 위치내로 조립된 연결 블럭(24)을 제4도의 크로스암(38)을 통해 안내하는 경사진 전방부(360)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도의 크로스암(38)의 바닥 가장자리(87)에 대항하는 위치에서 조립된 연결 블럭(24)을 유지하도록 제12도의 구성 요소(141,140)와 함께 작용하는 거의 편평한 상부 표면을 지닌 융기 릿지인 두개의 단부 구성 요소(361,363)가 있다.
두개의 융기 릿지(361,363) 사이의 공간은 연결 블럭(24)이 프레임(10)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제4도의 크로스암(38)상 자체의 그립을 느슨하게 하고 탱(36)을 내리누르도록 나사 드라이버 혹은 이와 유사한 도구의 삽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탱(36)의 경사 표면(360)은 탄력성 있는 발판 혹은 목(362)에 의해 하우징 전면부(78)에 연결된다.
제37도를 참조하면, 전면부(78)의 뒷면(352)으로 부터 보여진 LED 리세스(690)와 리세스(21,31,51)의 열을 상세히 도시한다. 제35도는 부분적으로 취한 측면도내의 리세스(51)를 상세히 도시한다.
제39, 41 및 42도를 참조하면, 받침대(32)의 상부 영역, 바닥 평면 정면도를 도시한다. 제45 및 46도는 좌측 및 우측에서 본 두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43 및 44도는 부분도를 상세히 도시하며, 제40도는 확대한 또 하나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일괄적으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핑거(710,711,712,…,719)를 구비하는 앞으로 돌출한 부채꼴 스트립(83)을 도시한다. 제7도의 도면부호 419와 같이, 터미널에 싸여진 점퍼 배선은 핑거(710,…,719)의 어떤 2개 사의 슬로트내에 넣어진다.
유사하게 후방으로 돌출한 부채꼴 스트립(733)은 다수의 핑거(740,741,742,…,749)를 갖는다. 이들은 제4도의 뒷판(71)의 터미널상에 싸여진 케이블 배선 리드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후방 돌출부(733) 부근의 받침대(32) 윗면을 따라난 세로 슬로트(9)가 도시되어 있다. 슬로트(9)는 제4도에서 보다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71)의 단부(8)를 수용한다.
후방 돌출 부분(83)에서 받침대(32)의 상부 표면을 따라난 세로 슬로트(81)가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도시된 상기 슬로트는 연결 블럭(56)으로 부터 바깥으로 돌출하는 터미널(91,…,98)상의 디지탈 시스템까지 도선을 종단시키면서 크로스암과 연결된 상향 돌출 패널(99)의 상부 모서리(90)상에 연결 블럭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된다.
받침대(32)의 바닥 표면을 따라 움직이는 또 하나의 새로운 슬로트(39)가 도시되어 있다. 예로 슬로트(39)는 제4 및 제5도에서 도시된 프레임에 조여질때 제4도의 크로스암(34)과 같은 크로스암의 상부 모서리를 수용한다.
또한 받침대를 통해 연장된 큰 구멍(735,737)을 갖는 받침대(32)의 일부분을 따라서 세로 슬로트(739)가 구비된다. 구멍(735,737)은 세로의 공동이 배면부(76)의 리브(716)를 수용하는 반면에 제7도의 하우징 배면부(76)의 돌출 소자(715,717)를 수용한다. 상술된 리세스(731)는 하우징 배면부(76)의 바닥 표면에서 돌출한 소자(73)를 수용한다.
리세스(731)를 지닌 단부에 위치한 받침대(32)의 상부 표면은 슬로트(739)의 측부를 따라 융기된 두개의 릿지(736,738)를 갖는다. 상기 릿지(736,738)는 받침대(32)의 상부 표면에서 받침대(32)의 한 단부 위쪽으로 차츰 가늘어진다. 상기 릿지(736,738)는 제15도의 돌출된 소자(715,717)에 대항하여 받침대(32)에 힘을 가하는 기능을 한다.
제48 및 49도를 참조하면, 플러그(940)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940)는 다수의 리벳(rivet)(951,…,957) 사이에 조여진 인쇄 배선판(942)을 구비한다. 유지 스프링(948)은 제7도의 전술한 접지 부재(133,137,139)와 함께 작용함으로써 잭내에 플러그(940)를 유지한다. 상기 유지 스프링(940)은 터미널(967)을 통해 또한 연결 블럭(24)의 접지 전위와 점퍼 케이블(950)의 실드(shield) 사이를 연결한다. 점퍼 케이블(950)은 영역(985)내에서 유지됨으로써 2개의 반쪽 쉘(944)내에서 고정된다. 점퍼 케이블(950)은 각각 터미널(968,969)에 연결된 팁 및 링 도선을 갖는다. 팁 및 링 터미널(968,969)은 각각 판(942)상의 인쇄 배선을 통해 접촉 영역(964,961)에 연결된다. 상기 접촉 영역은 플러그(940)가 내부에 삽입될때 재7도 혹은 47도의 MON 잭, 입력 잭 혹은 출력 잭에서 전기 접점으로 사용된다.
제50도를 참조하면, 제48도의 인쇄 배선판(942)의 측부(941)가 도시된다. 접촉 영역(961,964)은 크로스암(942)의 부근 단부(945)에 위치한다. 구멍(951,952,953)은 2개의 반쪽 쉘(944) 사이의 인쇄 배선판(942)을 고정시키도록 리벳 혹은 이와 비슷한 것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지 스프링(948)(제48도에서 도시된)과 접촉 영역(964,961)에 점퍼 케이블(950)을 각각 실드하고 팁 및 링 도선을 연결한느 세개의 터미널(968,969,967)가 되시되어 있다.
제51도를 참조하면, 인쇄 배선판(942)의 측부(94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면상에 사용되지 않은 터미널(965,966)이 되시되어 있다. 제48도의 유지 스프링(948)에 연결된 터미널(967)은 이하 제65도에서 상세히 도시된 타이머 회로(989)에 연결된다. 제51도에서 단부(945) 부근에는 회로(989)에 연결되는 두개의 접촉 영역(962,963)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접촉 영역은 예컨대 제6도의 구성 요소(544,545)인 두개의 긴 전기 접점과 결합한다. 하나의 그러한 긴 접점은 제7도에서 구성 요소(568)로 도시된다. 이들 긴 접접은 모니터(MON) 잭과 관련된다. 게다가, 이들 접점은 접촉 영역(964,961)에 정확히 반대하여 위치하지 않는다. 오히려 접촉 영역(962,963)은 접촉 영역(964,961)보다 훨씬 떨어진 측부(943)상에 위치한다. 이것은 플러그가 MON 잭안으로 삽입될때, 두개의 긴 전기 접점, 예로 제6도의 소자(544,545)가 접촉 영역(962,963)과 결합하고 반면에 두개의 짧은 전기 접점(546,547)은 접촉 영역(964,961)과 결합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정상 위치에서, 긴 접점(544,546)은 서로 닿지 않는다.
표면(943)상의 접촉 영역(962,963)과 표면(941)상의 접촉 영역(961,964)은 제7도의 잭내로 삽입과 인출을 지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지속성은 접촉 영역상의 전기 접점에 의한 압력을 충분히 낮게하여 접촉 영역 도금의 마모를 저감시킴으로써 생기게 된다. 전기 접점 압력은 제7도의 접지 버스(138)내의 멈춤쇠로 부터의 지지 때문에 감소된다.
플러그(940)가 제7도의 MON 잭(51)안으로 삽입될때, 제6도의 긴 전기 접점(545)은 회로(989)에 전압을 인가하는 접촉 영역(962)과 결합한다. 긴 전기 접점(544)은 회로(989)로 부터 저항(380)을 통해 추적 램프(61)과 TL 터미널(49)에 이르는 복귀 선로를 제공하는 접촉 영역(963)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추적 램프는 점등하게 된다. 점퍼 케이블은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TL 터미널과 TL 터미널(49)을 연결한다. 그리하여 추적 램프(61)가 점등되면, 대응하는 추적 램프 또한 점들될 것이다. 처음에, 추적 램프는 약 1분간 깜빡거리게 되어 기술자가 두개의 단부를 찾아낼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가 있다. 이 기능은 회로(989)에서 수행되며, 제65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52도를 참조하면, 플러그(94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쉘 반쪽(944)의 돌출부(946)와 쉘 반쪽(947)의 돌출부(949)는 두가지 기능을 한다. 그들은 앞단부에 있는 인쇄 배선판(942)을 고정시키며, 제48도의 유지 스프링(948) 단부(970)를 위한 자리를 제공한다.
제53도(정면), 제54도(좌측), 제55도(우측), 제56도(상평면), 제57, 제58 및 제59도(부분상세)에서 쉘 반쪽(944)에 대한 여러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리벳, 혹은 이와 유사한 것을 수용하는 구멍(951)을 갖는 정면 돌출부(946)가 되시되어 있다. 모서리(971)는 유지 스프링(948)의 단부(970)를 고정시키고 유지 스프링(948)으로 부터의 압축 및 팽창력을 흡수한다. 유지 스프링(948)의 다른 단부(974)는 모서리(975)에 걸린다. 또한, 다른 리벳, 혹은 이와 유사한 것을 위한 구멍(952,…,957)이 도시되어 있다. 공동(978)은 인쇄 배선판(942)의 표면(941,943)상에 장착된 구성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쉘 반쪽(944)의 영역(985)은 제48도의 케이블(950)을 죄어 제50도의 터미널(967,968,969) 종단 비틀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한 다수의 릿지(981,982,983,…,984)를 갖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역(985)내에 유지되는 테스트 코드(950) 주위의 금속 밴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제60도를 참조하면, 짧은 전기 접점(305,307)쌍을 구비하는 다수의 출력 잭을 갖는 제47도의 연결 블럭(24)에 대한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정상 위치에서, 접점(305,307)은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뒷판(71)에서 터미널(45)까지의 출력 선로의 링 측부와 연장하면서 서로 통한다. 접점(305,307) 바로 밑에는 제60도에서 도시되지 않은 접점 세트(304,306)가 되시되어 있다. 상기 접점(304,306)은 제6도에서 도시된, 뒷판(71)에서 터미널(71)까지 출력의 팁 측부를 따라 연장한다.
플러그(940)가 출력 잭(31)내로 삽입될 때, 인쇄 배선판과 함께 앞 부분(942)은 제6도에서 도시된 전기 접점쌍(305,307)과 (304,306)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접점(304,305)은 인쇄 배선판(942)상의 접점 영역(964,961)에 맞물려서,링 및 팁선로를 터미널(45,47)에서 분리시키나 케이블(950)의 링 및 팁 선로를 연장시키게 된다.
제62도를 참조하면, 부분적인 도면으로 제61도의 부분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접점 영역(962,963)은 표면(943)에서 볼 수 있으나 짧은 접점(306,307)과 맞물리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측부(941)상의 접점(304,305)은 접점 영역(964,961)과 맞물린다. 제60, 61, 62도는 또한 입력 선로에 대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출력 잭도 입력 잭과 비슷하다.
제63도를 참조하면, MON 잭 위치(51)의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잭은 긴 전기 접점(545)과 짧은 전기 접점(547)을 구비한다. 상기 접점(545,547)은 각각 하우징 배면부(76)의 리세스(515, 517)내에 내장되며, 스냅 로크 피트에 의해 유지된다. 접점(545, 547) 입구는 하우징 전면부(78)내의 구멍(51)을 경유한다. 연결 블럭(24)에 대해 같은 크기의 전개도 및 조립도가 제7 및 47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점(545, 547)은 서로 닿지 않는다. 상기 두 접점(545, 547)은 바로 아래에는 제63도에서 도시되지 않은 두개의 유사한 길고 짧은 접점(544,546)이 각각 있다.
제48,50,51,64도를 참조하면, 전기 접점(545,547)내에 삽입된 플러그(940)가 도시되어 있다. 긴 접점(545)은 접점 영역(962)에 맞물리며, 반면에 짧은 접점(547)은 접점 영역(964)에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제6도의 긴 접점(544) 및 짧은 접점(546) 둘다 각각 접점 영역(963,961)에 맞물린다. 전압원에서 나온 전류는 제6도의 뒷판(71)으로 들어가고, 점퍼 케이블이 연결되는 또다른 터미널(도시되지 않은)로 긴 접점(545), 접촉 영역(962), 회로(989), 접촉 영역(963), 긴 접점(544), TL 터미널(49), 점퍼 케이블을 통해 흐른다. 유지 스프링(948)은 제7도의 접지 부재(133)내의 리세스에 맞물리며, 이 부재는 접지 막대(138)에 의해 버스(191)로 연결되어 뒷판(71)을 통해 접지된다.
제65도를 참조하면, 전기 회로(989)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940)가 제64도의 MON 잭 위치(51) 안으로 삽입될 때, 전원은 집적 회로(998)에 인가되어, 회로 내부의 타이머(986, 987)를 동작시킨다. 집적 회로(998)는 한개의 단일 칩상에 두개의 타이머(986,987)를 포함하고, 엑서(Exar) 코포레이션에 의해 흔히 556 타이머로 설계되어 제조된 것과 같은 제품이다. 대안으로, 흔히 555 타이머로 설치된 2개의 독립적인 타이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타이머(987)중의 하나는 비안정 모드에서 동작하며 LED(61,…, 67)를 번쩍거리게 한다. 다른 타이머(986)는 단안정 모드에서 동작하며, LED(61,…, 67)를 온으로 남아 있게 하면서, 설정된 기간 후 번쩍거림을 멈추게 한다.
저항(991) 및 커패시터(996)는 함께 LED(61,…, 67)의 번쩍거림 속도를 결정한다. 저항(992)은 번쩍거림 주기의 오프대 온 비율을 결정한다. 저항(993) 및 커패시터(994)는 함께 번쩍거림 중단후의 기간을 결정한다. 저항(955)은 공급 전압을 -48볼트에서 약 -5볼트로 감소시키는데 이용된다. 커패시터(990)는 전원이 인가될때, 타이머(986)의 트리거 입력단(8)에 음전압을 인가하여 타이밍을 개시한다. 번쩍거림 기간의 끝에서는 단(9)으로 부터의 타이머(986)의 출력은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된다. 이것은 다이오드(998)를 전방향 바이어스시키고, 타이머(987)의 트리거 입력단(6)을 로우 상태로 유지하며 번쩍거림을 금지시킨다. 섬광 기간동안 단(5)에서 나온 출력은 대략 2Hz으 구형파이며, 전류 제한 저항(999)을 통해 NPN 트랜지스터(997)에 베이스 전류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997)는 다수의 추적 램프인 LED(61,63,…,67)를 구동시킨다.
번쩍거림 기간의 끝에서는, 단(5)에서 나온 출력은 하이 상태로 남고, LED(61,…, 67)는 온으로 남는다. 커패시터(996) 및 저항(91)에 의해 설정된 기간은 초당 약 두번의 번쩍거림을 발생한다.
저항(993) 및 커패시터(99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약 1분의 기간을 설정하는데, 이 기간 동안에는 LED(61,…, 67)가 번쩍거리게 된다. 저항(991)는 LED(61,…,67)가 번쩍거리는 속도를 결정한다. 이들 2개의 독립적인 수단에 의해서 번쩍거림 기간과 속도가 독립적으로 설정된다.

Claims (19)

  1. 제1디지탈 시스템과 제2디지탈 시스템 사이에서 회로가 설치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24,26,28,30)으로서, 다수의 수평 크로스암(34,38,50)을 구비하는 프레임(10,12,14)에 수용되며, 전면, 배면, 상면 및 하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디지탈 시스템으로 부터 도선(11,13,15,19)을 중단시키기 위한, 상기 접속 블럭(24)의 상기 배면상의 다수의 제1터미널(58,60,62,64,66,68,70,72)과 ; 상기 접속 블럭상의 다수의 잭(21,23,25,27 ; 31,33,35,37 ; 51,53,55,57)을 포함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럭(24)을 통해 전기 선로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상기 접속 블럭(24)의 상기 전면상의 다수의 제2터미널(41,43,45,47,49)과 ; 상부 및 하부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블럭(24)의 하면상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10)에서 상기 크로스암(34)중 제1크로스암의 상부 표면과 짝을 이루도록 받침대의 상기 하부 표면상에 길이방향 슬로트(39)를 포함하는 받침대(32)와 ; 상기 접속 블럭(24)의 상면상에 있고, 유연성이 있으며, 상기 크로스암(38)중 제2크로스암의 하부 표면과 제거가능하게 짝을 이루어 상기 제1과 제2크로스암(34,38)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10)내에 상기 접속 블럭(24)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탱(tang)(36)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선로는 상기 접속 블럭내의 다수의 회로 기판(71,74,121,125)상에 인쇄된 다수의 전기 도선(제6도의 8,9,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전방 돌출부 및 후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각각은 부채형 스트립(제39도의 83, 733)을 포함하며, 상기 부채형 스트립의 상부 표면은 상기 받침대의 상기 하부 표면상에 있는 상기 길이방향 슬로트와 거의 평행한 제1 및 제2길이방향 슬로트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길이방향 패널(80)의 거의 수평적인 상부 모서리(85)와 짝을 이루게 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패널은 상기 제1크로스암과 거의 평행하고, 상기 제2터미널들을 상호 접속하기 위하여 점퍼 도선이 배치되는 홈통(84)을 형성하는 거의 수평적인 부재에 의해 상기 제1크로스암에 연결되며, 상기 전방 돌출 부채형 스트립은 상기 제2터미널들을 상호 접속하기 위해 이동된 다수의 상기 점퍼 도선을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며, 상기 후방 돌출 부채형 스트립은 상기 제1터미널을 상기 제1디지탈 시스템 및 상기 제2디지탈 시스템과 접속하는 다수의 도선을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블럭이, 상기 제1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뒷판(71)과, 상기 제2터미널을 수용하여 상기 잭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76,7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은 상기 제1터미널에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단단한 판(121)에 결합된 유연성 판(125)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연성 판은 이 판위에 인쇄되고 상기 제1터미널에 연결된 다수의 배선 선로를 포함하며, 상기 유연성 판은 상기 배선 선로용으로 상기 유연성 판의 윤곽진 상부상에 배치된 다수의 제1핑거형 종단부(104,106,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장치는, 1) 인쇄 배선 측면(127)과 구성부품 측면(129)을 구비하되, 상기 인쇄 배선 측면이 상기 인쇄 배선판상에 인쇄된 도선을 종단시키기 위해 다수의 제2핑거형 종단부(예컨대, 190)를 구비하여 상기 제2핑거형 종단부가 상기 다수의 제1핑거형 종단부가 상기 다수의 제1핑거형 종단부와 접촉하게 만들고, 배선측면과 상기 유연성 판은 다수의 절연 스페이서(103)에 의해 분리되는, 단단한 배선판과, 2) 다수의 전기 접점(예컨대, 298,299)과, 3) 전면과 배면을 갖고, 상기 전면에서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제2터미널을 내부에 수용하여 유지하는 다수의 리세스(예컨대, 294,296)를 구비하고, 상기 배면에는 상기 단단한 배선판이 고정되는, 상기 하우징 장치의 배면부(76)와, 4) 상기 전면부의 상기 배면에 고정되는 접지 유니트(138), 및 5) 전면과 배면을 갖고, 상기 접지 유니트와 상기 전기 접점을 지나서 상기 배면부의 상기 전면에 고정되는, 상기 하우징 장치의 전면부(78)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면부와 전면부 사이에 갇혀 상기 접점을 상기 하우징 장치내에 용이하게 자동 조립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장치의 상기 전면부는 다수의 리세스의 제1행(예컨대, 699)을 포함하고, 각각의 리세스는 발광 다이오드(67)를 수납하며,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접점중 한쌍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전면은 리세스와 제2, 제3 및 제4행(예컨대, 57,37,27)을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 각각은 상기 접점 세트와 짝을 이루어 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8. 제7항에 있어서, 리세트의 제2행과 대응하는 상기 접점 세트는 한쌍의 긴 전기 접점(예컨대, 568)과 한쌍의 짧은 전기 접점(예컨대, 569)을 포함하며, 상기 긴 접점은 위아래로 배열되고, 상기 짧은 접점도 위아래로 배열되고, 하나의 짧은 접점(569)은 하나의 긴 접점(568)에 인접하고, 상기 긴 접점과 상기 짧은 접점은 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잭의 상기 제2행은 다수의 모니터 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행에서 각각의 접점 세트는 두쌍의 짧은 전기 접점(예컨대, 298,299)을 포함하고, 각 쌍에서 접점은 위아래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어 정상 위치에서 한쌍내에서 각각의 접점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탱(36)은 탄성이 있고, 거의 수평인 상부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부의 상기 상면으로 부터 캔틸레버(cantilever)형으로 돌출하며, 상기 탱의 상기 상부 표면은 소정 높이로 상기 수평 상부 표면에 거의 수직으로 상승한 다음에 상기 탱의 자유단 쪽으로 경사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접속 블럭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때 상기 탱이 상기 제2크로스암의 하부 표면으로 쉽게 구부려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
  11. 잭이 다수의 전기 접점과 다수의 추적 램프(61,63,65,67)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쉘이 제1 및 제2반쪽부재(944,947)와 ; 상기 쉘의 상기 제1 및 제2반쪽부재 사이에 끼워져 있고, 제1 및 제2표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표면(941)이 상기 잭내에서 상기 전기 접점과 맞물리도록 제1 및 제2접촉 영역(961,964)을 구비하는 인쇄 배선판(942)과 ; 상기 플러그를 상기 잭내에 제거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쉘내에 설치된 유지 스프링(948) ; 및 팁 및 링 도선과 접지 쉴드를 구비하되, 상기 팁 및 링 도선이 상기 인쇄 배선판의 상기 제1표면의 상기 제1 및 제2접촉 영역과 접촉하고, 상기 유지 스프링이 상기 접점 쉴드와 전기 접촉하는 서비스 코드(9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잭에서 각각의 삽입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배선판의 상기 제2표면(943)은 상기 잭내에서 상기 전기 접점과 전기 접촉하는 제3 및 제4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접촉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접촉 영역보다 상기 플러그의 전면 모서리(945)에서 더 멀리 되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제1 및 제2반쪽부재(944,947)는 제1 및 제2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쉘의 상기 제1 및 제2반쪽부재의 상기 제1단부는 상기 인쇄 배선판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유일의 T형 횡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T형 횡단면은 상기 잭내에 삽입될 때 상기 플러그가 정확히 배열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배선판이 상기 제2표면은 상기 추적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제65도의 989)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는 제5(963), 제6(962) 및 제7(967)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5터미널은 상기 제3접촉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제6터미널은 상기 제4접촉 영역과 연결되며, 상기 제7터미널(967)은 상기 유지 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제3접촉 영역은 상기 추적 램프중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4접촉 영역(962)은 상기 잭을 통하여 전압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소정 기간동안 상기 추적 램프가 깜박거리게 하는 수단(987)과 ; 상기 추적 램프가 깜박거리는 속도를 결정하는 수단(991,996)과 ; 상기 기간을 결정하는 수단(993,994) ; 및 상기 기간후에 상기 플러그가 상기 잭으로 부터 제거될 때까지 상기 추적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수단(9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제1(962), 제2(967) 및 제3(963) 터미널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회로는, 제1 및 제2타이머(986,987)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와 ; 상기 제1터미널이 전압원에 연결된 상황에서, 상기 타이머가 작동하기 시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터미널(962)과 상기 제1타이머(986) 사이에서 연결된 제1커페시터(990)와 ; 제1 및 제2단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단부가 상기 제2터미널(967)에 연결되고, 상기 제2단부가 제2저항(992)의 일단부와 제3저항(993)의 일 단부와 상기 제1타이머(986)와 상기 제2타이머(987)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992) 제3(993) 저항의 타단부를 각각 상기 제2 및 제1타이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타이머의 작동을 위해 상기 전압원의 값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되며, 상기 제2저항은 번쩍거림 주기의 온 타임 대 오프 타임의 비를 제어하도록 이용되는, 제1저항(995)과 ; 상기 추적 램프가 번쩍거리게 되는 기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3저항(993)과 함께 상기 제1터미널(962)과 상기 제1타이머 사이에 연결된 제2커패시터(994)와 ; 상기 타이머와 상기 제1터미널 사이에서 제3커패시터(996)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되, 제4저항(991)과 상기 제3커패시터 사이의 연결점이 상기 제2타이머에 연결되고, 제4(991) 및 제3저항(996)이 상기 추적 램프가 번쩍거리는 속도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제4저항(991)과 ; 베이스는 제5항(999)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5저항의 타단은 상기 제2타이머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상기 제1터미널(962)에 연결되고, 콜렉터는 상기 제3터미널(963)에 연결되고, 다수의 상기 추적 램프(61-67)를 구동시키는데 이용되는 NPN 트랜지스터(99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8. 제13항에 있어서, 제1 (305), 제2 (307), 제3 (304) 및 제4 (306) 전기 접점과 ;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전기 접점을 각각 수용, 보유하기 위한 리세스들로서, 상기 제1 및 제2접점(305, 307)이 정상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고, 상기 제3 및 제4접점(304, 306)이 정상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며, 상기 정상 위치는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1 및 제2접점 사이와 상기 제3 및 제4접점 사이에 삽입될때 차단되며, 상기 제1 및 제3접점이 상기 플러그 위에서 상기 제1(961) 및 제2(964) 접촉 영역과 접촉하는, 제1(315), 제2(317), 제3(314) 및 제4(316)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547), 제2(546), 제3(545) 및 제4(544)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전기 접점을 각각 수용, 보유하기 위한 리세스들로서, 상기 제3(545) 및 제4(544)전기 접점이 상기 제1(547) 및 제2(546) 전기 접점보다 길고, 상기 제1 및 제2전기 접점은 위아래로 배열되며, 상기 제3 및 제4전기 접점은 위아래로 배열되는, 제1(517), 제2(516), 제3(514)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및 잭.
KR1019860005719A 1985-07-15 1986-07-15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과, 이 블럭에서 이용되는 잭 및 플러그 조립체 KR950008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517185A 1985-07-15 1985-07-15
US06/755,152 US4618194A (en) 1985-07-15 1985-07-15 Connecting block for digital system cross-connect frame
US755,152 1985-07-15
US755,171 1985-07-15
US755171 1985-07-15
US755152 1985-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685A KR870001685A (ko) 1987-03-17
KR950008645B1 true KR950008645B1 (ko) 1995-08-03

Family

ID=2711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719A KR950008645B1 (ko) 1985-07-15 1986-07-15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과, 이 블럭에서 이용되는 잭 및 플러그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0209822B1 (ko)
JP (2) JPH0681337B2 (ko)
KR (1) KR950008645B1 (ko)
CN (1) CN1003550B (ko)
CA (1) CA1263970A (ko)
DE (1) DE36890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8865A (en) * 1986-04-02 1987-08-25 Teradyne, Inc. Circuit device for connection to contacts in a row
US4815104A (en) * 1988-01-11 1989-03-21 Telect, Inc. Digital telecommunications network, cross-connect module
DE3836668C1 (ko) * 1988-10-25 1990-03-08 Krone Ag, 1000 Berlin, De
DE4423339C1 (de) * 1994-06-20 1995-09-21 Krone Ag Verteiler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den Hauptverteiler von Fernsprech- und Datenleitungen
GB2299459B (en) * 1995-03-29 1998-09-30 Northern Telecom Ltd Equipment practice
FR2747877B1 (fr) * 1996-04-17 1998-06-05 Framatome Connectors Int Panneau de connexion a plusieurs rangees de prises
CN1075904C (zh) * 1996-05-21 2001-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插件板的连接方法及其结构
US20050265013A1 (en) * 2004-06-01 2005-12-01 Keith Scott M Modular communications shelf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A2978365A1 (en) * 2015-03-12 2016-09-15 Ge Aviation Systems Limited Power distribution ra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1974A1 (fr) * 1976-02-18 1977-09-16 Causse Raoul Dispositif de protection de lignes basse tension, notamment pour reseau telephonique
US4179170A (en) * 1978-03-13 1979-12-18 Cook Electric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telephone distribution equipment
FR2431230A1 (fr) * 1978-07-13 1980-02-08 Carpano & Pons Repartiteur
DE2901678B1 (de) * 1979-01-17 1980-04-17 Siemens Ag Verteiler fuer kleine 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US4288140A (en) * 1979-12-20 1981-09-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Printed wiring board interconn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00299B2 (ja) 1996-05-29
CN1003550B (zh) 1989-03-08
KR870001685A (ko) 1987-03-17
DE3689092T2 (de) 1994-04-28
JPS6224790A (ja) 1987-02-02
JPH0681337B2 (ja) 1994-10-12
JPH07143528A (ja) 1995-06-02
EP0518390A2 (en) 1992-12-16
EP0209822A3 (en) 1989-12-20
DE3689092D1 (de) 1993-11-04
EP0209822A2 (en) 1987-01-28
EP0209822B1 (en) 1993-09-29
CA1263970A (en) 1989-12-19
CN86105106A (zh) 1987-05-13
EP0518390A3 (en) 199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0933A (en) Jack and test plug
US4618194A (en) Connecting block for digital system cross-connect frame
US4768961A (en) Jackfield with front removable jack modules having lamp assemblies
US6632106B2 (en) Jack; jack assembly; and methods
US5432847A (en) Low frequency telecommunication digital network interface patch panel
US6358093B1 (en) Normal through jack and method
KR950008645B1 (ko) 디지탈 시스템 교차 접속 프레임용 접속 블럭과, 이 블럭에서 이용되는 잭 및 플러그 조립체
US6729910B2 (en) DSX jack LED activation and grounding system
KR20070030330A (ko) 롱프레임 고밀도 패칭 시스템
ATE29347T1 (de) Anordnung zum anschluss von hilfsleitungen an ein schaltgeraet oder eine schaltgeraetekombination.
US7553063B2 (en) Press-in place LED for a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US4784609A (en) Jack module with lamp assembly
US4363941A (en) Patch module
US4176257A (en) Telephone connector block
US4772562A (en) Jackfield with split front panel
US6619993B2 (en) DSX jack connection system
ATE212757T1 (de) Steckverbinder
US6830487B2 (en) Pin jack for a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ES2231909T3 (es) Aparato electrico.
US5800218A (en) S110 test adapter
US20020182932A1 (en) Jack assembly system
CN214100036U (zh) 一种线束连接器
CA1205934A (en) Telecommunications interface with protector modules
US20060040563A1 (en) DSX jack removal system
GB2156605A (en) Telephone connector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