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507B1 - 중량물의 이동기구 - Google Patents

중량물의 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507B1
KR950008507B1 KR1019910012390A KR910012390A KR950008507B1 KR 950008507 B1 KR950008507 B1 KR 950008507B1 KR 1019910012390 A KR1019910012390 A KR 1019910012390A KR 910012390 A KR910012390 A KR 910012390A KR 950008507 B1 KR950008507 B1 KR 95000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heel
shaft
ratchet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413A (ko
Inventor
미츠 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자파닉쿠
미츠 히로 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914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75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27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683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자파닉쿠, 미츠 히로 키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자파닉쿠
Publication of KR92000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6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tiltably-mount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 B60B33/0063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no swivelling action, i.e. no real ca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60B33/06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by use of a hinge and lever mechanism to swing wheel upwards relative to wheel m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60B33/004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the rolling axle being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중량물의 이동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의 일예로써 가설변소를 위한 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a)도 제2(b)도, 제2(c)도 및 제2(d)도는, 제1도에서의 이동기구의 작동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3도는, 제1도에서의 이동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이동기구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이동기구의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의 이동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1l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의 일예로써, 가설변소를 위한 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a)도, 제12(b)도, 제12(c)도 및 제12(d)도는, 제11도의 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13도는, 제11도의 이동기구의 차륜의 유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1도의 이동기구의 고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6(a)도, 제16(b)도, 제16(c)도 및 제16(d)도는, 제15도의 고정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의 차륜의 유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측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이동기구의 고정기구의 일부분이 절단된 사시도.
제20(a)도, 제20(b)도, 제20(c)도, 제2이(e)도 및 제2이(e)도는, 제19도의 고정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본대 2 : 가설변소
3 : 큰도어 4 : 하우징 홈 또는 오목부
5 : 핸들 장착부 6 : 핸들
7 : 차륜 10 : 지지축
11 : 유지판 12 : 차륜지지축
13, l4 : 연결구 15 : 삽입구
6 : 잠금핀 20 : 유지프레임
21 : 지지축 22 : 요동판
23 : 차륜축 24, 25 : 연결구
26 : 축 27 : 아암(지렛대)
28, 29 : 로드 30, 31 : 핀
32, 33 : 삽입구 34 : 스프링 시이트
35 : 케이블선 36 : 와이어
37 : 코일스프링 38 : 지렛대 수납기
39 : 지렛대 41 : 축 지지판
42 : 지지축 43 : U자형 요동체
44 : 차륜축 45 : 정방형 다리(러그)
46 : 축 47 : 잠금판
40, 49 : 걸어맞춤 노치(슬롯) 50 : 케이블선 하우징
51 : 케이블 52 : 스프링 혹크
53 : 코일스프링 54 : 상호 잠금 로드
61 : 축 지지판 62 : 지지로드
63 : U자형 요동체 64 : 축
65 : 기체 실린더 66 : 피버트
67 : 로드 68 : 핀
69 : 에어밸브 70 : 핀
71 : 작동판 72 : 와이어 수납기
73 : 케이를선 하우징 74 : 와이어
75 : 코일 스프링 81 : 축 지지판
82 : 지지축 83 : U자헝 요동체
84 : 차륜 85 : 래칫(ratchet)
86 : 케이블 하우징 수납기 87 : 래칫폴
88 : 축 89 : 케이블선 하우징
90 : 다이어 91 : 코일스프링
101 : 기본대 102 : 가설변소
107 : 차륜 108, 109 : 개구채널
111 : 프레임판 112 : 정방형 창(개구부)
113 : U자형 채널체 114, 115 : 평행폴 축
116, 117 : 래칫축 118, 119 : 요동축
120, 121 : 축 지지판 122 : 지지축
125 : 축판 126, 127 : 핀 구멍
128 : 일련축 구멍 129 : 아치형 래칫
130 : 폴체 131 : 폴 구멍
132 : 해제판 133 : 오목부
134 : 미끄럼 면 135 : 느슨한 개구
136 : 코일스프링 137 : 폴핀
140 : 프레임 141, 142 : 축 지지판
143, 144 : 축 145 : 지지축
146 : 고정기구 147, 148 : 핀
150 : 외부실린더 151 : 평편한 슬라이더
152 : 안내판 153 : 슬라이더
154 : 제어구(제어창) 155 : 내부돌기(반전돌기)
156 : 지지축 157 : 회전체
158 : 직선부 159 : 정지돌기
160 : 회전 오목부 161 : 규제돌기
225 : 평행판부
본 발명은, 그 위에 물체가 지지되고, 중량물 및 기본대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차륜를 가지는 상기 기본대와, 기본대 내부의 차륜(들)을 격납하기 위한 수단과로 구성되는 중량물 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번소, 발전기, 콤프레서, 가설주택, 컨테이너, 오일 탱크 등과 같은 중량물이 단거리로 이동되는 것이 필요한 많은 실예가 있다.
이들 중량물들은 앵커에 의해서 지면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지 않거나 또는 건조물에 병합되어 있지 않고, 그것이 사용될 다음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필요하므로, 그러한 중량물이 사용되는 위치에 반 고정되어 있다.
공구 및 도구와는 달리 가볍지 않으므로 이들 중량물을 이동 및 상승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중량물은 통상 포크 리프트 트럭의 포크에 의해서 또는 크레인의 케이블에 의해서 들려진다.
중량물은 크레인 또는 포크 리프트 트럭에 의해서 유연하게 운반될 수 있고, 조작자가 어려움없이 효율적으로 작업하기가 용이하게 되었다.
이들 중량물이 장거리에 운반될때, 크레인 및 포크 리프트 트럭은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들 중량물이 비교적 단거리, 예를 들어, 수십미터로 이동되려하면, 크레임 및 포크리프트 트럭은 복잡하고 비싸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 중량물이 설치될 위치로 운반된 후에, 수십 센티미터의 매우 짧은거리로 이들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해 크레인 포크리프트 트럭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인력으로 이동하기 힘들고, 단거리만 이동되는 것이 필요한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었다. 즉, 그에 의해서 중량물이, 크레인 또는 포크리프트 트럭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작업자에게 중량을 짐지우지 않고 간단한 장치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작업이 효율적으로 되는 장치가 요구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구가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물체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제1양태에 다른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는, 그 위에 중량물이 위치되는 기본대와, 기본대 상에 마련되고, 기본대 내부의 수축 위치와 기본대 아래에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 기본대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륜과, 걸어맞춤 가능하고 기본대의 하부면 아래에 돌출하는 돌출위치에 차륜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걸어맞춤 수단과, 기본대의 대향 길이방향 측으로 접힐 수 있는 접는 핸들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는, 그 위에 위치되는 중량물을 가지는 기본대와, 기본대 상에 마련되고, 기본대 내부의 수축위치와 기본대 아래에 돌출되는 돌출위치 사이에 기본대에 대하여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륜과, 차륜이 기본대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되는 돌출위치에서 차륜을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하고, 차륜과 기본대 사이에 중재되는 고정수단과, 기본대의 대향 길이방향 측에서 접혀질 수 있는 접는 핸들과로 구성된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3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위한 이동기구는, 가설변소가 중량물의 대표적인 예로써 사용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질적으로 가옥의 형상을 가지는 가설변소(2)는 대체로 평편한 기본대(1)상에 고정적으로 착설된다. 기본대(1) 및 변소(2)는 서로 통합된다. 그들은 통상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이고, 대체로 동일한 외부 크기이다. 기본대(10)의 내부는 속이 비었고, 그 외부는 변소(2)의 주변길이로써 동일 형상을 가지므로, 사실상 기본대는 변소의 하부 방향 연장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대(1) 및 변소(2)는 구조물면에서, 단일 구성으로써 조립된다.
가설변소(2)는, 그를 통해 사람이 변소로 들어가는 정면벽의 중심부에서 큰 도어(3)를 가진다. 홈 또는 오목부(4)는 도어의 하부 테두리 아래의 기본대(1)의 정면 벽에서 수평 연결부 및 도어의 대향측상의 변소(2)의 정면벽내에 마련되는 길이방향 다리부를 포함한다.
항징 홈(4)은, 정면에서 봤을때 대체로 U자 형상이고, 거의 도어(3)의 하반부와 접한다.
핸들 장착부(5)는 하우징 홈(4)의 다리 부분의 상단에 고정된다. u자 형상 핸드(69은 핸들 장착부(5)에 의해서 피버트로 지지된다.
핸들(6)은 하우징 홈(4)의 것과 대체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핸들(6)이 핸들 장착부(5)의 축에 대하여 하부방향으로 피버트 지지될대, 핸들(6)은 하우징 홈(4)내에 전체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차륜(7)은 그의 좌, 우측에 근접한 기본대(l)의 내부중공 공간내에 위치되고, 상기 차륜은, 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기본대 내부 및 그의 하부면위에 수납되는 상부 위치와 적어도 차륜의 주위부가 기본대의 하부면 아래에 연장되는 하부 위치사이에서 수직으로 요동가능하다. 차륜(7)은, 이하에 설명될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해체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중량물 즉, 가설변소(2)를 이동하기 위한 방법은, 제2(a)도 내지 제2(d)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2(a)도는 가설변소(2)가, 지면상에 놓여진 기본대(1)의 하부면과 지면상에 설치된 상태로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소(2)는 사용하지 않을때 격납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변소(2)는, 제2(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원래 위치에서 수 미터의 간격으로 떨어진 새로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변소(2)가 원래 위치에 인접하는 새로운 장소로 이동될때, 핸들(6)은 하우징 홈(4)에서 제일먼저 수축되고 제2(a)도의 X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상부 방향으로 상승된다.
핸들(6)은 변소(2)의 정면 벽에 대하여 우축 각도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상승된다.
핸들(6)은 장착부(5)상에 상부 방향으로 피버트 지지 가능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핸들(6)이 보다 높이 상승될때, 변소(2)에 대하여 우측 각도로 대체로 연장되는 위치로 유지된다.
핸들(6) 및 변소(2)가 상호간에 대하여 우측 각도로 연장되는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서, 제2(C)도에서 Y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핸들(6)을 상승하기 위해 더욱 적용되는 힘은 그의 배후 테두리에 대한 변소(2)의 정면 테두리 상승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전체로써 변소는 기본대(1)의 배후 끝단 테두리(Z)에 대하여 상부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본대(1) 내부에 수납된 차륜(7)은 규제범위로 중력에 의해서 그들 아래의 하부방향으로 피버트 지지되는 것이 자유롭다.
그 후에, 핸들(6)이 제2(d)도에서 W화살표의 방향으로 하강되고, 차륜(7)이 기본대(l) 아래에 매달려질때, 차륜(7)의 하부면은 지면에 접촉되고, 기본대(1)는 차륜(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차륜(7)은 핸들(6)을 밀거나 당겨서 지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다. 그것에 의해서 기본대(1) 및 변소(2)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기본대(1) 및 변소(2)가 차륜(7)에 의해서 지지되고, 그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음에 따라서, 변소(2) 등과 같은 중량물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변소(2)가 첫번째 위치로 이동되고, 차륜에 의해서 또한 지지되고 그 후에 가설변소(2)가 고정되는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서 사용되면, 작동의 순서는 상기 설명된 것에 대하여 역으로 되고, 즉, 그 순서는 제2(d)도, (c)도, (b)도 및 (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의 순서로 된다.
이하 설명은 기본대(1) 및 차륜을 고정하기 위한 기구내부의 차륜(7)의 수직요동에 관한 것이다.
제3도는, 차륜(7)을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낸다.
긴 지지축(10)은 그들 사이에 연장되고 기본대(1)의 좌우측벽에 의해서 지지된다.
한쌍의 연장유지판(11)은 기본대(1)의 중공 중심부 내부에 위치되고, 기본대의 좌우측벽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근접하게 위치된다. 판(11)은 축(10)상에서, 기본대(1)에 대한 수직요동을 위해 지지된다. 차륜지지축(12)의 대향 끝단은 유지판(11)에 의해 지지되므로, 축(12)은 판(1l1)으로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쌍의 차륜(7)은 그의 대향 끝단에 근접하는 축(1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연결구(13) 및 (14)은 축(10) 및 (12) 사이의 대략 중간에, 또한 유지판의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근접하여 유지판(11)내에 마련된다. 기본대(1)이 양 측벽은, 동시에, 연결구(13) 또는 연결구(14)중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합가능한 위치에 삽입구(15)를 가진다.
잠금핀(16)은, 잠금핀이 삽입구(15)와 연합될때, 연결구(13) 또는 (14)중의 하나내로 또한 삽입구(15)내로 미끄럼가능하게 삽입가능하다.
기본대(1)가 제2(a)도 및 제2(b)도에서 나타내진 바와 같이 위치될때, 유지판(11)은 상승위치에 있고, 잠금핀(16)은, 삽입구(15)내로 삽입되고, 그로 인하여 차륜(7)은 기본대(1)의 하부 테두리 아래로 연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잠금핀(16)이 연결구(13)로 부터 제거되고, 이동기구가 제2(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로 이동될때, 유지판(11)들 양자는 기본대(1)상승될때, 지지축(10)의 축에 대하여 하부방향으로 피버트 지지되므로, 차륜(7)은 하부방향으로 걸리수 있고, 기본대(l)의 하부 테두리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구(14) 및 삽입구(15)가 연합되도록,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될때, 잠금핀(16)은 삽입구(15) 및 연결구(14)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기본대(1)에 대하여 하부 방향 및 정방향으로 경사 위치에서 유지판(11)을 고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륜(7)의 주위 부분은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고, 기본대(1) 및 가설변소(2)는 제2(d)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굴려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이 매우 간단하지만, 그것은 2명의 조작원을 요구하고, 즉, 한 조작원은 핸들(6)을 조작하고 다른 조작원은 삽입구(15) 및 연결구(13) 및 (14)로 부터 핀(16)들을 제거하거나, 또는 삽입한다.
이것은 인력사용 효율면에서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제2실시예(제4도 및 제도)
제2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위한 이동기구는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2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한 조작원은 핸들(6)을 조작할 수 있고, 또한 도움없이 차륜(7)을 해제할 수 있다.
유지프레임(20)은, 기본대(1)의 내부 중심 부분에서 기본대(1)에 고정되고, 상기 기본대의 측벽들간에 연장된다.
프레임(20)은 그의 양 길이방향 끝단들에서 상부방향 연장 벽 부분을 가진다. 유지프레임(20)의 좌우 상부방향 연장 벽 부분은 기본대(1)의 좌우 측벽의 내부면에서 공간을 두고 위치된다.
유지프레임(20)은 그의 배후 끝단에, 축이 그의 배후 근처의 프레임(20)의 끝단에서 상부방향 연장 벽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지지축을 가진다.
지지축(21)은 유지 프레임(0)의 좌우상부 방향 연장과 기본대(1)의 측벽사이의 공간내에 위치되는 요동판(22)을 통하여 연장된다. 요동판(22)은 제1실시예의 판(11)에 해당한다.
요동판(22)은 기본대(1) 및 프레임(20)에 대하여 지지축(21)의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피버트 지지될 수 있다.
요동판(22)은 유지 프레임(20)의 폭 보다 길다. 차륜축(23)은 프레임(20)의 정면의 위치에서 상기 요동판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차륜축(23)은 그의 대향 끝단에서 그 위에 착설되는 차륜(7)을 가진다. 요동판(22)은 구멍(24) 및 (25)이 요동판(22)을 관통하는 그의 중심부에서 상부 및 하부 연결구(24) 및 (25)를 가진다.
축(26)은 유지 프레임(20)의 상부면에서 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렛대(27)는, 축(26)상에 피버트 지지로 착설된다. 로드(28) 및 (29)는 링크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핀(30) 및 (31)에 의해서 지렛대(27)의 대향 끝단에 피버트 지지로 연결된다.
로드(28) 및 (29)는, 유지 프레임(20)의 좌우측 상부방향 연장 측벽내에 마련되는 삽입구(32) 및 (33)를 통하여 각각 연장된다.
로드(28) 및 (29)는, 상승 또는 하강 위치에서 요동판을 해제가능하게 잠그기 위해 요동판(22)내의 구멍(24) 또는 (25)중의 하나내로 선택적으로 연장가능하다.
스프링 시이트(34)는 유지프레임(20)의 상부면의 중심부상에 핀(30)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유지프레임(20)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케이블선(35)은 그의 선단이 스프링 시이트(34)를 접촉하는 케이블 하우징을 가지고, 상기 케이블선은 로드(28)의 내부 끝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하우징 내부에 와이어(36)를 가진다.
코일 스프링(37)은 스프링 시이트(34)와 지렛대(27)사이에 중재되고, 와이어(36)는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연장된다.
지렛대(27)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코일스프링(37)에 의해서 항상 바이어스 된다.
케이블선(25)는 기본대(1)에서 핸들(6)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35)은 회전으로 핸들(6)상에 착설되는 지렛대 수납기(38)에 고정된다.
조작원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적용된 지렛대(39)는 지렛대 수납기(38)로 부터 돌출하고, 와이어(36)에 연결된다. 조작원이 케이블선(35)내의 와이어(36)를 당기거나 해제하도록 지렛대(39)를 작동할때, 지렛대(27)는 축(26)의 축에 대하여 회전된다.
차륜(7)은 제4도에서의 기본대(1)내부에 위치된다. 로드(28) 및 (29)가 삽입구(32) 및 (33)로 부터 돌출되고, 양 로드(28) 및 (29)가 하부연결구(24)내로 삽입되면, 요동판(22)은 상승 위치의 위치로 잠겨지고, 차륜(7)은 기본대(1)내부에 전체 수납된다.
기본대(1)가 제2(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6)에 의해서 경사될때, 지렛대(39)가 스프링(37)의 탄성력에 대하여 와이어(36)를 당기도록 당겨지면, 양 로드(28) 및 (29)는 연결구(24)로 부터 수출된다.
결과적으로, 요동판(22)은 지지축(21)의 축에 대하여 하부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차륜(7)은 요동판(22)과 함께 하강된다. 지렛대(39)가 해제될 때, 요동판(22)이 지지축(21)에 대하여 하부방향으로 요동되고, 차륜(7)이 하강되면서(제2(c)도), 와이어(36)는 스프링(37)의 탄성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동시에 아암(27)은 축(26)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로드(28) 및 (29)의 선단은 상부 연결구(25)내로 각각 삽입되므로, 요동판(22)은 요동판(22)이 유지 프레임(20)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태로 유지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따라서, 차륜(7)은 제2(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대(1)의 상부 및 하부면에 위치되므로, 차륜(7)은 지면을 접촉하고, 가설 변소(2)는 차륜(7)의 작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 의한 중량물을 위한 이동기구는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차륜(7)중의 하나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기구를 실예화한다.
다른 차륜(7)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기구는 동일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그의 도시가 불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축 지지판(41)은 기본대(1)의 측벽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지지축(42)은 기본대(1)의 대향측상의 축지지판(41)를 사이에 연장된다. 대체로 U자형 요동체(43)는 지지축(42)상에 수직으로 요동 가능하게 착설된다.
요동체(43)는 차륜(7)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제공한다. 차륜(7)은 그의 자유로운 끝단에, 근접한 위치에서 요동체(43)의 다리들을 통하여 그 사이에 연장되는 차륜축(44)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정방형다리(45)는 요동체(43)의 후부 끝단에서 부터 배후 방향으로 돌출한다.
잠금판(47)은, 축지지판(41)의 후부 하단 코너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축(46)에 의해 피버트 지지된다. 잠금판(47)은 축지지판(41)과 평행한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고, 그의 상부 정면 테두리에서 한쌍의 수직으로 일부 간격진 걸어맞춤 노치(48), (49)를 가진다. 케이블선 하우징(50)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케이블(51)은 그의 상부 후방향 코너에 근접하는 잠금판(47)의 상단에 연결된다.
케이블선 하우징(50) 및 케이블(51)은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지렛대 몸체로 연장된다. 스프링 훅크(52)는 그의 중심 근처의 축지지판(41)의 상부 테두리로 부터 돌출한다.
코일 스프링(53)은 잠금판(47)의 상단과 스프링 훅크(52)사이에 연결된다. 잠금판(47)은 항상 코일 스프링(53)에 의해서 차륜(7)으로 향하여 바이어스 된다. 상호 잠금로드(54)는 축(46)위의 잠금판(47)에 부착되고, 그의 다른 끝단은 다른 차륜(7)을 지지하기 위한 다른 잠금판에 연결된다. 양 잠금판(47)들은 동시에 그들의 축(46)의 축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다.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 기구의 작동은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륜(7)이 상승되고, 제2(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기본대가 지면상에 놓여질때, 러그(45)는 잠금판(47)의 하부측을 향하여 마련되는 걸어맞춤 노치(48)내에 수납되므로, 요동체(43)는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되고, 차륜(7)은 하강되지 않는다.
차륜(7)이 제2(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하강될때, 잠금판(47)은 와이어(51)를 당김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걸어맞춤노치(48)는 러그(45)로 부터 걸어맞춤 해제된다. 러그(45)는 잠금체(47)로부터 제거되므로, 기본대(1)가 제2(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될때, 요동체(43)와 함께 차륜(7)은 중력 때문에 지지축(42)의 축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요동한다. 결과적으로, 요동체(43)는 축지지판(41)에 대하여 하부방향으로 경사진다.
그후에, 와이어(51)가 느슨해질때, 잠금판(47)은 코일 스프링(53)에 의해서 되돌아오게 되고(시계 방향으로 피버트 지지), 러그(45)는 걸어맞춤 노치(49)와 걸어맞춤되고, 그로 인하여 잠금판(47)은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차륜(7)의 주위의 하부는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고, 제2(d)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잠겨진다. 그 상태에서, 차륜(7)은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고, 기본대(1) 및 변소(2)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차륜(7)이 그의 상부 위치에서 기본대(1)내부로 수납될때, 와이어(51)는 당겨지므로, 몸체(47)는 반시계방향으로 피버트 지지되고, 걸어맞춤 홈(49)은 러그(45)로부터 걸어맞춤 해제되고 요동체(43) 및 차륜(7)은 기본대 내로 상부방향으로 피버트 지지되고, 그리고 나서 와이어(51)는 느슨해지고, 러그(45)는 걸어맞춤슬롯(48)과 걸어맞춤된다.
제4실시예 (제9도)
제4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는, 차륜(7)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기체 실린더가 제공되어 있는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로드(62)는, 기본대(1)의 내부면에 고정되는 좌우축 지지판(61)들간에 연장된다. 차륜(7) 및 지지판(61)중의 하나만이 제9도에서 나타내진다. 다른 차륜 및 지지판은 동일 구성을 가진다. 대체로 U자형 요동체(63)는 로드(62)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차륜(7)은 요동체(63)의 다이들 사이에 위치되고, 요동체(63)상에 착설되는 축(64)에 의해서 그 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체 실린더(65)의 기본대는 피버트(66)에 의해서 축지지판(61)의 상단 상에 피버트 지지된다. 기체 실린더(65)의 로드(67)의 선단은 핀(68)으로 요동체(63)에 피버트 지지로 연결된다.
기체 실린더(65)는, 그의 내부로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에 의해서 막대가 이동에 대하여 기체 실린더를 고정하거나 또는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실린더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그의 상단으로 부터 돌출되는 에어밸브(69)를 가진다. 작동판(71)은 핀(70)에 의해서 피버트지지되고, 에어밸브(69)의 액츄에이터를 접촉할 수 있는 선단을 가진다. 수납기(72)는 작동판(71)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축지지판(61)에 고정된다. 케이블 선 하우징(73)은 판(71)에 대하여 지탱한다.
와이어(74)는 케이블선 하우징(73)으로 부터 연장되고, 작동판(71)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75)은 작동판(71)과 와이어 수납기(72)사이에 중재되고, 와이어(74)를 둘러싼다. 작동판(71)은 항상 코일스프링(75)에 의해서 상부 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차륜(7)이 수직으로 요동되고 고정될때, 제4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케이블선 하우징(73)내부의 와이어(74)는 당겨지거나 또는 미끄러진다. 즉, 와이어(74) 가 당겨질때, 작동판(71)은, 에어밸브(69)를 밀게 되도록 핀(70)의 축에 대하여 하부 방향으로 피버트 지지된다.
그리고 나서, 기체 실린더(65) 내부의 피스톤은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 로드(67)는 요동체(63) 및 차륜(7)의 피버트 지지를 허용하도록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와이어(74)가, 차륜(7)이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에 있을때 느슨해지면 (제2(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판(71)은 코일 스프링(75)에 의해서 되돌아오게 되므로, 에어 밸브(69)가 폐쇄된다.
그 결과로, 기체 실린더(65)가 로드(67)를 미는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요동체(63)는 상부 방향으로 되올아오지 않고, 차륜(7)은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돌출되는 상태로 유지될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제10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는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축 지지판(81)은 기본대(1)의 내벽에 고정된다. 지지축(82)은 기본대의 대향측상의 축 지지판(81)들 사이에 연장된다.
차륜(7) 및 지지판(81)들 중의 하나만이 제10도에서 지지된다. 다른 차륜 및 지지판은 동일구성을 가진다. 대체로 U자형 요동체(83)는 지지축(82)상에 요동가능하게 착설된다. 차륜(7)은 요동체(83)의 다리들 사이에 삽입되고 요동체(83)상에 착설되는 차륜축(8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팬 형상 또는 아치형 래칫(85)은 축지지판(81)에 근접하고, 그의 배후 부분에서 요동체(83)의 측면에 고정된다. 축지지판(81)은 래칫폴(87)이 피버트 이동을 위해 착설되는 축(88)을 가진다. 래칫폴(87)은 래칫(85)의 외부 원주상에 마련되는 이와 맞물린다.
축 지지판(81)은 그의 내벽상에 장착되는 케이블 하우징 수납기(86)를 가진다. 수납기(86)는 케이블선 하우징(89)의 선단에 연결되고, 케이블선 하우징(89)으로 부터 연장되는 와이어(90)는 래칫폴(87)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91)은 래칫폴(87)과 케이블 하우징 수납기(86)사이에 중재되므로, 래칫폴(87)은 코일스프링(91)에 의해서 제10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요동체(83)의 경사 위치는, 제5실시예에 의한 래칫폴(87)이 래칫(85)의 이와 맞물릴때 고정된다.
차륜(7)이 기본대(1)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될때, 와이어(90)는 당겨지고, 래칫폴(87)은 코일스프링(91)의 탄성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래칫(85)은 래칫폴(87)로 부터 걸어맞춤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래칫(85) 및 요동체(83)는 지지축(82)에 대하여 자유롭게 피버트 지지될 수 있으므로, 차륜(7)은 기본대(1)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 될 수 있다.
차륜(7)은 기본대(1) 내부에 전체 수납되거나 또는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돌출된다.
차륜(7)이 피버트 지지 이동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될 때, 와이어(9)는 느슨해지므로, 코일스프링(91)은 연장되고 래칫폴(87)은 래칫(85)의 이와 맞물린다.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기구의 구성으로, 차륜은 기본대(1)의 하부테두리 아래로 돌출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 또는 포크리프트 트럭을 사용함없이 인력으로 단거리 동안 중량물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형운반기구를 요구함이 없이 용이하게 물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실시예 (제11도 내지 제16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는 제11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횡단면이 대체로 U자형인 프레임핀(111)은 상기 기본대의 양 좌우측에서 기본대(101)의 하부로 병합된다.
하부방향으로, 개구채널(108) 및 (109)은 판(111)에 의해서 마련된다. 정방형창 또는 개구부(112)는 프레임판(111)의 중심 상부면을 통하여 마련된다. 대체로 U자형 채널체(113)는 창(112)의 한 끝단에 인접하는 판부에 고정된다. 2개의 평행 폴축(114) 및 (115)은, 각각 채널체(113)의 내부로 고정된다. 래칫축(116) 및(117)은 폴축(114) 및 래칫축(116)은 요동축(118)에 의해서 상호간에 연결되고, 폴축(115) 및 래칫축(117)은 요동축(119)에 의해서 상호간에 연결된다.
축 지지판(120)은 래칫축(116)의 선단에 연결되고, 축 지지판(121)은 래칫축(117)의 선단에 연결된다. 축 지지간(120) 및 (121)은 상호간에 평행하고, 차륜(107)은 그들간에 삽입된다.
차륜(107)은 축 지지판(120) 및 (121) 양자의 선단을 관통하는 지지축(12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4도는, 차륜(107)이 축 지지판(120) 및 (121)에 의해서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5도는, 폴 축(114) 및 래칫축(116)을 연결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축(115) 및 (117)들을 위한 기구는 동일하다. 폴축(114) 및 래칫축(116)은 강철판을 굴곡함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다.
축(1l4)은 상호간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축판(125)를 가진다.
축판(125)은 그의 중심부에서 핀구멍(126)과 일련으로 되고 그의 외부기본 부분에 인접하는 그의 부분에서 핀 구멍(127)과 일련으로 된다.
래칫축(116)도 또한 그의 선단에서 2개의 평행판부(225)들간의 간격은 측판(125)들간의 간격보다 작으므로, 2개의 평행판부(225)는 측판(125)들 사이에 수납될 수 있다.
일련축 구멍(128)들은 2개의 평행판부(225)를 통하여 마련된다.
아치형 래칫(129)들은 축(116)의 정면부에서 2개의 평행판부(225)의 외부 원주 주위에 형성된다.
폴 채(130)는 측판(125)들간의 내부 공간보다 적은 폭을 가진다. 폴(130)은 그의 후부에서 폴 구멍(131)을 가진다.
2개의 평행판부(225)들간에 함유되는 해제판(132)은 얇은 철판을 구멍뚫어 형성되고, 그의 외부 주위에서 오목부(133)와 오목부(133)로 부터 연장되는 면(134)을 가진다.
미끄럼 면(134)은 해제판(132)내에 마련되는 느슨한 개구(135)에 대하여 원호 형성이다.
폴축(114) 및 래칫축(116)의 조립은 이하에 설명된다.
폴 핀(137)은 핀 구멍(127)내로 삽입되고 또한 폴 구멍(131) 및 다른 핀 구멍(127)내로도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136)은 폴구엉(131)들 사이에 위치되고, 폴핀(137)은 그를 관통한다.
결과적으로, 폴체(130) 및 코일스프링(136)은 폴핀(137)에 의해서 동축으로 지지되고, 폴체(130)는, 제15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6)에 의해서 항상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결과적으로 피버트 축(118)은 핀구멍(126), 축구멍(l28), 느슨한 개구(135), 다른 축구멍(128) 및 마지막으로 다른 핀 구멍(126)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래칫축(116) 및 해제판(132)은, 느슨한 개구(135)가 축(118) 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해제판(132)이 축(118)상에 느슨하게 수납되면서, 피버트 축(118)에 의해서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기구(123)의 작동은, 폴 축(114)과 래칫축(116)간의 상호 관계를 도시하는 제16(a)도, 제16(b)도, 제16(c)도 및 제16(d)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제16(a)도는 폴축(114) 및 래칫축(116)이 직선 또는 선형 배열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폴체(130)는 래칫(129)의 이와 맞물리고 또한 오목부(133)내에 수납된다. 래칫축(116)이 제16(a)도에서 F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축(116)은 요동축(118)에 대한 폴축(114)에 대하여 회전되므로, 폴체(130)는 제16(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밀려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제판(132)의 오목부(133)내에 또한 수납되는 폴체(130)로, 해제판(132)은 회전되지 않고, 오히려 동일 위치로 유지된다.
그 후에, 래칫축(116)이 제16(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면, 폴체(130)는 래칫(129)과 맞물리고, 폴 축(114)과 래칫축(116)간의 각도 간격은 변화될 수 없고, 래칫축(116)은, 래칫축(116)이 폴체(130)와 맞물리므로, 래칫축(116)이 F화살표의 방향에 대향하는 상부 방향으로 밀려지더라도, 그의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지 않는다.
차륜(107)은 제12(b)도, 제12(c)도 및 제12(d)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대(101)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된다.
제16(b)도는, 중량물이 이동되는 상태, 즉 차륜(107)이 기본대(101)의 하부면 아래에 연장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6(c)도 및 제16(d)도는, 차륜(107)이 기본대(101)내부로 되돌아오는 상태를 나타낸다.
래칫축(116)이, 폴체(130)가 제16(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축(116)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태로부터, 래칫축(116)이 제16(c)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G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회전되면, 래칫축(116)의 돌기(H)는 해제판(132)의 후부위를 밀므로, 해제판(132)는 요동축(118)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첫번째 회전된다.
그후에, 오목부(133)와 이전에 맞물려 있는 폴체(130)는 스프링(136)의 탄성에 대하여 밀려지고 미끄럼면(134)의 외부원주를 미끄럼 가능하게 걸어맞춘다.
결과적으로, 폴체(130)는 미끄럼 면(134)을 접촉하므로, 폴체(130)는, 폴체 (130)의 대향방향에 래칫(129)의 회전의 규체를 해제하기 위해 래칫(129)으로 부터 걸어맞춤 해제된다.
따라서, 래칫축(116)은 폴축(114)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래칫축(116)은 제16(d)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J화살표의 방향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래칫축(116)의 선단(L)은 래칫축(116)이 제16(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축(118)에 대한 대향방향으로 회전하는 위치로 되돌아오기 바로 전에 해제판(132)의 후부를 접촉하므로, 해제판(132)은 요동축(118)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미끄럼 면(134)상의 폴체(130)의 선단은 폴체(130)가 래칫(129)의 이와 맞물리면서 오목부(133)와 다시 맞물리므로, 래칫축(116)은 제16(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온다.
제16(a)도 및 제16(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의 반복으로, 차륜(107)의 하강위치는, 폴축(114)에 대한 래칫축(116)의 경사각도가 지면에 대하여 가설변소(102)의 경사각도에 의존하여 각각 변화됨과 동시에 변화된다.
래칫축(116)은 이들 경사 각도에 의존하여 특정위치로 부터 해제되거나 또는 그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차륜(l07)은 그의 이동동안 특정위치에서 고정되거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변소(102)의 경사각도에 의존하여 자유롭게 당겨져 나오거나 밀려 들어 갈 수 있다.
제7실시예(제17도 내지 제20도)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기구는, 제17도가 제7실시예의 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8도는, 제17도의 이동기구의 측면도이고, 제19도는 제17도의 이동 기구에서 사용된 고정기구의 사시도인 제17도 내지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프레임(140)은 프레임판(111)의 상부면내에 창(112)의 정방향 및 후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고정된다.
프레임(140)은 얇은 철판을 굴곡함에 위해서 형성되고, 프레임판(111)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로 된 상부를 가진다.
축 지지판(141) 및 (142)은 그의 대향측상에 또한 프레임(140)의 하부측에 위치된다.
판(141) 및 (142)들은 그의 후단에서 축(143) 및 (144)에 의해서 프레임(14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차륜(107)은 축지지판(14l) 및 (142)의 선단 또는 장방향 사이에 삽입되고, 지지축(145)에 의해서 상기판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차륜(107)은 지지판(141) 및 (142)에 의해서 지지되고, 창(112)의 개구를 통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고정기구(146)는 핀(147) 및 (148)에 의해서 프레임(140)의 상부 및 축지지판(141)과 연결된다. 고정기구(146)의 내구 구성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고정기구(146)는 내부에 중공챔버를 가지는 외부 실린더(150)로 구성되고, 평편한 슬라이더(151)는 외부실린더(150)의 중공챔버내로 삽입되므로, 슬라이더는 실린더(150)내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외부 실린더(150)는 철판을 굴곡함에 의해서 형성되고, 그의 내부 횡단면이 직사각형이다. 슬라이더(151)는 외부 실린더(150)의 내부 폭 보다 미세하게 적은 폭을 가진다.
가이드판(152)은 슬라이더(151)의 후단에 고정되고, 외부실린더(50)의 내벽상에 미끄럼이동 가능하다.
블록형 가이드체(153)는 슬라이더(151)를 안내하기 위해 외부실린더(150)의 하부 개구의 좌, 우측에 고정되므로, 슬라이더(151)는 외부 실린더(150)의 중심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외부 실린더(150)는 그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에서 그의 측면을 통하여 슬릿 형상의 제어구(154)를 가진다.
또한 외부 실린더(150)는 실린더의 상부벽에 대해 우측각도로 실린더의 상부벽에서 내부로 연장되는 내부돌기(155)를 가진다.
그 돌기(155)는 외부 실린더(150)의 하단에 근접한 위치에서 내부위에 위치된다.
회전체(157)는 슬라이더(151)의 상부면상의 지지측(15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체는 제어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151)의 중심축에서 미세하게 갈라져 나온 회전 중심을 가진다.
회전체(157)는 직선부(158), 정지돌기(159), 회전오목부(160) 및 규제돌기(161)를 가진다.
직선부(158)는 상호간에 평행하고 다른부들은 상호간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고정기구(146)의 작동은 제20(a)도 내지 제20(e)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20(a)도는, 슬라이더(151)가 외부 실린더(150)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12(a)도의 상태와 대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51)는 외부 실린더(150)에 대하여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한다.
슬라이더(151)가 외부 실린더(150)의 내부로 최대 범위로 삽입되면, 고정기구(146)의 전체 길이는 가능한한 감소되고, 즉 전체 길이는 최단 가능 길이가 되므로, 차륜(107)은 기본대(101) 내부에 수용된다.
제12(b)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차륜(107)이 기본대(101)로 부터 하강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상태는 제20(a)도 및 제20(b)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슬라이더(151)가 제20(a)도에서 M화살표의 방향으로 외부 실린더(150)로 부터 당겨질때, 슬라이더(151), 회전체(157) 및 가이드체(152)는 외부 실린더(150)내에 길이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슬라이더(151)의 끝단부가 외부실린더(150)의 개구부에 근접하는 부분에 접근하면, 반전돌기(155)는 회전체(157)의 외부 원주를 접촉한다.
슬라이더(151)의 끝단부가 또한 외부 실린더(150)의 개구부를 접근하면, 반전돌기(155)는 회전체(157)의 회전 오목부(160)를 접촉하고, 그로인하여 회전체(157)는 제20(b)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N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정지 돌기(159)는 제어창(154)으로 부터 돌출된다.
그 후에, 슬라이더(151)가 제20(c)도에서 P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될때, 제20(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작동에 반대하므로, 슬라이더(151)는 외부 실린더(150) 내부에 상부방향으로 밀려지고, 회전체(157)는 경사 위치에 있으면서 이동된다.
회전체(157)의 이러한 이동동안, 회전 오목부(160)는 제어창(154)의 내부 테두리(U)와 접촉하고, 규제돌기(161)는 외부 실린더(150)의 내벽(V)을 접촉한다.
따라서, 회전체(157)의 위치는, 회전체(157)가 접촉하는 내부 테두리(U) 및 내벽(V)의 위치 및 지지축(156)의 중심에 의해서 형성되는 삼각형에 의해서 특정된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더(151)를 P화살표의 방향으로 미는 힘이 슬라이더(151)에 적용되더라도, 슬라이더(151)는 삼각형이 찌그러지지 않고 제20(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로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제20(c)도는, 차륜(107)이 기본대(101) 아래에 위치되어,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 설명된 것은, 슬라이더(151)가 제20(c)도에서 외부 실린더(150)내에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상태로부터 외부 실린더(150)내부로 하부 방향으로 밀려지는 경우이다.
슬라이더(151)는 제20(d)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Q화살표의 방향으로 제일 먼저 당겨지므로, 회전체(157)는 제20(c)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지면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직선부(158)는 내부돌기(155)를 접촉하고, 제20(d)도의 R화살표의 방향으로 제어창(154) 및 내부돌기(155)에 의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체(157)의 규제돌기(161) 및 정지돌기(159) 모두는 제어창(154)의 개구부로 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후에, 슬라이더(151)는 제20(e)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S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슬라이더(151)는, 슬라이더(151)가 제20(d)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Q화살표의 방향으로 더욱 당겨질 수 없는 상태에서 외부 실린더(150)내부로 밀려지도록 작동된다.
회전체(157)는 슬라이더(151)와 함께 외부 실린더(150)내부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부 직선부(158)는 제어창(154)의 내부 테두리를 접촉하고 제20(e)도에서 T화살표의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체(157)가 더욱 회전을 방지하는 접촉을 가지지 않음에 따라, 회전체(157)의 직선부(158)는 직선부(158)와 제어창(154)의 병합에 의해서 외부 실린더(150)의 내벽과 평행하게 회전되고, 회전체는 직선부(158)가 제20(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외부 실린더(150)의 내벽을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슬라이더(151)가 S화살표의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슬라이더(151)는 외부실린더(150)내에 그의 최대내부 가능위치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1)가 제20(a)도, (b)도, (c)도, (d)도 및 (e)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소정위치에 위치되고 당겨질때, 슬라이더(151)는, 내부로 길이방향으로 당겨질때, 실린더(150)내에 유지된다.
슬라이더(151)가 다시 당겨지면, 슬라이더(151)의 위치고정 상태는 해제되므로, 슬라이더(151)는 외부 실린더(150)내부로 밀려진다.
연속적인 작동의 반복으로, 가설변소(102)가 경사지는 간단한 작동으로만 제21(a)도, (b)도 및 (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본대(101) 내부의 차륜(107)을 수용하거나 또는 기본대(101)의 하부면 아래로 차륜(157)을 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구조로, 차륜은 기본대 아래에 고정적으로 노출되거나 나타내질 수 있고, 또한 물체의 간단한 경사로 기본대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그 결과로, 와이어 및 케이블 등과 같은 원격조정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성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가 목적을 도시하기 위해 상세히 나타내졌더라도, 부분 재구성을 포함하는 개시된 장치의 변동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15)

  1.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그 위에 상기 중량물(2)이 위치되어 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기본대(1)(101)와, 상기 기본대(1)(101)에 설치되어 이 기본대(1)(101)와 상기 중량물(2)이 지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기본대(1) 내부에 위치되는 상부위치와 기본대(1)(101)하부로 돌출하는 하부위치사이에서 기본대(1)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위치 및 하부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적어도 한쌍의 차륜(7)(107)과, 상기 차륜(7)(107)을 상기 하부위치에서 유지시키기 위한 해제기구(16 ; 28, 29 ; 45, 47 ; 65, 67 ; 85, 87 ; 129, 130 ; 150, 151)와, 상기 차륜(7)(107)이 상기 상부 및 하부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기본대(1)(101)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이동핸들(6)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기구.
  2. 제1항에있어서, 해제기구(16 ; 28, 29 ; 45, 47 ; 65, 67 ; 85, 87)는 기본대(1)의 하부면 아래로 돌출하는 차륜(7)을 유지하기 위해 차륜(7)과 걸어 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해제기구(129, 130 ; 150, 151)는 하부 위치에서 차륜(107)을 일시적으로 잠그기 위해 차륜(107)과 기본대(101)사이에 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핸들(6)은 중량물(2)의 벽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직립한 다리 및 그 사이에 기본대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어 각 다리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대략 U자형으로 구성되고, 중량물상에 핸들 다리의 상단을 피버트로 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중량물(2) 및 기본대(1)의 벽을 핸들(6)을 수납하기 위해 U자형 오목부를 함께 형성하는 벽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기본대(1)는, 그의 바닥에서 개방되는 중앙내부 개구부를 가지는 평면형으로 구성되고, 이 중앙 내부 개구부내에 차륜(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한쌍의 차륜(7)은 기본대 상에 피버트 지지로 착설되는 운반기(10, 11, 12 ; 21, 22, 23)상에 착설되고, 운반기는 그의 대향측상에 2개의 수직으로 간격진 쌍의 개구부(13, 14 ; 24, 25)를 가지고 기본대는 그의 대향측의 한쌍의 개구부(15 ; 32)를 가지고, 차륜의 위치에 응하여 운반기내의 2쌍의 개구부의 하나 또는 다른 것과 선택적으로 일련가능하고, 제거가능 잠금핀(16 ; 28, 29)들은 위치들중의 하나 또는 다른 곳에서 차륜을 해제 가능하게 잠그기 위해 운반기 내의 일련 개구부 및 기본대 내의 개구부를 통하여 수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운반기는 기본대(1)상에 피버트 지지로 착설되는 한쌍의 평행한 요동판(11, 11 ; 22, 22)와, 요동판들 간에 연장되는 축(12 ; 23)과, 축상에 착설되는 차륜(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기본대는 요동판(22, 22)들 사이에 위치되는 내부프레임(20)과, 기본대 및 운반기내의 개구부의 외부 및 그 내로 잠금핀(28, 29)들을 이동하기 위해 내부 프레임 상에 착설되는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작용수단(27, 35, 39)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10. 제6항에 있어서, 차륜(7)은 요동체(43)와, 요동체가 상호간에 수직으로 동시에 비퍼트 지지되도록 요동체에 연결되고, 기본대(1) 상에 착설되는 축(42)과, 2개의 수직방향 간격진 위치들 내에 요동체를 선택적으로 잠그기 위해 요동체(43)들 중의 하나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버트 지지 잠금간(47)과, 잠금간(47)을 피버트 지지 하기 위한 수동 작동수단(51)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11. 제6항에 있어서, 차륜(7)은 요동체(63)와, 요동체가 상호간에 동시에 수직으로 피버트 지지 가능하도록 양 요동체(63)들에 연결되고, 기본대(1) 상에 착설되는 축(62)와, 2개의 수직으로 간격진 위치들 내에 요동체를 선택적으로 잠그기 위해 요동체(63)중의 하나와 기본대 사이에 연결되는 압력유 작동 실린더(65)와, 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한 밸브(69) 및 밸브를 작동하기 위한 수동작동수단(71)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12. 제6항에 있어서, 차륜(7)은 요동체(83)와, 요동체가 상호간에 동시에 수직으로 피버트 지지할 수 있도록 양 요동체들에 연결되고, 기본대상체 착설되는 축(82)과, 2개의 수직으로 간격진 위치들 내의 요동체들을 선택적으로 잠그기 위해 기본대와 요동체들 중의 하나 사이에 연결되는 래칫(85) 및 폴(87) 기구와, 폴을 작동하기 위한 수동작동수단(89)상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기본대(101)가 그의 대향 끝단에 각각 인접하여 위치되고 차륜(107)이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그의 망에 개구부(112)가 형성된 한쌍의 하부방향개구 채널형 부재(108)를 가지는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이의 망상에 차륜(107)이 설치되며, 그의 배후 테두리에 대하여 기본대의 피버트지지에 응하여 그 위치내에서 차륜을 해제 가능하게 잠그기 위한 수단(123 ; 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해제가능 잠금 수단은 채널형 부재와 그의 결합된 차륜 사이에 연결되는 래칫축(116) 및 폴축(114)과, 래칫 및 폴이 상호간에 걸어맞춤되도록 적용되는 폴 축상의 폴(130) 및 래칫축 상의 래칫(129)과, 래칫으로 부터 폴을 선택적으로 해제하고, 래칫축의 수직이동에 응하여 그를 재걸어 맞춤하기 위한 해제판(1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해제 잠금수단은 각 차륜을 위하고, 수직으로 간격진 위치들 사이의 실린더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채널형 부재와 그의 결합 차륜사이에 연결되는 슬라이더(151) 및 수직 실린더(150)와 구성되는 고정기구(146)와 그 위치에서, 슬라이더를 해제 가능하게 잠그기 위해 슬라이더의 수직 위치에 대응하는 잠금 수단(15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이동기구.
KR1019910012390A 1990-07-19 1991-07-19 중량물의 이동기구 KR950008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1420A JP2575933B2 (ja) 1990-07-19 1990-07-19 仮設便所の移動機構
JP191420 1990-07-19
JP227243 1990-08-29
JP2227243A JP2516835B2 (ja) 1990-08-29 1990-08-29 仮設便所の移動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13A KR920002413A (ko) 1992-02-28
KR950008507B1 true KR950008507B1 (ko) 1995-07-31

Family

ID=2650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390A KR950008507B1 (ko) 1990-07-19 1991-07-19 중량물의 이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32232A (ko)
EP (1) EP0467670B1 (ko)
KR (1) KR950008507B1 (ko)
AU (1) AU638584B2 (ko)
CA (1) CA2047265A1 (ko)
DE (1) DE6910771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7659A1 (de) * 1998-02-21 1999-08-25 Wolfgang Maichen System zum Abdichten von Räumen
US7401804B1 (en) * 2004-06-22 2008-07-22 Rupp Ronald L Portable transportation assembly
US7163212B1 (en) * 2004-06-22 2007-01-16 Rupp Ronald L Portable transportation assembly
CA2581957A1 (en) * 2006-03-16 2007-09-16 Wenger Corporation Convertible cart
JP2010511848A (ja) * 2007-04-16 2010-04-15 ヴァレンティノ・ヴァレンティーニ 転がりベアリングおよび当該転がりベアリングを備える免震装置
US7717440B1 (en) * 2007-10-12 2010-05-18 Ahmad Baba Adaptable luggage cart for transporting items between remote locations
US20100025174A1 (en) * 2008-08-01 2010-02-04 Dayton Douglas C Retractable suspension
US20100050333A1 (en) * 2008-08-29 2010-03-04 Jenkins Elizabeth M Portable toddler potty seat
US8061722B2 (en) * 2009-01-16 2011-11-22 Price Nathan L Collapsible dolly
US8448958B2 (en) * 2009-03-17 2013-05-28 Allied Forward Motion LLC Collapsible dolly
US8272829B1 (en) * 2009-12-30 2012-09-25 Rupp Ronald L Trailer assembly
US9074382B2 (en) * 2010-10-28 2015-07-07 Kevin Cheng Multi-user portable toilet
CN201933588U (zh) * 2011-01-07 2011-08-17 厦门瑞尔特卫浴工业有限公司 一种用于增强马桶虹吸负压的吸气装置
US9415786B1 (en) * 2014-03-17 2016-08-16 Daniel P. Lorrigan Expandable cooler cart
US10071303B2 (en) 2015-08-26 2018-09-11 Malibu Innovations, LLC Mobilized cooler device with fork hanger assembly
KR101635342B1 (ko) 2016-05-02 2016-06-30 노계훈 다중 진동형 땅속작물 수확기
US10807659B2 (en) 2016-05-27 2020-10-20 Joseph L. Pikulski Motorized platforms
USD869244S1 (en) 2018-05-13 2019-12-10 Yeti Coolers, Llc Portable insulating container
US10780739B2 (en) 2018-06-15 2020-09-22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a gaming machine cabinet
US11357367B1 (en) 2019-12-09 2022-06-14 William Capek Modified portable commode cabana with a private urinal cabana
CN112932192B (zh) * 2021-03-05 2022-06-21 江西金虎保险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恒温恒湿智能文物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33473A (en) * 1924-12-19 1927-06-21 Art Metal Construction Co Guiding or controlling mechanism for trucks or the like
US1921420A (en) * 1931-04-11 1933-08-08 O D Jennings & Company Retractable supporting gear
US2672349A (en) * 1952-02-26 1954-03-16 John M Brock Mobile workbench
US2878029A (en) * 1955-02-21 1959-03-17 Fazit Ges Fur Transporttechnik Shipping and piling container with runner rollers and supporting means
US3685851A (en) * 1970-04-27 1972-08-22 Sheldon & Co E H Mobile cabinet
DE2818063A1 (de) * 1978-04-25 1979-10-31 Oswald Brunn Kombinationsmoebel
US4230329A (en) * 1978-10-16 1980-10-28 William H. Lambert Mobile cart
DE8213676U1 (de) * 1982-05-12 1982-09-02 Krüger & Tielkes KG, 4290 Bocholt Transportable raumzelle, insbesondere messekabine
DE8505685U1 (de) * 1985-02-28 1985-04-25 Schäfer Werke GmbH, 5908 Neunkirchen Werkbank
US4846493A (en) * 1987-10-26 1989-07-11 Mason Donald W Portable cooler with retractable whe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47265A1 (en) 1992-01-20
EP0467670B1 (en) 1995-03-01
KR920002413A (ko) 1992-02-28
AU8039291A (en) 1992-01-23
AU638584B2 (en) 1993-07-01
DE69107715D1 (de) 1995-04-06
DE69107715T2 (de) 1995-06-29
EP0467670A1 (en) 1992-01-22
US5232232A (en) 199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507B1 (ko) 중량물의 이동기구
US2804979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US7059616B2 (en) Cutting machine push cart
US4655466A (en) Cart
US7494312B2 (en) Materials handling and lifting appliance with board holder tilting device
US3748761A (en) Snow handling device
AU2016215378B2 (en) Tool stand with automatically deployable legs
US4253546A (en) Hand truck
US20080223679A1 (en) Transport trolley
US6945742B2 (en) Portable manhole cover remover
US5549437A (en) Fork lift truck loading mechanism
US6347907B1 (en) Dolly and method of use
JPS5828049Y2 (ja) リフトア−ムを有する作業機具用スタンド装置
EP3253536A1 (en) Tool stand with automatically deployable legs
US4273502A (en) Boom lock means
GB2279326A (en) Paving stone lifter
US4579235A (en) Crane boom stowing apparatus
EP1867547A2 (en) Transport trolley
JP2575933B2 (ja) 仮設便所の移動機構
JP2516835B2 (ja) 仮設便所の移動機構
CN212332686U (zh) 光伏板转运装置
JP3795179B2 (ja) テーブル天板昇降装置
JPH06312891A (ja) 金網保持装置
JP2007032138A (ja) 側溝用蓋上げ器具、側溝用蓋上げ搬送器具、側溝用蓋揺動器具、汚泥収納袋搬送器具。
US2008387A (en) J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