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434B1 - 전자시계 - Google Patents

전자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434B1
KR950008434B1 KR1019900015211A KR900015211A KR950008434B1 KR 950008434 B1 KR950008434 B1 KR 950008434B1 KR 1019900015211 A KR1019900015211 A KR 1019900015211A KR 900015211 A KR900015211 A KR 900015211A KR 950008434 B1 KR950008434 B1 KR 950008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metal
accumulator
cas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805A (ko
Inventor
에릭 마테즈 버어나드
Original Assignee
렘리치 앤드 시 에쓰. 에이.
버어나드 이. 마테즈·안톤 웬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렘리치 앤드 시 에쓰. 에이., 버어나드 이. 마테즈·안톤 웬저 filed Critical 렘리치 앤드 시 에쓰. 에이.
Publication of KR91000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G04C10/02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the power supply being a radioactive or photovoltaic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시계
제1도는 손목시계의 평면도이며,
제2도는 부분적으로 축방향의 단면을 표시하고 있는 분해부분품 배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리끼우는 홈 3 : 기저부
10 : 다이알판 13 : 무브먼트
15 : 링 21 : 광전지
25 : 다이오드 30 : 탄성브레이크
이 발명의 주체는 유리를 갖추고 있는 하나의 케이스를 가지며 그리고 무브먼트의 금속으로된 하면은 다른 전원 터미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브레이드의 예외를 가지고 전자회로의 전원터미날들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무브먼트는 절연성의 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스에 넣어진 링과 무브먼트 공급하기 위한 축력기와 그리고 축력기를 충전하기 위한 광전지들을 사용하여 케이스안에 넣어져 있는 그러한 하나의 무브먼트와 그리고 하나의 다이알판을 포함하며 아나로그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시계이다.
석영 오시레이터와 단부 마이크로 모터를 가지는 전자시계 무브먼트의 고도로 자동화된 생산을 시중에서 이용 가능한 무브먼트들의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크게 경쟁력 있는 가격에서 시계를 생산하는 것을 오늘날 가능하게 만든다. 이 무브먼트들은 밧테리용기를 가지며 이 용기의 저부는 밧테리의 극들중의 하나와 무브먼트의 전자회로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생성시키는 탄성의 금속브레이드를 가지며 다른 전기적 연결은 무브먼트의 금속하우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축력기의 충전은 케이스 또는 띠(strap)에 장착된 광전지들에 의하여 얻어지는 그러한 재충전이 가능한 축력기를 가지고 밧테리를 대체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밧테리 용기는 다만 짧은 전력저장을 무브먼트에게 제공하는 다만 작은 싸이즈의 즉 낮은 용량의 밧테리만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시계가 어둠속에서 또는 너무 작은 빛을 가지는 장소에서 너무 오래동안 머물러진다면 이 전력저장이 부적합한 것으로 증명된다. 상기의 부적합성을 극복하기 위하여는 무브먼트가 더 큰 용량의 축력기를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더 큰 밧테리 용기를 가지며 그리고 이 무브먼트에는 다이오드와 축력기 충전회로의 휠터 축전기가 합체되어 있는 그러한 새로운 무브먼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은 높은 비용이 들며 그러므로 작은 시리즈에 대하여는 전혀 불가능한 실시를 필요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작은 시리즈에서 일찌라고, 즉 시중에서 다량으로 구득할 수 있는 무브먼트들의 사용에 의하여 낮은 가격에서 생산할 수 있는 높은 전력저장을 가지는 광전지들에 의한 전원공급을 가지는 시계 특히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르는 전자시계는 케이스가 금속으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콘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축력기가 케이싱에 넣어진 링(ring)속에 무브먼트 밑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그리고 무브먼트를 마주보고 있는 축력기의 상부면은 절연 필름을 통하여 다만 무브먼트의 상기의 금속브레이드만이 통과하는 그러한 절연필름을 사용하여 무브먼트로부터 절연되고 있는 것에 의하여 그리고 광전자들과 그리고 축력기에 광전자들을 연결하는 전기회로의 구성 부품들은 케이스에 넣어진 링에 장착되어지며 절단부들이 광전지들의 반대편의 다이알판에 마련되어지는 것에 의하여 한정된다.
그러므로 케이스에 넣어진 링은 동시에 축력기를 위한 용기로서 사용되며 이것의 직경은 적어도 무브먼트의 최대의 칫수만큼 클 수가 있다. 그러한 축력기의 용량을 고려할 수가 있다.
상용의 무브먼트들이 어떤 수정이 없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현존하는 접촉브레이드는 절연 필름중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축력기와 접촉을 만들기 위하여 무브먼트의 외측으로 돌출하기 위하여 더 큰 정도로 단순히 굽혀진다.
시계의 생산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축력기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얇은 금속판들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금속판들에게는 다이오드의 터미날들과 그리고 축력기의 충전회로의 축전기의 터미날의 하나가 용접되어 있다.
조립체는 제거 가능하거나 제거 가능하지 않은 케이스의 기저부에 의하여 압력하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합성재료로부터 만들어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금속다이알판과 함께 무브먼트, 케이스에 넣어진 링 그리고 축력기는 금속 콘테이너 자체가 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스안에 수용된 그러한 금속콘테이너안에 수용될 것이다.
이 발명은 특히 손목시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용하나 그러나 역시 벽시계류 및 대형시계류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은 예의 방법에 의하여 이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해할 것이다.
도시된 시계는 금속의 유리끼우는 홈(1)과, 이 유리끼우는 홈(1)의 유리 절결부에 고정된 유리(2) 그리고 유리끼우는 홈(1)에 절결부 고정된 금속기저부(3)로 되어 있는 하나의 케이스를 포함한다. 유리끼우는 홈(1)은 하나의 시계줄을 고정하기 위하여 2쌍의 돌출부(4),(5) 및 (6),(7)로 장비되어 있다. 유리절결부의 하부에 유리끼우는 홈(1)은 지지표면(8)을 가지며 유리끼우는 홈의 내부의 잔여부는 단순히 원통형면(9)으로 되어 있다.
유리(2)의 바로 밑에는 지지표면(8)에 기대어 있는 금속다이알판(10)이 이 다이알판(10)의 하부면에 기대어 놓여 있는 전자 무브먼트(movement)(13)의 바늘들(11) 및 (12)에 대한 충분한 공간을 남기면서 위치하여져 있다. 이 무브먼트(13)는 어떤 상용의 무브먼트, 예를들면
Figure kpo00002
×8 크기의 무브먼트이다. 그러한 무브먼트는 저장소안에 접촉브레이드(blade)(14)가 위치하여진 그러한 하나의 밧테리 저장소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의 브레이드(4)는 무브먼트의 금속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하방으로 굽혀져 있다.
이 부브먼트는 합성의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케이스안에 넣어진 링(15)안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링의 외경은 다이알(10)의 직경 즉 유리끼우는 홈(1)의 내경과 동일하다. 케이스안에 넣어지는 링(15)의 내부에는 무브먼트(13)의 두께에 상응하는 레벨에 금속판(16)이 있으며 이 금속판안에는 하방으로 향하여진 탄성의 브레이드들(17)이 잘 알려져 있다. 금속판(16)의 상부면은 절연하는 필름(18)으로 덮혀져 있으며 이 필름은 그러나 무브먼트의 브레이드(l4)의 반대측에 위치하여진 구역(19)에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케이스안에 넣어진 링(15)은 그의 상부면 아래에 특정한 수의 만입부들(20)을 가지며 이 만입부들의 각각에는 광전지(21)가 수용되어 있다. 다이알판(10)은 마찬가지로 만입부들(20)의 수에 동일한 수의 만입부들(22)로서 장비되어 있으며 광전지들이 보이는 그러한 방법으로 만입부들(20)의 각각의 반대편에 각각 배열되어 있다. 제1도에서 보여질 수 있는 바와같이 다이알판의 시간표시들 사이에 배열된 광전지들(21)은 6개이다.
케이스안에 넣어진 링(15)의 둘레는 다이오드(25)와 그리고 축력기(accumulator)의 충전회로의 축전기(capacitor)를 수취하기 위하여 그리고 광전지들을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축전기에 연결하는 도체 와이어(26)의 통과를 위해(23),(24)과 같은 빈틈들과 홈들을 갖는다. 광전지들(21)의 하나에 도체 와이어중에 용접된 스폿트들(27)의 하나가 보여졌다. 상기의 용접스폿트(27)는 지지표면(8)에 의하여 숨겨져 있음이 보여질 것이다.
금속판(16)의 하부에 위치하여진 링(15)의 내부는 원형칩(chip)의 형태로된 축력기(28)를 위한 용기를 형성한다. 이 축력기의 하부에는 판(16)에 유사한 그러한 링(15)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제2의 금속판(29)이 위치하여져 있다. 이판(29)은 마찬가지로 축력기(28)의 하부면에 대하여 기대고 있는 절단된 탄성브레이드를(30)을 갖추고 있다. 다이오드(25)의 터미날들은(31)에서 판(16)에 그리고 (32)에서 판(29)에 각각 용접되어 있다. 축전기의 터미날들의 하나는 점(32) 가까이에 있는 점(33)에서 판(29)에 용접되어 있다.
다이알판(10), 무브먼트와 축력기를 가지며 케이스에 넣어진 링(15) 그리고 금속판(29)은 기저부(3)를 사용하여 유리끼우는 홈의 지지표면(8)에 탄성적으로 기대면서 지지된다. 전기적인 접촉들은 탄성 브레이드들(14),(17) 및 (30)에 의하여 그리고 기저부(3), 유리끼우는 홈(1) 및 다이알판(10)에 의하여 생성된다.
실제에 있어서 조립하기전에 시계는 다만 다음의 4개 구성 부품들로 되어 있다 : 즉, 유리(2)를 가지는 유리끼우는 홈(1), 다이알판(10)과 바늘들을 가지는 무브먼트(13), 판들(16) 및 (29) 사이의 축력기(28)를 가지는 링(15) 그리고 기저부(3)이다.
조립은 단순히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유리끼우는 홈속으로 제2 및 제3구성부품들을 집어 넣는 것에 의하여 그리고 다음에 기저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유리끼우는 홈(1)의 전도성이 불충분하다면 이것은 다이알판과 기저부 사이의 접촉을 보증하는 원통형의 전도성 칼라 또는 스리브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교정되어질 수 있다.
시계의 구성부품들은 역시 컵형상으로된 케이스에 즉 기저부가 제거될 수 없는 곳인 케이스에 장착되어질수도 있다. 다이오드와 축전기는 케이스에 넣어진 링(15)의 주위에 장착되는 대신에 링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상에 형성된 요홈들에 자리잡게 될 수도 있다.
광전지는 동시에 다이알판의 시간표시들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4)

  1. 유리(2)를 갖추고 있는 하나의 케이스(1)를 가지며 그리고 무브먼트의 금속으로된 하부면은 다른 전원 터미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브레이드(14)의 예외를 가지고 전자회로의 전원 터미날들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무브먼트는 절연성의 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스에 넣어진 링(15)과, 무브먼트에 공급하기 위한 축력기와 그리고 축력기를 충전하기 위한 광전지들을 사용하여 케이스안에 지지되어 있는 그러한 하나의 무브먼트(19)와 하나의 다이알판(10)을 포함하며 아나로그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시계에 있어서, 케이스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금속콘테이너를 포함하며, 축력기(28)는 케이스에 넣어지는 링속에 있는 무브먼트하에 수용되어 있으며, 무브먼트를 마주바라보는 축력기의 상부면은 절연필름을 통하여 다만 무브먼트의 상기의 금속브레이드(14)만이 통과하는 그러한 절연필름(18)을 사용하여 무브먼트로부터절연되어 있으며, 그리고 광전지들(21)과 그리고 이 광전지들을 축력기에 연결하는 전기회로의 구성부품들(25)이 케이스에 넣어진 링(15)에 장착되어 있으면 절단부들(22)이 광전지들의 반대편에 있는 다이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시계.
  2. 시계의 무브먼트의 전체 금속하우징은 동일한 극성에서 상기의 브레이드(14)의 것과 상이한 제1항에있어서, 기저부를 마주보고 있는 축력기(28)의 하부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금속기저부(3), 금속케이스 또는 콘테이너 그리고 무브먼트 그리고 케이스 또는 콘테이너의 유리끼우는 홈 사이에 파지된 금속다이알판(10)을 사용하여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3. 시계에서 광전지들과 축력기 사이의 전자회로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항에 있어서, 축력기(28)는 2개의 금속접촉판들(16,29) 사이에 파지되어 있으며 이 금속 접속판들중의 하나(16)는 케이스에 넣어진 링(15)속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이오드(25)의 터미날들은 각각 이판들의 각각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금속판(16,29)는 탄성의 접촉브레이드들(17,30)로 장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19900015211A 1989-09-26 1990-09-25 전자시계 KR950008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487/89A CH677170B5 (ko) 1989-09-26 1989-09-26
CH3487/89-5 1989-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805A KR910006805A (ko) 1991-04-29
KR950008434B1 true KR950008434B1 (ko) 1995-07-31

Family

ID=425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211A KR950008434B1 (ko) 1989-09-26 1990-09-25 전자시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20796B1 (ko)
JP (1) JPH03242596A (ko)
KR (1) KR950008434B1 (ko)
CH (1) CH677170B5 (ko)
DE (1) DE690013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9364A (ja) 2010-01-22 2011-08-04 Keihin Corp 燃料噴射制御装置及び方法
EP4057081A1 (fr) * 2021-03-12 2022-09-1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ntre solaire comprenant un dispositif d'obt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20421A (fr) * 1954-05-20 1957-03-31 Schild Sa A Montre électrique
JPS5214271A (en) * 1975-07-24 1977-02-03 Fujimura Tekkosho:Kk Strip metal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FR2349868A1 (fr) * 1976-04-29 1977-11-25 Horlogerie Cie Europ Procede de fabrication d'une montre a pile, et montre resultant de l'execution de ce procede
JPS52141272A (en) * 1976-05-20 1977-11-25 Seiko Epson Corp Solar cell clock
JPS5355165A (en) * 1976-10-29 1978-05-19 Seiko Epson Corp Structure of dial for solar battery watch
JPS61202186A (ja) * 1985-03-05 1986-09-06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電子時計
US4666313A (en) * 1985-04-11 1987-05-19 Junghans Uhren Gmbh Timepiece and drive unit therefor
JPS62237384A (ja) * 1986-04-08 1987-10-17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充電機能付きアナログ電子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805A (ko) 1991-04-29
DE69001343D1 (de) 1993-05-19
JPH03242596A (ja) 1991-10-29
EP0420796B1 (fr) 1993-04-14
CH677170B5 (ko) 1991-10-31
EP0420796A1 (fr) 1991-04-03
CH677170GA3 (ko) 1991-04-30
DE69001343T2 (de) 199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3688A (en) Battery holder
US3945193A (en) Battery holder
US4261049A (en) Wristwatch with solar cells
CA108686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device
US4086752A (en) Electronic timepiece
US5400232A (en) Vibration flashlight
US3747327A (en) Watchdial structure incorporating electrical devices
KR950008434B1 (ko) 전자시계
US5243578A (en) Electronic timepiece
US2916871A (en) Luminous wrist-watch
CN217134225U (zh) 一种穿戴设备的插扣开关
US4081952A (en) Watch module for use with separate power source
US4407590A (en) Battery unit for an electric timepiece
US4120022A (en) Plastic modular casing for an electronic watch
US7378184B2 (en) Battery holder
US4276627A (en) Module structure for electronic digital timepiece
US4303962A (en)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for a battery-operated instrument
US3916613A (en) Contacting, locating and exchanging means for energy cells in timepieces
JPS6032621Y2 (ja) 電子腕時計の接続構造
US3712044A (en) Electric clock mounting and contact apparatus
JPH10125357A (ja) 充電式電子機器の蓄電ブロック構造
US4202166A (en) Solid state watch module construction
JPH10339783A (ja) 電子時計
JP4551531B2 (ja) 太陽電池付電子時計
SU720419A1 (ru) Держатель элементов питани дл электронных наручных час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