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92Y1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92Y1
KR950007792Y1 KR92005646U KR920005646U KR950007792Y1 KR 950007792 Y1 KR950007792 Y1 KR 950007792Y1 KR 92005646 U KR92005646 U KR 92005646U KR 920005646 U KR920005646 U KR 920005646U KR 950007792 Y1 KR950007792 Y1 KR 950007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ring
fusion
elastic piece
video tape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5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292U (ko
Inventor
박원복
Original Assignee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92005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792Y1/ko
Publication of KR9300242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2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Sp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제1도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개방시킨 분리사시도로, 특히 종래 지지스프링의 구성 및 적용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스프링의 분리 구성도로써,
a도는 전면(前面).
b도는 후면(後面)에서의 구성도.
제3도는 탄성편의 구성도로써,
a도는 전면.
b도는 후면에서의 구성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가 조립된 완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스프링(SUPPORT SPRING) 10 : 상부케이스
12 : 융착돌기 14 : 천공부
16 : 융착면 18 : 탄력부
20 : 지지면 22 : 하부케이스
24 : 릴(REEL) 26 : 중심축
28 : 비디오 테이프 30 : 지지스프링
31 : 벤트(VENT) 32 : 융착홀
34 : 융착면 36 : 지지면
38 : 탄성편 40 : 융착홀
42 : 탄성면 장착면 44 : 융기부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서 합성수지와 강화알루미늄이 조합된 지지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지지스프링(SUPPORT SPRING)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릴(1, TAKE UP REEL과 SUPPLY REEL)을 탄지해 주는 부품으로, 비디오 테이프를 감거나 되감았을 때 릴의 유동을 막아서 정위치에서만 회전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스프링(1)의 종래 구성은, 상부케이스(10)의 융착돌기(12)에 끼워지는 천공부(14)가 융착면(16)에 형성되어 있고, 융착면(16)으로부터 대칭으로 경사진 탄력부(18)에 연장되어서 지지면(20)이 형성된 특징을 가지며, 융착 설치후의 지지스프링(1)은 지지면(20)이 하부케이스(22)에 놓여진 릴(24)의 허브중심축(26)을 가볍게 눌러주므로써, 비디오 테이프(28) 주행시의 릴(24) 요동을 막아주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지지스프링(1)은 그 재질이 금속이며, 따라서 그 제조단가가 높고, 탄력부(18)의 경사도에 따라 중심축(26)의 탄지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제작이 까다롭고, 장시간 사용시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그 기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것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제조단가나 조립공정에서 효과는 있지만 금속보다 오히려 탄성력이 떨어져서 지지스프링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체외형을 합성수지재로 구성시키되, 그 뼈대가 되는 중심골격을 강화알루미늄으로 보강하여서, 재료비 절감효과와 탄성기능 극대화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합성수지로 된 지지스프링을 마련하되, 길이에 따라 강화알루미늄이 끼워질 수 있는(내장될 수 있는) 벤트(VENT)를 형성시키고, 융착홈을 상하위치로 형성시키며, 강화알루미늄의 크기와 벤트는 지지스프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로 제작한다.
따라서, 종래의 지지스프링이 지닌 단점을 충분히 해소시킬 수 있는 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벤트(31)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스프링(30)으로, 융착홀(32)이 형성된 융착면(34)이 상하로 형성되고, 융착면(34)으로부터 점차 경사지게 대칭으로 형성된 양단은 다시 평평한 지지면(36)을 구성하며, 상기 벤트(31)에 끼워져 장착되는 강화알루미늄 재질의 탄성편(38)은 상기 융착홀(32)과 동일선상 위치에 융착률(40)을 갖추며, 상기벤트(31)와 탄성편(38)이 분리되지 않도록 벤트(31)의 단면구성은 탄성편 정착면(42)을 갖는 단(段)을 이루고, 탄성편(38)의 단면은 "" 자형을 구성한다.
제2a도는 본 고안의 지지스프링(30)을 전면(前面)에서 본 사시도이다.
여기서, 지지스프링(30)은 융착면(34)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융착면(34) 부분은 낮고 지지면(36)은 다소 높도록 경사진 구성을 이루므로 완만한 "V"자형으로 볼 수 있다.
제3b도는 제3a도의 후면(後面)에서 본 사시도로써, 제3a도에서의 점선으로 도시돈 탄성편 장착면(42)이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따라서, 지지스프링(30)의 두께(H)에 비해 탄성편 장착면(42)은 보다 얇은 두께(h)를 갖게 도어서 단(段)을 이루게 된다(제3도(C)).
제3도는 탄성편(38)의 구성도로써, 제2도의 지지스프링(30)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완만한 "V"자형으로 제작되며 길이방향으로 융기부(44)가 형성된 관계로 "" 자형 단면을 이루며, 중앙에는 융착홀(40)이 형성되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 완성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부케이스(10)의 융착돌기(12)에 융착된 지지스프링(30)은 탄성편 장착면(42)에 탄성편(38)이 내장되어서 이탈되지 않는 예를 보여준다. 이때 융착홀(40)의 융착돌기(12)는 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융착없이 두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합성수지의 탄성편(38)과 알루미늄의 지지스프링(30)이 결합된 것이어서 제조단가가 낮아짐은 물론, 탄성효과를 극대화시켜서 지지스프링의 고유의 릴 탄지기능을 변화없이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의 지지스프링(30)에 벤트(31)를 형성시키고, 상기 벤트(31)에 끼워져 장착되는 알루미늄 재질의 탄성편(38)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스프링(3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대칭의 융착면(34)을 형성시키고, 상기 융착면(34)에는 융착홀(32)을 형성시키며, 상기 지지스프링(30) 전체로는 완만한 "V"자형상을 이루면서 지지면(36)을 갖추고, 상기 탄성편(38)의 중심위치에는 융착홀(40)이 형성되어서, 상기 융착홀(32)이 상부케이스에 형성시킨 융착돌기(12)에 융착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38)이 지지스프링(30)에 끼워지는 벤트(31) 주위에는 지지스프링(30)의 두께(H)보다 낮은 두께(h)의 탄성편 장착면(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38)은 융기부(44)가 형성된 ""자형 단면으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KR92005646U 1992-04-07 1992-04-0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KR950007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646U KR950007792Y1 (ko) 1992-04-07 1992-04-0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5646U KR950007792Y1 (ko) 1992-04-07 1992-04-0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92U KR930024292U (ko) 1993-11-27
KR950007792Y1 true KR950007792Y1 (ko) 1995-09-21

Family

ID=1933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5646U KR950007792Y1 (ko) 1992-04-07 1992-04-0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7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92U (ko) 199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7989A (en) Bracelet
GB2182890A (en) An improved clip and clip board structure
JPS5867519A (ja) 特に自動車用日よけシ−ルド
KR95000779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지지스프링
USD380091S (en) Wired edge ribbon
USD326837S (en) Molded wheel
GB2032368A (en) Vehicle sun visors
JP2512638Y2 (ja) ビデオテ―プのリ―ルスプリング構造
USD333776S (en) Winding drum
USD359945S (en) Auto window arm rest
US6979483B2 (en) Cylindrical ornamental body
JP2916998B2 (ja) 金属製ピン止めバックル
JPH0534407Y2 (ko)
JPS646594Y2 (ko)
USD352230S (en) Wire spool
JPH0428339Y2 (ko)
KR840000270Y1 (ko) 발포성 합성수지재의 차양모
JPH0728416U (ja)
JPS6146482Y2 (ko)
KR0123401Y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JPH0247440U (ko)
JP2530755Y2 (ja) ランチャンネル構造
USD324851S (en) Electrically conductive ribbon
JPS593428Y2 (ja) テ−プカセツト
JPH0328012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