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63Y1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63Y1
KR950007763Y1 KR92003591U KR920003591U KR950007763Y1 KR 950007763 Y1 KR950007763 Y1 KR 950007763Y1 KR 92003591 U KR92003591 U KR 92003591U KR 920003591 U KR920003591 U KR 920003591U KR 950007763 Y1 KR950007763 Y1 KR 950007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elastic piece
video tape
relocking
cassett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3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269U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케이. 씨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92003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763Y1/ko
Publication of KR930022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2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1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14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제1도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후 릴록킹부재 설치부위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릴록킹부재와 설치부위의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릴록킹부재 확대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릴록킹부재가 상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부분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VTR 해지봉에 의해 릴록킹부재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는 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릴록킹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제8도는 릴록킹부재의 다른 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부위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중앙리브 8, 8' : 좌, 우측리브
10, 10' : 릴록커 12 : 해제레버
14 : 하부케이스 16, 16' : 포울
18 : 지지대 20, 20' : 록커부
22, 22' : 테이프릴 24, 24' : 기어
26 : 호울 28 : 힌지축
30, 30' : 탄성부재 32 : 상부케이스
34, 34', 34" : 탄성편 36, 36' : 록커부
38 : 틈 40, 40' : 해지공
42 : VTR해지봉 44 : 보강부
46 : 절곡부 48, 48' : 결합공
50, 50' : 결합봉 51 : 벽면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릴록킹부재를 구성하는 감기릴 록커와 공급릴 록커 및 해제레버를 하나의 탄성편으로 구성하여 상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시키도록 된 릴록킹부재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는 릴록커와 주변구조를 포함한 테이프릴 회전방지 장치로써, 그 구성은 예시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릴록킹부재를 구성하는 릴록커(10)(10')와 해제레버(12)가 하부케이스(14)의 중앙리브(6)와 좌, 우측리브(8)(8')내에 형성된 포울(16)(16')및 지지대(18)에 각각 유착되어서, 릴록커(10)(10')의 록커부(20)(20')가 공급릴과 감기릴(이하 "테이프릴(22)(22')"이라 한다.)의 기어(24)(24')와 걸어지므로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테이프릴(22)(22')의 회전을 위해서는 호울(26)을 통해 VTR의 해제봉이 해제레버(12)를 밀어 올림에 따라 상기 해제레버(12)가 힌지축(28)(28')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해제레버(12)의 승강편이 릴록커(10)(10')의 회동편을 회동시키게 되고, 이는 록커부(20)(20')를 기어(24)(24')로부터 분리시키게 되어서 상기 테이프릴(22)(2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것이다(제1,2도 참조).
그러나, 종래의 릴록킹부재는 상기한 대로 여러 부품(릴록커, 해제레버 등)을 구분 성형시켜 조립한 것이고, 릴록커(10)(10')는 포울(16)(16')에 수직으로 끼워진 채 수평으로 유착되는 해제레버(12)와 결합되는 등 안치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릴록커(10)(10')가 항상 테이프릴(22)(22')을 탄지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부재(30)(30')를 갖추어야 하므로 전체 구조가 복잡하며 조립 생산시 3단계 조립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불필요한 오동작 등으로 인하여 부품이나 케이스 자체의 소손과 기계의 마모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고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릴록킹부재 및 그 설치부위의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에 고도의 기술을 요하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내측에 일체형으로 탄성편으로 된 록커를 형성하고, 이 탄성편의 선단 양측에는 록커부를 돌설시켜 한개의 부품으로 테이프릴을 록킹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리브내의 지지대나 포울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한 릴록킹부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32)의 내측 상부에 탄성편(34)을 비스듬히 하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탄성편(34)의 양 선단부에는 외향굴곡된 록커부(36)(36')를 형성하여 이 록커부(36)(36')가 중앙리브(6)와 좌,우측 리브(8)(8') 사이의 틈(38)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면 테이프릴(22)(22')의 기어(24)(24')를 록킹 또는 해지하도록 하며, 록커부(36)(36') 사이에는 해지공(40)을 천공하여 VTR 해지봉(42)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예시도면 제7도는 탄성편(34')에 두터운 보강부(44)가 형성되고, 해지공(40')이 길게 절개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내며, 보강부(44)가 끝나는 부위에 절곡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8도는 탄성편(34")의 후단에 소형의 결합공(48)(48')을 천공하고, 상부케이스(32)의 결합부위에는 이에 대응되는 2개의 결합봉(50)(50')을 형성하여 탄성편(34")을 용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나타낸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1은 상부케이스(32)의 벽면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테이프릴(22)(22')은 평소에 정지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기어(24)(24')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상태에서 하부케이스(14)의 중앙리브(6)내에 천공되어 있는 호울(26)을 통하여 VTR해지봉(42)이 통상 2∼3㎜정도 올라오면서 탄성편(34)(34')(34")을 들어 올려서 록킹상태로 있던 기어(24)(24')를 해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VTR해지봉(42)에 의해 작동되는 탄성편(34)을 상부케이스(32)의 내측 상단에 직접 사출 성형 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은 지지대(18)나 포울(16)(16')등을 일체 필요로 하지 않으며, 탄성편(34)자체가 탄성력(복원력)을 갖기 때문에 VTR 해지봉(42)이 하향되면, 즉시 복원력에 의해 록커부(36)(36')가 기어(24)(24')에 맞물리게 되어 테이프릴(22)(22')을 정지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록커부(36)(36')는 대칭형으로서 외향 절곡되어 기어(24)(24')에 잘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탄성편(34)의 두께보다 상하폭이 크도록 하여야 한다. 즉 록커부(36)(36')의 상하폭은 2.5~8㎜정도가 적당하며 2.5㎜이하에서는 록킹상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탄성편(34)(34')은 상부케이스(32)의 상면 또는 벽면(51)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때 탄성편(34)의 경사각도에 따라 해지공(40)도 경사지게 천공된다.
예시도면 제6도와 같이, VTR해지봉(42)이 하부케이스(14)의 호울(26)로부터 상승되면 VTR해지봉(42)의 상단부가 탄성편(34)의 해지공(40)에 걸려서 탄성편(34)을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편(34)의 록커부(36)(36')가 기어(24)(24')로 부터 이탈된다.
예시도면 제7도는, VTR 해지봉(42)이 해지공(40')에 걸려서 탄성편(34')을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는데, 탄성편(34')의 일측에는 보강부(44)가 형성되어 있어서 VTR 해지봉(42)이 상승되면 절곡부(46)가 절곡되면서 록커부(36)(36')가 상승된다. 이때 VTR 해지봉(42)은 상승과 동시에 해지공(40')내에서 약간 수평 이동된다.
예시도면 제8도의 경우는, 탄성편(34"')을 상부케이스(32)에 결합시킬때, 탄성편(34")의 결합공(48)(48')을 상부케이스(32)의 결합봉(50)(50')에 결합 후 결합봉(50)(50')의 단부를 용착시키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탄성편(34)(34')(34")는 VTR 해지봉(42)에 의해 상향될 때 수직 상승되지 않고 원호를 그리게 되므로, 록커부(36)(36')가 슬라이딩 되고 있는 중앙리브(6)와 좌,우측리브 (8)(8')사이의 간격은, 록커부(36)(36')와 중앙리브(6) 사이의 간격을 좀더 여유있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탄성편(34)(34')(34") 선단 양측에 대칭형의 록커부(36)(36')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3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해지공(40)에 의해 VTR해지봉(42)과의 결합이 확실하며, 보강부(44)에 의해 탄성편(34')이 반복 동작 하더라도 탄성편(34')의 단부가 부러지거나 이탈되는 일이 없다.

Claims (13)

  1. 상부케이스(32)의 내측상부에 탄성편(34)을 비스듬히 하향되게 일체로 형성하되, 탄성편(34)의 양 선단부에는 외향 굴곡된 록커부(36)(36')를 형성하여 이 록커부(36)(36')가 중앙리브(6)와 좌,우측리브(8)(8')사이의 틈(38)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테이프릴(22)(22')의 기어(24)(24')를 록킹 또는 해지하도록 하며 , 록커부(36)(36') 사이에는 해지공(40)을 천공하여 VTR해지봉(42)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해지공(40)이 경사지게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해지공(40')이 긴 절개부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에 두터운 보강부(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이 상부케이스(32)에 일체로 성형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이 상부케이스(32)의 벽면(51)에 일체로 성형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이 상부케이스(32)의 결합봉(50)(50')에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해지공(40')과 보강부(44)사이에 절곡 가능한 절곡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록커부(36)(36')의 상하폭이 탄성편(34)의 두께의 약 1.5~4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중간부분이 절곡되어 선단부가 하부케이스(14)면과 거의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해지공(40)(40')의 크기가 VTR 해지봉(42)의 직경보다 작게되어 VTR해지봉(42)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탄성편의 록커부(36)(36')가 하부케이스(14)의 중앙리브(16)와 좌,우측리브(8)(8') 사이에서 슬라이딩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13. 제1항에 있어서, 록커부(36)(36')와 좌,우측리브(8)(8') 사이의 간격보다 록커부(36)(36')와 중앙리브(6)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2003591U 1992-03-06 1992-03-06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50007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591U KR950007763Y1 (ko) 1992-03-06 1992-03-06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3591U KR950007763Y1 (ko) 1992-03-06 1992-03-06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69U KR930022269U (ko) 1993-10-16
KR950007763Y1 true KR950007763Y1 (ko) 1995-09-21

Family

ID=1932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3591U KR950007763Y1 (ko) 1992-03-06 1992-03-06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7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269U (ko) 199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0938B1 (en) Container connection device
JPS6325583Y2 (ko)
KR950007763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ITRM960319A1 (it) Motorino di avviamento a contraccolpo.
KR101755219B1 (ko) 무인 택배 보관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수동 개방장치
KR95000694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50007760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커(reel locker)
KR0113254Y1 (ko) 도어 액츄에이터용 접점 플레이트
KR960008913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케이스 내부구조
KR95001062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20015585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3000230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778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5000775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JPH08240060A (ja) 蝶 番
KR102375670B1 (ko) 글라스 무빙 도어를 위한 로프 잠금 장치
KR96001071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 구조
KR100582073B1 (ko) 냉장고의 보조선반조립체
KR950007794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커(reel locker) 이탈방지 구조
CN212837346U (zh) 一种开关门结构
JP3461318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持上げ防止機構
JP2002004624A (ja) チェーンゲート
JPH09328129A (ja) ブレースの抜止め構造
KR970005232Y1 (ko) 리모콘의 러버키-패널 결합구조
JPH0256383A (ja) 整列巻取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