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55Y1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55Y1
KR950007755Y1 KR92000578U KR920000578U KR950007755Y1 KR 950007755 Y1 KR950007755 Y1 KR 950007755Y1 KR 92000578 U KR92000578 U KR 92000578U KR 920000578 U KR920000578 U KR 920000578U KR 950007755 Y1 KR950007755 Y1 KR 950007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ever
inclined surface
video tape
tape cassette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698U (ko
Inventor
박원복
Original Assignee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92000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755Y1/ko
Publication of KR930018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1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제1도는 종래의 릴록킹부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분리시킨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중 릴록킹부재 장착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록킹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설치후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적용시킨 후 작동상태도로써, 5a도는 해제레버 미작동 기능 설명도, b도는 해제레버 작동기능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릴록커(REEL LOCKER) 12 : 해제레버
14 : 하부케이스 16, 16' : 포울(POLE)
18 : 지지대 20, 20' : 록커부
22, 22' : 테이프릴 24, 24' : 기어
26 : 호울(HOLE) 28 : 힌지축
30 : 승강편 32, 32' : 회동편
52 : 록커부 54 : 탄성(彈性)환부(環部)
56 : 경사면 58 : 해제레버
60 : 해제봉 62 : 경사면
64 : 상부케이스 66 : 릴록킹부재 설치벽
68 : 끼움구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 부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릴록킹부재를 구성하는 릴록커(REEL LOCKER)와 해제레버(RELEASE LEVER)를 단일화 시켜서 기능의 원활화와 생산성의 용이함 및 제조단가를 낮추게 한 것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릴록커(10)(10')와 해제레버(12)는 하부케이스(14)의 포울(POLE, 16,16')과 지지대(18)에 각각 유착되어서, 릴록커(10)(10')의 록커부(20)(20')가 테이프릴(22)(22')의 기어(24)(24')에 걸어지므로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테이프릴(22)(22')의 역회전을 위해서는 호울(26)을 통해 해제레버(12)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해제레버(12)가 힌지축(28)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해제레버(12)의 승강편(30)이 릴록커(10)(10')의 회동편(32)(32')을 회동시키게 되고, 이는 록커부(20)(20')를 기어(24)(24')로 부터 분리시키게 되어 상기 테이프릴(22)(22')의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다(제2도 참조).
그런데, 종래의 릴록킹부재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부품으로 구분 성형된 채 조립되고, 릴록커(10)(10')은 포울(16)(16')에 수직으로 끼워진채 수평으로 유착되는 해제레버와(12) 결합되는 등 제조나 조립과정이 까다로움은 물론, 상기 릴록커(10)(10')가 항상 테이프릴(22)(22')을 탄지하는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부재를 갖추어야 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릴록킹부재를 일체화 시켜서 종래의 릴록킹부재가 지닌 단점을 해소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해제레버와 릴록커(REEL LOCKER)을 일체로 제작하고, 릴록커는 단일체로 대칭되게 형성시키되, 해제레버를 구성하는 후단은 폐곡선의 환부를 형성시켜서 이 환부가 눌려졌다 펴지는 탄성력으로 릴록킹부재가 원위치로 돌아오며, 상기 릴록킹부재를 이송시키는 작동원리의 구성은 해제레버 밑면에 경사면을 형성시켜 VTR의 해제봉이 경사면에 슬라이딩 되어져 상승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릴록커 설치를 위한 포울도 필요없게 되며, 생산단가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본 고안은 해제레버(58) 몸체에 대칭으로 록커부(52)를 연장 형성시켜 릴록커(REEL LOCKER) 기능을 갖도록 하고, 해제레버(58) 후단으로 폐곡선을 구성하는 환부를 형성시키되, 해제레버(58) 밑면에는 환부(54)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6)을 형성시켜서, VTR의 헤제봉(60)의 경사면과 유착되도록 구성시킨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 부재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써, 제4도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를 구성하는 상, 하부케이스(64)(14)가 조립된 후 상기 릴록킹부재가 그 설치벽(66) 내에서 마모없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두께를 갖도록 해제레버(58) 몸체가 형성되며, 그 내부는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사면(56)을 갖추고 있고, 환부(54)는 그 폭이 두께보다 넓은 플라스틱 재질을 수직으로 폐곡선을 이루도록 형성시킴에 따라 상, 하 방향의 탄성력은 없지만 전후 좌우(평면)로의 탄성력은 우수하여서, 환부(54)가 원래 형상에서 찌그러질 때에는 원상태로 되려는 힘으로 탄성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릴록커를 구성하는 록커부(52)는 그 후단이 테이프릴(22)(22')의 기어(24)(24')에 걸어지면 되므로 그 접촉부분만 넓게 하고 다른 부분은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좁게 하여 무게감량과 재료 절감의 이중효과를 얻도록 한다.
한편, 경사면(56)에 접촉되는 헤제봉(60)의 경사면(62)은 그 경사도가 동일하여서 부상이 억제된 릴록킹부재를 해제레버 구동핀이 강제로 상승시키려할 때 수평이동이 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을 하부케이스(14)에 설치할 때는 종래의 릴록킹부재 설치순서와 같다.
즉, 제4도에서와 같이 릴록커인 양 록커부(52)은 릴록킹부재 설치벽(66)의 끼움구(68)에 끼워져 설치되며, 록커부(52)의 후단부는 테이프릴(22)(22')의 기어(24)(24')에 접촉되어서 테이프릴(22)(22')의 역회전을 방지시켜 준다(제5a도).
다음으로 록킹상태를 해제시켜 테이프릴(22)(22')의 점, 역회전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려면 제5b도와 같이 별도의 해제봉(60)이 하부케이스(14)의 호울(26)을 통해 해제레버(58)의 경사면(56)에 닿게 된다.
따라서, 해제봉(60)의 경사면(62)과 해제레버(58)의 경사면(56)이 유착되고, 헤제봉(60)이 더욱 상승하면, 부상이 억제된 해제레버(58)는 경사면(62)(56)끼리의 슬라이딩에 의해 후퇴되며, 릴록킹부재 설치벽(66) 내에 있는 환부(54)는 압착되어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릴록킹부재 설치벽(66)의 끼움구(68)에 록커부(52)가 탄지되어 있던 상기 록커부(52)가 후퇴되면서 테이프릴(22)(22')의 기어(24)(24')에 걸어져 있던 상기 록커부(52) 후단부가 기어(24)(24')로 부터 이탈 된다.
즉, 테이프릴(22)(22')의 정,역회전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해제봉(60)의 작용이 해제되면(하강하면) 상기 해제레버(58)는 환부(54)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되고 이 힘은 해제레버(58)를 원위치로 다시 록커부(52)의 후단부는 기어(24)(24')에 접촉되어서 테이프릴의 역회전을 방지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단일체형의 릴록커를 형성시켜서 종래와 같이 포울에 설치시킬 릴록커를 두개씩 형성시킬 필요도 없고 포울도 필요없게 되며, 환부를 이용한 탄성력으로 별도의 탄성도구도 필요없게 되므로, 부품절감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과 단순한 구조에 따른 부품 고장도 없게 된다.

Claims (1)

  1.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커 설치벽내에 설치되는 릴록커 및 해제레버로 구성되는 릴록킹 부재에 있어서, 해제레버(58) 몸체에 대칭으로 록커부(52)를 연장 형성시키고, 해제레버(58) 후단으로 폐곡선을 구성하는 환부(54)를 형성시키며, 해제레버(58) 밑면에는 환부(54)쪽으로 경사진 경사면(56)을 형성시키고, 상기 해제레버(58) 구동용의 VTR에 설치된 해제봉(60)에는 해제레버(58)의 경사면(56)과 동일 경사도를 이루는 경사면(62)을 형성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KR92000578U 1992-01-17 1992-01-1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KR950007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578U KR950007755Y1 (ko) 1992-01-17 1992-01-1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578U KR950007755Y1 (ko) 1992-01-17 1992-01-1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698U KR930018698U (ko) 1993-08-21
KR950007755Y1 true KR950007755Y1 (ko) 1995-09-21

Family

ID=1932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578U KR950007755Y1 (ko) 1992-01-17 1992-01-17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7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698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6735A (en) Video cassette integral actuator/reel lock/spring
KR95000775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US4739949A (en) Wheel locks for video tape cassettes
KR950007756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reel locking) 부재
JP2528739Y2 (ja) ビデオテープカセットのリールロッキング装置
KR950007797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6001071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 구조
KR95000694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5000694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5000778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3000230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776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Reel) 록킹(Locking)장치
KR950006944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 안착부구조
KR20020308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해제레버
KR950006834Y1 (ko) Vtr의 아이들러(idler)오동작 방지장치
KR93000463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6001071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reel locking)부재
KR95000694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2436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고정장치
KR20015585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7790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KR930002295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리리즈 레버 이탈 방지 장치
KR95000779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200149472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구조
KR950007763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록킹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