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27B1 -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27B1
KR950007727B1 KR1019920026605A KR920026605A KR950007727B1 KR 950007727 B1 KR950007727 B1 KR 950007727B1 KR 1019920026605 A KR1019920026605 A KR 1019920026605A KR 920026605 A KR920026605 A KR 920026605A KR 950007727 B1 KR950007727 B1 KR 950007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hook
opening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117A (ko
Inventor
심재경
Original Assignee
심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경 filed Critical 심재경
Priority to KR101992002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727B1/ko
Publication of KR94001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27B1/ko
Priority to US10/745,504 priority patent/US20050138720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제1도는 본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사시도.
제2도는 악취배출장치의 설치예를 나타낸 저수조의 단면도.
제3도는 악취배출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동 평면도.
제5도는 설치상태에서의 동 종단면도(악취배출구 폐쇄).
제6도는 개폐문 구동장치의 사시도.
제7도는 동 종단면도.
제8도는 개폐문의 사시도.
제9도는 악취배출구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제10도는 변기의 저부에 형성된 배출관에 악취배출관 단말부재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지센서 2 : 저수조
4 : 유리창 5 : 변기
8 : 개폐문실 8b : 축받이
8c : 축홈 9 : 개폐문실 두껑
10 : 악취배출구 111 : 개폐문
11a : 날개 11b : 힌지축
12 : 개폐문 구동장치 13 : 전자석
14 : 자성체 14a : 뿔걸이
14b,17b : 스프링 걸이 15 : 후크레버
15a : 후크 15b : 레버축
15c : 뿔 16 : 복귀스프링
17 : 자성체 지지구
본 발명은 변기내에서 풍기는 악취를 제때에 배출하는 악취배출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변을 볼 사람이 변기에 걸터 앉은지의 여부를 감지센서가 감지하고 그 신호에 따라 흡출팬이 작동함과 동시에 악귀배출구가 열리고 용변을 마친 후에 사람이 변기를 떠난 것을 감지한 센서의 무인감지신호에 의하여 흡출팬이 작동을 중지함과 동시에 악취배출구동 자동폐쇄되게 하여 양변기밖 화장실내로 악취가 확산되는 것을 철저히 봉쇄할 수 있게 한 새로운 구조의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본인의 선출원발명인 특허공고 제92-8182호 및 동제92-8183호를 진취적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변기의 좌대에 사람이 앉으면 이를 센서가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는 환기팬의 모터측에 전기적으로 전달되어 환기팬을 가동하며, 이 환기팬은 저수실에서 용변실로 통하는 급수로를 통하여 용변실내의 악취를 흡인, 상기 급수로의 상단에 이것과는 별도로 이어진 배기로를 통하여 악취를 내보내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선행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온 것은 악취배출구 및 이 악취배출구와 연달아 통하는 급수로가 상기 개방체제로 존속하므로서 흡출팬 이후의 악취배출관로내 악취가 악취배출구와 급수로를 거슬러 올라와서 화장실내의 분위기를 해쳤다는 점이다. 그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이러한 현상은 악취배출구 또는 배출관로상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만한 구조가 없었기 때문으로 밝혀냈다. 이 점은 그 이전의 선행기술 즉. 실용신안공고 제82-907호, 동제85-2471호, 미합중국 특허 제4,494,255호도 마찬가지다.
또, 변기에서의 착석여부를 감지하는 종래외 양변기용 유·무인 감지센서에 있어서는 변기덮개가 세워진 경우에도 감지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는 예컨대, 변기에 사람이 앉아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변기덮개를 세워 높은 경우에도 동작하기 때문에 감지센서의 신뢰도가 낮고 쓸데없이 에너지를 낭비하는 결과마저 빚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악취배출장치가 장착된 양변기의 단점을 인식하고 그 해결방안을 강구한 결과,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변을 볼 사람이 변기에 착석한 경우에 한해서 감지센서가 동작하여 변기내의 분뇨냄새를 비롯한 악취를 효율좋게 배출할 수 있는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에 사람이 앉지않은 상태에서는 변기덮개를 열어 제낀 경우라고 하더라도 센서가 동작하지 않게하여 그 감지기능의 신뢰도를 높은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영의 다른 목적은, 불사용시에는 변기내의 악취가 변기밖으로 확산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여 화장실내의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악취배출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흡출팬실과 변기내의 악취배출로를 겸하고 있는 급수로와 연달어 통하는 길목에 악취배출구 개폐장치실이 마련되고, 여기에 악취배출구를 여닫는 개폐문과 그 구동장치가 내장된다. 이 개폐문은 감지센서에 의하여 흡출팬과 동시에 악취배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또, 이들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또는 중단명령을 내리는 감지센서는 저수조의 앞면 적당한 곳에 설치한다.
이 감지센서는 변기에 사람이 앉은 때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확실히 가려서 최근접거리에서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고, 그 감지신호는 똑바로 흡출팬의 모터와 악취배출구 개폐문 구동장치에 동시에 보내서 흡출팬은 악취를 흡인하여 배출하고 개폐문은 악취배출구를 열어서 악취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든지 또는 흡출팬은 가동중지시키고 개폐문은 내려서 악취배출구를 차단하여 변기내의 악취배출중단과 함께 배출구로 나간 악취가 변기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 결과 악취의 흡출중단과 함께 악취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로를 거쳐 변기밖으로 나간 악취는 악취배출구를 통하여 변기로 역유입되는 것이 철저히 차단할 수가 있다.
개폐문 구동장치는 전자석에 의해 작동한다. 그리고. 이 전자석은 상기 흡출팬의 모터와 함께 감지센서와 외부전원에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감지센서의 지배를 받도록 한다. 전자석은 하나의 후크레버를 갖고 있다. 이 후크레버는 전자석을 장착한 개폐장치실의 뚜껑 천정에 축지지 시키는 것으로 매달고 이 후크레버와 상기 전자석 사이에 설치한 자성판의 구속을 받도록 해서 전자석이 감지센서의 유인감지신호에 의하여 전자석이 자화된 경우 그 자성체가 전자석쪽으로 흡인될 때 후크레버를 선회시켜 그 선단의 후크에 걸려있던 개폐문의 날개를 걸어 선회시키므로서 개폐문이 열리게 하고 감지센서의 무인신호가 전해지는 순간 전자석은 자력을 상실하고 동시에 복귀스크링에 의한 자성체와 후크레버의 연달은 복귀로 개폐문이 악취배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로써, 변기에 착석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악취배출구가 열려서 악취가 배출될 길이 트이고 항상 악취배출구가 폐쇄된 상황하에 놓이므로 흡출팬에 의해서 악취배출구를 빠져나간 악취가 변기내로 억류되는 것이 철저히 방지된다. 또, 변기에 사람이 앉아있지 아니한 상황아래에서는 설사 변기덮개가 열려서 세워져 있을지라도 감지센서의 전자파가 그것과 같은 높이로 옮겨져 온 투시창을 투과하여 무인신호를 보냄으로써, 즉 환풍팬과 개폐문이 악취의 흡출 및 악취배출구 개방동작을 하지 않고, 그 결과 가지센서의 신뢰도가 높아짐은 물론 불필요한 전력소모도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유·무선 감지센서(1)가 부착된 양변기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그림에서, 감지센서(1)는 저수조(2)의 앞면에서 적당한 위치에 부착되고, 이 감지센서(1)의 부착위치에 대응하는 변기덮개(3)상에는 유리창(4)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1)는 변기(5)에 사람이 앉은 상황과 그렇지 아니한 상황을 감지하고 그 사실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곧바로 이후에 설명하는 환풍팬과 개폐문 구동장치에 보내서 악취배출을 개시하든지 혹은 악취배출동작을 중단하게 한다.
또, 상기 유리창(4)은 감지센서(1)에서 나오는 전파가 투과할 수 있으면서도 이것을 통하여 밖에서 볼때 변기 (5)의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이지 않게 유색유리창으로 하는 것이 시각위생상 바람직하다. 저수조(2)위로 드러난 것은 저수조(2)에 저장된 세정용수를 변기(5)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밸브를 개방할 때 누르는 급수밸브개방용 조작간(6)을 표시한다.
제2도는 저수조(2)내에 본 발명에 의한 악취배출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저수조(2)의 일부절개 정면도이고, 제3도는 악취배출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4도는 하우징(7)상에 마련한 개폐문실(8)의 뚜껑(9)을 벗겨낸 경우의 평면도로서, 개폐문실(8)의 바닥에서 조금 올라와 있는 악취배출구(10)는 개폐물(11)이 덮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상기 악취배출장치는 바로 하우징(7)내에 모두 들어간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인데. 개폐문실(8)에 있어서, 뚜껑(9)의 밑면에는 행거(9a)와 전자석(13)과 자성체(14) 그리고 후크레버(15)와 자성체 복귀스프링(16)으로 이뤄지는 개폐문 구동장치(12)가 설치되고, 악취배출구(10)를 가려주는 개폐문(11)은 개폐문실의 바닥면(8a)의 일측에다 세운 축받이(8b)에 제자리에서 선회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개패문 구동장치(12)에 관한 상세도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잘 나타나 있다. 행거(9a)는 후크레버(15)의 레버축(15b) 양단을 축지지하는 것으로서, 좌우 한쌍으로 이뤄지고 뚜껑(9)의 밑면에 아래를 보고 늘어져 있다. 또, 그 하단부에는 상기 레버축(15b)의 양단을 헐겁게 축끼움할 축공도 뚫려있다. 전자석(13)은 뚜껑(9)의 밑면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와 도시하지 아니한 외부전원과는 도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전자석 (13)과 함께 부착된 자성체 지지구(17)는 앵글상이며, 자성체 (14)는 이 지지구(17)의 수직부(17a)의 하단에 축설치된다. 그리고 자성체(14)의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14b)와 상기 지지구(17)의 수직부상에 형성한 상부 스프링 걸이(17b)간에는 자성체용 복귀스프링(16)을 장전한다. 또, 상기 전자석(13)은 감지센서(1)로부터 변기(5)에 사람이 앉은 상황을 감지하여 발신하는 유인감지신호를 수신한 때에 한하여 자화되고 변기(5)에 착석한 사람이 없을 시에는 무인감지신호에 따라 가졌던 자력이라도 즉시 그 자력을 상실하게 된다.
또, 자성체(14)의 선단에는 후크레버용 뿔걸이(14a)도 형성된다. 이 뿔걸이(14a)는 ㄷ자상의 단면을 갖도록 자성체(14)의 선단부를 절곡한 것이다. 이 레버걸이(14a)는 상기 후크레버(15)의 레버축(15b)상에 형성한 뿔(15c)에 밑걸림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14)는 그 후단의 축지지부를 중심으로 전자석(13)이 자화되면 흡인되어 뿔걸이(14a)쪽이 들리고 전자석(13)이 자력을 상실하면 복귀스프링(16)에 의해 즉시 하강 복귀하게 된다. 하부 스프링 걸이(14b)는 자성체(14)의 후단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후크레버(15)는 그 상단에 레버축(15b)을 갖는다. 또, 이 레버축(15b)의 양단은 상기 행거(9a)의 하단에 뚫린 축공에 헐거운 축끼음하여 이 축공을 중심으로 레버운동할 수 있게 한다. 후크레버(15)의 하단에는 후크(15a)가 있다. 이 후크(15a)는 항상 개폐문(11)의 날개(lla)를 걸어서 들어 올릴 수 있는 자세로 머물게 설치한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개폐문(11)의 후단에는 날개(11a)와 힌지축(11b)이 형성된다. 이 날개(11a)는 개폐문(11)의 상면 후단에서 개폐문(11)의 앞끝을 바라보고 예각으로 절곡시킨 것이다. 이 날개(11a)는 상기 후크레버(15)의 후크(15a)에 걸려서 후크레버(15)가 레버운동을 할때 이것에 연계되어 들리고 또한 내려진다. 날개(11a)가 들릴 때에는 개폐문(11)은 힌지축(11b)를 중심으로 상향 선회하여 함께 들리고 이에따라 악취배출구(10)가 트인다. 반면에 날개(11a)가 내려지면 개폐문(11)도 함깨 내러가서 열렸던 악취 배출구(10)가 닫히게 된다.
한편, 상기 악취배출구(10)는 기존의 변기(5)내부에 저수조(2)와 변기(5)간에 형성돼 있는 급수로(5a)와는 물론 흡출팬실(19) 및 그 이후에 이어지는 악취배출로와도 통로형태로써 서로 통하게 되어 있다(제4,10도)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기덮개(3)를 열어 세운 다음에 변기(5)에 걸터 앉는다. 이때, 유리창(4)은 감지센서(1)와 수평선상에 가서 놓인다. 이렇게 변기(5)에 사람이 앉은 사실은 감지센서(1)가 인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반사파에 따라 유인감지신호를 발한다. 그 유인감지신호는 도시하지 아니한 ON,OFF 스위치에 ON 지시신호로 전달된다. 이에따라 전자석(13)의 코일과 흡출팬(18)에는 전류가 흐른다. 그러면 흡출팬(18)이 가동하여 변기(5)쪽의 공기를 악취와 함께 빨아들여서 배출로로 내보내는 움직임이 개시된다. 이와 동시에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화된 전자석(13)은 자성체(14)를 흡인하여 상승시키고, 이때 전자석(13)쪽으로 흡인되는 자성체(14)는 그 선단의 레버걸이 (14a)가 후크레버(15)의 뿔(15c)을 걸어 당긴다.
그리하여 후크레버(15)는 그 힘에 레버축(15a)을 중심으로 하여 상향 레버운동을 한다. 그러면서 그 후크(15a)는 날개(11a)를 제낀다. 이때 개폐문(11)이 열려서 악취배출구(10)를 띄우게 된다. 악취배출구(10)가 열리면 흡출팬(18)의 강력한 흡입력에 힘입어 변기(5)내의 악취섞인 공기는 급수로와 악취배출구(10)를 거쳐 흡출팬실(19)로 흡인되고 이어서 곧바로 배출로를 거쳐 변기밖으로 배출된다(제 9도).
변기(5)에서 앉았던 사람이 떠나면 반사파가 되돌아오지 않으므로 감지센서(1)는 상기 도시하지 아니한 스위치를 OFF시켜서 흡출팬(18)과 전자석(13)의 코일에 흐르던 전류를 차단한다. 전류가 차단되는 즉시 흡출팬(18)은 서서히 회전관성의 영향으로 잠시동안 계속적으로 회전하다가 그 회전관성이 제로상태가 된 때 정지하여 악취와 흡출작용을 중단한다. 반면에 전자석(13)은 전류가 끊긴 즉시 자력을 상실하여 자성체(14)에 대한 구속을 풀고 자성체(14)는 복귀스프링(16)의 인장력때문에 즉각적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한다. 이어서 후크레버(15)에 대한 자성체(14)의 통제력 상실과 개폐문(11)에 대한 후크레버 (15)의 통제력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이에따라 개폐문(11)은 자기무게의 영향으로 힌지축(11b)을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여 악취배출구(10)를 폐쇄하게 된다(제5도).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전자석(13)의 자력소멸과 거의 동시에 일어난다.
제10도는 상기 흡출팬실(19)의 배출구(20)와 변기(5)의 급수로(5a)에 접속된 배출관(22)과를 외부호스(23)로 연결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변경실시예는 변기(5)내에 급수관로와 함께 악취배출관로를 형성하는 것이 제작상 여러모로 어려움이 따르는데 착안한 것으로서, 배출관로를 외부호스(23)로 대체하고 이 외부호스(23)의 후단은 별도로 제작한 접속구(24)를 통하여 변기 (5)의 급수로(5a)와 배출관(22)과의 틈새를 거쳐 악취가 배설물과 세정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도와준다.
이상을 종합하면, 변기에서 사람이 떠남과 동시에 감지신호의 무인감지신호에 의하여 흡출팬이 꺼지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악취배출구가 확실하게 즉시 폐쇄되므로 악취배출구를 빠져나간 악취가 변기내로 역유입되는 것이 철저히 차단됨고 또한 변기에 사람이 앉으면 감지센서가 유인감지신호를 보내 악취배출구가 개방되과 동시에 흡출팬이 악취를 흡인, 배출하는 동작을 개시되는 것으로서, 변기내의 분뇨냄새를 비롯하여 화장실내의 좋지 못한 냄새까지도 효율높게 배출시켜 언제나 더욱 쾌적한 화장실 분위기로 유지할 수가 있다.
부연컨대, 상기 개폐문용 축받이 (8b)에 있어서, 제 5도의 원내 그림에서 보듯이, 그 축홈(8c)은 비교적 길게 형성하여 개폐문(11)이 악취배출공(10)을 폐쇄한 상태일 때에는 그 힌지축(11Ib)이 축홈(8c)의 중간위치에 머물게 하고 개방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그 힌지축(11b)이 축홈(8c)의 하단으로 내려가게 함으로써 수평에서 수직에 가깝게 개패문(11)이 열리도록 하여 악취배출을 더욱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룰 수 있게 강구하면 악취배출에 더욱 효과적이다.

Claims (1)

  1. 변기(5)상에서의 유,무인 상황을 감지센서(1)가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흡출팬(18)에 전달하여 급수로를 통한 변기내의 악취를 흡출 또는 흡출작업을 중단시킬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변기(5)내의 급수로에서 흡입팬실(19)로 통하는 악취배출로상에 배출구 개폐문실(8)을 마련하고, 그 개폐문실(8)의 뚜껑(9) 밑면에 하단에 축공을 둔 한쌍의 행거(9a)를 형성하여 개폐문의 날개구속용 후크레버(15)의 레버축(15b)을 헐겁게 축설치하며, 상기 행거(9a)사이의 밑면에는 스프링 걸이 (17b)가 형성된 자성체용 지지구(17)와 전자석(13)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17)의 하단에는 선단에 후크레버(15)의 뿔(15c)을 걸어 올리는 뿔걸이(14a)가 형성된 자성체(14)의 후단을 축지지시키며, 개폐문실(8)의 바닥면 일측에는 축홈(8c)을 길게 형성한 축받이(8b)를 세워서 후단 상면에 상기 후크레버(15)의 후크(15a)에 걸려 제어되는 날개(11a)를 가진 악취 배출구 개폐문(11)을 설치하고, 감지센서(1)는 상기 전자석(13)의 코일과 ON, OFF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변기덮게(3)상에는 이것을 열어 세웠을 때 감지센서(1)와 마주보는 위취에 반투명 또는 불투명 유리창(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KR1019920026605A 1992-12-30 1992-12-30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KR95000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605A KR950007727B1 (ko) 1992-12-30 1992-12-30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US10/745,504 US20050138720A1 (en) 1992-12-30 2003-12-29 Toilet ventilation systems and meth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605A KR950007727B1 (ko) 1992-12-30 1992-12-30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US10/745,504 US20050138720A1 (en) 1992-12-30 2003-12-29 Toilet ventilation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117A KR940015117A (ko) 1994-07-20
KR950007727B1 true KR950007727B1 (ko) 1995-07-14

Family

ID=3482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605A KR950007727B1 (ko) 1992-12-30 1992-12-30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38720A1 (ko)
KR (1) KR950007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1B1 (ko) * 2002-10-28 2005-05-30 이복식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75B1 (ko) * 2000-01-26 2004-07-02 김상일 변기의 수세용 수조
US7596818B2 (en) * 2004-09-28 2009-10-06 Bernard Sutton Disposable air exhaust system for eliminating aerosol effect in a toilet
US20070060039A1 (en) * 2005-09-13 2007-03-15 Cook Matthew D Arrangement and method to sense flow using mechanical stress microsensors
US20070113327A1 (en) * 2005-11-23 2007-05-24 Denkewicz Raymond P Jr Toilet bowl odor eliminator
US7818822B2 (en) * 2006-07-13 2010-10-26 Zuvo Water, Llc Toilet tank water purifier
US8266728B2 (en) * 2007-08-21 2012-09-18 The Clorox Company Toilet device with cleanser and fragrance
US8307467B2 (en) * 2007-08-23 2012-11-13 The Clorox Company Toilet device with indicator
US8973174B2 (en) * 2009-10-06 2015-03-10 Anthony Palazzola Vented toilet
US20120227171A1 (en) * 2009-10-10 2012-09-13 Joseph Jesus Lopez Magical Toilet Seat
US20130097770A1 (en) * 2011-10-24 2013-04-25 Arigala Painting, Inc. Toilet ventilation system
CN103726560A (zh) * 2013-12-27 2014-04-16 余姚市众一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卫生马桶
US9756996B1 (en) * 2016-02-09 2017-09-12 Hernaldo Ruiz Ventilated toilet seat
US10168679B2 (en) 2016-12-09 2019-01-01 Darrin P. Tyso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US9957702B1 (en) * 2017-04-20 2018-05-01 Maurício Santos Da Silva Device for eliminated bad odors in two-piece toilets
US11634899B2 (en) * 2019-11-07 2023-04-25 Ervin E. Salazar Toilet and bathroom exhaust system
US11253118B1 (en) * 2020-07-04 2022-02-22 Richard Claudio Odor extr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1B1 (ko) * 2002-10-28 2005-05-30 이복식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117A (ko) 1994-07-20
US20050138720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727B1 (ko) 양변기용 악취배출장치
US5400446A (en) Seat cover actuated flushing mechanism for toilet
CA2016488C (en) Toilet deodorizer
CN104093918A (zh) 节水坐便器
US8196232B2 (en) Exhaust unit for a toilet bowl
US5896591A (en) Toilet air freshener
US6370703B1 (en) Odorless toilet
US5167039A (en) Toilet assembly
US5305472A (en) Ventilation unit for a toilet
JP3129164U (ja) 便器の脱臭装置
CN208624316U (zh) 一种多功能宠物屋
CN216689635U (zh) 一种环保无味公共卫生间
GB2418931A (en) Toilet odour ventilation system
CN206554199U (zh) 厕所除臭系统
CN2608572Y (zh) 卫生间自动冲洗控制装置
CN208159706U (zh) 一种智能宠物屋
WO2000077312A1 (en) Toilet supplied with a fecal gas extractor
CN2659991Y (zh) 节水型座便器
CN2538861Y (zh) 两段式自动冲水组件
KR0178581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사이폰 변기
CN104912172A (zh) 自动对开门式小便器
EP3145380B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KR200311829Y1 (ko) 양변기의 악취배출장치
JP3090982U (ja) オートディテクターの感知で、便器の台座を開ける装置
CN110185112A (zh) 一种防臭马桶及其运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