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06Y1 -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06Y1
KR950007706Y1 KR92012229U KR920012229U KR950007706Y1 KR 950007706 Y1 KR950007706 Y1 KR 950007706Y1 KR 92012229 U KR92012229 U KR 92012229U KR 920012229 U KR920012229 U KR 920012229U KR 950007706 Y1 KR950007706 Y1 KR 950007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arc
gap
landing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413U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희수
금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금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92012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706Y1/ko
Publication of KR9400034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4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승강장 문턱 6 : 카상프레임
10 : 카 도어 문턱 12 : 엘리베이터
14 : 호형 회동체 15 : 구동모터
16 : 래크기어 17 : 구동피니언
18 : 하한 스위치 19 : 상한 스위치
20, 21 : 접점 22 : 지지편
23 : 간격 보상판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장과 엘리베이터 카의 간격을 보상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정지했을 때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고 휠체어 및 손수레 등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엘리베이터는 중행중 발생할 수 있는 승강장과 엘리베이터 카와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장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 간격은 승객으로 하여금 공포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승객의 발이 빠져서 부상을 입게 되는 요인이 되고, 휠체어 또는 손수레의 이용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부분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1은 승강장 도어, 2는 승강장 도어슈, 3은 승강장 문턱, 4는 승강장 벽체를 각각 보인 것이고, 5는 카 도어, 6은 카상프레임, 7은 라이너, 8은 카도어슈, 9는 에이프런, 10은 카 도어 문턱, 11은 브래키트, 12는 카(car)를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 카 도어 문턱(10)은 카 도어(5)의 개폐동작은 안내하고, 카 도어(5)의 하단부에 고정된 카 도어슈(8)를 안내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 도어 문턱(10)은 라이너(7)는 대고 브래키트(11)에 볼트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브래키트(11)는 카상프레임(6)에 볼트로 고정되며, 또한 브래키트(11)에는 추락방지를 위한 에이프런(9)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 벽체(4)에는 승강장 도어(1)의 개폐동작을 안내하기 위하여 승강장 도어(1)의 하부에 고정된 승강장 도어슈(2)를 안내하는 홈이 형성된 승강장 문턱(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도어 문턱(10)은 카도어(5)의 하부에 고정된 카도어 슈(8)를 안내하는 홈에 의하여 카도어(5)의 개폐동작을 안내하며, 승강장 문턱(3)은 승강장 도어(1)의 하부에 고정된 카도어 슈(8)를 안내하는 홈에 의하여 승강장 도어(1)의 개폐동작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12)가 승강장에 도착하면 카상프레임(6)에 설치된 도어 문턱(10)과 승강장 문턱(3) 사이에 카(12)운행시 카(12)와 승강장(13)의 간섭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격 "T"가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이용 승객이 승하차시 신발이 걸려 부상을 입게 되는 결함이 있으며, 휠체어나 손수레를 이용하는 데 불편하고, 물건을 떨어뜨릴 경우 승강로로 추락하여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간격 "T"사이로 승강로가 보임으로써 승객으로 하여금 공포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고층 빌딩에 설치되는 고속 기종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간격 "T"사이로 바람이 불어 이용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엘리베이터(12)의 카상프레임(6)에 원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형 회동체(14)와, 이 호형 회동체(14)의 래크기어(16)에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17)과, 에어프런(9)에 고정된 지지편(22)에 고정되어 호형 회동체(14)의 양단부에 형성된 하한 접점(20)과 상한 접점(21)이 접촉되어 접속시키는 하한 스위치(18) 및 상한 스위치(19)로 구성되고, 상기 호형 회동체(14)의 상단부에는 카 도어 문턱(10)과 승강장 문턱(3) 사이의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간격 보상판(23)이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터(15)는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에서 도어(1, 5)를 개폐구동하기 위한 도어모터(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상 카의 상부에 설치됨)와 함께 제어회로에 연결하여 도어(1, 5)가 열릴 때 정회전하고 도어(1, 5)가 닫힐 때 역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 피니언(17)은 구동 모터(15)의 축에 연결되어 동력을 받거나 별도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동력을 받아 구동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는 제2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호형 회동체(14)가 브래키트(14)가 브래키트(11)의 하부로 이동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12)가 주행하게 되며, 주행하던 엘리베이터(12)가 승강장(13)에 서게 되면 구동 모터(16)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 피니언(17)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 피니언(17)에 래크기어(16)로 맞물린 호형 회동체(14)가 점선의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회전하여 호형 회동체(14)의 하단부에 형성한 상한 접점(21)이 상한 스위치(19)를 접속시켜 구동 모터(15)를 정지시키게 되며, 이때 호형 회동체(14)의 상단부에 부착된 보상판(23)이 엘리베이터 카 도어 문턱(10)과 승강장 문턱(3)사이의 간격 "T"에 위치하게 되어 간격을 보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2)가 정지된 제2도의 실선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2)를 운행하기 위하여 도어(1,5)를 닫으면 구동 모터(15)가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호형 회동체(14)가 상기 동작과 역방향으로 하향 회동하여 제2도에 점선 표시와 같이 그 상측부에 형성된 하한 접점(20)이 하한 스위치(18)를 접속시키면서 정지하며, 엘리베이터 카(12)가 주행할 때에는 호형 회동체(14)가 항상 브래키트(11)의 밑에 위치하여 승강장과 간섭, 충돌될 염려가 없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장치에서 호형 회동체(14)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간격 보상판(23)은 설치 장소에 따라 카도어 문턱(10)과 승강장 문턱(3) 사이의 간격 "T"가 상이함로 설치 현장에 따라 두께 "t"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교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12)가 정지한 상태에서 카 도어 문턱(10)과 승강장 문턱(3) 사이의 간격 "T"를 호형 회동체(14)의 상단에 결합되는 간격 보상편(23)으로 보상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이용 승객이 승하차시 신발이 걸리면서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으며, 휠체어나 손수레를 이용하기 용이하고, 물건을 떨어뜨렸을 때 승강로로 추락하여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 "T"사이로 승강로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승객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특히 고층 고객 빌딩에 설치되는 고속 기종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간격 "T"사이로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어 승객으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는 일이 없어 쾌적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12)의 카상프레임(6)에 원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호형 회동체(14)와, 이 호형 회동체(14)의 래크기어(16)에 맞물리는 구동 피니언(17)과, 에이프런(9)에 고정된 지지편(22)에 고정되어 호형 회동체(14)의 양단부에 형성된 하한 접점(20)과 상한 접점(21)이 접속되어 접속시키는 하한 스위치(18) 및 상한 스위치(19)와, 상기 호형 회동체(14)의 상단부에는 카 도어 문턱(10)과 승강장 문턱(3) 사이의 간격 "T"를 보상하기 위하여 간격 보상판(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피니언(17)은 도어가 열릴 때 정회전 되고 도어가 닫힐 때 역회전되도록 제어되는 구동 모터(15)의 축에 연결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KR92012229U 1992-07-03 1992-07-03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KR950007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229U KR950007706Y1 (ko) 1992-07-03 1992-07-03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229U KR950007706Y1 (ko) 1992-07-03 1992-07-03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413U KR940003413U (ko) 1994-02-18
KR950007706Y1 true KR950007706Y1 (ko) 1995-09-20

Family

ID=1933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229U KR950007706Y1 (ko) 1992-07-03 1992-07-03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413U (ko) 199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1295A (en) Cableless elevator system
FI101529B (fi) Lukitusmekanismilla varustetulla ovenkäyttölaitteella varustettu hissi
US4339224A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wheelchairs in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s
US6202801B1 (en) Equipment for carrying out operations in an elevator shaft
US5050708A (en) Wheelchair transfer mechanism
US4176732A (en) Self-propelled aircraft passenger elevator
HU205321B (en) Door-moving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for elevators
US3121243A (en) Airport passenger walkway
CZ280246B6 (cs) Pojezdové ústrojí pro posuvné dveře
US4313525A (en) Car door safety interlock
KR950007706Y1 (ko) 엘리베이터의 착상간격 보상장치
KR10084851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장치
CA1244783A (en) Elevator system with improved car leveling
JP2008137756A (ja) エレベータ装置
GB2274822A (en) Escalator for passengers and wheelchairs
JP200011893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KR200294519Y1 (ko) 경사형 엘리베이터와 경사 안내부 및 경사형 엘리베이터시스템
US5695024A (en) Car operated safety gate for horizontally transferrable elevator cab
SU1643396A1 (ru) Подъемник
KR100291054B1 (ko) 자동차용 승하차발판 자동승강장치
JPH0748630Y2 (ja) 階段昇降機における搬器の着床装置
JPH01271387A (ja) 機械ハウジングのないエレベータ
KR920007689Y1 (ko) 에스컬레이터의 콤 파손 방지장치
KR101545972B1 (ko)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