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40B1 -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40B1
KR950007440B1 KR1019910008743A KR910008743A KR950007440B1 KR 950007440 B1 KR950007440 B1 KR 950007440B1 KR 1019910008743 A KR1019910008743 A KR 1019910008743A KR 910008743 A KR910008743 A KR 910008743A KR 950007440 B1 KR950007440 B1 KR 95000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lter
output
narrowban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720A (ko
Inventor
박일근
서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440B1/ko
Priority to JP3252150A priority patent/JP2667316B2/ja
Priority to US07/796,619 priority patent/US5313494A/en
Publication of KR92002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34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pulse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본 발명에 따른 각부 파형도 및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과정을 도식적으로 설명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된 협대역 중첩신호의 기저대역전력 스펙트럼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의 비직선적 채널에서의 기저대역 전력스펙트럼과 다른 변조방법에 의한 전력스펙트럼의 비교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도의 제2여파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한 구성도.
제6도는 제5도에 따른 각부 동작파형도.
제7도는 기억소자 및 여파기로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을 디지틀 전송시스템용 변조기에 적용한 일 실시예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을 이용한 변복조 장치의 오류확률 특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협대역 중첩신호를 비직선적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였을때 근접채널의 방해에 의한 비트에너지대 잡음밀도(Eo/No)의 열화정도를 종래 기술과 비교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여파기 3 : 감산기
4 : 제2여파기 5 : 감쇠기
6 : 제3여파기
본 발명은 디지틀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틀 전송시스템(Digital Transmission System)에 있어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를 제공하는 협대역 중첩변조신호(Modulated Signal)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송되는 신호가 좁은 점유대역폭(Occupied Bandwidth) 특성을 가지며 비직선(Non-linear)성 증폭기를 사용하여 전송하여도 변조팟형의 왜곡이 적으므로 한정된 전송매체 대역폭내에서 보다 많은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요구되고, 소비전력의 효율성이 요구되는 위성통신시스템, 이동체 무선시스템, 지상마이크로 웨이브(Micro-wave) 통신망에 유용한 장치이다.
종래 디지틀 전송시스템은 대부분 NRZ(Non-Return-to-Zero) 신호형태로 되어 있는 2진 데이타신호가 한개의 반송파 또는 직교반송파(Quadrature Carrier)에 의해 변조되어 위성 또는 마이크로 웨이브등의 전송수단을 통하여 수신장치를 향하여 전송한다. 송신하기 바로 전단계에서 전송에 충분한 신호전력을 얻기 위하여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로 신호를 증폭하는데 대부분의 송신측 전력이 이곳에서 소모되므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증폭기를 포화영역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한정된 전원으로 장시간 통신이 요구되는 이동체 통신의 경우 상기 동작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된다. 아울러 한정된 전송매체의 대역폭내에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서는 전송되는 변조신호의 점유대역폭의 작은 효율적인 신호가 요구된다.
대부분의 디지틀 전송시스템에 있어서는 올림여현여파기(raised-cosine filter)로 대역폭을 제한한 4상직교 변조방식(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 QPSK)이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는 직선성 채널(linear channel)에서 매우 좁은 점유대역폭을 가지며, 간단한 장치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고전의 QPSK 변조신호를 여파기로 대역제한 시키고 포화영역(saturation region)에서 동작하는 고출력 증폭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때,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들로 인하여 고출력증폭기 출력에서 전송스펙트럼(spectrum)의 사이드 로브(side-lobe)가 재확산된다. 이 재확산된 사이드 로브들은 인접채널의 신호에 영향을 주어 오류확률(error probability) 성능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전력 및 대역폭의 효율적인 응용에 있어서 QPSK 변조방법은 좋은 변조기술이 아니다.
전력 및 대역폭이 효율적인 디지틀 전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비직선적으로 증폭된 변조신호의 전력스펙트럼이 좁은 메인 로브(main-lobe)와 사이드 로브의 재확산현상이 적어야 한다. 그리고, 오류확률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서는 수신된 신호의 타이밍 지터(timing jitter)와 심볼 상호간의 간섭방해(inter-symbol-interference : ISI)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상기 대역폭 및 전력효율적인 변조신호발생을 위한 종래 기술중 특히, Dr. Kamilo Feher에 의한 미국특허번호 4,339,724의 Filter(IJF-OQPSK)과, Dr. J.S.Seo와 Dr. K.Feher에 의한 미국특허번호 4,644,565의 "Superposed Quadrature Modulated(SQAM) signal procesor"에 관한 발명은, 연속하여 입력되는 NRZ신호 두 비트(bit)를 검출하여 상호 데이타형태(data format)에 따라 두배주기 올림여현펄스파형을 발생하는 변조신호 발생장치로, 후자의 발명은 전자의 올림여현신호에 다른 진폭을 갖는 단주기 올림여현펄스를 중첩하여 메인과 사이드 로브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고전의 QPSK, 오프셋(offset)-QPSK, 최소이상 편이변조(minumun shift keying : MSK) 방식들 보다 고출력 증폭기의 비직선성에 의한 스펙트럼의 재확산 정도가 적은 특성을 보이며, 훌륭한 오류확률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기술들은 대역폭 및 전력효율적인 변조방식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의 메인로브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은 고전의 올림여현여파기에 의해 대역 제한된 QPSK 변조방식보다 넓어 주파수 스펙트럼상 원하는 채널과 근접채널과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경우 오류확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출력 증폭기가 비직선적 영역 즉 포화영역에서 동작하여도 사이드 로브의 재확산 현상이 작아 전력이 효율적인 변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선 또는 비직선성 채널환경하에서 좁은 메인로브 특성을 갖는 대역폭이 효율적인 변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장치에서 데이타 복원시 간단한 장치로도 좋은 오류확률 특성을 갖는 대역폭이 효율적인 변조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반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는, 디지틀 전송을 위한 신호발생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를 배주기 올림여현펄스신호로 변환하는 제1여파수단과,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를 단주기 올림여현펄스신호로 변환하는 제2여파수단과, 상기 제2여파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수단과, 상기 제1여파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와 상기 감쇠수단으로 조절된 신호를 중첩시키는 가감산수단과, 상기 가감산수단에 의하여 중첩된 신호의 점유 대역폭을 조절하는 제3여파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협대역 중척변조신호 발생장치의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제1도에 의하면,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는 전송경로(1)를 통하여 두 여파기(2)(4)로 공급되는데, 제1여파기(2)는 NRZ데이타를 받아 임펄스 응답(impulse response)이 0.5(1+cos πt/T)인 특성을 갖는 배주기 여현함수(couble interval cosine function)를 발생시키는 여파기로 T는 입력데이타의 한 심볼(symbol) 주기이며, -T≤t≤T의 범위안에서 변화하며 제1여파기(2)의 출력 s1은 감산기(3)의 +로 표시된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입력되는 NRZ형태의 데이타 전송경로(1)의 잔여 일측은 제2여파기(4)로 연결되는데 제2여파기(4)는 -T≤t≤T 주기동안 0.5(1-cos2π t/T)의 임펄스 응답특성을 갖는 여파기로 제1여파기(2) 주기의 반이되는 단주기 여현함수를 발생한다.
상기 제2여파기(4)의 출력 s2는 중첩도(A)값에 따라 (1-A)만큼 파형의 진폭을 감쇠시키는 감쇠기(5)를 통과하여 감산기(3)의 -로 표시된 일측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감산기(3)에 입력되는 두 신호 s1, s2는 감산기에 진폭감산 즉, 중첩을 행하여 s3=s1-s2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제3여파기(6) 입력으로 공급된다.
제3여파기(6)는 전력 3dB 차단주파수 fc가 1/T 미만인 저역여파기 형태로 극점수(pole number) N 및 여파기 전달함수 형태를 본 발명이 사용되는 시스템의 응용분야 및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되, 감산기(3)의 출력신호 s3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제한하여 메인로브 및 사이드 로브가 협대역이 되도록 신호를 변환하여 본 발명의 출력 s(t)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으로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는 제1여파기(2)에서 배주기 여현함수로 변환되는 바,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의 극성(polarity)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된 파형이 두 주기동안 이전의 파형과 중첩되어 제1여파기(2)의 출력에는 실선으로 표시된 s1 파형이 출력된다.
한편, 제2여파기(4)도 제1여파기(2)와 동시에 같은 형태의 데이타를 받아 여파시키되, 제2도의 s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의 극성에 따라 점선으로 표시된 단주기 여현함수가 발생되고 이것이 중첩된 후 감쇠기(5)에서 A값에 따라 감쇠되어 실선으로 표시된 s2가 출력된다.
상기 두 출력신호 s1, s2는 감산기(3)에서 감산되어(즉 중첩되어) 두 신호간의 진폭 차인 s3=s1-s2 신호를 만든다. 이 신호는 대역폭 제한용 여파기인 제3여파기(6)를 통과하여 본 발명의 협대역 중첩 변조신호 s(t)가 생성된다.
상기 동작의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협대역 중첩변조신호s(t)의 메인 로브 및 사이드 로브의 점유대역폭 전력 스펙트럼은, 감쇠기(5)의 A값과 제3여파기(6)의 전력 3dB 차단주파수 fc, 극점수 N, 그리고 전달함수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작에는 제3여파기(6)의 특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데이타심볼 상호간의 방해현상이 적고 수신시 오류확률을 좋게 하기 위하여서는 제3여파기(6)의 통과대역내에서 진폭요동(ripple)이 적고 주파수상 군지연(group delay) 특성이 일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이유로 제3여파기(6)를 버터워스(butterworth) 형태의 전달함수를 갖는 여파기로 채택한 예의 전력 3dB 차단주파수 fc 및 극점수 N, 그리고 A값에 따른 직선 채널에서의 기저대역(baseband) 전력스펙트럼 변화를 제3도에 보였다. 상기 변수들은 그 변화에 따라 전력스펙트럼 및 오류확률 성능이 변화하므로 본 발명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메이 로브 및 사이드 로브의 요구조건에 만족하도록 상호 보완하여 결정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비직선성 채널에서의 특성을 명백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의 설계변수인 A=0.7, 3dB 차단주파수 fc=1.3fn(여기서 fn은 Nyquist주파수=1/2T), 극점수 N=6으로 선정하여 비직선성 채널에서의 기저대역 전력스펙트럼을 상기 종래 발명인 IJF-OQPSK, SQAM 변조 방식 및 종래 기술인 MSK, QPSK 변조방법에 의한 전력스펙트럼과 비교하여 보인 것이다. 여기서 비직선성 채널로 인텔세트(INTELSAT) 위성에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가 포화영역(즉 0dB input back-off)에서 동작할 때의 특성 모델을 채택하여 컴퓨터 모의실험(computer simulation)한 결과이다.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력스펙트럼의 메인 로브는 종래 발명인 IJF-OQPSK, SQAM보다 좁은 점유 대역폭을 가지고, 비직선 채널에 의한 사이드 로브의 재확산현상은 고전의 QPSK, OQPSK, MSK 변조 방식보다 적은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어, 대역폭 및 전력 효율적인 변조신호로 적합함이 명백하다.
제5도는 제1도에 따른 일 실시예로 제1여파기(2), 감쇠기(5), 제3여파기(6)는 제1도와 동작 및 구성이 동일하고, 제1도의 감산기(3) 대신에 가산기(31)로 변경하여 구성하였다. 제5도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도에 보인 제2여파기(2)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점적으로 보인 것으로, 0.5(1-cos 2πt/T) 임펄스응답을 구현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의 기본클럭 s4가 2분주하는 2분주기(41)의 입력단에 전송되도록 연결하는데, 2분주된 클럭이 여현함수가 출력되는 대역여파기(42)를 통과한 신호는 절대값 발생기(43)에서 절대값을 취한 신호로 만든다. 절대값 발생기(43)의 출력신호와-반전기(45)에서 극성이 반전된 입력데이타를 승적기(4)에서 곱하고 그 곱해진 출력신호는 감쇠기(5)를 통과하여 절체기(48) 일측 입력단에 전송되도록 연결한다. 절체기(48)는 쌍극입력을 갖고 절체조절 신호에 의하여 둘중의 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데 잔여 일측 입력단에는 0V를 공급하며 그 출력신호가 가산기(31)의 일측 입력단으로 전송되도록 연결한다. 한편, 입력되는 NRZ데이타신호는 제어수단(50)으로 입력되며 출력신호는 절체기(48)의 절체 조절단자에 전송되도록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수단(50)은 지연기(46)과 배타적논리합기(47)로 구성되며, 상기 배타적논리합기(47)는 NRZ 데이타 신호와 상기 NRZ 데이타 신호를 한 심볼 주기동안 지연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지연기(46)의 출력을 입력받아 그 결과의 논리 상태를 절체기(48)의 절체조절단자에 전송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구성에 의거하여 이하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되는 NRZ형태의 데이타신호는 제1여파기(2)를 통과하여 제6도의 s1과 같은 파형으로 변환된다. 한편, 입력데이타신호의 기본클럭신호 s4는 2분주기(41)에서 2분주되어 s5신호와 같이 되고, 이 신호는 대역여파기(42)에서 여파되어 s6와 같은 여현함수로 변형된다. 이 신호는 절대값발생기(43)에서 절대값이 취해져 s7과 같은 파형으로 출력되어 승적기(44)의 일측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승적기(44)의 잔여 일측 입력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데이타가 반전기(45)를 통하여 반전된 후 공급되는 신호로 승적기(44)에서 상기 두 신호가 곱하여져 감쇠기(5)를 통과하여 s8과 같은 파형의 신호로 된다. 상기 반전기(45)는 제1도의 감산기(3) 대신 제5도에서는 가산기(31)를 사용하였으므로 s3 파형이 s1으로부터 s2를 감산하도록 하기 위하여 s8 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도에서와 같이 감신기(3)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전기는 필요없게 된다.
한편, 제어수단(50)으로 입력되는 데이타신호는 지연기(46)에서 한 심볼 주기동안 지연되어 현재의 데이타 비트(bit)와 함께 배타적 논리합기(47)의 입력단으로 전송된다. 즉, 두개의 연속되는 입력데이타 비트를 배타적 논리합기(47)에서 논리 비교하여 두 비트의 극성이 같으면 배타적 논리합기(47)의 출력에서 논리 0이 출력되고 이 신호는 절체기(48)의 절체조절단자로 공급되어 절체기(48)는 s8의 신호를 가산기로 공급한다. 반대로 연속되는 입력데이타 비트의 극성이 다를 경우(즉 [1, -1], [-1, 1]) 배타적 논리합기(47)의 출력에서 논리 1이 출력되어, 이 신호는 절체기(48)가 0V를 출력하도록 절체를 시켜 입력 데이타에 따라 가산기(31)로 공급한다. 이 동작들은 s2 파형과 같은 조건부 파형에 따라 동작한다.
가산기(31)에서는 상기 s1, s2 두신호를 합하여 s3 파형을 만들고 이 신호는 제3여파기(6)를 통과하여 본 발명의 협대역 중첩변조 신호 s(t)를 발생시킨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파형을 이용한 일 실시예로 낮은 전송속도가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간단한 장치로 구성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와 지연기(46)에서 한 심볼 주기동안 지연된 데이타신호, 그리고 기본 클럭과 그 기본 클럭에 s배되는 클럭(12)을 s분주한 S계수기(13)의 출력을 읽기전용 기억소자(Read only memory : ROM ; 10)의 어드레스(address)신호로 연결한다.
ROM(10)의 출력에는 입력되는 데이타신호의 극성과 s클럭에 의해 변화하는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디지틀화된 신호를 출력하는데, ROM(10)의 내용은 연속되는 입력신호의 두 비트에 극성변화에 따른 본 발명의 모든 s3파형을 미리 s배 샘플링하고 디지틀값으로 변화하여 입력시켜 놓은 것이다. ROM(10)의 출력을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 11)를 통과하면 s3와 비슷하나 샘플링 클럭에 의하여 양자화(quantized)된 계단파형 s3'가 출력된다. 대부분의 경우 양자화된 계단파형에는 기본클럭의 s배에 해당되는 불요 주파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여파수단을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11)의 출력에 설치하여 상기 불요주파수 성분을 제거하여 원하는 신호를 얻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3여파기(6)를 디지틀/아날로그 변환기(11)의 출력에 직접 연결하여 불요주파수 제거와 동시에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s(t)가 발생하도록 구성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을 디지틀 전송시스템에 적용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고전의 offset-QAM(or QPSK) 변조기 구조에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 2개를 설치한 디지틀신호변조기를 보인 것이다.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1)는 분배기(21)를 거쳐 두개의 경로로 나누어 지는데, 일측은 상기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22A)에 입력되고, 잔여 일측은 지연기(23)로 공급된다. 지연기(23)의 출력은 본 발명인 잔여 협대역 중첩신호발생장치(22B)로 입력된다. 협대역 중첩신호발생장치(22A, 22B)의 출력들은 승적기(24A, 24B)에 각각 연결되는데, 각 승적기에는 반송파가 90°이상(shift) 분배기(25)를 통하여 잔여 일측 입력으로 각각 입력되되, 0°이상된 반송파와 90°이상된 반송파는 각각 24A와 24B의 승적기에 공급된다. 두 승적기(24A, 24B)의 출력은 가산기(26)에서 백터합(vector summation)이 취해져 반송파에 데이타가 실린 변조신호가 되어 전송로(27)를 통하여 전송된다.
상기 구성은 고전의 offset-QAM 변조방식에서 올임 여현여파기 대신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 장치로 대치한 형태와 같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변조기를 구성할 경우 부가의 대역 제한용 여파수단이 필요없다. 즉,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을 변조기의 대역제한용 여파수단으로 사용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복조기는 고전의 offset-QAM 복조기를 그대로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을 이용한 변조기를 직선성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되, 본 발명의 제3여파기(6)를 3dB 차단주파수 fc=1.3fn에 극점수 N=6의 버터워스 여파기를 채용하고, A값을 변화하여 전송한 후, 고전의 offset-QAM형태의 복조기로 수신하였을때 오류확률 Pe=1×10-4를 유지하기 위한 이론치와의 성능열화 정도를 수신단 여파기기의 3dB 차단주파수 변화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이론치는 Eb/No=8.4dB).
여기서, A=0.7이고 수신단 여피기의 3dB 차단주파수가 1.0fn인 경우 비트에너지 대 잡음밀도(Eb/No)의 열화정도가 0.1dB 이하로 종래 기술의 변조방식보다 오류확률 성능이 향상된(적은 성능열화)것을 알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을 포화영역에서 동작되는(0dB 입력 back-off) 고출력증폭기, 즉 비직선성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열때 증폭기의 비직선성으로 인하여 사이드 로브가 재확산되어 발생되는 근접채널 방해(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 ACI) 현상에 의한 Eb/No의 열화정도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보인 것이다. 세로축은 오류확률 Pe=1×10-4을 유지하기 위한 이론치인 Eb/No-8.4dB와 비교한 열화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낮을 수록 성능이 좋은 것이다. 가로축은 근접한 다른 두 채널신호간의 채널간격과 이의 역수인 스펙트럼 효율로 표시한 것으로 간격이 좁아 질수록 즉, 스펙트럼 효율이 증가할수록 본 발명의 Eb/No 열화정도가 타 변조방식에 비하여 적음(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즉, 타 변조 방식보다 한정된 대역폭내에서 더 많은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는 NRZ형태의 입력데이타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대역 제한용 파수단으로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전송요구 특성에 따라 메인 로브의 대역폭과 사이드 로브의 재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비직선성 채널에서도 좁은 메인 로브 점유대역폭 특성과 사이드 로브의 재확산 현상이 적어 대역폭 및 전력 효율적인 전송 시스템용 변조신호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를 대역폭 제한용 여파수단으로 사용한 변조기는 간단한 장치로 구성되고 좋은 오류확률 특성을 가지며, 비직선성 채널에서 근접채널 방해현상이 종래의 기술보다 적은 디지틀 전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디지틀 전송을 위한 신호발생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를 배주기 올림여현펄스신호로 변환하는 제1여파수단(2)과,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를 단주기 올림여현펄스신호로 변환하는 제2여파수단(4)과, 상기 제2여파수단(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수단(5)과, 상기 제1여파수단(2)에 의해 발생된 신호와 상기 감쇠수단(5)으로 조절된 신호를 중첩시키는 가감산수단(3)과, 상기 가감산수단(3)에 의하여 중첩된 신호의 점유 대역폭을 조절하는 제3여파수단(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여파수단(4)의 임펄스응답이 0.5(1-cos 2π t/T)임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여파수단(4)은 임펄스응답특성 구현을 위하여 입력신호 주기에 동기된 클럭을 2분주하는 분주수단(41)과, 상기 분주된 신호에서 단주기 여현함수를 추출하는 대역여파수단(42)과, 대역여파된 신호의 절대값을 취하는 절대값 발생수단(43)과, 절대값이 취해진 대역여파된 클럭신호와 입력되는 데이타신호의 극성과 곱하는 승적수단(44)과, 상기 승적수단(44)의 출력을 감쇠수단(5)으로 통과시킨 신호를 제어신호에 따라 절체하는 절체수단(48)과, 상기 입력되는 데이타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절체수단(48)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두 비트데이타신호의 극성이 같은 경우 감쇠수단(5)의 출력을 가산기(31)에 공급하고, 그외의 경우에는 0V 전압이 가산기(31)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승적수단(44)으로 공급하는 이력데이타신호를 반전수단(45)을 통과하여 극성을 바꿈으로써 가감산수단(3)을 가산수단으로 대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중첩신호 발생장치.
  5. 디지틀 신호 변조기에 있어서, 입력되는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추출하여 하나의 신호경로는 지연기를 거치도록 하고, 또 다른 하나의 신호경로는 지연기를 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신호의 경로를 분배하는 분배기 ; 상기 분배기의 일단에서 출력된 NRZ형태의 디지틀 데이타신호를 소정의 주기동안 지연시키는 지연기 ; 상기 지연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협대역 중첩 신호를 발생하는 제1협대역 중첩 신호 발생기 ; 상기 분배기에서 출력된 신호중 상기 지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일단의 신호가 아닌 또 다른 일단의 신호를 협대역 중첩 신호를 발생하는 제2협대역 중첩 신호 발생기 ; 상기 제1협대역 중첩 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고주파수로 변조하는 제1승적기 ; 상기 제2협대역 중첩 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고주파수로 변조하는 제2승적기 ; 상기 제1승적기 및 제2승적기에 0°이상(shift)된 반송파와 90°이상(shift)된 반송파를 공급하는 90°이상 분배기 ; 및 상기 제1승적기 및 제2승적기에서 출력된 신호를 벡터합성을 수행하는 가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신호 변조기.
KR1019910008743A 1991-05-28 1991-05-28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KR95000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743A KR950007440B1 (ko) 1991-05-28 1991-05-28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JP3252150A JP2667316B2 (ja) 1991-05-28 1991-09-30 狭帯域重畳変調信号発生装置
US07/796,619 US5313494A (en) 1991-05-28 1991-11-22 Compact superposed modulated signal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8743A KR950007440B1 (ko) 1991-05-28 1991-05-28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720A KR920022720A (ko) 1992-12-19
KR950007440B1 true KR950007440B1 (ko) 1995-07-10

Family

ID=1931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743A KR950007440B1 (ko) 1991-05-28 1991-05-28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13494A (ko)
JP (1) JP2667316B2 (ko)
KR (1) KR950007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0877A (en) * 1993-08-26 1996-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iver for a superpose modulated signal
US5742640A (en) * 1995-03-07 1998-04-21 Diva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PSTN access to wireless subscribers using a low bit rate system
JPH09261007A (ja) * 1996-03-27 1997-10-03 Sony Corp デジタルフィルタ装置
US6072340A (en) * 1997-03-24 2000-06-06 Tellabs Operations, Inc. Pulse shaping and filtering circuit for digital pulse data transmissions
GB2349317A (en) * 1998-01-21 2000-10-25 Nokia Mobile Phones Ltd Pulse shaping which compensates for component distortion
GB2333674B (en) * 1998-01-21 2003-08-27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 telephone
DE69935540T2 (de) * 1998-01-30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Modulationsverfahren und Funkkommunikationssystem
US6104761A (en) * 1998-08-28 2000-08-15 Sicom, Inc. Constrained-envelope digital-communications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7580488B2 (en) * 2000-11-29 2009-08-25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Broadband modulation/demodula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JP3703083B2 (ja) * 2001-01-10 2005-10-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波形発生装置
US20030108110A1 (en) * 2001-12-10 2003-06-12 The Boeing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emissions in communications
US7019882B1 (en) 2002-03-21 2006-03-2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eneration of M-ary digital signaling constellations directly at lightwave frequencies
CN109525519A (zh) * 2017-09-19 2019-03-26 晨星半导体股份有限公司 符号率估计装置、符号率估计方法与邻近通道干扰检测装置
CN108181486B (zh) * 2018-01-25 2019-12-03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加速度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
US10541701B1 (en) * 2018-09-07 2020-01-21 Cirrus Logic, Inc. Analog signal condition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30871A (en) * 1979-05-10 1982-08-31 Kamilo Feher Non-linear digital filter
US4417349A (en) * 1979-11-08 1983-11-22 Digital Broadcasting Corporation SCA Data transmission system with a raised cosine filter
JPH0714145B2 (ja) * 1983-04-26 1995-02-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変換方法
US4644565A (en) * 1984-06-12 1987-02-17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Societe Canadienne Des Brevets Et D'exploitation Limitee Superposed quadrature modulated baseband signal processor
US4731800A (en) * 1986-10-03 1988-03-15 Hycom Incorporated Raised-cosine filtering for mod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62833A (ja) 1992-12-15
KR920022720A (ko) 1992-12-19
US5313494A (en) 1994-05-17
JP2667316B2 (ja) 199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440B1 (ko) 협대역 중첩변조신호 발생장치
US5459749A (en) Multi-level superposed amplitude-modulated baseband signal processor
US4962510A (en) Phase modulated system with phase domain filtering
EP0583059B1 (en) Adaptive signal modulation system
US4745628A (en) Symbol generator for phase modulated system
US4567602A (en) Correlated signal processor
US4229821A (en)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by means of an angle-modulated carrier of constant amplitude
US4338579A (en) Frequency shift offset quadrature modulation and demodulation
AU739232B2 (en) Transmitter for QAM encoded data
US5903555A (en) Modul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constant envelope ODSCDMA with low out-of-band emissions for non-linear amplification
WO1995012944A1 (en) Continuous phase modulation with controlled intersymbol interference
WO2006012136A1 (en) Unified modulator for continuous phase modulation and phase-shift keying
US5818867A (en) QPSK/QBL-MSK waveform enhancement
US6091781A (en) Single sideband transmission of QPSK, QAM and other signals
Karam et al. Data predistortion techniques using intersymbol interpolation
US6996191B1 (en) Efficient accurate controller for envelope feedforward power amplifiers
CN114402569A (zh) 用于将具有变化包络的信号分解为偏移分量的方法和装置
KR100855515B1 (ko) 펄스형을 가진 직교 변조기
JP2003289256A (ja) 隣接チャネル・パワーを小さくするためのトランスミッタ及びその方法
US5509033A (en) Quadrature overlapping modulation system
US4644531A (en) Time division communication system
EP0155049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signals in a modulation band
Masamura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ystem with intrasystem interference cancellation
US5500877A (en) Receiver for a superpose modulated signal
MXPA00008266A (es) Circuitos de compensacion de seno(x)/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