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135Y1 -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135Y1
KR950007135Y1 KR92017722U KR920017722U KR950007135Y1 KR 950007135 Y1 KR950007135 Y1 KR 950007135Y1 KR 92017722 U KR92017722 U KR 92017722U KR 920017722 U KR920017722 U KR 920017722U KR 950007135 Y1 KR950007135 Y1 KR 950007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uide
packaged product
moving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7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616U (ko
Inventor
홍승일
Original Assignee
홍영표
주식회사 한독자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표, 주식회사 한독자동기 filed Critical 홍영표
Priority to KR92017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135Y1/ko
Publication of KR940007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 사시도.
제4a, b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구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기어 2 : 체인
3 : 종동기어 4 : 보조기어
5 : 장력조절기어 6, 6a : 가이드봉
7, 7a : 이동판 8 : 회전샤프트
9 : 제1레버 10 : 지지대
11 : 제2레버 12 : 링크
13 : 스프링 14 : 흡입관
15 : 흡착 패트 16 : 분할판
17 : 연결대 18 : 롤러
19 : 가이드레일 19a : 경사면
20 : 가이드풀리 21 : 복원스프링
22 : 고정대 23 : 가이드판
23a : 경사면 24 : 회전축
25 : 벨트
본 고안은 포장이 완료된 제품을 일정장소로 가지런히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기는 각종 스프류, 소금, 설탕, 분말과립, 의약품등을 자동으로 포장시켜주는 기기로서, 동작시 공급되는 상기 내용물이 포장지에의해 포장되어 배출되고 이 배출되는 포장제품은 절단장치에 의해 낱개로 절단된다.
종래에는 절단장치에 의해 낱개로 절단된 포장제품을 일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는 별다른 장치가 없었으므로 상기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포장제품은 곧바로 하방에 낙하되고 이 낙하된 포장제품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끄집어 내었으므로 필요인원에 의한 인건비의 지출을 가져오게 되어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케 됨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대두되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기에 이송장치를 부착하여 절단장치에 의해 낱개로 절단된 포장제품을 기기본체에서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장소로 가지런히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인건비의 지출에 의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게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기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동력을 받아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된 포장제품을 흡착하는 흡착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흡착수단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직각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흡착수단에 의해 흡착되고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포장제품이 일정간격 벌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안내수단에서 일정간격 벌어진 포장제품이 흡착수단에서 떨어질 때 떨어진 포장제품을 일정장소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고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2도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3도는 요부사시도이고, 제4도는 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작용도로서 본 고안은 기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동력을 받아 좌, 우로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포장제품을 흡착하는 흡착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흡착수단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직각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흡착수단에 의해 흡착되고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포장제품이 일정간격 벌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안내수단에서 일정간격 벌어진 포장제품이 흡착수단에서 떨어질때 떨어진 포장제품을 일정장소로 운반하는 운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기기본체에 고정된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기어(1)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체인(2)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3) 및 보조기어(4)와, 상기 체인(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어(5)로 구성되고, 이동수단은 기기본체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6)(6a)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판(7)(7a)과 상기 이동판(7)(7a)에 양측 끝단이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샤프트(8)와, 상기 일측 이동판(7)의 외측으로 하여 회전샤프트(8)에 일측 끝단이 고정된 제1레버(9)와, 상기 제1레버에 일측 끝단인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기기 본체에 고정된 지지대(10)에 힌지결합된 제2레버(11)와, 상기 제2레버에 일측 끝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종동기어(3)에 편심되게 힌지 결합된 링크(12)로 구성되며, 흡착수단은 이동판(7)(7a)에 설치된 회전샤프트(8)에 일정간격을 두고 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된 복수개의 흡입관(14)과, 상기 각 흡입관의 끝단에 연결되어 도시하지 않은 흡입수단에 의해 각 흡입관(14)에 흡입력이 발생되면 포장제품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한 흡착패드(15)로 구성된다.
또한 회동수단은 회전샤프트(8)에 끼워져 스프링(13)이 탄력을 갖도록 하는 복수개의 분할판(16)과, 상기 각 분할판에 일체가 되도록 연결된 연결대(17)와, 상기 연결대의 일측 상방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 롤러(18)와, 기기 본체에 설치되어 이동판(7)(7a)의 이동시 상기 롤러(18)가 안내됨에 따라 회전샤프트(8)를 축으로 하여 분할판(16) 및 연결대(17)가 흡입수단과 함께 회동되도록 일측으로 경사면(19a)을 갖는 가이드레일(19)과, 상기 회전샤프트(8)의 타측에 고정된 가이드풀리(20)에 안내되어 일단은 연결대(17)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이동판(7a)에 고정됨에 따라 회동되어 있던 분할판(16) 및 연결대(17)와 흡입수단은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1)으로 구성되고, 안내수단은 가이드봉(6)(6a)사이에 위치되도록 기기 본체에 고정된 고정대(22)와, 상기 고정대에 일체로 형성되어 끝단이 경사면(23a)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판(23)으로 구성되며, 운반수단은 기기본체에 설치되어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개의 회전축(24)과, 상기 각 회전축에 감겨져 회전축에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벨트(25)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26은 포장제품이고, 27은 설치대이며, 28은 공급롤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기가 작동됨에 따라 오와 열을 이루면서 내용물이 포장된 포장제품(26)이 공급수단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공급롤러(28)의 회전에 따라 하방으로 내려오는데, 이때 절단수단에 의해 포장제품(26)이 낱개로 절단되고 이 절단된 포장제품은 흡입수단을 구성하는 흡입관(14)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관(14)의 외측 끝단에 연결된 흡착패드(15)상에 곧바로 흡착된다.
이와같이 흡착패드(15)에 포장제품(26)이 흡착되면 계속되는 모터(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어(1)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이 체인(2)에 의해 종동기어(3)와 보조기어(4)로 전달되므로 상기 종동기어 및 보조기어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때 회전되는 체인(2)은 장력조절기어(5)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어 있다.
상기 종동기어(3)가 회전하면 링크(12)의 타단이 종동기어(3)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크(12)를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는 다시 제2레버(11)를 끌어당기게되므로 상기 제2레버가 지지대(10)에 연결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각도 만큼 회전된다.
한편 제2레버(11)가 우측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레버(11)의 일측 끝단과 제1레버(9)의 타측 끝단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레버(9)가 이동하면서 일측 가이드봉(6)에 설치된 일측 이동대(7)를 좌측으로 우측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타측 가이드봉(6a)에 설치된 타측 이동판(7a)이 상기 일측이동판(7)과 회전샤프트(8)로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타측이동판(7a)도 타측 가이드봉(6a)을 따라 함께 밀리게 된다.
상기 이동판(7)(7a)이 가이드봉(6)(6a)을 따라 이동되면 연결대(17)의 일측 상방에 설치된 롤러(18)가 기기 본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19)의 경사면(19a)을 따라 안내되므로 분할판(16) 및 연결대(17)가 회전샤프트(8)를 축으로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 동시에 흡입수단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흡입관(14)도 회전 샤프트(8)를 측으로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따라 흡착패드(15)에 흡착된 포장제품(26)이 이동된다.
상기에서 연결대(17)에 설치된 롤러(18)가 가이드레일(19)을 따라 안내되는 것은 복권스프링(21)이 회전샤프트(8)의 타측에 고정된 가이드풀리(20)에 안내되어 상기 복원스프링(21)의 일단은 연결대(17)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타측 이동판(7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복원스프링(21)이 연결대(17)를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가능하다.
이와같이하여 롤러(18)가 가이드레일(19)에 형성된 경사면(19a)에 안내되다가 상기 경사면을 완전히 벗어나는 순간 흡입관(14)은 최초 수평상태에서 90°회동 완료되어 수직상태에 있게 된다.
한편 계속되는 모터의 반시계방향 구동력에 의해 이동판(7)(7a)이 이동함에 따라 고정대(22)에 고정된 가이드판(23)을 수직상태로 회동된 흡입관(14)이 통과할때 상기 흡입관이 각 가이드판(23)의 끝단에 형성된 경사면(23a)이 안내되므로 흡입관(14)은 스프링(13)의 탄력을 받으며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벌어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흡착패드(15)에 흡착된 포장제품(26)간의 폭이 너무좁아 운반수단을 구성하는 벨트(25)에 상기 포장제품(26)이 놓여질때 뒤섞이게 되어 운반위치가 바뀌게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하여 이동되는 이동판(7)(7a)이 어느 위치(링크의 종동기어를 결합한 힌지가 도면상 가장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서는 첨부도면 제2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는데, 이때에는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있던 제1레버(9)가 이동판(7)(7a)에 설치된 회전샤프트(8)를 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있게되고 회전샤프트(8)에 끼워진 흡입관(14)은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위치 이동 완료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패드(15)에 흡착되어 있던 포장제품(26)이 하방으로 위치이동 되어 있는데, 이때 흡입관(14)의 흡입력을 제거하면 곧바로 포장제품(26)이 하방으로 떨어져서 벨트(25)에 놓여짐으로 회전축(24)의 회전에 따라 도면상 화살표방향(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벨트(25)가 포장제품(26)을 운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벨트(25)상에 포장제품(26)이 떨어지게 되면 계속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종동기어(3)가 회전하여 상기 종동기어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된 링크(12)를 다시 밀게되므로 기 설명된 포장제품(23)의 이송시와 역으로 모든 동작이 행하여지고 이에따라 다시 제2도의 실선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초의 상태가 되어 다음 포장제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작용은 포장제품(26)을 이송시키기 위한 1싸이클(Cycle)을 설명한 것이고 기기의 동작시에는 계속파여 반복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포장제품을 기기의 본체에서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장소로 가지런히 자동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인건비의 치출에 의해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됨과 함께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본체 내에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체인(2)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기어(3)와, 상기 본체 내의 지지대(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2레버(11)와, 일측단인 상기 지지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이 종동기어(3)에 편심되게 힌지결합되어 종동기어(3)의 회전시 제2레버(11)를 회동시켜 주는 링크(12)와, 상기 본체내에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봉(6)(6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판(7)(7a)과, 상기 각 이동판에 양측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워 회전샤프트(8)와, 일측단이 제2레버(11)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이 회전샤프트(8)에 고정되어 제2레버(11)의 회동시 이동판(7)(7a)을 이동시켜 줌과 함께 회전샤프트(8)를 회전시켜주는 제1레버(9)와, 상기 연결대(17)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로 회전샤프트(8)에 끼워져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이동판(7)(7a)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복수개의 분할판(16)과, 상기 회전샤프트(8)에 끼워져 회전샤프트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고 이동판(7)(7a)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복수개의 흡입관(14)과, 상기 각 흡입관의 끝단에 연결되어 흡입관에 흡입력이 발생되면 이 흡입력에 의해 포장제품을 흡착하는 흡착패드(15)와 상기 본체내의 회전축(24)에 감겨져 회전축의 회전시 흡입관(16)이 수직상태가된 상태에서 흡입력이 제거됨에 따라 흡착패드(15)에서 떨어지는 포장제품을 받아 운반하는 벨트(25)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쌍의 가이드봉(6)(6a)중 일측 가이드봉쪽 상방에 위치 고정되어 일측으로 경사면(19a)을 갖는 가이드레일(19)과, 연결대(17)의 일측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제품을 흡착하기 위해 이동판(7)(7a)이 이동할때 가이드레일(19)의 경사면(19)에 안내되는 롤러(18)와, 회전샤프트(8)에 고정된 가이드풀리(20)와, 상기 가이드풀리에 안내되도록 감싸여져 일단은 연결대(17)에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판(7a)에 고정된 복원스프링(21)을 포함하여 포장제품을 흡착하기 위해 이동판(7)(7a)이 이동할때 롤러(18)가 가이드레일(19)의 경사면(19a)에 안내됨에 따라 각 흡착관(14)의 수평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흡착패드(15)에 흡착된 포장제품을 벨트(25)에 떨어뜨리기 위해 이동판(7)(7a)이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포장제품을 떨어뜨린 후 다음 포장제품을 흡착하기 위해 이동판(7)(7a)이 다시 원상태로 이동할때는 함께 이동되면서 회동되는 각 분할판(16)이 복원스프링(21)의 복원력을 부여받음에 따라 상기 각 분할판(16)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기 본체에 한쌍의 가이드봉(6)(6a)사이로 위치되게 고정대(22)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대에는 끝단으로 경사면(23a)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판(23)을 형성하며, 회전샤프트(8)에 끼워진 각 분할판(16)과 흡입관(14) 사이에는 스프링(13)을 끼워 흡착패드(15)에 흡착된 포장제품을 떨어뜨리기 위해 이동판(7)(7a)이 이동할때 함께 이동하는 각 흡입관(14)이 스프링(13)의 탄력을 받으면서 가이드판(23)에 형성된 경사면(23a)에 안내됨에 따라 상기 각 흡입관(14)이 일정간격 벌어지도록 한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KR92017722U 1992-09-18 1992-09-18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KR950007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722U KR950007135Y1 (ko) 1992-09-18 1992-09-18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722U KR950007135Y1 (ko) 1992-09-18 1992-09-18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16U KR940007616U (ko) 1994-04-15
KR950007135Y1 true KR950007135Y1 (ko) 1995-08-30

Family

ID=193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722U KR950007135Y1 (ko) 1992-09-18 1992-09-18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1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12B1 (ko) * 2015-09-24 2017-01-06 이운선 흡착식 포장제품 다량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16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671A (en) Means for and methods of loading irregularly shaped objects into automatic packaging machines
CA1056861A (en) Transfer mechanism
US3848725A (en) Driven-article dropping machine and method
US3047123A (en) Carton rotat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3204756A (en) Apparatus for the intermittent transport of workpieces, especially for the feeding of wrappers, labels, or the like in wrapping machines
US4947624A (en) Articl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751873A (en) Accumulating and distributing conveyor for food products
JPS6112566A (ja) スタック形成及び送出し装置
GB2163119A (en) Stacking apparatus
US3266614A (en) Article spacing system
KR950007135Y1 (ko) 포장기의 포장제품 이송장치
US3593837A (en) Packaging machine
US1961661A (en) Wrapping machine
JP4204683B2 (ja) シート状製品整列コンベヤ
SU4417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бора пачек из отдельных стопок полиграфической продукции
US3427779A (en) Apparatus for packaging articles
US3429098A (en) Automatic wrapping machine
US5123522A (en) Sealing head bridging conveyor
US1912696A (en) Package turning device
US3217858A (en) Package transporting and wrapping apparatus
FI85669B (fi)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och foer foerpackning av produkter.
US2942758A (en) Carton dispenser with means to withdraw the lowermost carton
JPH02282003A (ja) 横型製袋充填包装機のボックスモーション型加熱溶断封緘装置用ベルトコンベア
US3252384A (en) Transfer mechanism
US2681133A (en) Bag delivery mechanism for bag clos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