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947Y1 -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947Y1
KR950006947Y1 KR92010138U KR920010138U KR950006947Y1 KR 950006947 Y1 KR950006947 Y1 KR 950006947Y1 KR 92010138 U KR92010138 U KR 92010138U KR 920010138 U KR920010138 U KR 920010138U KR 950006947 Y1 KR950006947 Y1 KR 950006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video tape
locking device
tape cassette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0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872U (ko
Inventor
장효근
홍승표
Original Assignee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식,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filed Critical 최준식
Priority to KR92010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947Y1/ko
Publication of KR940001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947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제1도는 종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a도는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b도는 a도의 A-A선 단면도.
제3c도는 록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d도는 c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케이스 11 : 하부케이스
12 : 서플라이릴 13 : 테이크업릴
14 : 록킹부재 15 : 몸체
15a : 하향경사면 16 : 록커
17 : 제1탄성편 18 : 제2탄성편
19 : 데크 20 : 릴리이즈 보스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성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개량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에 있어서, 릴 록킹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 즉,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카세트내의 테이프릴이 임으로 회전하여 테이프가 풀림으로써 발생되는 테이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하지 안을때는 그 테이프릴이 록킹되게 하고 카세트가 데크에 안착되면 테이프릴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에는 종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하부케이스(1)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축(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플라이릴(7)과 테이크업릴(8)을 각각 록킹하는 한쌍의 록커(3)와, 상기 록커(3)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는 하나의 릴리이즈 레버(9)와, 상기 록커(3)를 각각 상기 서플라이릴(7)과 테이크업릴(8)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한쌍의 스프링(10)(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록커(3)는 상기 지지축(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 몸체(4)와, 이 원통형 몸체(4)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서플라이릴(7)과 테이크업릴(8)에 각각 접촉되어 이들을 록킹하는 록킹편(5) 및 상기 릴리이즈 레버(9)와 연동되는 연동편(6)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는 두개의 록커와 두개의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소요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수가 증가하여,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과 또 그 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자동조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요부품수가 적고, 조립성이 좋은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 하부케이스의 내면 일측에 제한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에 수납된 2개의 테이프릴을 록킹하되 데크상의 릴리이즈 보스에 눌려서 해제되어지는 록킹부재를 구비하여 된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가, 일측에 상기 릴리이즈 보스가 접촉되는 하향경사면이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에 형성되며 그 선단에 상기 2개의 테이프릴의 기어부에 각각 삽입되어 이들을 록킹하는 록커가 형성된 제1탄성편과,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그 선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록커가 상기 2개의 테이프릴의 기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를 상기 2개의 테이프릴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편으로 구성 된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상자체를 형성하는 상, 하부케이스(10)(11)의 내부에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상, 하부케이스(10)(11)의 내면에 일측에는상기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을 록킹하되 데크(19)상의 릴리이즈 보스(20)에 눌려서 해제되어지는 록킹부재(14)가 가이드 지지수단에 의해 제한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14)는 일측에 데크(19)상의 릴리이즈 보스(20)와 접촉되는 하향경사면(15a)이 형성된 몸체(15)와, 이 몸체(15)에 형성되며 그 양단에 상기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의 기어부(12a)(13a)에 접촉되어 카세트의 비사용시 이들을 록킹하는 록커(16)가 각각 형성된 제1탄성편(17)과, 상기 몸체(15)에 형성되며 그 양단이 하부케이스(11)의 측벽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록커(16)가 상기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의 기어부(12a)(13a)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15)를 상기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제1탄성편(18)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지지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11)의 가이드 리브(11a)에 형성되며 상기 록커(16)가 상기 2개의 테이프릴(12)(13)의 기어부(12a)(13a)에 출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개구부(11b) 및 이 개구부(11b)에 삽입된 록커(16)를 지지하는 지지편(11c)과, 상기 하부케이스(11)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15)가 직선운동 되도록 몸체(15)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라디드 레일(11d)과, 상기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15)가 상기 릴리이즈 보스(20)와 접촉하여 제한된 직선운동을 하도록, 몸체(15)가 들리지 않게 하는 가이드편(10a)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제3도 (a)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세트가 데크(19)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 즉, 비사용시에는 록커(16)가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의 기어부(12a)(13a)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이 테이프가 풀리는 방향으로 임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가 데크(19)에 안착되면 제3c도, 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데크(19)의 릴리이즈 보스(20)가 몸체(15)의 하향 경사면(15a)과 접촉되어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됨에 따라 몸체(15)가 제1, 제2탄성편(17)(18)의 탄력을 극복하면서 하부케이스(11)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d)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게 된다. 따라서 몸체(15)에 형성된 제1탄성편(17)이 가이드 리브(11a)에 형성된 지지편(11c)에 의해 내측으로 휘면서 그 선단에 형성된 록커(16)가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의 록킹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5)는 상부케이스(10)에 형성된 가이드편(10a)에 의해 직선이동시 들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가 데크(19)로 부터 인출되면 릴리이즈 보스(20)로 부터 몸체(15)의 하향 경사면(15a)이 분리되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탄성편(18)의 복원력에 의해 몸체(15)가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직선이동 됨과 동시에 제1탄성편(17)이 복원되면서 록커(16)가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의 기어부(12a)(13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게 됨에 따라 서플라이릴(12)과 테이크업릴(13)이 록킹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는, 록킹부재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상, 하부케이스의 내면 일측에 제한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에 수납된 2개의 테이프릴을 록킹하되 데크상의 릴리이즈 보스에 눌려서 해제되어지는 록킹부재를 구비하여 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4)가, 일측에 상기 릴리이즈 보스(20)가 접촉되는 하향경사면(15a)이 형성된 몸체(15)와, 이 몸체(15)에 형성되며 그 선단에 상기 2개의 테이프릴(12)(13)의 기어부(12a)(13a)에 각각 삽입되어 이들을 록킹하는 록커(16)가 형성된 제1탄성편(17)과, 상기 몸체(15)에 형성되며 그 선단이 상기 하부케이스(11)의 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록커(16)이 상기 2개의 테이프릴(12)(13)의 기어부(12a)(13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15)를 상기 2개의 테이프릴(12)(13)쪽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제2탄성편(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2010138U 1992-06-08 1992-06-08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6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138U KR950006947Y1 (ko) 1992-06-08 1992-06-08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0138U KR950006947Y1 (ko) 1992-06-08 1992-06-08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872U KR940001872U (ko) 1994-01-03
KR950006947Y1 true KR950006947Y1 (ko) 1995-08-23

Family

ID=19334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0138U KR950006947Y1 (ko) 1992-06-08 1992-06-08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9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872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4784A (en) Information media handling system
EP0411622B1 (en) Video cassette integral actuator/reel lock/spring
KR930008817A (ko) 자기 테이프 카세트용 컨테이너
HK123697A (en) Anti-theft case particularly for compact disc cassettes video cassettes and the like
KR950006947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US5012922A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cassette with a tape-like recording medium
KR95000694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EP0598666B1 (en) Tape cassette having reel lock mechanism
KR950007796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950009682A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리드 프리오픈(pre-open)장치
JPH04265587A (ja) テープカセットにおけるリールロック機構
US4832285A (en) Magnetic tape cassette
KR910008176Y1 (ko) 비디오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10020774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허브 로킹 해제 장치
KR95000779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014755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슬라이더 하우징 록킹장치
JPH0337051Y2 (ko)
KR910002040Y1 (ko) 비디오 카세트 릴 록킹 장치
KR910008177Y1 (ko) β형 비디오 카세트의 릴과 커버 록킹장치
JP2532425Y2 (ja) 小型電子機器の蓋体
KR830002732Y1 (ko) 테이프 레코더
KR93000085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용 리드록크 스프링
KR017071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이동메카니즘
KR94000307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릴 잠금 해제 장치
KR970003487Y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