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2732Y1 - 테이프 레코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732Y1
KR830002732Y1 KR2019800000437U KR800000437U KR830002732Y1 KR 830002732 Y1 KR830002732 Y1 KR 830002732Y1 KR 2019800000437 U KR2019800000437 U KR 2019800000437U KR 800000437 U KR800000437 U KR 800000437U KR 830002732 Y1 KR830002732 Y1 KR 830002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ock plate
piece
press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00000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541U (ko
Inventor
도시마사 도즈네
미쓰루 이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00000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732Y1/ko
Publication of KR83000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4Drive disengag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의 일예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제2도는 록크부분의 사시도.
제3도는 이젝트 부분의 사시도.
제4도는 보턴 록크판의 부분적인 횡단면도.
제5도는 보턴록크판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보턴록크판의 다른 부분의 확대종단면도.
제7도는 이젝트부의 동작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송출조작수단, 기록조작수단, 조송 조작수단 및 되감기조작수단을 갖는 테이프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조작수단에 대한 록크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기록조작수단의 록크수단은 다른 조작수단의 록크수단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었으므로 기록조작과 다른 조작, 특히 기록조작수단의 록크해제시간과 송출조작수단의 록크해제시간사이에는 차시간이 있게되어 기록의 끝부분이 끊어지는 등의 조작상의 불편이 있음과 동시에 록크수단의 부재(部材)의 수도 많고 구성이 복잡해져서 단가면에서도 불리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구성을 간소화한 록크수단을 갖는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도면은 본 고안을 적용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의 일예에 관하여, 테이프 구동장치 및 기타 본 고안과 직접 관계가 없는 부재등을 생략하여 표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조작용 누름보턴군, 즉 조송보턴(이하 FF 보턴이라 함)(1a), 되감기 보턴(이하 REW 보턴이라 함)(1b), 플레이 보턴(이하 FWD 보턴이라 함)(1c), 기록보턴(이하 REC 보턴이라함)(1d) 및 정지, 이젝트보턴(이하 ST/ET 보턴이라 함)(1e)로부터 되며, 제1도에 있어서는, ST/EJ 보턴(1e)은 보턴(1c)에 겹친상태로 배설되므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2)는 ST/EJ 보턴(1e)을 제외한 각 누름보턴을 압입한 위치에서 멈추게하는 보턴록크판을 나타내며, 본 실예의 보턴록크판(2)은 FF 보턴(1a), REW 보턴(1b), FWD 보턴(1c) 및 REC 보턴(1d)에 각각 대응하는 멈춤편(2a),(2b),(2c) 및 (2d)와, ST/EJ 보턴(1e)에 대응하는 돌출부(2e)를 갖고 축간(軸杆)(3)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접동(摺動)과 상하방향의 회동이 될 수 있도록 축 지지되어 있다. 즉 이 보턴록크판(2)은 각 멈춤편(2a),(2b),(2c) 및 (2d)에 ST/EJ보턴(1e)을 제외한 각 누름보턴과, 일체의 조작레버(4a),(4b),(4c) 및 (4d)에 돌설되어 있는 멈춤편(5a),(5b),(5c) 및 (5d)가 각 누름보턴의 압입에 의하여 맞물리도록 염력(捻力) 코일스프링(6)을 받침대(7)와 보턴록크판(2)의 추지환부(8)와의 사이에 있어서 축간(3)에 감아 장치하여 그 단부(6a)와 (6b)를 보턴록크판(2)의 내면과 샤시(9)의 내연에 탄발적으로 맞물려서 제1도에서는 언제나 우측 방향으로의 접동편의력과 윗쪽으로의 회동력이 인가된다.
이 멈춤편(2a)…(2d)와 (5a)…(5d)와의 맞물림에 있어서 FF 보턴(1a)와 REW보턴(1b)의 멈춤편(5a)와 (5b)는 REC보턴(1d)의 멈춤편(5d)의 맞물림상태보다 깊게 맞물려있다. 즉 멈춤편(2a)(2b)(2d)와 (5a)(5b)(5d)는 3각형모양으로 멈춤편(2a)(2b)와 (5a)(5b)의 맞물림폭 T1과, 멈춤편(2d)와 (5d)의 맞물림폭 T2와는 T1>T2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멈춤편(2c)는 4변형모양으로 접접면(摺接面)이 경사되어, FWD보턴(1c)의 멈춤편(5c)은 접접면에 단부(5c')가 형성되어 이 단부(5c')가 멈춤편(2c)의 전연에 상면측으로부터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이 양편(2c)와 (5c)의 맞물림폭 T3과 상술한 맞물림폭 T1과의 관계는 T3 T1으로 하고 있다.
FF 보턴(1a), REW보턴(1b) 및 FWD보턴(1c)의 조작레버(4a),(4b),(4c)에는 그 접동방향으로 안내홈(10a)(10b)(10c)가 형성되어 각 샤시(9)에 돌설된 안내돌출부(11a),(11b),(11c)에 맞물려서 항상 정상상태에서 접동하도록 되어 있고, 또 그 각 조작레버(4a),(4b),(4c)는 스프링(12a),(12b),(12c)에 의해 보턴의 압출(押出) 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또, REC보턴(1d)의 조작레버(4d)에는 아암편(13)이 횡방향 즉 FWD보턴(1c)의 조작레버(4c)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어 조작레버(4c)에 형성된 맞물림단부(14)에 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맞물려있고, 또 상술한 멈춤편(5d)은 이 아암편(13)의 연부에 세워져서 돌설되어 있다. ST/EJ 보턴(1e)에는 보턴록크판(2)의 돌출부(2e)에 대향해서 압압편(5e)이 돌설되어 있어, 이 ST/EJ 보턴(1e)의 압입에 의하여 돌출부(2e)가 압압되고 보턴록크판(2)은 제1도에 있어서 아래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조작용누름보턴군(1)과 보턴록크판(2)과의 동작관계를 설명한다.
첫째, FF 보턴(1a), REW보턴(1b) 혹은 REC보턴(1d)을 압입조작을 하면 멈춤편(5a)(5b) 혹은 (5d)는 그 경사측의 연부가 보턴록크판(2)의 멈춤편 (2a)(2b) 혹은 (2d)의 경사측의 연부에 접접하면서, 그 경사를 따라서 압입되며, 보턴록크판(2)을 염력코일스프링(6)의 편의력에 대향하여 제1도에서 좌측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접동시켜서 멈춤편(5a)(5b) 혹은 (5d)가 멈춤편(2a)(2b) 혹은 (2d)를 넘어버리면 보턴록크판(2)은 우측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접동복귀되어, 멈춤편(5a)(5b) 혹은 (5d)는 멈춤편(2a)(2b) 혹은 (2d)의 전연에 맞물려져서 압입된 FF 보턴(1a) REW보턴(1b) 혹은 REC 보턴(1d)는 압입상태에서 록크된다.
또 FWD 보턴(1c)을 압입하면 멈춤편(5c)은 보턴록크판(2)의 멈춤편(2c)의 접접편에 접접하면서, 그 면의 경사를 따라서 압압되어, 보턴록크판(2)을 염력코일스프링(6)의 편의력에 대여하여 제1도에서 아래방향(제6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멈춤편(5c)이 멈춤편(2c)을 넘어버리면 보턴 록크판(2)은 상방향(제6도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복귀 되며, 멈춤편(5c)의 단부(5c')가 멈춤편(2c)의 전연에 맞물려서 FWD 보턴(1c)은 압입 상태에서 록크된다.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REC보턴(1d)을 압입조작을 하면 그 조작레버(4d)는 아암편(13)에 의하여 FWD보턴(1c)의 조작레버(4c)의 압입방향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조작레버(4c)도 조작레버(4d)와 함께 접동되며, FWD 보턴(1c)은 REC보턴(1d)에 연동되어 동시에 압입되고, 이 양보턴(1c) 및 (1d)의 압입동작에 의해 보턴록크판(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동과 회동의 양동작을 수행하여 양보턴(1c) 및 (1d)를 록크시키면서 기록 동작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FF 보턴(1a) 또는 REW보턴(1b)를 압입하면 보턴록크판(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접동되나 멈춤편(2a) 또는 (2b)와 FF 보턴(1a) 또는 REW보턴(1b)의 멈춤편(5a) 또는 (5b)와의 맞물림폭 T1은 멈춤편(2d)와 REC 보턴(1d)의 멈춤편(5d)와의 맞물림폭 T2보다 크기 때문에 멈춤편(2d)와 (5d)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REC보턴(1d)만 록크 해제되므로 조송 또는 되감기의 상태가 된다.
또 FWD보턴(1c)의 록크상태에서 REC보턴(1d)을 압입하면 보턴록크판(2)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접동되나 멈춤편(2c)과 FWD 보턴(1c)의 멈춤편(5c)와의 맞물림폭 T3는 보턴록크판(2)이 REC보턴(1d)의 멈춤편(5d)에 의해 압압접동하는 길이, 즉 멈춤편(2d)와 (5d)와의 맞물림폭 T2보다 크기 때문에 FWD 보턴(1c)은 록크상태로 유지된채 REC보턴(1d)를 압입상태로 록크되게하여 기록동작상태가 된다.
이상의 각 조작용 누름보턴(1a)…(1d)의 록크해제는 ST/EJ 보턴(1e)을 압입하면 압압편(5e)이 보턴록크판(2)의 돌출부에 맞닿아서 압압되어, 그 때문에 보턴록크판(2)은 염력코일스프링(6)의 편의력에 대향하여 아래방향(제6도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각 멈춤편(2a)…(2d)을 누름보턴(1a)…(1d)의 멈춤편(5a)…(5d)에서 아래방향으로 격리시키므로 각 맞물림을 해제되게 한다. 더욱이, 보턴록크판(2)을 제1도 화살표 a방향으로 접동시켜도 록크가 해제된다.
다음에 본예에 실시되는 이젝트 전원스위치 동작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21)은 이젝트레버로서 π자 상으로 형성되어, 가로로 길게된 편부(21a)는 FWD보턴(1c)의 조작레버(4c)의 단연에 돌설된 돌출부(5c")에 대향해서 배설되며, 단부(21a')를 카셋트의 셋트면 측에 대향하게하여 그 내연측으로부터 카셋트 홀더(도시안되어 있음)의 록크걸이(瓜片)(22)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연단부가 샤시(9)측의 맞물림연부(23)에 맞물려지며, 또 중앙내측연부는 샤시(9)에 돌설된 핀(24)에 맞물려진다. 또 한쪽의 세로로 길게 형성한 편부(21b)는 선단부 ST/EJ 보턴(1a)에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그 선단면에서는 ST/EJ보턴(1e)에 돌설된 압압편(5e) 보다 긴 맞물림편(5e')이 맞물리는 맞물림홈(25)을 형성하고 있어 가로로 길게 된 편부(21a)와의 연결부 근방에는 경사진 긴구멍(26)이 형성되어서 샤시(9)에 돌설된 축(27)에 맞물려서, 더욱 다른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c)는 선단부(21c')가 FF 보턴(1a), REW보턴(1b)의 조작레버(4a)(4b)에 각각 돌설된 돌출부(5a')(5b')와 전원스위치(28)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이 선단부(21c')의 샤시 대향면측에 돌출편(29)이 돌설되어 전원스위치(28)의 조작자(28a)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이젝트레버(21)는 한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a)의 내측연과 샤시(9)와의 사이에 항상 조작용 누름보턴군(1) 방향으로 편의되도록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젝트레버(21)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 첫째 제7도 A의 상태, 즉 조작용누름보턴군(1)의 비조작 상태에 있어서 카셋트를 카셋트홀더내에 수용하면 록크걸이(22)가 이젝트레버(21)의 가로로 길게 된 편부(21a)의 일단부(21a')에 맞물려 카셋트의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FWD 보턴(1c)을 압입하면 조작레버(4c)는 접동되어 단연의 돌출부(5c")가 가로로 길게된 편부(21a)를 압압하게 하고, 그때문에 이젝트레버(21)는 전체적으로 회동(도면에서 시계방향)된다. 즉 가로로 길게된 편부(21a)의 일단부(21a')의 맞물림 연부(23)에 대하여 맞물리는 부분을 지지점으로해서 스프링(30)의 편의력에 대향하여 회동되며, 이 회동에 의하여 한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b)의 선단부(21b')는 ST/EJ 보턴(1e) 과의 대향위치를 엇갈리게 함과 동시에 다른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c)의 선단부(21c')는 전원스위치(28) 방향으로 이동되어 돌출편부(29)가 전원 스위치(28)의 조작자(28a)를 눌러서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ST/EJ 보턴(1e)을 압입하여도 한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b)의 선단의 맞물림홈(25)에 맞물림편(5e')은 맞물려지지 않고, 그 때문에 한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b)는 압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젝트레버(21)는 상술한 상태로 유지되어서 카셋트홀더의 록크는 해제되지 않는다.
여기서 ST/EJ 보턴(1e)을 더욱 압입하면 압입편(5e)으로부터 보턴록크판(2)의 돌출부(2e)를 압입하게되며 보턴록크판(2)을 회동시켜서 FWD보턴(1c)의 록크를 해제하고 복귀시켜서 정지상태로 하면 이젝트레버(21)는 스프링(30)의 편의력에 의하여 복귀되고, 전원스위치(28)의 조작자(28a)의 압입상태도 해제되어 오프상태가 된다. (제7도 A의 상태). 이 상태에서 재차 ST/EJ보턴(1e)은 누르면 맞물림편(5e')이 이젝트레버(21)의 한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b)의 선단 맞물림홈(25)에 맞물려져서 그 세로로 길게된 편부(21b)를 누르게 되고,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때문에 경사진 긴구멍(26)의 대측연부가 축(27)에 맞물려져서 그 맞물림부분을 지지점으로하여 이젝트레버(21)는 전체로서 상술한 경우와 역방향(도면에 있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가로로 길게된 편부(21a)의 일단부(21a')는 카셋트홀더의 록크걸이(22)로부터 격리되면서 그 록크가 해제되고 이때 카셋트를 회수할 수가 있다. 이때 이젝트레버(21)의 다른쪽의 세로로 길게된 편부(21c)의 선단부(21c')는 전원스위치(28)로부터 더욱 격리되므로 전원스위치(28)는 오프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의 동작은 FF보턴(1a), REW보턴(1b)을 조작하여, 그 조작레버(4a)(4b)의 접동에 의하여 그 돌출부(5a')(5b')를 이젝트레버(21)의 다른 세로로 길게된 편부(21c)의 선단부(21c')에 압압시키므로서 조송, 되감기를 행할때도 똑같이 행해지며, 또 REC보턴(1d)을 조작해서 기록행할 때는 REC보턴(1d)의 압입조작에 연동하여 FWD보턴(1c)가 동작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이 된다.
더욱이, REC 보턴(1d)과 FWD 보턴(1c)이 별개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보턴(1d)의 조작레버(4d)를 FWD보턴(1c)의 조작레버(4c) 등과 똑같이 이젝트레버(21)에 접촉되도록 하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각 조작수단에 대한 록크수단을 록크판에 일체로 형성하고, 록크 맞물림부분에 있어서의 기록조작수단의 맞물림폭을 다른 조작수단의 맞물림폭보다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록크수단을 각 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해서 동작되도록 구성하므로 기록조작수단과 송출조작수단의 록크해제는 동시에 행해지며, 양 록크해제기간차에 의하여 기록의 마지막 부분이 기록되지 않는등의 불편이 안생기며 또 기록상태에서의 조송 혹은 되감기의 절환은 조송 조작수단 혹은 되감기조작수단의 조작만으로 기록상태가 해제되어서, 그 다음의 기록을 행할 수가 있는등 각종의 조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작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며, 그 구성이 간소화되어 단가도 절감되는등 그 실용상의 효과는 크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록크 결합부에 있어서의 기록조작수단의 결합폭을 다른 조작수단의 결합폭보다 작게 형성함과 동시에 록크 수단을 각 조작수단 조작에 의하여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기록상태가 보지되어 있는 때에 조송 또는 되감기 버튼이 압압되면 기록버튼만이 복귀하여 즉시로 조송에서의 테이프주행이 가능하게 되며 또, 재생상태가 보지되어 있을 때에 기록버튼이 압압되면 즉시 이 기록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록크수단은 일체의 록크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까닭에 기록버튼과 재생버튼의 록해제의 타이밍차가 생길 염려가 없고 따라서 기록의 허실등의 불합리는 생기지 않는다.
더구나 구성이 간소화되어서 코스트도 저감할 수 있는등 그 실용상의 효과는 크다.

Claims (1)

  1. 재생조작레버(4c), 기록조작레버(4d), 조송조작레버(4a) 및 되감기 조작레버(4b)를 지니고 상기 각 조작레버(4c, 4d, 4a, 4b)에 대하여 공통의 록크판(2)을 배치하고, 이 록크판(2)을 회동자재로히 지지함과 동시에 그 회전축 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상이한 2개의 방향으로 이동 자재하게 구성된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재생조작레버(4c)의 압압시만 상기 록크판(2)이 일방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조작레버(4d, 4a, 4b)가 압압되면 상기 록판(2)이 타방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하여, 상기 록크판(2)의 조송조작레버(4a) 및 되감기 조작레버(4b)에 대한 멈춤편(2a 및 2b)의 상기 타방의 방향의 폭(T1)이 상기 기록조작레버(4d)에 대한 멈춤편(2d)의 상기 타방의 폭(T2) 보다도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
KR2019800000437U 1980-01-24 1980-01-24 테이프 레코더 KR830002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437U KR830002732Y1 (ko) 1980-01-24 1980-01-24 테이프 레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00000437U KR830002732Y1 (ko) 1980-01-24 1980-01-24 테이프 레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41U KR830000541U (ko) 1983-06-17
KR830002732Y1 true KR830002732Y1 (ko) 1983-12-08

Family

ID=1921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00000437U KR830002732Y1 (ko) 1980-01-24 1980-01-24 테이프 레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41U (ko) 198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7900A (en) Tape recorder cassette ejecting device
KR830002732Y1 (ko) 테이프 레코더
KR940005106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JPS6025709Y2 (ja) テ−プレコ−ダ
EP0166602B1 (en) Auto revers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325541Y2 (ko)
JPH0341304Y2 (ko)
JPS6125092Y2 (ko)
JPH0373944B2 (ko)
US4665452A (en) Cassette ejector for video cassette recorder
JPS6029063Y2 (ja) テ−ププレヤにおけるレバ−操作機構
US4641293A (en) Cassette tape player combined with a radio receiver which has multiple push buttons such that the stop push button can be used to turn off either the cassette tape player or the radio receiver
JPS5825446Y2 (ja) テ−プレコ−ダの押釦装置
JPS6138124Y2 (ko)
JPH0621058Y2 (ja) ダビング機能付テ−プレコ−ダ
JP2616501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S633015Y2 (ko)
JPH0348733Y2 (ko)
KR900001619Y1 (ko) 스라이드 조작기구
JPS6347929Y2 (ko)
JPH0217854B2 (ko)
JPS6338784B2 (ko)
JPH0725890Y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のカセット蓋開閉装置
JPS5923247Y2 (ja) テ−プレコ−ダ
JPS6232358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