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44B1 - Pcm신호 기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Pcm신호 기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44B1
KR950006844B1 KR1019920002837A KR920002837A KR950006844B1 KR 950006844 B1 KR950006844 B1 KR 950006844B1 KR 1019920002837 A KR1019920002837 A KR 1019920002837A KR 920002837 A KR920002837 A KR 920002837A KR 950006844 B1 KR950006844 B1 KR 950006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area
transmission rate
p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080A (ko
Inventor
유따까 나가이
도시후미 다께우찌
다까오 아라이
히로오 오까모또
다까하루 노구찌
시게유끼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1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PCM신호 기록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포맷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종래의 트랙포맷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포맷의 전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PCM신호 기록장치의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포맷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해 기록된 비디오테이프에서 PCM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회로의 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7도는 제6도의 재생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PCM신호의 기록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른 여러 개의 전송레이트에 의해 PCM 음성신호를 자기테이프 등의 VTR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8mm VTR에서는 음성신호(audio signal)를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하고, 10비트에서 8비트로 압축한 PCM 음성의 기록을 실행하는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종래의 8mm VTR 장치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4-86304호에 기재된 기록장치와 같이 포스트앰블구간과 비디오 PCM 가드밴드(V-P가드) 구간 사이에 인덱스구간을 마련하고, 재생시의 영상신호의 두출신호, 기록년월일, 절대위치, 프로그램번호 등의 비디오 서브코드라 불리는 인덱스코드가 기록되어 있어 서치재생의 두출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었다.
한편, PCM 음성신호로서는 다나까등의 미국특허 4,961,204호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276471호로 기재된 기록장치와 같이 16비트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를 자기테이프의 종류에 따라서 압축하고, 데이타량을 감소시키고, 전송레이트를 변화시켜서 자기테이프에 기록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8mm VTR은 3종류의 다른 전송레이트의 PCM 신호를 취급하고 있다.
상기 종래 장치는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의 기록을 실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의 인덱스코드를 기록하는 것으로서, 여러 개의 전송레이트의 PCM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대한 적합성은 고려되어 있지 않아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와는 다른 전송레이트를 갖는 16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에 대해서는 인덱스코드를 부가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개의 전송레이트의 PCM 신호에 대해서도 포스트앰블에 영상신호 등의 인덱스코드를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기록매체(테이프)로서 신호기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16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에 있어서도 또한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에 있어서도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면상의 PCM 신호영역과 영상신호영역 사이에 인덱스영역을 마련하고, 이 영역에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를 기록하는 전송레이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로 영상신호용의 인덱스코드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또 상기 인덱스영역과 PCM 신호를 기록하는 영역 사이에 부가해서 PCM 신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를 갖는 포스트앰블을 기록한다.
16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에 있어서도 또한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에 있어서도 동일한 영역에 10비트 단위로 양자화한 PCM 신호를 기록하는 전송레이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로 인덱스코드를 기록하기 때문에 어떠한 전송레이트로 PCM 신호가 기록된 테이프에서도 일정한 전송레이트로 인덱스코드는 재생되고, 이것에 의해 동일한 회로에서 영상신호용의 인덱스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또, PCM 신호를 기록하는 영역의 직후에 부가된 PCM 신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를 갖는 포스트앰블에 의해 PCM 데이타가 재생된 후에도 포스트앰블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PCM 신호의 전송레이트의 재생클럭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PCM 데이타의 테이프로 부터의 재생시 타이밍마진이 확보되는 것에 의해, PCM 데이타는 최후까지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 제2도,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후의 모든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예시의 목적상 음성 PCM 신호와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NTSC 규격 대응 8mm VTR이고, 양자화비트수 16비트 데이타를 기록하는 A모드, 양자화비트수 16비트에서 16비트 데이타를 12비트 데이타로 압축한 데이타를 기록하는 B모드, 양자화비트수 10비트에서 10비트 데이타를 8비트 데이타로 압축한 데이타를 기록하는 C모드의 3모드에 대응한 PCM 음성기록 비디오시스템을 전제로 한다. 전제로 하는 시스템에서의 전송레이트는 A모드에서 16.615Mbps, B모드에서 13.217Mbps, C모드에서 11.580Mbps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에 의한 트랙포맷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에 의한 트랙포맷의 자기테이프 상의 전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록방법에 의한 트랙포맷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음성신호 기록영역의 선두에 마련되는 프리앰블(101)은 단일주파수의 신호이고, PCM 음성데이타(102)는 음성신호, 에러정정부호, 제어코드를 포함하는 PCM 데이타이다. 인덱스코드(104)는 재생시의 영상신호의 두출신호(searching signal), 기록년월일, 절대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프로그램번호 등의 제어코드를 포함한다. 소거코드(103)은 인덱스코드(104)의 오버라이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일의 반복신호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소화 64-86304호에서의 캐리어신호와 마찬가지로 오버라이트를 실행할 때 기록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캐리어신호를 오버라이트 하는 것에 의해 완전하게 소거하기 위한 신호 (106)은 영상신호, (105)는 인덱스코드(104)를 포함한 PCM 신호와 영상신호(106)의 분리를 실행하는 V-P가드를 나타낸다. 소거코드(103)과 인덱스코드(104)는 제2도에 도시한 종래의 포스트앰블(201)의 영역과 V-P가드(105)의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의 일부에 기록한다.
포스트앰블(201)은 단일 주파수의 신호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트랙포맷의 회전헤드에 의해 주사되는 기록테이프 상에서의 전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에 있어서, (301)은 자기테이프(302), (303)은 마진영역을 나타내고, 그곳에 신호는 기록되지 않는다. 기록시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각 트랙에 대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헤드를 주사하여 기록하고 있다. 기록은 다음과 같은 처리에 의해서 실행한다. 프리앰블(101)과 PCM 음성데이타(102)를 기록하는 구간을 나타내는 PCM 기록영역신호(107) 및 소거코드(103)과 인덱스코드(104)를 기록하는 구간을 나타내는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을 생성한다. PCM 기록영역신호(107)에 의해서 표시되는 PCM 기록기간에서는 필요한 기록모드에 따라서 A모드의 16.615Mbps, B모드의 13.217Mbps, C모드의 11.580Mbps 중에서 선택된 전송레이트로 기록이 실행된다. 다음에 인덱스기록영역(108)에 의해서 표시되는 인덱스 기록기간에서는 기록모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송레이트 11.580Mbps로 소거코드(103)과 인덱스코드(104)가 기록된다. 또, PCM 기록영역신호(107)과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은 주지의 방법으로 기록헤드가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의 회전에 동기한 기준타이밍 부터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른 여러 개의 전송레이트의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모드를 갖는 기록장치에 있어서도 기록되는 PCM 음성신호의 전송레이트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송레이트로 인덱스코드가 기록되므로, 이와 같이 해서 기록된 자기테이프에서 테이프의 재생을 실행하는 경우, 여러 개의 전송레이트에 대응한 즉 기록모드에 대응하는 여러 개의 인덱스코드 검출회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대신 1개의 인덱스코드 검출회로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인덱스코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장치의 1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401)은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 콘트롤러, (402)는 입력된 인덱스코드를 포맷에 따라서 처리하는 인덱스처리회로, (404)는 상기 A모드 또는 B모드에 있어서 에러정정부호의 부가, 데이타의 분산 등을 실행하는 A, B모드 PCM 신호처리회로, (403)은 상기 C모드에 있어서 에러정정부호의 부가, 데이타의 분산 등을 실행하는 C모드 PCM 신호처리회로, (406)은 A, B의 각 모드에 따른 변조를 실행하는 A, B모드변조회로, (405)는 C모드에 따른 변조를 실행하는 C모드변조회로, (407)은 A모드의 전송레이트에 대응한 수정발진기, (408)은 B모드의 전송레이트에 대응한 수정발진기, (409)는 C모드의 전송레이트에 대응한 수정발진기, (410)은 모드에 따른 클럭의 선택과 타이밍 생성을 실행하는 클럭선택 타이밍 생성회로, (411)은 영상신호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영상신호 처리회로, (412), (413)은 각각 시스템 콘트롤러(401)과 타이밍생성회로(410)으로 부터의 전환신호로 작동하는 전환회로, (414)는 기록엠프, (415)는 자기헤드, (416)은 회전실린더, (417)은 자기테이프, (418)은 PCM 신호의 입력단자, (419)는 기록할 영상신호시 인가되는 영상신호 입력단자이다.
이하, 기록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PCM 신호 입력단자(418)에서 입력된 PCM 음성신호는 전환회로(413)을 통해서 C모드 기록시에는 C모드 PCM 신호처리회로(403)으로, A, B모드 기록시에는 A, B모드 PCM 신호처리회로(404)로 보내진다. 또, 전환회로(413)은 시스템 콘트롤러(401)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한편, 시스템 콘트롤러(401)에서 보내진 제어신호는 인덱스처리회로(402)에 의해서 인덱스코드의 포맷에 따라서 병렬변환처리된다. 또, 인덱스처리회로(402)에서는 인덱스의 전송레이트에 비례한 단일주파수의 반복인 소거패턴의 생성을 위한 데이타도 생성된다. 그리고, 인덱스처리회로(402)는 상술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화 64-8630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록년월일, 절대위치, 프로그램번호 등의 신호로서 재생시의 두출 등에 유효한 인덱스신호의 기록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인덱스 에러검출을 위한 코드부가도 실행한다. PCM 신호처리회로(403), (404)에서 에러정정부호의 부가, 기록포맷에 따른 데이타의 분산 등의 처리가 실행된 PCM 음성신호는 제1도의 PCM 기록영역에 표시되는 기간, C모드 기록시에는 C모드 PCM 신호처리회로(403)에서 C모드 변조회로(405)로, A, B모드 기록시에는 A, B모드 PCM 신호처리회로(404)에서 A, B모드 변조회로(406)으로 보내진다. 변조회로(405), (406)에서 변조된 데이타는 전환회로(412)를 통해서 기록앰프(414)에 입력된 후 회전실린더(416) 상의 자기헤드(415)를 통해서 자기테이프(417)에 기록된다. 이 때, 클럭선택 타이밍 생성회로(410)은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1) 회전실린더(416)의 회전에 동기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해서 제1도에 도시되는 PCM 기록영역신호(107)을 생성된다.
(2) 변조회로(405), (406)에 각 기록모드의 PCM 신호기록의 자기테이프에 대응한 클럭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A모드 기록시에는 A, B모드 변조회로(406)에 수정발진기(407)에서 16.615Mbps의 클럭을 공급하고, B모드 기록시에는 A, B모드 변조회로(406)에 수정발전기(408)에서 13.217Mbps의 클럭을 공급하고, C모드 기록시에는 B모드 변조회로(405)에 수정발진기(409)에서 11.580Mbps의 클럭을 공급한다.
(3) 타이밍 생성회로(410)은 전환회로(412)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제1도에 도시되는 PCM 기록영역신호(107)의 기간에 A모드 또는 B모드에서 기록을 실행하는 경우는 A, B모드 변조회로(406)을 선택시키고, C모드에서 기록할 때는 C모드 변조회로(405)를 선택시킨다. 한편, 인덱스처리회로(402)에서 처리된 인덱스코드 및 소거코드는 제1도에 도시되는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의 기간에 C모드 변조회로(405)로 보내져서 변조된다. 변조된 데이타는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의 기간에 전환회로(412)를 통해서 기록앰프(414)에 입력된 후 회전실린더(416) 상의 자기헤드(415)를 통해서 자기테이프(417)에 기록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때 클럭선택 타이밍생성회로(410)은 다음의 처리를 실행한다.
(1) 회전실린더(416)의 회전에 동기한 타이밍을 기준으로 해서 제1도에 도시되는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을 생성한다.
(2) 이 기록영역신호(108)이 존재하는 동안 C모드 변조회로(405)로 전송레이트에 대응한 클럭 11.580Mbps의 클럭을 공급한다.
(3) 동시에 전환회로(412)를 제어하고, 제1도에 도시되는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의 기간에 C모드 변조회로(405)를 선택시켜서 기록할 인덱스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에 의한 트랙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에 있어서, (101)은 프리앰블, (102)는 PCM 음성데이타(기록영역), (501)은 PCM 음성데이타의 전송레이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단일 주파수의 포스트앰블, (502)는 인덱스코드(104)의 오버라이트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일의 반복패턴인 소거코드, (104)는 인덱스코드, (105)는 V-P가드, (106)은 영상신호이다. 프리앰블(101), PCM 음성데이타(102), 인덱스코드(104), V-P가드(105), 영상신호(106)의 각 영역은 제1도에 도시한 트랙포맷과 트랙 전체 상에서의 위치관계는 동일하다. 또, 포스트앰블(501), 소거코드(502)의 2개의 영역을 부가한 영역은 전체의 위치관계에 있어서 제1도의 소거코드(103)의 영역과 동일한 것으로 된다.
제5도에 도시한 포맷에서 기록은 이하와 같은 처리에 의해서 실현된다. 프리앰블(101), PCM 음성데이타(102), 포스트앰블(501)을 기록하는 구간을 나타내는 PCM 기록영역신호(107) 및 소거코드(502)와 인덱스코드(104)를 기록하는 구간을 나타내는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을 생성한다. PCM 기록영역신호(107)에 의해서 표시되는 PCM 기록기간에서는 요구된 기록모드에 따라서 16.615Mbps, 13.217Mbps, 11.580Mbps 중 어느 것인가의 전송레이트로 프리앰블(101), PCM 음성데이타(102) 및 포스트앰블(501)을 기록한다. 다음에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에 의해서 표시되는 인덱스 기록시간에서는 기록모드와 관계없이 일정한 전송레이트, 예를 들면 11.58Mbps로 소거코드(502)와 인덱스코드(104)를 기록한다. 또, 제1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PCM 기록영역신호(107)과 인덱스 기록영역신호(108)은 기록헤드가 부착되어 있는 실린더의 회전에 동기한 기준타이밍부터의 시간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한 포스트앰블(501), 소거코드(502), 인덱스코드(104), V-P가드(105)의 영역의 수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H는 음성신호의 1수평동기 기간에 대응하는 영역의 길이이며, 이것을 단위로 해서 나타낸다. 우선, 표준값으로서 포스트앰블 0.1H, 소거코드 2.6H, 인덱스코드 1.8H, V-P가드 2.3H로 정한다. 상기 5개의 영역의 합계, 즉 PCM 음성데이타(102)와 영상신호(106) 사이의 영역은 6.8H이다. 상기와 같이 결정하는 것에 의해, 이하의 기기 사이의 편차를 고려해도 불합리한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고려되는 편차는 PCM 음성데이타(102)의 기록위치 정밀도 ±0.8H, 영상신호(106)의 기록위치 정밀도 ±1.5H이다. 이 경우, PCM 음성데이타(102)와 영상신호(106) 사이의 영역은 6.8H±2.3H로 되지만, 소거코드(502)의 기록영역을 포스트앰블(501)의 끝에서부터 헤드전환점에서 4.1H전 까지로 하고, 가변길이의 영역으로 한다(여기에서 헤드전환점이라는 것은 180°대향한 2개의 자기헤드(417)에서 재생한 신호를 1개의 신호로 하기 위해 양 자기헤드로 부터의 신호를 전환하는 타이밍을 말한다). 이것에 의해, PCM 음성데이타(102)와 영상신호(106) 사이의 영역의 다음의 최악의 경우에도 각 영역이 다음과 같이 확보된다.
(a) PCM 음성데이타(102)와 영상신호(106) 사이의 영역이 6.8H-2.3H
(1) 프리앰블 0.1H
(2) 소거코드 2.6H-0.8H
(3) 인덱스코드 1.8H
(4) V-P가드 2.3H-1.5H
(b) PCM 음성데이타(102)와 영상신호(106) 사이의 영역이 6.8H+2.3H
(1) 프리앰블 0.1H
(2) 소거코드 2.6H+0.8H
(3) 인덱스코드 1.8H
(4) V-P가드 2.3H+1.5H
제5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PCM 음성신호의 직후에 PCM 음성신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로 포스트앰블이 기록됨으로, PCM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포스트앰블이 자기테이프(417)에서 재생되는 동안 PCM 음성신호의 전송레이트의 클럭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PCM 음성의 신호처리회로는 포스트앰블에서 재생된 PCM 음성신호의 전송레이트의 클럭을 PCM 음성신호의 최후의 데이타를 처리할 때까지 공급할 수 있음으로, PCM 음성신호의 최후의 데이타까지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서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PCM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의 재생회로의 1예를 제6도, 제7도 a∼d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6도 PCM 음성신호와 영상신호의 인덱스코드를 재생하는 재생회로의 블럭도, 제7도 a∼d는 PCM 음성신호가 A모드에서 기록된 경우의 제6도에 도시한 재생회로의 동작타이밍을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제7a도에 도시되는 포스트앰블과 A모드 PCM 음성데이타의 전송레이트는 16.615Mbps, 소거코드(103)과 인덱스코드(104)는 11.580Mbps이다. 제6도에 있어서 (417)은 자기테이프, (416)은 회전실린더, (415)는 자기헤드, (601)은 재생앰프, (602)는 재생신호로 부터 재생신호에 동기한 클럭을 재생하는 클럭재생회로, (603)은 C모드의 전송레이트로 기록된 PCM 음성신호 또는 인덱스코드(104)의 복조를 실행하는 복조회로, (604)는 A모드 또는 B모드에서 기록된 PCM 음성신호의 복조를 실행하는 복조회로, (605)는 헤드전환 타이밍을 기준으로 하여 클럭재생회로(602)에 전환제어신호(제7c도)를, 복조회로(603), (604)에 동작 인에이블 타이밍신호를 보내는 타이밍회로이다. 상기의 헤드전환타이밍(제7d도)은 180°대향한 2개의 자기헤드(415)에서 재생한 신호를 1개의 신호로 하는 전환신호로써, 제6도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회전헤드의 서보회로로 부터 전송되어 오는 것이다.
이하, PCM 음성신호가 A모드에서 기록된 경우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자기헤드(415)에서 검출된 신호는 재생앰프(601)을 통해서 클럭재생회로(602)로 보내진다. 클럭재생회로(602)에서는 재생한 클럭에서 데이타의 1.0을 검출하여 재생클럭과 검출데이타를 출력한다. 클럭재생회로(602)는 일반적인 위상동기루프(PLL)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송레이트가 다르므로, PLL의 중심주파수를 각 전송레이트마다 전환한다. 따라서, 클럭재생회로(602)는 검출데이타와 데이타에 동기한 전송클럭을 제7b도의 전환타이밍에 따라서 상기 PLL의 중심주파수의 전환을 실행하고 C모드 복조회로(603), A, B모드 복조회로(604)로 공급한다. A, B모드 복조회로(604)는 타이밍회로(605)로 부터의 동작 인에이블 타이밍에 따라서 제7c도의 A모드 기간 중 A모드 PCM 음성신호의 복조를 실행하고, C모드 복조회로(603)은 타이밍회로(605)로 부터의 동작 인에이블 타이밍에 따라서 제7c도의 C모드 기간 중에 인덱스코드(104)의 복조를 실행한다. 기록된 음성 PCM 신호가 B모드였던 경우는 A, B모드 복조회로(604)는 B모드 PCM 음성신호의 복조를 실행하는 점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기록된 영상신호의 인덱스코드는 1개의 검출회로, C모드 복조회로(603)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록매체상에 단일의 연속 주사로 인덱스코드와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으로서, 여러 종류의 전송레이트에서 선택된 제1의 전송레이트로 상기 기록매체상의 소정의 제1의 영역에 상기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제1의 영역과는 다른 상기 기록매체의 제2의 영역에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와 관계없이 일정한 제2의 전송레이트로 비디오 서브코드를 나타내는 인덱스코드를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PCM 신호기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2의 영역 사이에 마련된 상기 기록매체의 제3의 영역에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로 단일의 반복신호의 포스트앰블신호를 기록하는 스텝을 또 포함하는 PCM 신호기록방법.
  3. 기록매체상에 단일의 연속 주사로 PCM 음성신호, 비디오 서브코드를 나타내는 인덱스코드 및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장치로서, 여러 종류의 전송레이트에서 선택된 제1의 전송레이트로 상기 기록매체상의 소정의 제1의 영역에 상기 PCM 음성신호를, 상기 제1의 영역에 이어지는 제2의 영역에 상기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제2영역 사이의 제3의 영역에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와 관계없이 일정한 제2의 전송레이트로 비디오 서브코드를 나타내는 인덱스코드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PCM 신호기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 바로 뒤의 제4의 영역에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로 단일의 반복신호의 포스트앰블신호를 기록하는 수단을 또 포함하는 PCM 신호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코드는 프로그램 개시위치, 기록년월일, 절대위치, 프로그램번호를 판별하는 PCM 신호기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제2의 전송레이트는 상기 여러 종류의 전송레이트 중의 하나인 PCM 신호기록방법.
  7. 기록매체상에 단일의 연속 주사로 영상신호, 인덱스코드 및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영역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스텝, 여러 종류의 전송레이트에서 제1의 전송레이트를 선택하는 스텝, 제1의 주파수에 대한 제1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스텝, 상기 제1의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의 소정의 제1의 영역에 상기 선택된 제1의 전송레이트로 상기 PCM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스텝, 상기 제1의 주파수와는 독립된 주파수를 갖는 제2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스텝, 상기 제2의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1의 영역과는 다른 상기 기록매체의 제2의 영역에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와 관계없이 일정한 제2의 전송레이트로 비디오 서브코드를 나타내는 인덱스코드를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PCM 신호기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클럭을 사용하여 상기 제1의 영역과 상기 제2의 영역 사이에 마련된 상기 기록매체의 제3의 영역에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와 동일한 전송레이트로 단일의 반복신호의 포스트앰블신호를 기록하는 스텝을 또 포함하는 PCM 신호기록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제2의 전송레이트는 상기 여러 종류의 전송레이트 중의 하나인 PCM 신호기록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전송레이트는 16.615Mbps, 13.217Mbps 및 11.580Mbps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2의 전송레이트는 11.580Mbps인 PCM 신호기록방법.
KR1019920002837A 1991-02-27 1992-02-25 Pcm신호 기록방법 및 장치 KR950006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2612A JPH04271069A (ja) 1991-02-27 1991-02-27 Pcm信号記録方法及び装置
JP91-32612 1991-02-27
JP91-032612 1991-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080A KR920017080A (ko) 1992-09-26
KR950006844B1 true KR950006844B1 (ko) 1995-06-23

Family

ID=1236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837A KR950006844B1 (ko) 1991-02-27 1992-02-25 Pcm신호 기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88009A (ko)
EP (1) EP0501430B1 (ko)
JP (1) JPH04271069A (ko)
KR (1) KR950006844B1 (ko)
DE (1) DE6922191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5382B1 (en) * 1993-03-10 2001-01-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of digital signal
US5689732A (en) * 1994-06-21 1997-11-18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having a singl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and a plurality of detachable interfaces for connecting to different types of computer ports
JP3421899B2 (ja) * 1996-04-11 2003-06-3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417B2 (ja) * 1985-03-28 1997-12-2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606186B2 (ja) * 1985-07-09 1997-04-30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629698B2 (ja) * 1987-04-15 1997-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の記録装置
US4791497A (en) * 1985-07-19 1988-12-13 Sony Corp.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in successive slant tracks on a record tape, at least an audio signal and an index signal for controlling tape transport
US4794474A (en) * 1986-08-08 1988-12-27 Dictaphone Corporation Cue signals and cue data block for use with recorded messages
JP3038709B2 (ja) * 1987-09-28 2000-05-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の記録装置
US5130863A (en) * 1988-04-11 1992-07-14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plural kinds of digital information signals having different respective bit rates
US4961204A (en) * 1988-05-23 1990-10-02 Hitachi, Ltd. PCM signal generating/reproducing apparatus
US5132807A (en) * 1988-07-28 1992-07-2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main information with additional information
JP2751361B2 (ja) * 1989-04-12 1998-05-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71069A (ja) 1992-09-28
DE69221912D1 (de) 1997-10-09
US5388009A (en) 1995-02-07
EP0501430B1 (en) 1997-09-03
EP0501430A3 (ko) 1995-03-22
KR920017080A (ko) 1992-09-26
EP0501430A2 (en) 1992-09-02
DE69221912T2 (de) 199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3746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signal
US4758904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
EP020904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information signal
EP008551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signals
JPH05135434A (ja) 編集システム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
EP0209151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information signal
US5016120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digitized audio signal on a magnetic tape which has a slant track format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a control signal to identify a digitized audio signal on the slant track
US5046167A (en) Video tape recorder with a video printing controller
KR950006844B1 (ko) Pcm신호 기록방법 및 장치
KR100261197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US4807057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US4740845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EP0794531A3 (en) Digital signal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JPH0785606A (ja) デジタル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その記録装置と再生装置
US5907661A (en) Video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288131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S62345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6188834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 information
JP2663517B2 (ja) 再生装置
KR100268384B1 (ko) 영상신호기록방법
JP2987962B2 (ja) Vtr装置
JPH02132677A (ja) 記録再生装置
JPH07244934A (ja) ディジタル信号の記録再生装置
JPH0532827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29242A (ja) 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