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87Y1 -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프레임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6787Y1 KR950006787Y1 KR92004242U KR920004242U KR950006787Y1 KR 950006787 Y1 KR950006787 Y1 KR 950006787Y1 KR 92004242 U KR92004242 U KR 92004242U KR 920004242 U KR920004242 U KR 920004242U KR 950006787 Y1 KR950006787 Y1 KR 95000678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frame
- frame
- vertical wall
- subframe
- cei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장치의 조립전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조립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프레임 11, 21 : 수평저부
12, 22 : 중앙수직벽부 13, 23 : 안내레일
14, 24 : 상부안내턱 15, 25 : 하부안내턱
20 : 부프레임 30 : 연결부재
31 : 레일삽입부 32 : 수직벽수용요부
33 : 걸림홈 40 : 고정부재
41 : 수용 절취부 42 : 걸림부
43 : 다리부
본 고안은, 천정프레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의 역 T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수평저부와 중앙수직벽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수직벽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부안내턱과 하부안내턱으로 이루어진 길이방향의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긴 막대상의 주프레임과 부프레임을 상호 직교결합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기 종류의 천정프레임은, 주로 긴 막대상의 알미늄압출성형물로서, 그 주프레임이 천정에 현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한편, 부프레임은 이 주프레임이 측방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격자상으로 가설되며, 이에 의해 형성된 격자상 구조물에 천정판재가 조립되게 된다.
이와같은 주프레임과 부프레임을 상호 직교로 연결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장치로서는, 실용신안공고공보 제89-7628호의 천정프레임연결구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연결구는, 주프레임의 안내레일내에 삽입되는 직각절곡부를 가진 두개의 탄성각과 이들 탄성각을 일체로 연결하고 부프레임의 안내레일내에 삽입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두개의 연결구를 부프레임의 수직벽부의 양측에 설치한 다음, 두 연결구의 하부탄성각들을 밑판으로 연결하고 상부탄성각들을 너트편으로 연결하여 이들 사이를 조임볼트로서 벌려 고정한다.
상기 공지의 연결구에서는, 하나의 부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2매의 연결구가 소요되고, 또 각 연결구의 탄성각을 안내레일내에서 벌려서 고정하기 위해서도 너트편, 밑판 및 조임볼트등 다수 부품을 필요로 한다.
다수의 부품이 사용됨에 따라 부품의 이탈이 잦게 되고, 또 조임볼트를 일일이 조여야 하므로 실제의 천정프레임부설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더우기 주프레임의 양측에서 한쌍의 부프레임을 부설할 경우에도 두 부프레임의 직선배열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고정된 상태를 필요에 따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도, 조임볼트를 모두 풀고 연결구를 슬라이딩시켜 제거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천정프레임연결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프레임과 부프레임을 고정적으로 연결하는데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소요부품의 수 및 이에 따른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 천정프레임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천정프레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프레임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부프레임의 안내레일을 따라 소정깊이 삽입되는 레일삽입부와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중앙수직벽부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리는 수직벽수용요부를 갖는 판상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판면을 가로로 수용하는 수용절취부와, 상기 수용 절취부의 양측에 형성된 다리부들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주프레임의 상부안내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절취부의 저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맞물려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주프레임에 이탈방지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탄성적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부재의 다리부는 굴곡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에서 연결되는 부프레임들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함께 수용함으로써, 두개의 부프레임을 하나의 주프레임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는 해당 부프레임들의 직선배열을 위하여 단계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에 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장치의 조립전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로 긴 막대상의 알미늄압출성형물인 천정프레임은, 천정에 현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주프레임(10)과, 이 주프레임(10)의 측방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격자상을 형성하는 부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형성된 격자상 구조물에 도시않은 천정판재가 조립되게 된다. 상기 주프레임(10)과 부프레임(20)은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거의 역T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수평저부(11,21)와 중앙수직벽부(12,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중앙수직벽부(12,22)의 측면에 상부안내턱(14,24)과 하부안내턱(15,25)으로 이루어진 안내레일(13,2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레일(13,23)은 일반적으로, 주프레임(10)의 경우 중앙수직벽부(12)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 있고, 부프레임(20)에서는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30은 주프레임(10)과 부프레임(20)을 연결하기 위한 판재성형물인 연결부재로서, 상기 부프레임(20)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부프레임(20)의 수직벽부(2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레일(23)을 따라 소정깊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긴 혀모양의 레일삽입부(31)와, 상기 주프레임(10)의 중앙수직벽부(12)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리는 수직벽수용요부(32)를 가진다. 이 연결부재(30)의 상단측에는 후술할 고정부재(40)와 고정적으로 걸릴 수 있는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고, 부프레임(20)의 안내레일(23)내로의 삽입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멈춤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멈춤턱(34)은 주프레임(10)의 수평저부(11)의 측면에 부프레임(20)의 수평저부(21)의 단부가 평면일치하여 접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일삽입부(31)의 평면에는, 레일삽입부(31)가 삽입될 안내레일(23)의 수직벽(22)의 면을 향하여 엠보싱등에 의해 형성되는 몇개의 돌기부(35)가 바람직하게 돌출하여 있다. 이 돌기부(35)는 레일삽입부(31)가 안내레일(23)내에 다소 억지끼움되도록 하여 연결부재(30)가 안내레일(23)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부프레임(20)의 안내레일(23)내에 삽입된 연결부재(30)가 동시에 주프레임(10)의 수직벽부(12)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 즉 연결부재(30)가 주프레임(10)과 부프레임(20)을 상호 연결하고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재(30)가 주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도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40)는, 상기 연결부재(30)의 판면을 상부측으로부터 가로로 수용하는 수용절취부(41)를 가지며, 이 수용절취부(41)에 의해 그 양측에 두개의 다리부(43)가 형성되고, 이들 다리부(43)의 선단에 주프레임(10)의 상부안내턱(14)에 걸릴수 있는 걸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0)의 두다리부(43)는 바람직하게 만곡되어 있어, 그 길이방향의 변형에 대해 다수의 탄성을 가진다. 고정부재(40)는, 연결부재(30)의 판면을 상부로 부터 수용하고, 주프레임(10)이 상부안내턱(14)에 그의 걸림부(42)가 걸린다음, 자유단부(44)의 회동조작에 의해 수용절취부(41)의 저부가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3)에 맞물림으로써, 연결부재(30)가 주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30)에 결합된 부프레임(20)이 주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천정프레임의 부설공사에 있어서는, 주프레임(10)을 중심으로 하여 부프레임(20)들이 주프레임(10)의 양측방으로 연속하여 결합되어 격자구조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주프레임(10)의 양측방에 연결되는 두개의 부프레임(20)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연결부재(30)가 동일위치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는 그 수용절취부(41)의 수용폭을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한쌍의 연결부재(30)를 동시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양측의 연결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각 걸림홈(33)은, 고정부재(40)의 수용절취부저부에 함꼐 걸릴 수 있도록 위치일치하여 형성된다.
한쌍의 연결부재(30)가 하나의 고정부재(40)에 의해 동시에 고정될 경우, 부프레임(20)의 수직벽부(22)의 두께, 연결부재(30)의 두께 및 삽입위치등에 의하여 두 부프레임(20)의 직선배열이 어긋날수 있다. 이를 보상하여 두 두프레임(20)을 직선일치시키기 위해 각 연결부재(30)는 소정량의 단계상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부(36)를 가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주프레임(10)의 좌우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를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로 별개 구분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이때 좌측 및 우측의 연결부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연결부재에 적절한 표시 예를 들어 펀칭이나 천공을 하는 것이 좋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장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주프레임(10)에 그 양측에서 한쌍의 부프레임(20)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연결부재(30)의 레일삽입부(31)가 각 부프레임(20)의 안내레일(23)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결부재(30)의 수직벽수용요부(32)가 주프레임(10)의 수직벽부(12)에 상측으로부터 맞물린다. 이때 연결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멈춤턱(34)에 의해 주프레임(10)에 대한 부프레임(20)의 접근위치가 한정되며, 연결부재(30)의 수용요부(32)의 저부나 하단돌출부에 의해 수직벽부(12)에 대한 상대 물림깊이가 적절히 맞추어진다.
좌우측의 연결부재(30)를 각 해당 부프레임(20)의 직선배열이 일치되도록 조합한 후, 고정부재(40)를 두 연결부재(30)의 상측으로 부터 삽입하여, 고정부재(40)의 양측 다리부(43)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42)를 주프레임(10)의 상부안내턱(14)에 걸고, 고정부재(40)를 연결부재(30)의 상단측을 향하여 회동시키면, 고정부재(40)의 수용절취부(41)의 저부가 연결부재(30)의 걸림홈(33)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30)는 상방으로의 이탈이 확실히 방지되며, 따라서, 주프레임(10)에 한쌍의 측방부프레임(20)을 연결고정하는 작업이 간단히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상태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순히 고정부재(40)의 자유단부(44)를 젖혀서 그 걸림부(42)를 주프레임(10)의 상부안내턱(14)으로부터 제거하고, 연결부재(30)을 주프레임(10)의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프레임(10)의 부프레임(20)의 연결상태를 매우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0)는 부프레임(20)의 단부로부터 단순히 당김으로써 분리된다. 따라서, 본 연결장치의 해체작업도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프레임연결장치는, 간단한 구조와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천정프레임의 연결작업을 현저히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 거의 역 T자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수평저부와 중앙수직벽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수직벽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부안내턱과 하부안내턱으로 이루어진 길이방향의 안내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긴 막대상의 주프레임과 부프레임을 상호 직교결합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프레임의 일단부측에서 상기 부프레임의 안내레일을 따라 소정깊이 삽입되는 레일삽입부와, 상기 주프레임의 상기 중앙수직벽부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리는 수직벽수용요부를 갖는 판상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판면을 가로로 수용하는 수용절취부와, 상기 수용절취부의 양측에 형성된 다리부들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주프레임의 상부 안내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용절취부의 저부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에 맞물려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주프레임에 이탈방지되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다리부는 굴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에서 연결되는 부프레임들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함께 수용하여 상기 주프레임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는 해당 부프레임들의 직선배열을 위하여 단계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프레임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04242U KR950006787Y1 (ko) | 1992-03-17 | 1992-03-17 |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04242U KR950006787Y1 (ko) | 1992-03-17 | 1992-03-17 |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1745U KR930021745U (ko) | 1993-10-16 |
KR950006787Y1 true KR950006787Y1 (ko) | 1995-08-21 |
Family
ID=1933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04242U KR950006787Y1 (ko) | 1992-03-17 | 1992-03-17 |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6787Y1 (ko) |
-
1992
- 1992-03-17 KR KR92004242U patent/KR95000678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21745U (ko) | 199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9263A (en) | Panel interlock system | |
CA2127181C (en) | Beam support system for forming precompressed wood joints | |
EP0698699B1 (en) | Panel connector for office partition panels | |
JP3619468B2 (ja) | 基本ラック | |
US5413836A (en) | Frame bar extrusion | |
KR20160143099A (ko) | 목재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 |
KR200492461Y1 (ko) | 단자대 고정용 스톱퍼 | |
GB1587379A (en) | Framing system | |
KR950006787Y1 (ko) | 천정프레임연결장치 | |
US3656581A (en) | Sawhorse bracket assembly | |
KR930008030B1 (ko) | 조립식 선반틀체의 조립방법 및 설치구조 | |
CN217271231U (zh) | 一种连接结构及家具 | |
JPH0249295Y2 (ko) | ||
JPH0734980Y2 (ja) | カーテンウォール等の支持枠における横材引寄せ装置 | |
KR930000411Y1 (ko) | 콤퓨터 테이블의 받침판 조립장치 | |
CN112593651B (zh) | 一种干挂石材挂件 | |
JPH0656216U (ja) | 接続具及び支持架台 | |
JPH0560272A (ja) | 配管用支持具における保持体 | |
JPH0634983Y2 (ja) | 天井枠の接合部の構造 | |
JP3157766B2 (ja) | トンネル内に取付ける視線誘導板の施工方法及びこれに使用可能な角板材の取付け金具 | |
JP2000017770A (ja) | 取り付け金具 | |
GB2179419A (en) | Joining planar members at right angles | |
KR20040062126A (ko) | 스프링클러 장착장치 | |
JPH0414656Y2 (ko) | ||
JPS621275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