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66Y1 - 벽체구조물 - Google Patents

벽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66Y1
KR950006766Y1 KR92012463U KR920012463U KR950006766Y1 KR 950006766 Y1 KR950006766 Y1 KR 950006766Y1 KR 92012463 U KR92012463 U KR 92012463U KR 920012463 U KR920012463 U KR 920012463U KR 950006766 Y1 KR950006766 Y1 KR 950006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reinforced
cement plate
wall structure
wall
hard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2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583U (ko
Inventor
이익우
김인숙
우법정
Original Assignee
홍성범
효성드라이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범, 효성드라이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성범
Priority to KR92012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66Y1/ko
Publication of KR940003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벽체구조물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해 놓은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벽체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벽체구조물에 C챤넬을 부착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해 놓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해 놓은 단면도이
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 2 : 단열재
3 : 합성수지접착제 4 : 피티
5 : 유리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 6 : 와샤
7 : 볼트 7' : 너트
8 : 경량기포콘크리트 9 : C챤넬
10 : 경량철골프레임 11 : 코킹재
본 고안은 일반벽체 및 내화구조 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면섬유보강결질 시멘트판의 사각둘레를 따라 유리섬유보강 아크릴수지몰탈 또는 요철의 경량기콘크리트나 다양한 형상의 경량철골프레임을 형성시키고 4모서리에 체결부재를 설치하거나 경량철골벽체와 일체로 체결하여 방수, 내화, 강도 및 단부의 긴결도를 높힐 수 있는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과학기술과 건설 및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함에 따라 건축분야도 대형화, 고층화 댜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을 감안해서 건축자나 제작자 및 시공자들은 다각적으로 새로운 이론과 공법등을 도입한다든지 새로운 건축재의 등장, 기법의 도입, 계획, 설계, 그리고 선택등을 활용하게 된다.
그런데,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부류에서 사용되고 있는 건축부재 상품과 건축자재의 분류사양에 대해서는 보통 외장재와 내장재로 나누어지고 있는 바, 상기 내장재는 외장과 마찬가지로 부위별로 각 층사이의 실내 바닥, 벽, 및 천정등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내벽용 벽체구조물에 관해서는 해당층의 적합한 공간등을 고려하여 단일 부위의 사용 목적만으로 이용되어지는 건축재로 사용되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구조물은 시멘트벽돌을 사용하여 1장씩 쌓아 벽체를 구성한 다음 미장을 하고 벽지, 페인트, 타일등으로 최종마감을 해야 하므로 공기가 많이 소요되고 인건비도 못지 않게 소요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요인이 되고 있는 바, 이는 신속한 시공 및 내부공간의 변화에 따른 융통성 있는 구법이 충족되지 못한다는 결점이 생기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유기질, 무기질의 단열재를 내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 사이에 넣고 합성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착, 경화시킨 다음 시각 엣지부분에다 유리 섬유보강아크릴수지 몰타 또는 요철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경화시키거나 경량철골프레임으로 형성시킴으로 일반 및 내화구조로서 방수, 내화 , 강도 및 단부의 긴결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직접 또는 C 챤넬을 부착한 일체화로 다양하게 사용하여 안정되고 신속한 시공 및 개조를 기할수 있는 분리 또는 일체형 벽체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반 벽체구조물은, 내외부의 섬유보강결질시멘트판(1) 사이에 합성수지접착제(3)로 유기질, 무기질의 단열재(2)를 압착, 경화시켜서 된 벽체구조물에 있어서, 양면 상기 섬유보강경질 시멘트판(1)의 사각둘레에 유리섬유 보강아크릴 수지몰탈(5)을 일정두께로 형성시켜 경화시키고, 4모서리에서 양면 상기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상기 단열재(2)를 납작머리볼트(7)를 이용하여 긴결시키며, 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생긴 홈을 피티(4)로 메꾸어 주는 한편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와샤(6)를 매개로 너트(7')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이나 요철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사용에 의한 일반 및 내화구조로, C 챤넬의 부착유무에 따라 분리 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별하여 설치하게 되는바, 먼저 외측이나 내측에 설치되는 예컨대 1200×2400mm의 크기인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은 시멘트몰탈에 섬유를 배합시킨 치밀한 표면으로 형성되어 내충격성과 내압성이 크고 표면정도가 큰 판상체로서, 그 사이에 유지질, 무기질의 단열재(2)가 압착, 경화되도록 아크릴계 합성수지 접착제(3)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게 된다.
이렇게 압착, 경화된 양면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의 사각둘레에 방수, 내화, 강도 및 단부의 긴결도를 중가시키기 위해 유리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5)을 일정두께로 형성시켜 경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납착머리볼트(7)에 의해 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생긴 홈을 피티(4)로 메꾸어 주어 요철을 없애는 한편,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와샤(6)를 매개로 너트(7')로 체결함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완성품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어 평면의 유리섬보강 아크릴수지몰탈(5)로 사각둘레를 경화시킨 양면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의 4모서리에 각기 구멍을 뚫어 놓은 다음 납착머리 볼트(7)와 긴결철물등을 사용하여 상기 경량복합구조레를 구조체에 긴결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일반 벽체용 벽체분리식노출형으로 양면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의 사각둘레를 따라 유리섬유보강 아크릴수지몰탈(5)을 압착, 경화시킨 다음 4모서리에 볼트(7)와 너트(7')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상기 C 챤넬(9)을 체결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반 벽체용 벽체일체식 노출형 벽체를 형성하여 각종 브라켓트 및 긴결철물로 벽체에 긴결할 수 있다.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벽체구조물에 C 챤넬을 부착한 것으로, 제1도에 도시된 일반 벽체용 벽체분리식 노출형 대신에 일체식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 있는 유리섬유 보강 아크릴수지몰탈(5)로 사각둘레를 경화시킨 양면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의 4모서리에 납작머리볼트(7)를 설치한 상태에서 C 챤넬(9)에 볼트구멍을 뚫고 와셔(6)와 너트(7')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상기 C 챤넬(9)을 긴결시켜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와셔(6)와 너트(7')대신에 상기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에 아연도 C 챤넬을 대고 피스로 벽체와 긴결시켜 일체화 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일반벽체용 벽체일체식 노출형으로 제1도에 도시된 분리형에다 C 챤넬(9) 또는 아연도 C 챤넬을 부착할 수 있도록 와셔(6)와 너트(7')또는 피스로 벽체와 긴결시켜서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제1도에 도시된 벽체구조물내에서 일정두께의 유리섬유보강 아크릴수지몰탈(5) 대신에 경량기포콘크리트(8)는 접착성 물질인 PVA와 단벽질을 압축공기로 기포화한 기포를 시멘트판(1)의 사각둘레에 형성시킨다.
이어 상기 경령기포콘크리트(8)로 사각둘레를 경화시킨 4모서리에 각기 구멍을 뚫어 놓은 다음 납작머리볼트(7)를 이용하여 상기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경량기포콘크리트(8)를 긴결시킨다.
이때 상기 납작모리 볼트(7)에 의해 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생긴 홈을 피티(4)로 메꾸어 주어 요철을 없애는 한편,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와샤(6)를 매개로 너트(7')로 체결함으로써 완성품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내화구조 벽체용 벽체분리식 노출형으로 양면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의 사각둘레를 따라 경량기포콘크리트(8)를 압착, 경화시킨 다음 그 4모서리에 볼트(7)와 너트(7')를 체결하여 노출형 내화구조 벽체로서 사용하여 각종 브라켓트 및 긴결철물로 벽체에 긴결할 수 있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내화구조 벽체용 벽체분리식 노출형 대신에 일체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 이는 요철의 경량기포콘크리트(8)로 사각둘레를 경화시킨 다음 그 4모서리에 납작머리볼트(7)를 설치한 상태에서, C 챤넬(9)에 볼트구멍을 뚫고 와셔(6)와 너트(7')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1)에 상기 C 챤넬(9)을 긴결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 상기와셔(6)와 너트(7')대신에 상기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에 아연도 C 챤넬을 대고 피스로 긴결시켜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내화구조벽체용 벽체일체식 노출형으로 제4도에 도시된 분리 형에도 C 챤넬(9) 또는 아연도 C 챤넬을 부착할 수 있도록 와셔(6)와 너트(7') 또는 피스로 벽체와 긴결시켜서 직접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벽체구조물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제4도에 도시된 벽체구조물내에서 일정두께의 경량기포콘크리트(8)대신에 다양한 형상의 경량철골프레임(10)을 사용하여 압착 긴결시켜 섬유보강결질시멘트판(1)의 사각둘레에 형성시킨다. 이어 상기 경량철골프레임(10)으로 사각둘레를 형성시킨 모서리에 각기 구멍을 뚫어 놓은 다음 볼트(7)나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경량철골프레임(10)을 긴결하여 일체화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7)나 피스에 의해 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생긴 홈을 피티(4)로 메꾸어 주어 요철을 없애는 한편,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볼트(7)나 피스로 체결하고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생긴 홈을 피티(4)로 메꾸어 요철을 없애줌으로 완성품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벽체구조물은 내화구조 벽체용분리식 노출형으로 양면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의 사각둘레를 따라 경량철골프레임(10)을 형성시킨 다음 4모서리에 볼트(7)나 피스를 체결하여 노출형 내화구조 벽체로서 사용하여 각종 브라켓트 및 긴결철물로 벽체에 긴결할 수 있다.
한편, 제5도에 도시된 내화구조 벽체용 벽체분리식 노출형 대신에 일체형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 있는 다양한 형상의 경령철골프레임(10)으로 사각둘레를 형성시킨 다음 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경량철골프레임(10)을 볼트(7)나 피스로 고정한 다음, C 챤넬(9)을 대고 볼트(7)나 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에 상기 C 챤넬(9)을 긴결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기질, 무기질의 단열재를 내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 사이에 넣고 합성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압착 경화시킨 다음 시각 엣지 부분에다 유리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 또는 요철의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일정한 두께로 경화시키거나 경량철골프레임으로 형성시킴으로 일반 및 내화구조로서 방수, 내화, 강도 및 단부의 긴결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직접 또는 C 챤넬을 부착한 일체화로 다양하게 사용하여 안정되고 신속한 시공 및 개조를 기할 수 있는 분리 또는 일체형 벽체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이나 요철의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경량철골프레임에 의한 일반 및 내화구조로, 또는 C 챤넬의 부착유무에 따른 분리 및 일체형으로 해서 각각 설명했지만, 방수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해 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의 평면을 경사지게 하거나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요철높이를 윗쪽 또는 아랫쪽으로 형성시켜도 좋다.

Claims (2)

  1. 내외부의 섬유보강결질시멘트판(1) 사이에 합성수지접착제(3)로 유기질, 무기질의 단열재(2)를 압착, 경화시켜서 된 벽체구조물에 있어서, 양면 상기 섬유보강경질 시멘트판(1)의 사각둘레에 유리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5)을 일정두께로 입혀 경화시키고, 4모서리에서 양면 상기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과 상기 단열재(2)를 납작머리볼트(7)를 이용하여 긴결시키며, 외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생긴 홈을 피티(4)로 메꾸어 주는 한편 내부의 섬유보강경질시멘트판(1)면에 와샤(6)를 매개로 너트(7')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보강아크릴수지몰탈(5)대신에 요철의 경량기포콘크리트(8)를 사용하고,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8)내에 볼트구멍을 뚫어 볼트(7)와 너트(7')로 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구조물.
KR92012463U 1992-07-07 1992-07-07 벽체구조물 KR950006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463U KR950006766Y1 (ko) 1992-07-07 1992-07-07 벽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2463U KR950006766Y1 (ko) 1992-07-07 1992-07-07 벽체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83U KR940003583U (ko) 1994-02-21
KR950006766Y1 true KR950006766Y1 (ko) 1995-08-21

Family

ID=1933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2463U KR950006766Y1 (ko) 1992-07-07 1992-07-07 벽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69B1 (ko) * 2005-07-08 2006-11-27 정재훈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588A (ko) * 2001-09-06 2003-03-15 (주)청진건설산업 건축구조용 복합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cjc-1)
KR101054925B1 (ko) * 2008-09-26 2011-08-05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식 외단열 벽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69B1 (ko) * 2005-07-08 2006-11-27 정재훈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83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4488A (en) Method for installation of building tiles without adhesive materials and standardized tiles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0274218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950006766Y1 (ko) 벽체구조물
KR20050054901A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CN215802648U (zh) 一种简便式保温装饰维护一体化复合墙板及墙体结构
KR950009606B1 (ko) 벽체구조물
JP3445816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KR200226499Y1 (ko) 건축용 부착식 마감재
KR20180092477A (ko) 프리캐스트 내,외벽을 갖는 조립식 벽체
IL114804A (en) Ceiling construction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same
KR20090109641A (ko) 건축물 외장재
JPH05280178A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KR200185754Y1 (ko) 건축용 고강도 복합판넬
JP2003056115A (ja) 住宅建築用パネル材
JP3065425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RU2597038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JPH0343299Y2 (ko)
JP2529813Y2 (ja) 建築物の外壁用板材
JP3027210B2 (ja) 外壁パネル
KR100526695B1 (ko) 건축물 외벽 조립식 합성 타일 설치 공법
JPH0332184Y2 (ko)
CN114215267A (zh) 一种单钢板外墙
JP3004453B2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2947374B2 (ja) 複合pc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