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396B1 - 회전 피스톤 기계 - Google Patents

회전 피스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396B1
KR950006396B1 KR1019880700320A KR880700320A KR950006396B1 KR 950006396 B1 KR950006396 B1 KR 950006396B1 KR 1019880700320 A KR1019880700320 A KR 1019880700320A KR 880700320 A KR880700320 A KR 880700320A KR 950006396 B1 KR950006396 B1 KR 950006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iston machine
rotary piston
roll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812A (ko
Inventor
슈케이 위르겐
Original Assignee
지타 마쉬넨 바우-운트 포르슘스 게엠바하
칼-하인즈 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타 마쉬넨 바우-운트 포르슘스 게엠바하, 칼-하인즈 겔젠 filed Critical 지타 마쉬넨 바우-운트 포르슘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88070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2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1C1/063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 F01C1/067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with coaxially-mounted members having continuously-changing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them having cam-and-follower typ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 피스톤 기계
제1도는 두개의 회전부재를 가진 환형 공간의 방사상 평면을 통하여 본 단면도.
제2도는 다른 위치에 있는 두개의 회전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 트랙 제어장치의 원리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내부 캠 링 로울러와 외부 캠 링을 통하여 본 축의 축방향 평면의 단면도.
제5도는 외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본 로울러와 케이지 부분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내부 캠 링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캠 링의 평면도.
제8도는 외부 캠 링의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캠 링의 평면도.
제10도는 케이지의 상세도 및 로울러 가이드의 축방향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회전 피스톤 기계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케이지내의 환형 작업공간의 축방향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축을 가진 케이싱과, 환형 공간내에 구비된 동작매체가 흡입 및 배출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고, 벽에 대해 배열된 두개의 회전부재와, 밀봉적으로 운동되는 회전부재와, 각 회전부재는 네개의 방사상 외향 연장된 섹터형 베일을 가지고 있고, 두개의 회전부재가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들의 베인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각 케이스내의 하나의 회전부재의 한 베인은 다른 회전부재의 두 베인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축의 회전은 두 회전부재의 베인들 사이의 거리와 회전속도의 주기적인 변화로 두 회전부재의 회전은 캠 트랙 제어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축의 회전에 의해 고정 연결된 내부 캠 링을 가진 트랙 제어장치를 가진 회전 피스톤 기계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회전 피스톤 기계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균형의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고, 이 때문에 종래의 회전 피스톤 기계는 종종 연속적으로 가동할 수 없었고, 한편으로는 진동과 소음의 원인이 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에 과도한 응력을 받게 했었다.
서두에 언급한 형태(영국 특허출원 제299,767호)의 종래의 회전 피스톤 기계의 경우에서도 또한 다수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단순 기하학으로 고려해 봐서 간단히 추측할 수 있는 바와같이, 내부 캠 트랙과 외부 로울러 사이의 구름부재의 안내는 유격없이는 일어날 수 없다. 이는 내부 캠 트랙의 어떤 캠 기하로도 불가능하다. 다수의 로울러를 경유하는 전동력은 매우 작고, 이 때문에 효율이 낮게 달성되고, 이는 물체를 이동하는데 모두 비례적이 아니다. 부하 변경지역내에서 상호작용이 발생되지 않고 즉, 말하자면 캠 트랙의 반전점이 그것의 사점에 있다. 로울러 베어링은 설명되지 않았고 명백하게 해결되지 못하였다. 상기 문제점에 따라서, 인용된 회전 피스톤 기계는 매우 고르지 않은 운전이 되고, 낮은 효율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르지 않은 운전이 실제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매우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하나의 회전부재에 회전에 의해 고정 연결된 외부 캠 링과 하나의 내부 캠 링과 하나의 외부 캠 링 사이의 구르는 각 케이스내의 케이싱에 연결된 케이지에 의해 외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지지되고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4개의 로울러와, 해당 로울러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재마다 두쌍의 내부·외부 캠 링을 가진 캠 트랙 제어장치로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캠 트랙 제어장치에 의해, 두개의 회전부재는 그들의 회전운동에 사용될 수 있고, 그들 양 측면상의 동작공간의 용량은 흡입 및 배출구멍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이 때문에 요구되는 작동모드가 달성된다.
전동력은 두개의 캠 트랙 표면을 경유하여 각 케이스내에서 가장 짧은 진로로 이 케이스내에서 발생한다. 힘의 유출은 캠 트랙의 모든점에서 보장된다. 무유격 운전이 또한 보장된다. 이 케이스내에서의 캠의 기하는 가속 토오크의 줄임의 결과로서 균일한 가속이 달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회전부재마다 여덟개의 로울러는 유격없이 일정하게 작용한다. 전동력은 로울러의 승강작용과 캠 트랙과 로울러(즉, 캠 트랙상에서의 로울러의 구름) 사이의 견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회전 피스톤 기계는 예를들면, 가스용 압축기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이는 또한 압축된 가스가 그 안에 수용된 연료를 가진 개별 연소실로 유동이 허용되고, 가스가 연속적으로 회전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환형 작용실안으로 되돌아오고 이 혼합물이 연소된다면 엔진으로서 작용한다.
축이 회전하고 내부 캠 링이 회전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면, 상기 캠 링은 로울러용 구름표면이 이것의 회전에 따라 방사상 방향에서 외측으로 나갈때 로울러를 밀게 할 것이다.
이 결과로서, 외부 캠 링은 외부 캠 링상에서 방사상으로 더욱 외측으로 놓여 있고, 로울러가 어떤 위치를 찾기 때문에 회전에 간접적으로 놓여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축의 회전운동은 외부 캠 링에 전동되고, 로울러에 전동된다. 이 속도의 변경은 캠 링사의 트랙 커어브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로울러가 일단 가장 밖의 위치에 도착되면, 그들은 내부 캠 링으로부터 외부 캠 링으로 더 이상 토오크를 전동하지 않는다. 운동은 내부·외부 캠 링이 다시 토오크를 전동할 때까지 내부ㆍ외부 캠 링의 제2세트에 의해 계속된다.
이것은 축에 직접 고정되도록 상기에 설명한 캠 트랙 제어장치를 가진 회전자중의 오직 한 회전자만 제공함으로서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회전 피스톤 기계가 더 이상 고르게 운전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하지 않다. 그러므로, 캠 트랙 제어장치는 각 회전부재용으로 적절히 구비되어 있다.
원통형 로울러가 선택된다면, 이들의 거리가 다르다면 캠 링상에서 올바르게 구를 수 없고, 그러므로 캠 트랙의 외주길이는 부분적으로 활주되나 마찰손실이 수반된다.
로울러는 원추형으로 양측면이 테이퍼져 있고, 캠 링은 방사상 및 동축방향으로 주어진 기능을 추종하는 구름 트랙이 적당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이는 활주되지 않고 내부 및 외부 캠 링의 구름 트랙상에서 마찰이 없고, 고른 로울러의 구름기능을 적당히 선택하여 달성될 수 있다. 구름 트랙을 위한 축방향 기능은 이 경우에 있어서, 방사상 이동기능으로부터 획득된다. 이는 로울러가 어떤 각으로 주어진 회전과 로울러가 활주없이 양 트랙상에서 구름을 보장해야만 한다. 이것은 원추형상의 적당한 값을 가진 유효한 로울러의 직경으로 어떤 점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열된 트랙과 같은 유효한 로울러의 변경에 의해 발생한다.
로울러와 캠 링은 방사상 평면에 관하여 적절한 대칭형이다. 그 결과로서, 로울러는 항상 두 구름트랙의 두 대칭부분상에 놓여있고, 기울어지지 않는다. 캠 링이 두 대칭 반쪽부재로 이루어져 있다면 이들은 특별히 간단하게 생산될 수 있다. 양 캠 링 반쪽부재가 본질적으로 적두 원추형상(트랙형상으로부터 떨어져)을 가지고, 이 때문에 외부링 반쪽부재는 특히, 더욱 쉽게 생산될 수 있다. 더우기, 이 방법에 있어서, 전체 장치는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캠 링이 캠 링 반쪽부재 사이에 구비된 그들의 중간공간에서 축방향으로 동시에 인장된다면, 캠 링 반쪽부재는 축방향 장력에 의해 로울러에 대해 단단히 가압되고, 이 때문에 전체 장치는 유격이 없게 된다. 축방향으로 일어난 이 인장은 스프링 부하에 의해 양호하게 발생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두개의 캠 링쌍이 회전부재에 구비되어야만 한다. 한쌍의 세트의 캠 링의 한 세트가 한쌍의 캠 링의 다른 세트의 캠 링에 동일하다면 한편으로는 둥글고, 한 세트의 캠 링의 로울러가 다른 캠 링 세트에 관하여 45°편위되어 있다면, 로울러의 두 세트가 전체 치수가 축소된 축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양 세트용으로 동일한 캠 링을 사용하여 다른 다수의 캠 링은 또한 매우 작게 된다. 두개의 외부 캠 링 반쪽부재와 두개의 내부 캠 링 반쪽부재가 생산되어야만 한다.
제2세트의 캠 링이 둥글게 고정된 결과로서, 각각 다른 세트의 방향에 정확하게 대향하도록 놓인 외주방향으로 운용되는 기능은 연속적으로 힘의 전동이 가능하고, 이 때문에 한 세트에 의해 전동된 힘이 없을때 다른 세트에 의해 발생한다.
사각형상인 축을 포함하는 평면내에 회전부재의 베인은 이것의 한 대각선은 축에 수직이고, 두개의 반쪽부재로 이루어진 케이싱은 이것의 분리선은 환형 공간의 중앙평면이고, 그러므로, 환형 공간은 매우 쉽게 생산되며, 기계가 매우 단순하게 조립될 수있다.
유연한 밀봉체와 인장장치가 또한 두개의 케이싱의 반쪽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면, 양호한 밀봉효과는 케이싱 반쪽부재의 더 강력한 클램핑에의해 달성될 수 있고, 경사 케이싱 반쪽부재는 축에 45°로 운전 회전부재의 표면에 대해 매우 잘 유지된다.
케이싱에 관하여, 케이지의 각 위치에 변한다면, 흡입 및 배출구멍의 위치도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두개의 회전부재의 주기적인 이동은 서로에 관하여 동일하게 남아 있을지라도, 회전부재 또는 그들 사이에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흡입 및 배출구멍은 다른 시간에 일치하고, 그 때문에 기계의 작동모드는 단순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상 외부벽의 적어도 부분들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중공부재는 밀봉체를 구비하고, 베인상의 접촉압력이 감소된다면, 불량한 밀봉효과는 그에 의한 누설류에 의해 베인에 대해 단단하게 다시 가압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밀봉공간의 벽과 회전부재 사이의 밀봉효과의 편리하고 단순한 자동조정이 획득된다.
케이지내의 로울러는 톱니의 조력으로 케이지내에 고정된 베어링 외피 또는 미끄럼 블럭의 조력으로 적절하게 지지되고, 이렇게 하여 이들은 한 방향으로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것에 수직방향의 이동은 방지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는 회전 피스톤 기계가 압축기로서 사용되거나 출력구동으로 사용되고 엔진으로서 사용된다면 입력구동용으로 배열될 것이다. 그러나, 그곳에 연결된 두개의 회전부재 또는 부품들은 케이싱에 연결된 고정자와 엔진.발전기의 회전자에 단단하게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이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압축기로서 사용된 회전 피스톤 기계를 사용할 경우에 입력구동은 축에 작용하지 않고 두개의 회전부재에 직접 작용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구동속도는 회전부재의 회전속도의 변화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특히, 원판 회전자 엔진의 사용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그런 다음에, 로울러와 캠 트랙에 의해서 제어되고 채용 또는 힘이 보정된 힘은 축을 경우하여 두개의 회전부재의 회전속도에 의해 발생된다. 회전 피스톤 기계가 엔진으로서 사용된다면 이 경우에 있어서는 원판 회전자 발전기의 회전자는 회전부재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회전부재마다 8개의 회전부재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유격이 없고 회전부재가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그 결과로서, 조용한 운전 및 고효율의 상기한 장점에 부가하여 완전히 분배될 수 있는 회전부재용의 부가적인 베어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케이싱(2)에 의해 둘러싸인 환형 공간(1)을 도시한다. 환형 공간(1)내에 임펠러(3,4)로 설계된 두개의 상호 결합된 회전자가 있다. 임펠러(3)는 베인(3a,3b,3c,3d)를 가지고 있고, 임펠러(4)는 베인(4a,4b,4c,4d)을 가지고 있다. 양 임펠러는 하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중앙에 배열된 축(5)에 의해 구동된다. 환형 공간(1)의 전면측에는 여러개의 흡입구멍(6a 내지 6h)과 배출구멍이 있다.
이 장치의 동작모드를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축(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임펠러(3,4)는 하기에 설명된 바와같이 다른 속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시된 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임펠러(4)는 임펠러(3) 보다 빨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임펠러(3d,4a) 사이의 작업공간은 증가할 것이고 이 때문에 가스가 흡입 포트(6a)를 통하여 흡입된다.
그후에 이 흡입 포트(6a)는 베인(3d)을 따라 서서히 폐쇄된다. 이러한 이동으로서, 베인(3d)을 베인(4a)보다 빨리 이동을 개시할 것이고, 이 때문에, 두 베인 사이의 작업공간은 축소되고 가스는 배출구멍(6b)까지 작업공간을 이동할 때까지 압축된다. 이때에 베인(3d)는 베인(4a)까지 이동될 수 있고 이 때문에 가스는 여기서 완전히 압축된다.
이러한 작동모드는 압축기나 내연기관에 공히 사용될 수 있다. 이것 모두는 연소공간.연료관 등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제2도는 작동 사이클의 4가지 국면을 도시한다. 새로운 작동 사이클은 두개의 회전부재가 90°회전한 후에 개시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 트랙 제어장치의 원리를 도시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방사상 단면은 내부에 회전부재(3,4)에 연결된 외부 캠 링(8)에 의해 외부에 연결되고 축(5)의 회전에 의해 고정연결된 내부 캠 링(7)이다. 내부 캠 트랙 링과 외부 캠 트랙 링 사이에 로울러(9)가 90°간격으로 놓여 있다. 상기 로울링 링은 케이지에 의해 케이싱(2)에 단단히 유지되고 이렇게 하여 그들은 방사상 외측 또는 내측으로의 이동만이 달성될 수 있고 축의 회전 방향 또는 내부.외부 캠 링(7,8)의 이동은 할 수 없다.
제3도의 중앙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여 보면, 내부 캠 링(7)은 외부 윤곽선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울러(9)는 하방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로서, 외부 캠 링(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때문에 회전자(9)의 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중앙위치에 도착될때, 회전은 내부 캠 링과 로울러의 상응하는 이동에 의해 제3도의 오른쪽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왼쪽의 개시 위치까지 계속된다. 이런 식으로, 축(5)의 회전운동이 환형공간내에서 회전부재(3,4)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이러한 회전운동이 고르지 못할지라도 내부 및 외부 캠 링(7,8)의 곡선형상을 결정한다.
로울러(9)가 원통형이라면, 그들은 내부 및 외부 캠 링 상에서 고르게 회전하지 않으나 트랙곡선이 다르기 때문에 미끄러질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중 원추 형상인 본 발명에 따른 로울러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로울러(9)는 회전중에 다른 다수의 유효직경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왼쪽에 외부 캠 링(8)상에서 구르기 위한 평균 회전 직경이 도시되어 있고 오른쪽에 내부 캠 링(7)상에서 구르기 위한 평균직경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언급된 평균 회전 직경은 기계적인 선이 아니라 어떤 폭을 가진 캠 링과 로울러 사이의 접촉표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캠 링(7,8)은 일체로 설계되지 않았고 오히려 대칭형으로 설계된 두개의 캠 링 반쪽부재(각각 7a,7b,8a,8b)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름트랙(7c,8c) 지역만이 이들 캠 링 반쪽부재들과 로울러(9)가 접촉하고 있다.
케이지내에 보유되어 있는 로울러는 제4도의 로울러(9)의 전.후면을 상상하면 된다. 이 케이지 또는 이것의 부분이 제5도에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로울러(9)는 두개의 베어링 외피(12)에 의해 보유되어 있고 그 안에서 로울러는 미끄러지면서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 외피는 외부에 케이지(14)의 톱니를 가진 래크(13)에 상응하여 결합하는 톱니를 가지고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로울러(9)는 제5도내의 전방 또는 후진이동 즉, 제4도의 회전 피스톤 기계가 방사상 방향 또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케이싱에 관하여 각 이동으로부터 방해 즉, 제5도에 도시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의 이동이 방해를 받는다.
제6도는 캠 내부 링 반쪽부재(7a)의 측면도이다.
제7도는 캠 내부 링 반쪽부재(7a)의 평면도이다.
본질적으로 경사지게 작동하는 외부 표면은 융기된 부분이 구비된 로울러(9)용 구름트랙(7c)상에 절두 원추체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볼 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름트랙(7c)은 요구되는 트랙제어 행동에 따른 기능을 통하여 방사상 방향과 축방향 방향으로 통과한다.
제8도와 제9도는 외부 캠 링 반쪽부재(8a)(제8도)의 단면도와 평면도(제9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승된 구름트랙(8c)은 거기에 도시되어 볼 수 있다.
제10도는 케이지(14)내의 로울러(9)의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단한 상세도이다. 구름트랙을 가진 캠 링의 또한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피스톤 기계의 하나의 반쪽부재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회전 피스톤 기계의 다른 반쪽부재는 다른 반쪽부재에 본질적으로 대칭형이다.
구동축(5)은 축방향 베어링(16,17)과 케이싱 플랜지(18)와 이격 슬리브(15)에 의해 케이싱내에 회전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이격 슬리브(15)의 외측에 커플링 플랜지(19)와 너트(20)가 이웃하고 있다.
이격 슬리브(15)의 내측에는 내부 캠 링(7)을 형성한 두쌍의 내부 캠 링이 있다. 그래서 이격 슬리브(21)의 오른쪽에 인접하고 그리고 이것은 다른 두개의 회전부재의 구동용으로 의도된 다른 측면상에 내부 링(7)에 대응하도록 인도된다.
너트(20)를 조여서 캠 내부 링(7)의 반쪽부재는 왼쪽 측면(도시 안됨)상의 역압부재의 대응에 의해 이격 슬리브(15,21)를 경유하여 함께 가압되고, 이 때문에 로울러(9)는 캠 외부 링(8)에 대하여 정확하게 외측으로 가압된다. 이들은 두개의 반쪽부재로 이루어지고 회전부재(3)에 연결된 재킷 슬리브(22) 내에서 회전에 의해 고정 배열되어 있다. 밀봉 플랜지(23)는 외부 캠 링(8)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로울러(9)의 가압을 위하여 역압을 창출하기 위하여 각각에 대하여 또한 가압한다. 내부 링(7) 또는 외부 링(8)의 반쪽부재를 함께 가압하는 것을 스프링에 의해 할 수도 있다.
로울러(9)를 보유하고 있는 케이지(14)는 최종적으로 케이싱 플랜지(18)에 고정되고 톱니를 가진 래크(24)에 의해 장치의 다른 측면상의 케이지에 회전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케이지는 케이싱에 대해 외주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2)에 관하여 케이지(14)의 각도 세팅은 조정 베어링(25)에 의해 케이싱(2)에 관하여 케이싱 플랜지(18)의 각도 세팅을 변경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26 내지 30)에 도시된 다른 밀봉체에 케이싱 반쪽부재 사이에 다른 밀봉체가 있다. 최종적으로 밀봉체(32)가 케이지(14)와 회전자(3) 사이의 미끄럼 슬리브에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케이싱(2)은 두개의 반쪽부재로 구성되고 밀봉체(31)는 두개의 반쪽부재의 분리선(33)에 구비되어 있다. 회전부재(3,4)의 베인과 환상실(1) 벽사이의 밀봉효과가 구멍(34)을 통하는 볼트의 죄임에 의해 나빠진다면 두개의 케이싱 반쪽부재가 더 밀접하게 이동될 수 있고 이는 개선된 밀봉효과의 결과로서 환형공간내의 케이싱벽과 회전부재(3,4) 사이의 더 양호한 접촉을 하게 해준다.
제1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베인(제12도에 도시되지 않음)은 케이싱 벽(2)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나 가요성의 밀봉방법으로 보유된 벽부재(35)와 접촉한다. 상기 벽부재(35)가 항복한다면, 회전부재(3)와 벽부재(35) 사이의 밀봉 갭(36)은 넓어지거나 회전부재(4)와 대응부재(37) 사이의 대응하는 밀봉 갭으로 넓어지고 이는 벽부재(35)에 대응하게 넓어진다. 그 결과로서, 가스는 대기압 이하에서 밀봉 갭(36)(대응하는 다른 측면에도) 안으로 들아가고, 벽부재(35)의 후면의 공동안으로 구멍을 통하여 통과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후자는 회전부재의 베인에 대하여 안쪽의 화살표(39)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밀봉효과의 자동조정이 달성된다.
제13도의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엔진 또는 발전기(40)의 회전자(42)는 회전부재(3,4)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제13도에는 재킷 슬리브(22)를 거쳐서 회전부재(3)에 단단하게 연결된 엔젠 또는 발전기의 회전자(42)가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품이 회전부재(4)에 단단하게 연결된 제2엔진 또는 발전기(40)(도시되지 않음)용으로 대응하도록 적용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상기 엔진 또는 발전기의 고정자(41)는 케이싱(2)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회전부재(3,4)는 엔진(40) 또는 회전부재(3,4)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기 보다는 오히려 발전기(40)에 의해 직접 구동되고 회전부재(3)의 제어된 좌표이동은 축(5)을 거쳐 발생한다.

Claims (14)

  1. 축(5)을 가진 케이싱(2)과, 환형 공간(1)내에 구비된 동작매체가 흡입 및 배출되기 위한 구멍(6a 내지 6h)을 가지고 있고, 벽에 대해 배열된 밀봉적으로 운동되는 두개의 회전부재(3,4)와, 각 회전부재(3,4)는 네개의 방사상 외향 연장된 섹터형 베인(3a 내지 3d, 4a 내지 4d)을 가지고 있고, 두개의 회전부재(3,4)가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들의 베인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각 케이스내의 하나의 회전부재의 한 베인은 다른 회전부재의 두 베인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축(5)의 회전은 두 회전부재의 베인들 사이의 거리와 회전 속도의 주기적인 변화로 두 회전부재(3,4)의 회전은 캡 트랙 제어장치(7,8,9)에 의해 달성되고, 축(5)의 회전에 의해 고정 연결된 내부 캠 링(7)을 가진 캠 트랙 제어장치를 가진 회전 피스톤 기계에 있어서, 캠 트랙 제어장치가 하나의 회전부재(3,4)의 회전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외부 캠 링(8)을 가지고,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있는 로울러(9)는 케이싱(2)에 연결된 케이지(14)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유지되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내부 캠 링(7)과 하나의 외부 캠 링(8) 사이에 4개의 로울러(9)가 로울되며, 상기 캠 트랙 제어장치를 가진 회전부재(3,4) 마다 두쌍의 내부.외부 캠 링(7,8)은 대응하는 두쌍의 4개의 로울러(9)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캠 트랙 제어장치(7,8,9)가 각 회전부재(3,4)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울러(9)는 양측면이 원추형으로 테이퍼져 있고 캠 링(7,8)은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방사상 및 축방향에 구름 트랙(7c,8c)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로울러(9)와 캠 링(7,8)이 축(5)의 방사상 평면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캠 링(7,8)이 두개의 대칭 반쪽부재(7a,7b,8a,8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6. 제5항에 있어서, 캠 링(7,8)이 축방향으로 인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캠 링(7,8)이 축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쌍의 캠 링(7,8)이 동일하고 다른 방법으로 한쌍의 캠 링(7,8)은 둥글게 고정될 수 있고 하나의 캠 링(7,8)의 로울러(9)는 다른 캠 링(7,8)에 대해 45°까지 편위되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부재(3,4)의 베인(3a 내지 3d, 4a 내지 4d)은 축의 축선을 가진 평면에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것의 대각선은 축의 축선에 수직이고 두개의 반쪽부재를 가진 케이싱(2)은 환형공간(1)의 중앙 평면에 분리선(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지(14)의 각도 위치는 케이싱(2)에 대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환형공간(1)의 방사상 외부벽의 적어도 한 부분은 밀봉체가 구비된 벽부재(35)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베인상의 접촉 압력이 감퇴된다면 그에 의한 누설류에 의해 베인에 대하여 단단하게 가압되는 역압으로 인해 불량한 밀봉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울러(9)는 베어링 외피 또는 미끄럼 블럭(12)의 조력으로 케이지(14)내에 지지되어 있고 미끄럼 블럭은 톱니(13)의 조력으로 케이지(14)내에 고정되어 있고 그들은 한 방향으로 구름 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엔진 또는 발전기(40)의 회전자(42)는 각 회전부재(3,4)와 케이싱(2)에 연결된 엔진 또는 발전기의 고정자(41)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엔진 또는 발전기(40)는 원판 회전자 엔진 또는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피스톤 기계.
KR1019880700320A 1986-07-23 1987-07-22 회전 피스톤 기계 KR950006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624842.8 1986-07-23
DE19863624842 DE3624842A1 (de) 1986-07-23 1986-07-23 Drehkolbenmaschine
PCT/EP1987/000401 WO1988000641A1 (en) 1986-07-23 1987-07-22 Rotating piston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812A KR880701812A (ko) 1988-11-05
KR950006396B1 true KR950006396B1 (ko) 1995-06-14

Family

ID=630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320A KR950006396B1 (ko) 1986-07-23 1987-07-22 회전 피스톤 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38668A (ko)
EP (1) EP0316346B1 (ko)
JP (1) JP2633276B2 (ko)
KR (1) KR950006396B1 (ko)
AU (1) AU608239B2 (ko)
DE (2) DE3624842A1 (ko)
DK (1) DK88088A (ko)
FI (1) FI98473C (ko)
WO (1) WO1988000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16807U1 (ko) * 1990-12-12 1992-04-09 Schukey, Juergen, 2000 Hamburg, De
US6289867B1 (en) 1999-03-31 2001-09-18 Cummins Engine Company, Inc. Rotary engine
US6401686B1 (en) 1999-12-01 2002-06-11 Melvin L. Prueitt Apparatus using oscillating rotating pistons
LT5404B (lt) * 2005-05-03 2007-03-26 Sigitas Kudarauskas Laisvų svyruojančių stūmoklių šiluminė mašina
CA2632815A1 (en) * 2007-05-30 2008-11-30 Steven J. Keays Rotary and translating displacement device
DE102018125624A1 (de) 2018-10-16 2020-04-16 FreeFreeze GmbH Rotationskolben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dichtung in einer Rotationskolben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8950A (en) * 1920-02-13 1923-06-19 Poirmeur Louis Ildevert Explosion rotating engine
GB299776A (en) * 1927-10-31 1929-09-12 Aron Kolko An improved rotary motor
US1874308A (en) * 1927-10-31 1932-08-30 Kolko Aron Rotary motor
US1920201A (en) * 1929-10-28 1933-08-01 Kolko Aron Alternating piston rotary engine
US1950228A (en) * 1930-04-14 1934-03-06 Dedieu Jean Rota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BE378939A (ko) * 1931-04-03
FR2032631A5 (ko) * 1970-01-15 1970-11-27 Weber Charles Henr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90208A (fi) 1989-01-16
DE3765121D1 (de) 1990-10-25
EP0316346A1 (de) 1989-05-24
KR880701812A (ko) 1988-11-05
AU608239B2 (en) 1991-03-28
US4938668A (en) 1990-07-03
FI890208A0 (fi) 1989-01-16
DK88088D0 (da) 1988-02-19
JPH01503319A (ja) 1989-11-09
DE3624842A1 (de) 1988-01-28
DK88088A (da) 1988-03-11
FI98473B (fi) 1997-03-14
WO1988000641A1 (en) 1988-01-28
FI98473C (fi) 1997-06-25
AU7788987A (en) 1988-02-10
JP2633276B2 (ja) 1997-07-23
EP0316346B1 (de) 199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35284A (en) Rotary fluid pressure device
GB1447607A (en) Scroll type rotary fluid handling apparatus
US4489682A (en) Linear movement motor and a swash plate for a motor of this type
JPH05209501A (ja) ロータリーエンジンのシール装置
US1996875A (en) Fluid motor and pump
WO1982001215A1 (en) Rotary vane type motor
SE8007414L (sv) Hydraulisk omvandlare
KR950006396B1 (ko) 회전 피스톤 기계
CN104791209A (zh) 二维圆柱导轨轴向活塞泵
US4139335A (en) Rotary fluid displacing apparatus operable as pump or motor
US3969986A (en) Radial piston pump
US3898021A (en) Rotary expansible chamber device with variable eccentricity
EP1497537B1 (en) Hydraulic motor
US2466622A (en) Hydraulic axial vane pump or motor
RU2177572C2 (ru) Торцевое бесконтактное уплотнение (варианты)
US6729862B1 (en) Rotary piston machine
US4548561A (en) Rotary hydraulic machine with a multiplicity of axially aligned chambers
RU2049267C1 (ru) Двухсекционная роликолопастная гидромашина
US4362481A (en) Rotary vane machine with rings radially constraining the vanes
JP2915141B2 (ja) 回転ピストン機械
CA1307744C (en) Rotating piston machine
US3726615A (en) Rotary fluid power device
US854849A (en) Rotary engine.
US1654864A (en) Rotary pump
RU2012836C1 (ru) Гидрообъемная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ая передач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