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247B1 - 시간축 신장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시간축 신장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247B1
KR950006247B1 KR1019870001705A KR870001705A KR950006247B1 KR 950006247 B1 KR950006247 B1 KR 950006247B1 KR 1019870001705 A KR1019870001705 A KR 1019870001705A KR 870001705 A KR870001705 A KR 870001705A KR 950006247 B1 KR950006247 B1 KR 95000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component
time
clock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468A (ko
Inventor
가오루 우라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간축 신장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성분 색 신호 재생장치를 응용할 수 있는 VTR의 기록 및 재생장치의 회로 블럭 다이어그램.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시간축 처리회로의 회로 블럭의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시간축 처리회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의 재생장치에 사용된 시간축 처리회로의 회로 블럭다이어그램.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시간축 처리회로의 작동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기록시스템 32 : FM변조기
35 : 자기테이프 41 : FM복조기
43 : 시간축신장회로 46 : 동기신호분리회로
53 : 지연회로 58 : 전압제어형발진기(VCO)
71 : CCD
본 발명은 시간축이 압축되고, 예를들어 휘도신호가 기록되는 이외에 기록매체의 각 트랙상에 시분할 모드로 기록된 한쌍의 칼라성분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은 화질 및 고해상도를 갖는 비데오신호의 기록/재생을 하기 위해 칼라비데오 신호는 휘도신호와 한쌍의 칼라성분신호(R-Y) 및 (B-Y)로 분리된다. 분리된 이들 신호는 종래 방식으로 서로 다른 트랙상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시에 한쌍의 칼라성분신호(R-Y) 및 (B-Y)의 시간축을 1/2로 압축되어 하나의 수평주기의 시간 간격내에서 대응하는 트랙상에 압축형태로 기록이 된다. 재생 작동 동안, 기록된 칼라 성분신호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기록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내에 기록되고, 기록클럭신호주파수의 1/2인 주파수를 갖는 판독클럭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내로부터 판독이 된다. 이같은 방식에서, 칼라성분신호(R-Y) 및 (B-Y)쌍의 시간축은 원래 칼라성분신호의간격을 제공하기 위해 신장이 된다. 이때, 만약 기록동작과 판독 동작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을 경우, 기록동작과 판독동작이 부분적으로 중복이 되는 오동작이 자주 생기므로, 정상적인 재생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다. 특히 회전자기헤드가 매 1/2회전마다 스위치되는 VTR(비데오테이프레코드)에 있어서, 전치이상기(prephaser : 가변 지연회로)는 회전 자기헤드가 스위치된 후(소위 스큐(skew)된 후)의 과도 시간축 변화를 가지는 따라가지 못한다. 그결과 칼라성분신호가 시간축신장회로에 입력이 될때, 칼라성분신호에 대한 정상적인 시간축신장이 이루어질 수 없다.
상술된 문제를 염두에 두고, 본 발명은 헤드스위칭(소위 말하는 스큐)을 수반하는 재생신호의 시간 변화에 대해 트랙킹능력을 보강시킬 수 있고, 변이 레지스터에서판독 및 기록동작 사이의 넓은 간격(윈도우)을 제공하여 판독 및 기록동작의 중첩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며,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정이 간단한 단순구성으로 칼라성분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은 한쌍의 칼라성분신호가 시간축 압축되며, 시분할 모드로 기록이 되는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치는 (a)시간축이 압축되고 대응하는 기록트랙으로부터 유도된 시간축 방향으로 칼라성분신호중의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단과 : (b)한쌍의 시간축 압축 칼라성분신호를 시간 신장시키기 위해 기록 및 판독클럭에 응답하는 다수의 변이 레지스터를 구비하며,후자 신호중의 하나는 상기 제1수단으로부터 유도되며 : (c)기록클럭이 출력되는 동안의 간격이 판독클럭이 발생되는 동안의 간격과 다음 판독 클럭이 발생되는 동안의 간격 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치되게 시간축 압축되기전에 한쌍의 칼라 성분 신호가 재생되도록 하기 위해 기록 및 판독클럭을 제어하는 제2수단을 구비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보다 완전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동기 신호 발생회로(33)로부터 유도된 동기신호는 가산기(32)에 의해 참고번호 30으로 표시된 기록시스템의 압력 단자(31)에 전달되는 휘도신호(Y)에 부과된다. 다음, 가산기(32)로부터 유도된 휘도 신호는 FM변조기(34)에서 FM변조되며, 기록헤드를 통해 자기테이프(35)상에 기록된다 입력 단자(36a, 37b)에 각각 전송된 한쌍의 칼라 성분 신호 R-Y 및 B-Y는 1/2정도 시간축 압축된다. 시간축 압축이 된후, 색도신호 R-Y 및 B-Y는 압축회로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달이 된다. 그다음, 동기 신호 발생회로(33)로부터 유도된 동기신호는 가산기에 있는 압축된 색도 성분 신호에 첨가된다. 가산기(38)로부터 유도된 색도 성분 신호는 FM변조기(39)에서 FM 변조된다. 본원에서 동기신호는 다른 채널에 기록된 휘도 및 색도 신호 사이의 시간차를 조정하여 이들의 동기신호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준 펄스로 사용이 된다. 동기신호 즉, 기준펄스는 휘도신호의 수평 동기 펄스의 후방에서 가산이 된다. 색도신호의 각 1H(하나의 동기 주사 간격) 이 1/2H로 시간 압축되어 시분할 모드로 정렬이 된다. 다음, 동기신호(기준펄스)는 동기신호가 휘도신호에 가산된 부분에 대응하는 압축된 색도 성분 신호에 가산이 된다.
또한, 제1도에 40으로 표시된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휘도신호가 기록된 자기테이프(35)의 기록 트랙으로부터 재생된 신호는 FM복조기(41)에서 FM복조된다. 다음, 동기신호 분리회로(43)로부터 유도되어 FM복조기(41)에 의해 복조된 동기신호(YS)(또는 기준펄스)는 시간축신장회로(43)에 전달이 된다. 다음, 재생 헤드를 통해 자기테이프(35)의 색도신호 기록 트랙으로부터 재생이 되어 FM복조기(45)에 의해 FM복조된 시분할 시간축 압축 색도신호(Sc)는 시간축 처리회로(42)에 장치된 시간축신장회로(43)에 제공이 된다. 동기신호(CS)는 동기 신호 분리회로(46)로부터 분리되며, 시간축신장회로(43)에 제공이 된다. 시분할 시간축압축신호(Sc)의 동기신호(CS)는 실제로 상술된 기준펄스가 된다. 1/2H로 시간축 압축된 한쌍의 칼라 성분신호는 1H(하나의 수평 간격) 에 대응하는 각각의 인접 동기 신호(CS)사이에 위치된다. 휘도신호와 한쌍의 시간축 신장 칼라 성분신호는 시간축 변환이 없이 시간축 처리회로(42)로부터 출력이 된다.
다음 제2도에 있어서, 입력단자(51)는 예를들어 FM복조기(41)에 의해 FM복조된 휘도신호를 수신한다. 입력단자(52)는 제1도에 도시된 FM변조기(45)에 의해 FM변조된 시분할 시간축 압축 색도신호(Sc)를 수신한다. 색도신호(Sc)가 시간축 압축회로(43)에서 시간압축되었을때 색도신호(Sc)는 휘도신호(Sy)에 대해 1H(하나의 수평 주사 간격)만큼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입력 단자(51)로부터 유도된 휘도신호(Sy)는 색도신호(Sc)에 대해 1H정도 앞서게 된다. 휘도신호(Sy)는 지연회로(53)에 의해 3H만큼 지연된다. 동기신호(YS)는 동기신호 분리회로(54)에서 분리된다. 입력단자(52)로부터의 신호(Sc)는 약 1H정도의 지연크기를 갖는 CCD를 이용하여 가변지연회로(55)에 전달이 된다. 각 동기 신호 분리회로(57)로 부터의 2개의 동기신호(YS, CS)는 동기신호(YS, CS)사이의 위상차를 검출하기 위해 위상 비교회로(57)에 전달이 된다. 위상 비교회로(57)의 출력은 전압 제어형 발진기(VCO)(58)에 제공이 되며, 상기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위상차에 따라 제어된다.
VCO(58)로부터의 출력 펄스는 가변지연회로(55)를 구성하는 CCD의 구동 클럭으로 사용이 된다. 가변 지연회로(55)로부터의 신호(Sc)는 휘도신호(Sy)와 함께 동기화된다. 위상비교회로(57), VCO(58) 및 가변 지연회로(CCD)(55)를 구비하는 회로는 휘도신호와 색도신호 사이의 시간차를 보정하는 전치 이상기 회로라고 부른다.
또한, 동기 신호 분리회로(54)로부터의 동기 신호(YS)는 VCO(61)에 제공이 된다. VCO(61)는 위상이 신호(YS)정도로 조정이 되며, 주파수가 예를 들어, 720fH(fH는 수평주파수를 나타낸다)인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720fH의 주파수를 갖는 펄스 신호는 1/2분주기(62)에 의해 360fH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로 분주되며, 분주된 클럭신호는 판독클럭(RCK)로서 클럭 발생기(63)에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 동기 신호 분리 회로(56)로부터의 동기 신호(CS)는 위상이 신호(CS)와 동기이며, 720fH의 주파수를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VCO(64)에 제공된다. VCO(64)로부터 출력된 펄스신호는 기록클럭(WCK)으로 클럭발생기(63)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지연회로(5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쉬프트레지스터를 구성하는 CDS(71, 72, 73, 74)가 구비된다. CCD(71,72, 73, 74)를 위한 기록 및 판독 동작은 클럭발생기(63)로부터의 클럭(CK1, CK2, CK3, CK4)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각 CCD로부터의 입력신호의 시간축을 시간 신장시킨다. 또한, CCD(73)의 출력신호는 절환스위치(75)의 단자(b)에 전달되며, CCD(74)의 출력신호는 절환 스위치(76)의 단자(b)에 전달이 된다. 칼라 성분신호 R-Y중의 하나는 출력단자(77)로부터 얻어지며, 반면, 다른 칼라 성분신호 B-Y는 다른 출력 단자(78)로부터 얻어진다. 시간축 처리회로(42)에서 상기와 같은 시간축 신장 동작은 제3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가변지연회로(55)로부터의 시분할 시간축 압축 색도신호(Sc)는 3H지연회로(53)로부터의 휘도신호(Sy)에 대해 1H만큼 전진한다. 이는 휘도신호가 3H지연회로(53)에서 3H만큼 지연되고 반면 색도신호는 기록중의 압축회로(37)와 가변지연회로(CCD)(55)에 의해 전체적으로 지연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n+1)H정도로 시분할 시간축 압축 색도신호(R-Y)n+1, (B-Y)n+1은 1/2수평간격(시간 t1과 t2및 시간 t2와 t3)동안 시간 t1및 t3의 1H수평간격으로 nH정도 배치된 휘도신호 Yn에 대해 (n+1)정도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클럭 발생기(63)로부터 CCD(71)사이에 제공된 클릭(CK1)에 대해서, 720fh의 주파수를 갖는 기록클럭(WCK)은 시간 t1과 t3의 1H간격의 반인 1/2H(시간 t1에서 t2까지)의 간격동안 제공이 된다. 그래서, 시분할 시간축 압축 색도신호(Sc)의 신호성분(R-Y)n+1은 시간 t1과 t2사이(전면 1/2H간격)에서 기록이 된다. 클럭 발생기(63)에서 CCD(72)사이에 공급된 클럭(CK2)에 대해서는, 7200fH의 주파수를 갖는 기록클럭(WCK)이 후방 1/2H(시간 t2에서 t3까지)의 간격동안 제공이 된다. 그결과 수평간격의 후방 1/2에서 전달된 신호(B-Y)n-1는 CCD(72)내에 기록된다. 상기 CCD(71, 72)내에 기록된 각 칼라 성분신호(R-Y)n+1, (B-Y)n+1는 시간 t3및 t5사이의 다음 1H간격 동안(CK1, CK2)에 응답하여 판독된다. 판독클럭(RCK)의 주파수는 기록클럭(WCK)의 1/2인 360fH로 선택이 되어 CCD로부터 판독된 색도신호는 2배로 신장이 되어 원래의 시간축을 갖는 색도신호가 이로부터 발생이 된다. 그래서, 1H의 지연이 처리회로(42)에서 발생이 되어 지연된 색도신호는 휘도신호와 시간상으로 일치가 된다. 즉, 시간 t3와 t5사이의 절환스위치(75,76)로 부터 발생된 색도신호(R-Y)n+1, (B-Y)n+1은 휘도신호 Yn+1와 같은 (n+1)H정도의 신호가 된다. 제3도에 도시된 Dw는 각 CCD(71 내지 74)에서 기록작용 및 판독작용 사이의 허용가능한 간격(소위, 윈도우)을 표시한다.
그래서 상술된 한쌍의 CCD(71, 72)는 칼라 성분신호 R-Y, B-Y의 시간축 신장을 실행한다. 2H간격은 1H신호의 시간축 신장을 실행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쌍의 CCD(73, 74) 가 제공되어 2H간격의 판독 및 기록작동은 2쌍의 CCD사이에서 교번하여 이루어진다. 절환스위치(75, 76)는 각 CCD쌍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매 수평 간격에서 절환된다. 그래서, 칼라성분신호 R-Y, B-Y쌍은 각 출력단자(77, 78)로부터 발생이 된다.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간축신장회로(43)에서 각 CCD(71 내지 74)에서 기록 및 판독 작동 사이의 허용가능한 간격, 이른바, 윈도우(Dw)는 단지 ±1 내지 2.5마이크로초 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 만약 휘도신호와 색도신호 사이의 시간축 에러(지터)허용 가능한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기록 및 판독 작동기 일부 중천되는 오동작이 발생하여 정상 재생 작동이 실행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호처리회로를 갖는 칼라 성분 신호 재생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회로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4 및 5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4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는 제1도에 도시된 FM복조회로(41)로부터 유도되어 FM복조된 휘도 신호(Sy)를 수신한다. 또다른 입력단자(2)는 색도신호(Sc)(시분할 시간축 압축 색도신호)를 FM복조기(45)로 부터 수신한다. 제4도에 도시된 입력단자(1)에서 수신된 휘도신호(Sy)는 또다른 입력단자(2)에서 수신된 색도신호(Sc)에 대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1.25H(1 1/4H)정도로 지연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예를 들어, FM복조기(41)로부터 유도된 휘도신호(Sy)는 색도신호(Sc)에 대해 1H만큼 앞서는 경우, FM복조된 휘도신호(Sy)는 CCD와 가은 지연회로의 수단에 의
Figure kpo00001
해H만큼 지연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휘도신호(Sy)는 각 입력 단자(1, 2)에서 색도신호(Sc)에 대해 1 1/4H만큼 항상 지연된다.
예를들어, (n+1)H정도의 한쌍의 칼라성분신호(R-Y)n+1, (B-Y)n+1은 제5도에 도시된 시간 t1에서 t4까지 1H간격(하나의 수평간격)내에서 1/2H내로 시간축 압축된 시분할 모드로 배열이 될때, (n+1)H정도의 휘도신호 Yn+1는 1 1/4H정도 지연된 지연된 시간 t5에서 t8사이에의 하나의 수평간격내에 배치된다.
입력단자(1)로부터 유도된 휘도신호(Sy)는 동기신호(YS)(상술된 기준펄스)를 분리시키기 위해 동기신호 분리회로(3)에 제공이 된다. 상기 동기신호(YS)는 VCO(4)(전압제어형 발진기)에 공급이 된다. VCO(4)는 위상이 상술된 신호(YS)이 위상으로 고정이 되고, 주파수가 예를들어 720fH(fH는 수평 주파수를 나타낸다)인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720fH를 갖는 펄스신호는 1/2 분주기(5)에 의해 360fH를 갖는 펄스신호로 분주된다. 분주된 펄스신호는 판독클럭(RCK)으로 클럭발생회로(6)의 RCK 단자에 제공된다. 한편 입력단자(2)로부터 유도된 색도신호(Sc)는 동기신호(CS)(상술된 기준신호)를 분리시키기 위해 동기신호 분리회로(7)에 공급이 된다. 동기신호(CS)는 VCO(8)에 공급이 된다. VCO(8)는 720fH(fH는 수평주파수를 나타냄)를 가지며, 상술된 신호(CS)에 고정된 위상을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며, VCO(8)로부터 유도된 펄스신호는 기록클럭(WCK)으로서 클럭발생회로(6)의 WCK 단자에 제공된다. 상술된 동기신호(YC,CS)는 클럭발생회로(6)에 제공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CCD의 판독 및 기록 기준타이밍을 결정한다.
입력단자(2)로부터 유도된 시분할 시간축 압축상태의 색도신호(Sc)는 시간지연수단을 구성하는 CCD(10)의 수단에 의해 1/2 H만큼 지연되어 한쌍의 칼라 성분신호 R-Y, B-Y는 쉬프트되어 이들의 위상은 서로 일치된다. 즉 말하자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럭발생회로(6)로부터 CCD(10)에 전달된 클럭(CKO)은 기록클럭(WCK)이 1H 간격(시간 t1에서 t4사이)의 전반부 1/2H간격(시간 t1에서 t3까지)동안 제공되고, 판독클럭(R-WCK)은 후반부 1/2H 간격(시간 t3내지 t4)동안 공급이 되는 형태로 배열이 된다. 720fH의 주파수를 갖는 VCO8로부터 출력펄스는 기록클럭(WCK) 및 판독클럭(R-WCK)로 사용이 된다. 그래서 CCD(10)로부터의 출력신호(Sc')는 색도신호(Sc)의 1H 간격의 전반부 1/2H에 배치된 칼라성분신호 R-Y가 1/2H만큼 지연이 되며. 색도신호(Sc)의 1H 간격의 후반부 1/2H 간격에 배치된 칼라성분 B-Y신호와 일치된다. 즉, 말하자면, 이들 색도신호(Sc', Sc)에 대해서 상호간에 서로 일치된 한쌍의 칼라성분 신호 R-Y, B-Y는 휘도신호(Sy)의 각 1H 간격에 대해 중심위치에 대응하는 각 1/2H 간격동안 배치된다. 그래서,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CCD(10)에서 쉬프트 단계의 수가 341단계로 셋트된다고 가정하면 1/2H 간격에 배치된 WCK 및 R-WCK의 각 클럭펄스수는 341 된다. 그결과, CCD(10)의 신호기록 및 판독동작은 1/2H 간격보다 약간 더 짧은 간격동안 이루어진다.
다음 CCD(10)에 의해 지연된 색도신호(Sc')는 시간축 신장을 위해 2개의 CCD(11,13)에 전달된다. 한편, 입력단자(2)로부터의 색도신호(Sc)는 시간축 신장을 위해 2개의 CCD(12, 14)에 직접 전달이 된다. 이들 CCD(11 내지 14)는 CCD(10)가 갖는 것과 같은 쉬프트 단계(341단계)를 갖는다. 클럭발생기(6)로부터 유도된 클럭(CK2)는 칼라성분 신호쌍 R-Y, B-Y가 각각 제공되는 CCD(11, 12)쌍에 각각 제공된다. 또 다른 CCD쌍(13, 14)은 클럭(CK4)을 수신하여 기록 및 판독작동은 매 2H간격마다 실행이 된다. 한쌍의 CCD중의 하나에 전송된 공통 클럭(CK2)은 다른쌍의 CCD에 전달된 공통 클럭(CK4)으로부터 1H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쌍의 CCD(11, 12)를 공통으로 제어하는 클럭(CK2)는 1/2H 간격(시간 t3에서 t4까지)동안 기록클럭(WCK)이 발생되고, WCK의 출력이 끝난 다음 즉시 이어지는 휘도신호(Sy)의 1H 간격(시간 t5에서 t8까지)동안 판독클럭(RCK)이 발생되는 2H의 주기를 갖는 그러한 신호이다. VCO(8)로부터 유도된 720fH의 주파수를 갖는 출력신호는 색도신호(Sc)의 동기신호(CS)와 동기화된 기록클럭(WCK)으로 사용이 된다. 분주기(5)로부터 360H의 주파수를 갖는 출력신호는 휘도신호(Sy)의 동기신호(YS)와 동기상태인 판독클럭 (RCK)으로 이용이 된다. 그래서, CCD(11)에서 시간 t3에서 t4까지 사이의 1/2H 간격동안 칼라성분 신호(R-Y)n+1가 기록된 후, 신호(R-Y)n+1은 휘도신호의 동기신호의 1H 간격의 시간 t5에서 t8까지 동안 2개의 시간축 신장되어 판독된다. 동시에, 색도신호(B-Y)n+1은 시간 t3와 t4사이의 1/2H 간격동안 CCD(12)내에 기록이 된다. 시간 t5내지 t8의 1H 간격동안 같은 신호(B-Y)n+1은 시간축 신장되어 판독된다. 상술된 바와같은 방법에서 상기 기록 및 판독작업은 2H의 각 간격동안 각각 반복이 된다. CCD(13,14)에 공통으로 제공되는 클럭(CK4) 클럭(CK2)로부터 1H정도로 위상이 변위된 것을 제외하고는 클럭(CK2)과 같은 형의 반복신호이며, CCD(13, 14)은 1H의 시간지연(또는 전진)과 같은 상태로 CCD(11, 12)와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CCD(11)로부터의 출력은 절환스위치(15)의 단자에 전달되며, CCD(12)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절환스위치(16)의 단자에 보내어지고, CCD(13)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절환스위치(16)의 단자(b)에 전달되며, CCD(14)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절환스위치(16)의 단자(b)에 전달이 된다. 이들 2개의 절환스위치(15, 16)는 클럭발생기(6)로부터 유도되며 1/2fH(2H 주기)의 주파수를 갖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2개의 스위치(15, 16)의 각 단자(a, b)를 선택하기 위해 매 수평간격마다 교대로 스위치된다. 따라서, 절환스위치(15)는 출력단자(17)로부터 칼라성분 신호 R-Y중의 하나를 제공하며 출력단자(18)로부터 다른 칼라성분 신호를 제공한다. 그래서 칼라성분 신호의 쌍은 휘도신호와 동기상태로 된다.
다음은 상술된 공통 클럭(CK2, CK4)를 기본으로 하여 각 2H 주기동안 기록 및 판독동작에 대한 설명이다.
기록클럭간격은 판독클럭 출력간격(1H)사이에서 스위치된 비판독 간격(1H)의 중심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약 1/4H 간격이 기록클럭 출력간격 전후에서 소위 윈도우(DW)라 불리는 허용가능한 간격으로 안전하게 고정이 될 수 있다. 윈도우(DW)의 윈도우 폭은 회전 자기헤드가 스위치될때 발생된 과도한 시간축 변환(이른바 스큐)을 포함하는 재생모드동안 휘도신호와 칼라성분 신호사이의 시간축 에러의 보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따라서 상술된 전치 이상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회로 규모가 감소되고, 낮은 전력소모가 이루어지며, 종래에 제안된 신호처리회로와는 달리 전치 이상기 회로를 위해 필요한 라미터 및 Y-C 위상 조정회로가 필요없으며, 노동력이 적게 든다. 또한 양호한 본 실시예에서 시간축 처리작동은 판독 및 기록동작이 시간적으로 분리되는 개시-정지방법이므로, 과도한 그리고 갑작스런 시간축 변환에 대한 트랙킹 능력은 지연시간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치 이상기 방법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잡음과 같은 나쁜 효과 및 쉬프트 단계 차이의 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공통 클럭을 이용한 시간축 신장 및 칼라성분 신호쌍의 위상 정렬후 시간축이 신장된 칼라성분 신호쌍과 휘도신호사이의 위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간축 신장작동 동안 기록클럭작동은 인접한 2개의 판독클럭 간격사이의 중심위치로부터 전진 또는 후퇴하여 변위된 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윈도우 길이는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비대칭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 칼라성분 신호의 위상 정렬을 위해 시간 지연수단을 구성하는 CCD(10)의 기록 및 판독간격사이의 정지 간격이 제공되지만, 지연량은 정확히 1/2H에 셋트되어(CCD의 단계번호는 360단계이다) 기록클럭(WCK)(720fH의 주파수를 갖는)은 CCD(10)에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성분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시간축 신장을 위해 사용되는 CCD와 같은 쉬프트 레지스터를 위해 기록 및 판독 작동사이의 허용가능한 간격(윈도우)가 넓게 보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치 이상기가 필요없는 작은 규모의 회로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전력 소모 및 간단한 조정이 이루어지며,전치 이상기 회로와 비교할때 과도한 시간축 변환에 대한 트랙킹 능력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2)

  1. 한쌍의 칼라성분 신호가 시간축 압축되어 시분할 모드로 기록되고, 재생된 칼라성분 신호는 시간축 신장이 되는 기록매체상의 기록트랙을 재생장치에 있어서, 시간축 압축되고 대응하는 기록트랙으로부터 벗어난 시간축 방향으로 상기 칼라성분 신호중의 하나를 쉬프트시키는 제1수단과 ; 시간축 압축된 칼라성분 신호쌍을 시간축 신장시키기 위해 기록 및 판독클럭에 응답하는 다수의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며, 상기 칼라성분 신호중의 하나는 상기 제1수단으로부터 유도되며 ; 기록 및 판독클럭의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2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기록클럭이 발생되는 간격은 판독클럭이 발생되는 간격과 다음 판독클럭이 발생되는 간격의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시간축 압축전의 원래 칼라성분 신호쌍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다른 칼라성분 신호와 일치가 되도록 시간축 방향으로 칼라성분 신호중의 하나를 쉬프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은 1/2 수평주사간격(H)만큼 칼라성분 신호중의 하나를 지연시키기 위한 또다른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여 칼라성분 신호중의 상기 하나는 칼라성분 신호중의 다른 하나와 일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제2기록클럭이 대응하는 기록트랙으로부터 유도된 칼라성분 신호쌍의 한 수평주사간격(H)의 전반부 1/2 수평주사간격에서 재생이 되고, 제2판독클럭은 상기 트랙으로부터 유도된 칼라성분 신호쌍중의 한개 H의 후반부 1/2H에서 재생이 되는 형태로 상기 또다른 쉬프트 레지스터에 대해 제2기록 및 판독클럭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위상이 대응하는 기록트랙으로부터 유도된 칼라성분 신호쌍으로부터 취한 동기신호에 고정이 되는 출력펄스를 발생하는 VCO(전압제어형 발진기)를 구비하며, 상기 출력펄스 신호는 상기 또다른 쉬프트 레지스터에 대해 상기 제2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제2기록 및 판독클럭으로 사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쉬프트 레지스터는 341개의 쉬프트 단계수를 갖는 CCD(전하 결합소자)를 구비하며, 제2기록클럭의 각 펄스수는 34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상기 또다른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CCD와 같은 쉬프트 단계수를 갖는 2쌍의 CCD를 구비하며, 상기 또다른 쉬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유도된 칼라성분 신호중의 하나는 2쌍의 CCD 각각중의 하나의 CCD에 전달이 되고, 대응 기록트랙으로부터 유도된 한쌍의 칼라성분 신호는 2쌍의 CCD 각각중의 다른 CCD에 전달이 되며, 하나의 공통 기록 및 판독클럭은 상기 제2수단으로부터 한쌍의 CCD에 전달이 되고, 다른 공통 기록 및 판독클럭은 상기 제2수단으로부터 다른쌍의 CCD에 전달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상의 또다른 트랙으로부터 유도된 휘도신호는 대응하는 기록트랙으로부터 유도된 칼라성분 신호쌍에 대해 1.25H(H : 수평주사간격)만큼 지연이 되며, 하나의 공통 기록 및 판독클럭은 다른 쉬프트 레지스터에 의해 하나의 칼라성분 신호와 동상으로 되고, 상기 하나의 공통 판독클럭은 하나의 공통 기록클럭이 제3수단으로부터 한쌍의 CCD에 출력된 후 휘도신호의 제1H 간격에 배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공통 기록클럭은 제1VOC로부터 유도된 펄스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720fH의 주파수를 가지며 휘도신호와 동기상태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VCO와, 주파수가 VCO로부터 발생된 펄스신호의 1/2로 분주되는 또다른 펄스를 발생하는 분주기를 구비하며, 분주기로부터 나온 다른 펄스는 하나의 공통 판독클럭을 위해 제2수단에 의해 이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다른 공통 기록 및 판독클럭의 위상은 하나의 공통 기록 및 판독클럭의 위상으로부터 1H정도 이탈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 기록클럭과 다른 공통 기록클럭이 제2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1/2H 간격은 한 주기의 하나의 공통 판독클럭과 다른 공통 판독클럭이 출력되고, 다음 주기의 하나의 공통 판독클럭과 다른 공통 판독클럭이 발생되는 1H 간격의 중심위치에 배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축 신장재생장치.
KR1019870001705A 1986-02-28 1987-02-27 시간축 신장 재생장치 KR950006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038 1986-02-28
JP62043038A JPS63209582A (ja) 1987-02-27 1987-02-27 付着性動物細胞の培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468A KR870008468A (ko) 1987-09-26
KR950006247B1 true KR950006247B1 (ko) 1995-06-12

Family

ID=1265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705A KR950006247B1 (ko) 1986-02-28 1987-02-27 시간축 신장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09582A (ko)
KR (1) KR950006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2927A1 (de) * 1984-01-28 1985-08-08 Pfeifer & Langen, 5000 Köln Zellkulturmikrotraeg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zum zuechten von verankerungsabhaengigen zellen
JPH02167066A (ja) * 1988-12-21 1990-06-27 Toyobo Co Ltd 細胞培養方法
CN102807974A (zh) * 2012-08-10 2012-12-05 福建农林大学 一种雷公藤细胞固定化的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468A (ko) 1987-09-26
JPS63209582A (ja) 198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8609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 color video signal
JPS635919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916553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4780769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time compressed video signals wherein said signals are expanded and converted into two separate channels before recording
JPH0211074B2 (ko)
US4712143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timebase compressed color video signal
US4914509A (en) Color video signal synthesizer
KR930010690B1 (ko) 시간축 보정 장치의 서입 클럭 발생회로
KR950006247B1 (ko) 시간축 신장 재생장치
US4774594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component color video signals time-axis compressed on a recording medium using write clock signals centered between read clock signals
JPS61158288A (ja) 映像信号の再生装置
JP2522580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KR920001105B1 (ko) 영상신호의 기록 재생장치
US4760468A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N100525472C (zh) 磁带录像机信号处理电路
JPH0666963B2 (ja) カラー映像信号の再生装置
KR910004286B1 (ko) 칼라텔레비젼신호의 전송, 기록 및 재생방법
JPS6016027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525883B2 (ja) 同期変換装置
JPH0666964B2 (ja) 記録装置
JP2589175Y2 (ja) 記録装置
KR890003519B1 (ko) 기록재생장치
JP3241361B2 (ja) Vtr付きビデオカメラ
EP0024869A2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616019B2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